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

        61.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3개월용 Soft contact lens의 착용기간에 따른 파장별 투과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질환 및 안질환이 없고 미용렌즈가 아닌 Soft contact lens 착용자 남, 여 7명의 렌즈 16개를 착용기간 별로 분류하여 렌즈가 wet한 상태, dry한 상태를 광투과도 장치인 UV vis spectrometer로 측정, 분석하였다. 결과: 3개월용 soft contact lens의 투과율 변화를 관찰한 결과 렌즈가 dry해질수록 투과율이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착용기간 별 수화와 건조에 따른 투과율을 관찰한 결과 1개월 착용렌즈에서 투과율이 평균 3.5%, 2개월 착용렌즈에서는 2%, 3개월 착용렌즈에서는 3.8% 감소하였고, 4개월 착용렌즈에서는 d-파장에서 1%내로 증가하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고 6개월 렌즈에서는 투과율이 평균 0.7% 감소하였다. 수화상태에서 기준파장 별 착용기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는 1개월 착용렌즈에서 평균 1.77%, 2개월 착용렌즈에서 0.85%, 3개월 착용렌즈에서 평균 1.77% 감소하였다. 4개월 착용렌즈의 d-파장과 6개월 착용렌즈의 f-파장에서 3% 내로 투과율이 증가함으로 1%이상의 변화를 보였으므로 렌즈 표면의 침전물이나 두께 변화에 따라 렌즈의 성질이 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착용기간이 길어질수록 렌즈의 성질이 변화되어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Soft contact lens 착용 시 권장착용기간에 대해 좀 더 세심하게 고려될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62.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 Recently, the eye disease associated with ultraviolet radiation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UV-block hydrophilic soft contact lens using 2-ethylhexyl trans-4-methoxy-cinnamate were manufactured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copolymerized materials were measured. Methods: The basic hydrophilic soft contact lens material with addition of Dhb(2,4-dihydroxy benzophenone) 0.5% ~ 1.0%, Thb(2,4,4-trihydroxy benzophenone) 0.5% ~ 1.0% and Hmb(2-hydroxy-4-methoxy benzophenone) 0.5% ~ 1.0% respectively were polymerized and the hydrophilic soft contact lens were manufactured by cast mould method. The lenses were stored in a 0.9% NaCl normal saline for analysis. Results: In the measurement of DHB samples, the optical transmittance showed the UV-B transmittance of 2.1 ~ 4.3%, UV-A transmittance of 19.0 ~ 27.2% and visible transmittance 88.8 ~ 90.1%. And also, in the case of THB samples,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UV-B, UV-A and visible transmittance was 2.0 ~ 2.4%, 13.6 ~ 18.8% and 89.5 ~ 90.9%, respectively. Also, in the case of HMB samples,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UV-B, UV-A and visible transmittance was 4.0 ~ 12.3%, 22.5~37.2% and 87.9 ~ 89.2%, respec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2-ethylhexyl trans-4-methoxy-cinnamate with benzophenone materials were suitable for use as a material to UV-block hydrophilic lens.
        6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콘택트렌즈 케이스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동정하고, Serratia marcescens 균주들에 대해 항생 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총 65개의 콘택트렌즈 케이스를 수거하여 분리한 균주들을 16s rRNA gene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고, Serratia marcescens 균주들을 Nalidixic acid(30㎍), Ciprofloxacin(5㎍), Ofloxacin(5㎍), Levofloxacin(5㎍) 항생제를 이용하여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30개의 콘택트렌즈 케이스에서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균주로는 Achromobacter sp. 8균주, Achromobacter xylosoxidans 3균주, Achromobacter spanius 1균주, Pandoraea pnomenusa 1균주, Serratia marcescens 17균주가 동정되었다. Serratia marcescens 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Nalidixic acid, Ciprofloxacin, Ofloxacin, Levofloxacin 모두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결 론: 콘택트렌즈 케이스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16S rRNA gene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모두 30 균주가 동정되었으며, 콘택트렌즈 케이스에서 많이 분리 동정된 Serratia marcescens 균주에 대한 Quinolone 계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모두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생제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내성 균주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며 Quinolone 항생제의 내성 발생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6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hydroxybenzophenone계 물질을 첨가제로 소량의 비율로 사용하여 소프트 콘택트렌 즈 제조 후 광학성 및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콘택트렌즈 재료로서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방 법: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주재료인 HEMA와 개시제인 AIBN을 기본조합으로 하고 2-hydroxybenzophenone, 2,4-dihydroxybenzophenone 그리고 2,4,4-trihydroxybenzophenone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각각 공중합하였다. 결 과: 2-Hydroxybenzophenone을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UV-A 86.8~72.2%, UV-B 84.2~70.4%로 소량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2,4-dihydroxybenzophenone 경우 UV-A 76.2~16.8%, UV-B 66.8~2.0%로 2,4,4,-trihydroxybenzophenone의 경우 UV-A 61.8~11.6% UV-B 50.8~1.4%로 두 물질 모두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실험 결과로 볼 때 소량 첨가하였을 때 2,4-dihydroxybenzophenone 및 2,4,4,- trihydroxybenzophenone의 경우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진 콘택트렌즈로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 다.
        4,300원
        6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난시안 교정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완전 교정된 눈에 +0.50 D, +1.00 D, +2.00 D의 원주렌즈를 각각 Ax 180°, 90°, 45°로 착용시켜 근시성 난시를 유발하고 시력 측정 후, 1 mm의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같은 방법으로 난시를 유발한 후 시력을 측정해 비교하였다. 결 과: +0.50 D의 원주렌즈로 유발된 난시안에서는 시력이 0.84±0.15에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 착용 시 0.90±0.14로 향상되어 7.57%의 시력개선 효과를 보였고, +1.00 D는 0.66±0.18에서 0.77±0.17로 16.19%, +2.00 D는 0.28±0.16에서 0.43±0.20으로 향상되어 55.13%의 시력상승효과가 있었다. 결 론: 난시안에서 다중핀홀 콘택트렌즈를 처방할 경우 시력상승효과가 있으므로, 난시의 저교정 혹은 구면대등 값을 처방할 경우 다중핀홀 콘택트렌즈의 처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000원
        6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기존의 콘택트렌즈 분석기에서 1매의 렌즈를 삭제하여 시스템을 간소화하고, 수차를 감소시켜 콘택트렌즈 표면의 선명한 상을 얻는 저가격 고성능의 광학계를 최적화 설계하였다. 방 법: 기존의 콘택트렌즈 분석기의 광학적 성능 분석과 최적화 설계에 사용한 파장은 프라운호퍼 C, d, F선(0.656 ㎛, 0.587 ㎛, 0.486 ㎛)이며 기준파장은 d선으로 하였다. Full field는 object height를 5 mm로 설정하였다. 참고모델의 광학적 성능 분석과 분석기의 최적화 설계에는 Zemax 14.2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 과: 최적화 설계한 콘택트렌즈 분석기는 기존의 콘택트렌즈 분석기보다 Spot diagram RMS radius는 42.51% 성능이 향상되었다. 상질에 영향을 주는 구면수차는 96.96%, 비점수차는 68.39%, 종 방향 색수차는 39.29%, 횡 방향 색수차는 95.97% 향상되었고, 상면만곡과 왜곡수차는 각각 82.09%와 66.05%로 수차 성능이 향상되었다. 결 론: 기존의 콘택트렌즈 분석기보다 적은 수차와 적은 렌즈 매수를 갖는 새로운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콘택트렌즈 분석기는 저가격, 고성능의 성능 최적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4,600원
        6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근시성 직난시안의 안경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 및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처방(S+C/2)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대비시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난시도가 -0.75 D이상 -1.75 D이하인 만 20~32세의 성인 남녀 22명을 대상으로 ASD디자인인 J사의 재질 etafilcon A렌즈와 Wide Ballast Band디자인인 C사 재질 ocufilcon D렌즈의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하고 원거리 및 근거리 대비시력을 검사하였다. 결 과: 원거리 고대비시력은 두 렌즈 모두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안경과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순으로 시력이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리는 두 렌즈 모두에서 고대비와 저대비시력이 안경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 처방 순으로 시력이 높았다.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와 등가구면렌즈를 비교한 결과 AS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Wide Ballast Band디자인 렌즈는 고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저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근시성 직난시안에게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을 대신하여 등가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로 처방하는 경우 렌즈디자인에 따른 고대비시력 및 저대비시력이 다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굴절검사가 추가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6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착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표면에 침착된 성분을 X-선광전자분광법으로 관찰하였으며, 투광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표면을 플라즈마 코팅한 Lotr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한 다음, 표면에 침착물의 성분과 화학결합을 X-선광전자분광분석기(XPS)로 분석하였으며, 침착에 따른 광투과율을 관찰하였다. 결 과: 착용 초기에는 점액질의 침착이 주로 일어나 40% 이상이 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큰 증가가 없었다. 지방의 침착은 점액질보다 적지만 20%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가시광선의 광투과율은 착용 5일까지 3.4%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 1.2% 정도 더 감소하였다. 결 론: 플라즈마 처리로 표면이 친수성인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침착은 주로 점액질에 의해 발생하며, 지방은 침착된 점액질에 쌓이면서 서서히 증가하였다. 침착물로 인하여 렌즈의 광투과율이 저하되었으나, 그 영향은 점차 감소하였다.
        4,000원
        69.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UV-A, UV-B, UV-C의 노출 증가에 따른 UV 차단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시감투과율 및 대비감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UV-A, UV-B, UV-C lamp의 영향을 받은 2개의 하이드로겔 렌즈, 2개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시감투과율과 피검자 23명(46안)의 대비감도를 검사하였다. 결 과: UV lamp에 영향을 받은 콘택트렌즈의 시감투과율이 UV-C 조사받은 렌즈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UV-B, UV-A순으로 감소하였다. 동일한 자외선 양(9.35mJ/cm2)을 조사 받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피검사자에게 착용 후 대비감도를 측정값은 UV-C 조사 받는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4,000원
        70.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습윤성 물질을 포함한 기본적인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에 silicon 2,3-naphthalocyanine bis(trihexylsilyloxide)(SiNc)를 첨가하여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및 광학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분자의 자외선 투과율과 접촉각을 측정하여 SiNc의 안의료용 렌즈 소재로의 활용도, 특히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안의료용 고분자로서의 활용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친수성 하이드로젤 렌즈 제조를 위해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N-vinyl-2-pyrrolidone (NVP), methylmethacrylate (MMA), 교차결합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그리고 개시제인 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다. 또한, SiNc는 첨가제로 사용되었다. 중합 후 제조된 콘택트렌즈 재료의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및 분광투과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 과: 생성된 하이드로젤 렌즈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8.12 ~ 37.98%, 굴절률 1.434 ~ 1.435, 접촉각 34.33 ~ 62.91°그리고 분광투과율의 경우 34.6 ~ 91.0%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SiNc를 첨가한 조합에서 자외선 투과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습윤성은 증가하였다. 결 론: 습윤성 물질 및 SiNc를 첨가하여 제조된 안의료용 고분자 재료는 자외선 차단 및 습윤성이 우수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71.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새로 합성한 silicone monomer인 3-[Tris(vinyldimethylsiloxy)silyl]propyl methacrylate(V-TRIS)를 이용하여 제조한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SiHy)와 제조 과정 에서 에탄올을 첨가하여 만든 SiHy의 광투과율과 함수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와 chlorodimethylvinylsilane을 반응하여 Silicone을 4개 함유하는 V-TRIS를 합성하였다. Figure. 1. Reaction scheme for the synthesis of V-TRIS. V-TRIS를 전체 무게의 10%, 20% 만큼 첨가하고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Azobis isobutyronitrile(AIB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N-vinyl-2 -pyrrolidone(NVP) 등과 열중합하여 SiHy를 제조하였다. 에탄올은 전체무게의 15%를 첨가하 였다. 제조된 SiHy는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담가둔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으며, 파장 400~1100nm 범위에서 UV spectrophotometer(JENWAY, Genova Nano)를 이용하여 광투과 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Table 1. Optical Transmittance and water contents of SiHy with ethanol dilution. V-TRIS를 이용한 SiHy의 함수율은 32~35% 정도로 나타났다. SiHy 제조과정에서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광투과율과 함수율이 각각 증가하였다. 결론: 친수성인 HEMA와 소수성인 silicone monomer, V-TRIS가 서로 잘 섞이지 않아 상분리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SiHy의 광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는데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에 동시에 잘 섞이는 알콜기를 포함하는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서 HEMA와 V-TRIS가 상분리 현상 없이 잘 섞이게 되어 광학적으로 투명한 SiHy를 얻을 수 있다.
        72.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glycopolymer인 Hyaluronic acid(HA) 및 Alginic acid(AA)를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방법으로 첨가하였을 때 렌즈의 함수율과 단백질 흡착 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HA(5g/L)와 AA(5g/L) 각각의 용액에 Polyethylenimine(PEI)(5g/L, in 30% ethanol/70% water) 용액을 섞은 다음 4일 동안 4℃에서 보관하였다. Amide 결합으로 가교시키기 위해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EDC)(5g/L, 30% ethanol in water)용액에서 48시간 동안 유지하 였다.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흡착은 lysozyme, albumine, globulin이 포함된 인공눈물을 제조하여 시간에 따라 흡착량을 측 정하였으며 HPLC로 정량하였다. Glycopolymer를 첨가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서 함수율이 증가하였다. HA의 분자량이 감 소함에 따라 함수율은 다소 증가하였다. AA보다는 HA를 첨가하였을 때 함수율의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다. HA와 AA를 첨가하였을 때 단백질 흡착량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HA의 분 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낮아졌고, 인공눈물에 담궈 놓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단백질 흡 착량이 증가하였다. 결론: 표면에 glycopolymer를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가교시켰을 때 콘택트렌즈의 pore size가 작아지게 되고 glycopolymer의 비이온성 성질에 의해 단백질 변형이 방지됨에 따라 흡 착이 감소되며 glycopolymer 내의 친수성인 OH group이 많이 존재함에 따라 함수율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73.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prescribing contact lenses in Korea during 2010 to 2013 Methods: Four hund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randomly posted to Korean Optometric clinics for 4 years. The questionnaire was the same form used for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Trend and design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lenses prescribed to the first 10 patients after its receipt. Results: Among the four hundred survey questionnaires, 1937 fi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ean age at fitting was 26.2±±7.0 in 2010, 26.1±±7.6 in 2011, 24.7±±6.6 in 2012 and 24.8±±7.2 in 2013. The majority of fits were female patients (75%). Rigid Gas Permeable Lenses (RGP) accounted for 10% of the fits. Amongst the soft contact lenses, silicon hydrogel lenses were 18% of fits (17% in 2010, 10% in 2011, 20% in 2012, 24% in 2013). Toric design lenses accounted 17% of soft lenses fits and had increased during 4 years (10% in 2010, 18% in 2011, 16% in 2012, 22% in 2013), And cosmetic contact lens accounted for 29% (15% in 2010, 20% in 2011, 40% in 2012, 41% in 2013). Conclusions: The majority of the contact lenses wearers were female and mean age become slightly younger. In relation to increase of younger female contact lens wearer, cosmetic lenses prescribed was much higher (29%) than global mean (7%) and gradually increased for last 4 years. This trend could be related to the growth of beauty market in Korea. Furthermore, silicon hydrogel lenses prescribed had increased during 4 years as global market trend (silicon hydrogel lenses accounted 52% of soft contact lenses in global market).
        74.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acromolecular materials that not only have basic characteristics but also UV-blocking capabilities. Here we report tinted hydrogel contact lens containing titanium silicon oxide nanoparticles. This study also showed the physical and optical effects of 4-iodoaniline on contact lenses, which affect UV transmissibility. Methods: Titanium silicon oxide nanoparticles were used as additives. HEMA, MA, MMA, 4-iodoaniline and a cross-linker EGDMA were co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IBN as an initiator.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ater content, refractive index, contact angle, spectral transmittance of produced contact lenses were measured. Results: Measurement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polymerized material showed the water content of 38.68~35.01%, refractive index of 1.4350~1.4418, contact angel of 34.15~57.25° and spectral transmittance of 1.0~84.8%. Also, the transmittance for UV light was reduced significantly in combinations containing titanium silicon oxide nanoparticles. Conclusions: Tinted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 containing titanium silicon oxide nanoparticles is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usefully as a material for UV-block hydrogel contact lens.
        75.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hydrophilic contact lens polymerized with addition of 1-vinylimidazole in the basic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 and in particular, the utility of 1-vinylimidazole as a contact lens material for ophthalmologic devices was investigated. Methods: This study used 1-vinylimidazole with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for co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was conducted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in 100°C for about 40 mins. To produce the high functional contact lenses, a cast mould method was used. Resul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ydrogel ophthalmic material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average value of refractive index, water content and optical transmittance. The refractive index of 1.4330~1.4408, water content of 36.10~38.59%, UV-A transmittance of 90.0~72.2% and UV-B transmittance of 88.6%~64.2% and visible ray transmittance of 89.2~91.8% were obtained. The transmittance for visible light was over 89% in all combinations with 1-vinylimidazole and the transmittance for UV reduced up to a certain level in certain combinations with 1-vinylimidazo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duced copolymer can be estimated to be suitable for use as ophthalmic lens material for UV- blocking effects.
        76.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In this study, the copolymers produced by adding the 2-hydroxypyridine and 4-hydroxypyridine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s. The utility of hydroxypyridine as a possible UV-blocking and high wettablility material for contact lenses was investigated. Methods: This study used 2-hydroxypyridine and 4-hydroxypyridine as additions with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AA (Acylic acid), MMA (methyl methacrylate) and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for thermal copolymerization. The mixture was heated at 115 ℃ for 50 mins to produce the hydrogel contact lens. Results: The polymer by using thermal polymerization process for hydrogel contact lens was produc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which showed that the contact angle of sample containing 2-hydroxypyridine and 4-hyroxypyridine was in the range of 59.77~69.18° and 55.47~66.31°, respectively. The wettability of sample increased as the ratio of 4-hyroxypyridine increased. Also in case of 2-hydroxypyridine, the measurements showed that visible light 89.0~91.0%, UV-B 8.0~22.0%, UV-A 68.0~74.0% and in case of 4-hydroxypyridine, the results showed that visible light 88.0~91.0%, UV-B 79.0~81.0%, UV-A 84.0~86.0%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oduced copolymer is suitable for hydrogel contact lenses with UV-blocking effect and high wettability.
        77.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SiHy)에 생체친화적인 Glycopolymer인 Hyaluronic acid(H.A)와 Alginic acid(A.A)를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IPN) 방법으로 각각 첨가시켰을 때 함수율과 단백질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중합기인 methacrylate와 친수성기인 –OH기를 포함하는 Multi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M-PDMS)을 신규 합성하여 전체 무게의 10% 만큼 첨가하고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Azobis isobutyronitrile(AIB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N-vinyl-2-pyrrolidone(NVP) 등과 함께 열중합하여 SiHy를 제조하였다. SiHy를 H.A와 A.A를 IPN 방법으로 첨가시키기 위해 SiHy에 10kDa, 40kDa, 100kDa 분자량의 H.A와 15kDa 분자량의 A.A(5g/L, 30% ethanol in water)와 Polyethyleneimine(PEI)(5g/L, 30% ethanol in water)을 1:1로 섞은 용액에 SiHy를 4°C에서 4일 동안 담가둔 후 가교제인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EDC)(5g/L, 30% ethanol in water)에 48시간 동안 담가두었다. 함수율은 SiHy를 90°C에서 6시간동안 건조한 후 측정하였다. 단백질 흡착실험은 lysozyme, albumine, globulin이 포함된 인공눈물에 SiHy를 3~24시간 동안 흡착시킨 후 HPLC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Figure. 1. Schematic representation of silicone contact lens interpenetrated with glycopolymer. Table 1. Water contents and amount of total protein absorbtion of SiHy interpenetrated with H.A or A.A. H.A 및 A.A가 첨가되지 않은 SiHy에 비해 H.A 또는 A.A가 첨가된 SiHy의 함수율이 높게 나 타났으며 단백질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H.A의 분자량 크기가 클수록 12시간 까지는 단백질 흡착량이 줄어들었으며, 24시간 지난 후 에는 분자량에 따른 단백질 흡착량 차이가 없었다. A.A 15kDa 첨가에 따른 SiHy 단백질 흡착량은 H.A 10kDa을 첨가한 경우와 비슷하였다. 결론: H.A와 A.A의 –COOH 작용기와 PEI의 –NH2 작용기가 가교제인 EDC에 의해 amide bonding(-CONH-)를 이루면서 H.A와 A.A가 SiHy에 IPN형식으로 결합되었으며, 친수성(-OH)을 띠는 H.A 및 A.A가 SiHy의 함수율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SiHy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을 띠는 비이온성 Glycopolymer의 영향으로 단백질 흡착이 감소된 것으로 생각된다.
        7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새로운 실리콘 모노머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와 2종류의 시판용 렌즈에 hyaluronan을 첨가한 다음 lysozyme, albumin, globulin 3종류 단백질에 대한 흡착량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한 렌즈는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96%, Junsei)와 TRIM (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 98%, Aldrich) 등의 모노머를 사용하여 cast mould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HA(Hyaluronic acid, LifeCore Biomedical) 첨가는 HA 에탄올 용액과 EDC (1-(3-(Dimethyl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methiodide, Aldrich) 용액을 사용하였다. HA의 첨가 전 후 렌즈의 함수율, 광 투과율 등의 물리적 특성 변화와 lysozyme, albumin, globulin이 포함된 인공눈물을 제조하여 48시간 동안 흡착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각의 단백질은 HPLC로 정량하였다. 결과: HA가 첨가된 렌즈의 함수율은 첨가 전의 값에 비해 약 10% 증가하였으며, 광 투과율은 큰 변화가 없었다. HA를 첨가한 렌즈에서 시간에 따른 HA의 용출량은 48시간 동안 지수함수 형태로 증가하였다. HA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에 비해 HA를 첨가한 모든 렌즈에서 단백질 흡착량이 감소하였으며, 흡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감소효과가 크게 줄었다. 단백질의 종류에 따른 흡착량은 lysozyme>globulin>albumin의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SHL 렌즈에서 최대 80% 이상 감소하였다. 결 론: Hyaluronan이 첨가된 모든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서 단백질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에 3종류 단백질의 흡착 특성은 렌즈 표면의 친수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소결합이 가능한 hyaluronan의 첨가로 인해 렌즈의 친수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단백질의 구조적 변성을 방지하여 단백질 흡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7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사용하여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질을 중합하고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 물질들의 콘택트렌즈 재료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카르복시산 및 불소로 치환한 피리딘을 2가지 이상 첨가제로 사용하여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기본적인 재질인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AA(acrylic acid), MMA(methylme-thacrylate),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그리고 교차결합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공중합하였다. 결과: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348-1.4300, 함수율 33.69~35.84%, 가시광선 투과율 89.6~90.8%, 인장강도 0.2292-0.3344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76.05°~50.95°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 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5% 첨가했을 때 항균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실험 결과,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및 6-fluoropyridine-3-carboxyl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는 기본적인 콘택트렌즈 물성을 만족하였으며 우수한 습윤성과 항균성 및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의 미용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실태를 조사하여 올바른 착용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콘택트렌즈를 구매하고자 안경원에 내원한 고객 중 설문에 응한 여자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500명(중학생: 186명, 고등학생: 158명, 대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총 대상자 500명 중 316명(63.2%)이 미용칼라렌즈를 착용하였으며, 그 중 191명(60.45%)이 2조 이상의 렌즈를 보유하였다. 처음 착용 시기는 중학교 1학년 때가 149명(47.15%)으로 가장 많았고, 친구의 영향이 236명(74.68%)으로 가장 많았다. 미용칼라 콘택트렌즈 선택의 기준은 색상이 140명(43.06%)으로 가장 많았고, 하루 착용시간은 4~6시간이 86명(27.22%)으로 가장 많았으며, 렌즈 교체주기는 1~3개월이 81명(25.63%)으로 나타났다. 친구와 함께 미용칼라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험은 102명(32.28%)이 ‘있다’로 응답하였으며, 보관용기에 대한 소독은 ‘한다’가 220명(69.62%)이었으며, 용기의 교체주기는 1~3개월이 76명(47.2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칼라 콘택트렌즈에 대한 가장 큰 부작용은 건조감(빈도: 2.72±1.05, 정도: 2.79±1.24), 불편감(빈도: 2.43±0.89, 정도: 2.39±1.1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미용칼라 콘택트렌즈의 착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처음 착용시기도 어려지고 있으나, 관리방법 및 취급에 대한 지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관용기를 포함한 콘택트렌즈 관리와 교체주기에 대한 충분한 지도 및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