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

        101.
        201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증례는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 후 Bortezomib, Melphalan, Prednisolone 항암치료 중에 급성 췌장염이 발생된 매우 드문 경우이다. 급성 췌장염이 원인을 알기 위하여 알코올 병력, 담석증, 외상, 고칼슘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에 대한 혈액검사 및 영상의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지만 특별한 소견은 없었다. 급성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약제인 Bortezomib이 그 원인일 가능성으로 판단되어 Bortezomib 중단과 보존적 치료로 급성 췌장염이 호전되었다. Bortezomib은 다 양한 비특이적인 위장관 증상을 흔하게 유발할 수 있지만 복통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면 드물지만 급성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3,000원
        10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여성치유에 관한 진 아크터버그의 역사적 연구에 기반하여 영적 치유자로서의 여성의 역할에 대하여 재조명하고 있다. 가부장제 이전엔 언제나 여성이 치유역할을 담당했다. 치유는 본래 성스러운 영적 영역에 속했고, 여성만이 생사의 비밀을 아는 자였기 때문에, 아주 오래 전에는 문화의 중심자인 여성이 영적 치유사의 역할을 담당했었다. 궁극적인 치유는 치유사와 치유받는 자의 상호성과 더불어, 몸과 마음이 본래 둘이 아니고, 개체와 우주 역시 둘이 아니라는 영적 인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의 치유역할은 뒷전으로 물러나고 기껏해야 보조역할로 축소되었지만, 고대문화의 흔적을 보전하고 있는 흑인여성문화에서는 여전히 여성이 영적 치유사 역할을 하고 있다. 흑인여성소설가들, 특히 뱀버러의 󰡔소금 먹는 사람들󰡕은 여성치유사가 전통적인 여성적 방식으로 치유를 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예증해주고 있다. 특히 이 소설은 소설의 시간적 배경이 되는 1970년대 화두가 되었던 새로운 휴머니즘, 새로운 영성주의가 대표하는 통합성을 흑인영성의 치유와 구원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6,100원
        103.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장의 종양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그중 선암의 빈도가 가장 많고, 그 외에 악성흑색종, 유암종, 림프종, 육종 등이 주로 확인되었다. 원발부위가 자궁경부인 소장의 편평세포 암 전이는 소장종양 중에서도 매우 드물며 자궁경부암의 소장 단독전이는 현재까지 한국에서 1예가 보고되었다. 본 저자들은 매우 드문 증례인 자궁경부암의 십이지장 전이와 이에 대한 고찰을 보고하는 바이다.
        3,000원
        104.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도 과오종과 선천성 간섬유증은 태생기에 간판 기형에 의해 생기는 섬유 낭성 질환에 속한다. 담도 과오종은 증상 을 유발하지 않고 우연히 발견되는 질환이지만, 선천성 간섬 유증은 25%에서 담관염이 발생하고 증상이 발생하면 항생 제 투여부터 수술까지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복부 영상 소견으로 담도 과오종으로 진단하고 경과 관찰하던 64세 남자가 2년간 반복적인 담관염이 발생한 원인을 찾기 위해 시행한 간 생검에서 담도 과오종과 선천성 간섬유증이 병합된 것으로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105.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상으로 인한 혈액담즙증은 드물지 않게 보고되고 있고 경피경간 경로를 이용한 담도내시경이나 배액술 등에 의한 의인성 손상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담도스텐트 제거에 따 른 대량의 혈액담즙증의 보고는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복부 외상으로 간엽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담즙 누출을 치료하기 위해 삽입한 담도 스텐트를 제거하면서 혈액담 즙증이 대량 출혈로 악화된 사례이다. 간외상 수술 후 담즙 누출로 플라스틱 담도 스텐트 삽입 후 호전 중에 혈액담즙증 및 담도염 발생으로 스텐트 교체 목적으로 제거하였으나 제 거하자마자 대량의 활동성 혈액담즙증으로 악화되었다. 수술 후의 담즙 누출로 인한 주변조직 손상 및 삽입된 담도 스 텐트로 인한 자극과 제거시의 손상이 원인이 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치료는 대량 출혈로 내시경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응급 혈관조영술로 지혈술을 시행하였다. 따라서 복부 외상 환자나 수술 환자에서 담즙 누출 후 담도 배액 스텐트 는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나 혈액담즙 증 및 합병증으로 담도 스텐트를 교체할 때 주변 담도나 혈 관계의 합병증 유무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시행하고 스텐트 제거시에도 주의를 요한다.
        4,000원
        106.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BD-IPMNs) are characterized by cystic dilation of secondary ducts clearly communicating with a normalsized main pancreatic duct and seem to have a less aggressive clinical course than those arising from the main duct. BD-IPMNs are related to pancreatitis but the causal relationship is unclear. We report a case of a 62-year-old woman initially thought to have pseudocysts complicated by idiopathic recurrent pancreatitis but was finally diagnosed with BD-IPMN leading to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attacks. The patient had six episodes of acute pancreatitis over 5 years. A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revealed two cystic lesions of 2.0 and 1.5 cm in the pancreatic body, which appeared at the second episode of acute pancreatitis. Each pancreatitis episode impro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but the cystic lesions increased in size to 2.5 and 3.5 cm during the late follow-up period. A distal pancreatectomy was performed under the diagnosis of recurrent pancreatitis caused by BD-IPMN. The pathological findings revealed BD-IPMN with moderate dysplasia. We herein present a case of BDIPMN mimicking pancreatic pseudocyst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4,000원
        107.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5세 남자환자가 3개월 전부터 지속된 복부 불편감과 식욕 저하로 병원을 방문하였고, 복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췌장 발육 부전증과 췌장 두부의 종괴, 복막의 비후가 관찰되었다. 자기공명담췌관촬영술과 내시경역행담췌관 조영술에서 주 췌관은 정상이었으나 췌부와 미부의 췌관 및 산토리니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에서 복막과 폐의 암전이 소견이 나타났으며, 복수천자에서 얻은 세포검사에서 선암종이 확인되어 타 장기의 전이가 진행된 췌장암을 진단하였다. 이에 저자는 췌장암이 동반된 배측 췌장 발육 부전증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08.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가면역췌장염과 췌장암의 감별진단은 유사한 임상증상 들과 영상검사소견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어렵다. 혈청 IgG4는 자가면역췌장염과 췌장암의 감별에 중요한 인자 이다. 췌장암 환자에서도 약 10%에서는 혈청 IgG4가 상승할 수 있으나, 대부분 정상 상한의 2배 이내이다. 그래서 저자들은 자가면역췌장염과 감별이 어려웠던 혈청 IgG4가 정상 상 한의 6배 이상으로 상승된 췌장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09.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관 협착의 원인을 양성인지 악성인지 구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어 많은 임상의사들을 곤혹스럽게 한다. 그러한 이유는 여러 가지 영상검사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에 의한 반복적인 세포검사와 조직검사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양성 담관 협착과 악성 담관 협착을 수술 전 정확히 감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50 세 남자환자에게 원위부 담도 폐쇄 소견이 있어 세포 검사와 조직검사를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시행하였으나 악성세포는 나오지 않았고, 간흡충 충란이 다량 발견되어 간흡충증에 의한 양성 협착과 악성 협착의 감별이 어려운 상황에서 1개월 후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췌장실질의 위축과 췌관확장이 진행하여 악성종양을 강력히 의심하고 유문부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에서 췌장 머리의 선암으로 진단하였다. 악성 담관 협착을 수술 전에 정확히 진단하기는 쉽지 않지만, 담관 협착은 악성이 의심되면 수술적 진단 등의 적극적 검사를 주저해서는 안될 것이다.
        4,000원
        110.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번 증례처럼 비장 동맥의 가성동맥류는 때로는 발견하 기가 어렵고 생명을 위협하는 대량의 위장관 출혈을 야기할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혈관조영술로 진단 및 성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111.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색육아종성 담낭염은 주변조직을 침투하는 특성으로 인해 담낭암과 감별이 어려우며 조직학적 확진을 위해 담낭 절제술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주변조직과의 유착으 로 확대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상당수이다. 소변색 변화를 주소로 내원한 69세 여자환자가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 명영상에서 주변조직을 침윤하는 담낭종괴가 발견되었고, 최초에는 담낭암으로 판단하였으나, 조직검사 및 추적 전산 화단층촬영으로 양성 염증 질환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스테로이드 치료 시행 후 호전되어 확진을 위해 담낭절 제술을 시행하였고 황색육아종성 담낭염을 진단하였다.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해 간조직 침투가 호전되어 광범위 절제 술을 피할 수 있었던 증례로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12.
        201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tomic variations in the biliary tree may not be detected until adulthood and they can cause unexplained jaundice and biliary pain. Recognition of these anatomic variations is important to avoid an incorrect diagnosis and significant ductal injury during biliary surgery. Although there are numerous anatomic bile duct variations, an accessory cystic duct draining into the right hepatic duct is rare. We report a case of an accessory cystic duct draining into the right hepatic duct with cholelithiasis, in which the abnormality was identified b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confirmed by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3,000원
        113.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췌장의 신경내분비종양은 매우 드문 종양이나 최근 영상 검사가 발전하면서 진단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세로 토닌 분비 신경내분비 종양은 매우 서서히 진행하고 임상 양 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영상검사에서 폐 쇄 병변 없이 췌관 확장만 7년 동안 서서히 진행하여 췌관내 유두상 점액종양으로 의심하였던 환자에서 세로토닌 분비 신경내분비종양으로 수술 후 뒤 늦게 진단하였기에 이를 보고 하는 바이다.
        4,000원
        114.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경내분비종양은 드물지만 완전 절제가 필요한 종양으로 십이지장 주유두에 발생한 경우 췌십이지장절제술이 권고되어 왔다. 하지만 수술에 따른 위험도를 고려할 때, 분화도가 좋고 전이가 없으며 췌관이나 담관에 침범이 없는 선택된 경우에 한해서 내시경절제술이 시도되고 있다. 이번 증례는 내시경 유두절제술을 통하여 신경내분비종양을 완전히 절제하는데 성공한 증례로 십이지장 주유두 신경내분비종양에 있어서 수술에 대한 위험도가 높을 경우 내시경절제술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4,000원
        115.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rizzi’s syndrome (MS) caused by the retention of a stone in the cystic duct stump after cholecystectomy is rare. Most cases of MS are treated by surgical intervention. However, developments of endoscopic accessories and techniques have resulted in the recent introduction of endoscopic treatments for MS. Furthermore, in view of the postoperative morbidity caused by post-operative scarring, the endoscopic approach should be preferred to the surgical approach. In the described case, the authors were able to remove a remnant cystic duct stone endoscopically because the cystic duct stump was wide and non-tortuous. This case show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with mechanical lithotripsy can be utilized in suitable cases of type I MS development after cholecystectomy.
        4,000원
        116.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프로산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항간질제로서 약제 유발성 췌장염의 흔한가능한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러나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의 유해사례로서발프로산 유 발성 췌장염의 국소 합병증으로서 췌장 가성낭종은 매우 드 물며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호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한 발프로산 유발성 췌장염에 병발된 출혈성 가성낭종 은 보고된 증례가 없을 정도로 드물다. 이에 본 저자들은 발 프로산을 복약한 후 발생한 급성 출혈성 췌장 가성낭종을 경 피적 배액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4,000원
        117.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 maltophilia 는 그람 음성 호균성 간균으로 장기간의 입원이나 과거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폐렴, 요로 감염 등을 흔히 유발하지만, 담도 감염은 매우 드물다. 입원 환자에서 동정이 증가되고 있으며, 자주 사용되는 항생제에 내재 내성을 가지거나 면역이 억제된 환자에서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저자들은 만 성 B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과 담낭 결석 환자에서 B형 간염에 의한 급성 간부전으로 치료하던 과정에서 발생한 S. maltophilia 균혈증에 의한 급성 담낭염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