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62.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response when white-back planthopper (WBPH, Sogatella furcifera), were inoculated in 10 days rice leaves after germination. We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inoculated and uninfected plants by in the different time period (1day, 1 week, 2 weeks, and 3 weeks after inoculation). Breeding rice and WBPH maintained at 26∼28℃ with 60 % humidity. 3 leaves plants (TN1, Cheongcheong, and Nagdong) were inoculated with 2∼3 instars WBPH. Harvested rice plant samples were completely dried in dark condition and then samples were completely immersed in a solution of methanol for 3 days under darkness. Dissolving in water and then de-fatted three times with hexane. 100 ppm samples were applied to HPLC, eluting with acetonitrile and 0.1 % acetic acid by C18 (5ph column Agilant) and detected at 254 nm. We confirmed the difference of peak using LC/MS/MS (API-2000).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weeks from the day of inoculation was increased at the molecular weight 118.1, 264.2 and 364.2.
        63.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id industrialization has brought Nam-Hae are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leased oil and other hydrocarbons. In this work,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horeline sediment we made enviro-chemical analyses of its substances, TPHs and microbial growth after treating with oxygen releasing compound(ORC) such as MgO2. Total organic compound(TOC) was reduced from 33.45% to 25.1∼31.08% meanwhile COD decreased from 27.5∼28.9mg/g·dry to 19.9∼26.1mg/g·dry for input of 2∼10% MgO2 in 20days. For 10% MgO2 input, TP and TN were reduced by 13.3% and 18.8%, respectively. Most of all TPH was decomposed by max. 42.4% in 21days, and the total viable count of microbes was found to be exponentially increased by 75.9%.
        64.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건조 전처리 방법으로 사용하여 사과의 성분변화를 관찰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온도와 압력이 증가 할수록 생과일과 무처리구 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C, 유리당 및 유기산의 함량은 전처리 구간이 무처리구 보다 낮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 압력과 온도 따라 큰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용매적 특성이 핵산에 가까워 극성물질에 대한 용해력이 높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으로
        65.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changes in general chemical composition, free sugar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t, and ginsenoside contents depending upon processing methods. Ginseng roots harvested from the same field were employed for the processing into white ginseng (WG), taegeuk ginseng (TG), red ginseng A (RGA, steamed one time), and red ginseng B (RGB, steamed three times). The fat content decreased by increasing duration of treatment and number of steaming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contents of ash and carbohydrat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Contents of sucrose and maltose was higher in Taegeuk and red ginseng than those of white ginseng. Steamed ginseng root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showed higher amount of water extractable solid than the unsteamed white ginseng, but the variation of crude saponin content was not distinctiv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increased by the order of white, taegeuk, red A, and red B root. In summary, chemical composition and total ginsenoside cont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art of root and processing methods, thus implies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as well as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inseng root.
        66.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술 제조 과정 중 pH, 산도, 에탄올 및 당도의 변화와 기호도를 조사하고 배 원료와 발효 배술의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페놀성 성분 등을 분석하였다. 배술의 관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생강 첨가량을 달리하여 배술을 제조하였을 때 생강 첨가량에 따른 pH와 산도는 차이가 없었다. 에탄올 함량은 무 첨가구에 비하여 생강 0.1% 첨가구가 13%로 높게 나타났으며 맛, 색 및, 향의 관능검사는 생강 0.2%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배술을 55, 6
        67.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냉압착 들기름과 볶음 압착 들기름 및 볶음 가열 압착 들기름의 가열산화에 의한 색도 및 갈변도, 총 페놀 함량, 과산화물가, 산가, 이중공액산가,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각 들기름의 특성 및 가열산화에 의한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압착 들기름은 Hunter L 값은 76.62로서 볶음 압착 들기름의 39.77에 비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갈색도의 경우에도 각각 0.027과 0.244을 나타내어 냉압착유의 갈색화 정도가
        68.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추김치의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별 total GSL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7년 6~7월, 8~9월, 10~11월, 12~4월 및 5월(2008년) 수확하여 제조한 배추김치를 anion-exchange column을 통과시키고 아세톤 침전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crude myrosinase로 반응시켜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의 경우 8~9월 배추김치가 다른 기간에 제조된 배추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H의 경우 저장 3일,
        69.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70.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겹살을 먹을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조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삼겹살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조리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조리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수분 양은 감소하고 지질 양은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및 탈유량은 튀기기와 삶기 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료의 pH는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와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
        71.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기간이 벼 생태형에 따라 미립 특성에 영향하는 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자포니카형, 통일형 및 통일형에서 유래된 1대잡종형의 정조를 4~40 개월간 외부환경이 제어되지 않은 종자 저장실에 저장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 발아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아졌는데 자포니카형은 16개월 저장시 66.7%, 28개월 저장시 2.5%로 크게 떨어졌고 40개월 후에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으며, 통일형과 1대잡종형은 28개월까지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40개월에는 각각 54.0% 및 67.9%로 발아율의 차이를 보였다. 2. 현미 경도는 통일형, 1대잡종형, 자포니카형의 순서로 높았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알카리 붕괴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완만하게 감소하였고, 아밀로즈 함량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전당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저장 28 개월 이내에서 증가폭이 컷고 그 이후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5. 전당 함량에 대한 환원당 함량의 비율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전당 함량보다는 환원당 함량의 증가가 많아서 비율이 높아졌다.
        72.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라면 수프의 품질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라면 수프의 주원료인 고추향미유가 첨가된 조제고춧가루를 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의 일반성분은 6주간 저장 후에도 크게 변화하지 않았고(p>0.05), pH 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ASTA 값과 CIE 값, CIE 값, 그리고 CIE 값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시료
        7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연작장해 원인과 경감대책을 수립하고자 2004년에는 2005년까지 작물과학원 증평시험지 연작토양에서 인삼 수확경 과년수와 예정지관리 유무에 따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삼 연작지 수확경과년수가 짧을수록 생존율이 낮아지며 3~4년 경과구 81~95%의 뿌리썩음 이병주율을 보였다. 예정지 관리구는 미관리구보다 생존율이 다소 높으며 뿌리 썩음병 피해도 예정지 미관리와 같은 경향으로 예정지 관리효과는 크지 않다. 수확경과년수가 10년이상의 연작지에서도 연작장해를 일으키는 병원균 (C. destructans)이 분리되므로 재작 또는 연작시는 이점을 고려하여 재배지를 재선정하거나 예정지 토양관리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74.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라면 수프의 품질 안정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라면 수프의 원료 중의 하나인 고추향미유를 에서 6주간 저장하면서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료의 산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며 과산화물가는 저장 4주에 크게 증가하다가 저장 6주에서는 감소하였다. ASTA value와 값, 값, 그리고 값 모두 4주까지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다가 6주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료를 구성하는 주요
        75.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고등어의 소금절임과정에 한약재의 추출물을 처리하여 저장중에 간고등어의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한방재료의 추출물처리한 고등어의 pH의 변화는 와 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군에서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증가정도는 처리 및 저장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의 적정산도의 변차는 와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도는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고등어 산가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77.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nges in the level of metabolites in leaves and pods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seed chemical composition in black soybean. There was no further increase in pod length after 42 days after flowering (DAF). Pod weight, however, persistently increase until 73 DAF, thereafter the weight was slightly lowered. The seed storage protein, however, increased drastically as the increasing rate of pod weight was lessened at 61 DAF. The accumulation of seed storage proteins was occurred conspicuously as the increasing rate of pod weight was slowed down. The chlorophyll content both in leaves and pods was drastically decreased after 50 DAF. The beginning of drastic reduction in chlorophyll content was occurred concomitantly with the reduction of soluble protein content in leaves. The sugar content in leaves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chlorophyll and soluble protein content. The starch level in leaves, however, showed different changing pattern during seed development. The starch content in leaves was increased persistently until 66 DAF, thereafter the content was decreased drastically to about 55~% of maximal value at 66 DAF. Total phenolics content in leaves and the anthocyanins content in seeds were stable without noticeable increase until 66 DAF. The content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66 DAF showing the synchronized pattern with the decrease in starch level in leaves. The levels of the selected metabolites in leaf and seed suggested that the accumulat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soybean seed is launched actively at 66 DAF. The profile of storage proteins was nearly completed at 61 DAF because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in densitometric intensity among protein subunits after 61 DAF. In soybean, chemical maturation of seed begins around 61 to 66 DAF at which most metabolites in vegetative parts are decreased and remobilized into maturing seeds.
        78.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호박씨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영양가치가 높아 식품가공 재료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으나 그 동안 과자, 스넥 제품 등의 단순가공 소재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호박씨의 소비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호박씨를 발아 성장시키면서 각 부위의 일반영양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L-ascorbic acid, -carotene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여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으며, 발아 성장과정 중 생성되는 고미성분의 구조를
        79.
        200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산 치커리 뿌리를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여러 조건에서 볶음처리 하였을 때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생치커리는 수분이 76.34%, 탄수화물 20.50%, 조단백질이 1.03%, 조지방 0.13%, 조섬유 1.02%, 회분 0.98% 이었으며, 건조치커리는 수분이 3.44%, 탄수화물 79.52%, 조단백질이 5.63%, 조섬유 5.51%, 회분 4.85%, 조지방 1.05%로 나타났다. 볶음조건에 따라 치커리의 수분함량은 130℃와 140℃에서는 볶음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150℃와 160℃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모든 볶음온도 40분에서는 1.00%이하로 나타났다. 조단백질함량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160℃, 40분에서는 1.6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130℃와 140℃에서 볶음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160℃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무기물은 K는 2,705.1~2,735.5mg%, P는 175.8~159.3mg%, Ca는 152.7~157.3mg%, Mg는 76.2~79.6m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볶음조건에 따른 함량 변화는 없었다. 볶음 조건에 따른 지방산의 함량변화는 지방산은 총 13종을 동정 확인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이며, 볶음조건에 따른 지방산의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80.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월 초에 채굴한 6년근 수삼을 41, RH 87∼92%에 10주간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시료 채취하여 홍삼을 제조하여 당과 색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은 저장기간의경과에 따라 저장전의 62.71%에서 저장 10주째는 54.58%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환원당은 저장전 11.69%에서 약간 감소하여 7주째는 9.92%로 조사되었다. 유리당은 fructose는 저장전 0.47%에서 점차 증가하여 10주째는 4.70%로, glucose와 suc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