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

        10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nine parvovirus (CPV) type 2a (CPV-2a)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the main genotype circulating in the dog population in South Korea. Although CPV vaccines protect domestic dogs from CPV-2 infection, the efficacy of commercial live or inactivated CPV vaccines against CPV-2a has not been reevaluated. In this study, dogs were immunized with one of 7 commercial CPV vaccines (4 modified live and 3 inactivated vaccines) followed by challenge with CPV-2a strain, KV0901 that had been isolated from naturally infected dog in 2009. All dogs vaccinated twice with 4 commercial modified live CPV vaccines were seroconverted (geometric mean HI titer > 190.2) and most of dogs were completely protected against virulent CPV-2a strain infection. The dogs inoculated with 3 commercial inactivated CPV vaccines were also seroconverted and showed a slight loss of appetite and light diarrhea for 4 days after challenge and returned to normal at 5 days post challenge. However, the non-vaccinated dogs revealed the typical clinical signs of CPV infection including haemorrhgic diarrhea. In conclusion, the 4 live CPV vaccines licensed in Korea cross-protected dogs against virulent challenge with CPV-2a and are applicalble to pet dogs for the prevention of CPV infection.
        4,000원
        102.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약리반응속도론(Pharmacokinetics) 모델을 적용하여 최근 개발되고 있는 항바 이러스성 생화학 작물보호제의 정량적 약효 검정 및 작용기전 탐색 기술을 개발하 고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약리반응속도론적 파라미터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 고 사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를 식물체 또는 바이러스 매개충에 분무처리 하고 (매개충의 보독화 직후 약제처리 하고 시험 유묘에 충 접종) 경과 시간에 따 라 시험 유묘에서 바이러스의 발병율을 검정하면 약효에 따른 발병율을 무처리와 비교 가능하다. 이 때 시간에 따른 발병율의 회귀 곡선식에서 MVIT50 (바이러스 전달 후 감염율 50%에 도달하는 시간), MAT (Mean Antiviral Time = |MVITtreated- MVITcontrol|), AUG (Area Under Graph), 약효의 정량적 값인 F value (=AUGtreated/ AUGcontrol)를 얻을 수 있다. 애멸구에 의해 영속전염하는 벼줄무늬잎마름병바이러 스(Rice Stripe Virus, RSV)에 대하여 신규 개발된 2종의 항바이러스성 생화학 작 물보호제로 상기와 같이 약효 검정 시험을 수행한 결과, f(x)=a(1-exp(-bx))c의 회 귀곡선식이 얻어졌으며 무처리구에서 MVIT50이 1시간, MAT는 0, F value가 1.00으로 계산되었다. 이에 비해 시험 약제인 KNF2016은 MVIT50 5.75, MAT 4.75, F value 0.71, KNF2022는 MVIT50 5.55, MAT 4.55, F value 0.70으로 확인 되었다. 즉, 본 시험 약제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각각 F value로 0.29, 0.30의 항바이 러스 약효가 있었다. 1회 처리에 따른 약효 지속기간도 KNF2016이 13.4일, KNF2022가 14일 이상으로 검정되었다. 애멸구 보독충에는 약제처리를 안하고 시 험 유묘에만 경엽처리 후 보독충을 접종할 때, 보독충에서 바이러스는 검정되면서 항바이러스 효과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본 시험 약제들을 처리한 벼를 애멸구가 흡즙하더라도 보독충 체내 바이러스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 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약리반응속도론 모델을 사용하면 항바이러스 작물 보호제의 정량적 약효 평가가 가능함과 동시에 약제의 작용기전 탐색에도 유용한 기술로 평가되었다.
        10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ung and lymph nod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786 pig farms associated with wasting and respiratory syndrome during 2005~2009. All samples were tested for the detec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and the differentiation of its genotype using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643 farms (81.8%) of the pig farms examined were positive for PRRSV, of which 57.2% accounted for PRRSV type 1 and 70.2% accounted for PRRSV type 2. Furthermore, 37.5% of the farms positive for PRRSV, showed the coexistence of two genotyp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RSV infections of single genotype or two genotypes are very common in Korean pig farms.
        4,000원
        104.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Bunyaviridae과 Tospovirus 속의 대표 바이러스로서 고추, 토마토, 국화 등에 원형반점, 황화위축, 기형, 고사 등 심각한 피해를 주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바이러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충남 예산의 파프리카에서 처음 발견된 후 점차 분포가 확산되어 2009년 충남, 전 남, 경남 등 23개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된 바 있다. TSWV를 매개하는 총채벌레는 세계적으로 꽃노랑총채벌레 등 6종이 알려져 있다. 온대지방에서 총채벌레에 의 한 바이러스의 확산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바이러스 매개충의 종류, 월 동여부 및 바이러스 보독정도를 해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08/2009년과 2009/2010 년 12월부터 3월까지 충남 예산에서 전년도 고추에 TSWV가 발병했던 휴경상태 의 무가온 비닐온실에서 월동하는 바이러스 매개충은 꽃노랑총채벌레와 파총채벌 레였으며 꽃노랑총채벌레가 압도적으로 많았다(98.7∼100%). 꽃노랑총채벌레의 월동태는 성충(암컷)이 대부분이었다(94.3∼100%). 꽃노랑총채벌레 월동 성충의 RT-PCR법에 의한 TSWV 보독정도는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바이러스 검출율은 42.3∼63.6%로 매우 높았다. 바이러스 보독충이 서식하는 야생식물은 쇠별꽃, 지칭개, 소리쟁이, 망초, 별꽃 등 10종으로서 조사한 모든 초종에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 지역에서 매년 계속되는 TSWV 의 발생과 주변으로의 확산은 전년도 발병포장에서 월동한 꽃노랑총채벌레 보독 충이 중요한 원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105.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식물성 바이러스로서 고추, 토마토, 국화 등에 원형반점, 황화위축 등 심각한 피해를 주는 중요한 바이러 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충남 예산에서 처음 발견된 후 2009년까지 전남, 경남 등 23개시군으로 발생이 확대되었다. TSWV를 매개하는 총채벌레(이하 매 개충)는 세계적으로 6종이고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종류는 꽃노랑총채벌레, 대만 총채벌레 등 4종이다. 주요 발병지역에서 토마토반점위조병은 한 지역에서 매년 발생하고 주변으로 확산되는 특성을 보인다. TSWV 발생과 확산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고추 생육기 매개충의 종류를 2009년도 9월에 충남, 전남북의 14개 지점에 서, 작물 정식전후 매개충의 발생동태를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전남 순천의 1개 지점에서 조사하였다(바이러스는 RT-PCR 검정). 고추에서 매개충의 종류는 시설 및 노지 모두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2종이었고, 전자의 점유율이 시설 과 노지 모두 훨씬 높았다.(각각 66.1%, 93.7%). 두 종 모두 바이러스 보독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꽃노랑총채벌레는 7개지점의 시설과 노지에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각각 38.5%, 36.8%). 순천의 노지고추 정식(5월 3일) 이전 꽃노랑총채벌 레는 시설과 주변에서 우점하였고(각각 100%, 57.9%) 또한 높은 바이러스 검출율 을 보였다(각각 66.7%, 28.6%). 정식후 인접한 고추포장과 주변 야생식물에서 TSWV 검출율 역시 꽃노랑총채벌레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리 나라 노지고추의 바이러스 감염은 시설에서 분산, 이동한 꽃노랑총채벌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10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is associated with porcine circovirus diseases (PCVD), of which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is considered to cause considerable economic losses in pig industry worldwide. As the virus-like particle (VLP) is a highly effective type of subunit vaccine and has unique advantages in terms of safety and immunogenicit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PCV2-like particles, which matched currently circulating Korean PCV2 and were applicable as vaccines. The ORF2 genes encoding PCV2 capsid protein were amplified from the PCV2 subgroup 1A/B Korean C275 isolate and the subgroup 2E C94 isolate by PCR assay with primer pair specific to PCV2 ORF2 gene, and were cloned into baculovirus transfer vector. Recombinant baculovirus was generated by cotransfection with the transfer vector and linear baculovirus DNA into the Sf9 cells, and then by plaque purification. Expression of PCV2 capsid protein was determined by the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nd Western blotting assays, and electron microscopy. By both immunological assays, PCV2 capsid antigen was detected in the Sf9 cells infected with the recombinant baculoviruses. The formation of empty virus particles, characteristic of VLP, was detected in the lysate of Sf9 cells infected with the recombinant baculoviruses by negative electron microscopy. From these results, VLPs of two genogroups of PCV2 were successfully expressed and generated in a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expressed VLPs of two genotypic groups can be used for control of PCV2 infection as good vaccine candidates.
        4,000원
        10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several enteric viral pathogens including the porcine groups A, B and C rotaviruses (PGARV, PGBRV, and PGCRV), sapovirus (PSaV), and torovirus (PToV) are known to cause endemic diarrheas in weaning and post-weaning piglets, their precise prevalence in Korea is not clear. Therefore, we examined 1,222 diarrhea stools obtained from 627 farms during 2004~2009 by RT-PCR and/or nested PCR for evaluating their precise prevalence in Korea. PGARV was the predominant pathogen during 2004~2007 but its prevalence was markedly reduced during 2008~2009. PGBRV infections caused endemic diarrhea during 2004~2007, but was hardly detected during 2008-2009. PGCRV was detected at 27.0%, 14.5%, 42.4%, 28.8%, 7.3%, and 54.2% during each year of 2004~2009, respectively, indicating its high prevalence in Korea throughout the years. PSaV induced with high prevalence (32.4-39.2%) during 2004~2005 but its detection rate was markedly decreased during 2006~2009. PToV caused sporadic infections only during 2006 (1.0%) and 2007 (6.9%). These enteric viruses were detected in diarrhea specimens in piglets usuall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nd/or together with bacterial pathogens including the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Brachispira hyodysenteriae, and Lawsonia intracellularis. Infections with PGARV, PGCRV, PSaV, and PToV were more prevalent in fecal samples collected in cold seasons.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epidemiological data for the control and establishment of a surveillance system for the prevailing enteric viruses in Korea.
        4,000원
        10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norovirus in the water for food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and the influence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factors of norovirus in order to work out basic data to predict the detection of norovirus. Among 82 samples of water for food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norovirus appeared in 7 samples and the rate of appearance was 8.5%. As for the type of norovirus, one samples contained GI type (genotype GI-6) and six samples contained GII type (genotype GII-2, GII-4, GII-12). In the regression model of prediction of norovirus, the rate of appearance was correlated with NH₃-N, total solids and the consumption of KMnO₄, out of such variables as NH₃-N, total solids, the consumption of KMnO4, depth, chloride and total colony counts, and its contribution rate for effectiveness was 78.60%.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 of environment upon the detection of noroviru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predictable regression formula for appearance rate of norovirus was expressed as -1.818 + 42.677 [NH₃-N] + 0.023 [total solids] + 0.762[consumption of KMnO₄] -0.009 [depth] -0.146 [chloride] + 0.007 [total colony counts] (R = 0.904, R² = 0.818,adjusted R² = 0.786, p < 0.05).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upon the detection of norovirus were NH₃-N, total solids and the consumption of KMnO₄. In other words, when the measured values of NH₃-N, total solids and the consumption of KMnO₄ were higher, the possibility of appearance of norovirus increased.
        4,000원
        11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산 묘목단지는 대단위 과수종묘를 생산하고 있어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무독묘 보증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생산규모가 큰 사과종묘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바이러스 진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바이러스 진단을 위하여 다량의 시료를 동시 분쇄할 수 있는 bead beater를 이용하였으며 분쇄 bead는 저가의 산업용 glass bead (0.4 mm 직경)를 일회용으로 채택하였다. RNA추출을 위하여서는 guanidine thiocyanate 용액이 Trizol 용액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silica membrane tube의 이용으로 RNA추출 간편성을 높일 수 있었다. 사과바이러스는 RT-PCR에 의하여 검증하였다.
        4,000원
        12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sRNA 진균 바이러스들은 효모와 버섯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곰팡이 속에서 보고되어 왔다. 자연계에 존재하 는 대부분의 진균바이러스들은 기주에 어떤 이상적인 징후 를 야기하지 않는 잠복 감염의 상태로 존재하는 반면 일부 곰 팡이 바이러스들은 기주의 기형적인 생장의 원인이 될 수 있 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특히 버섯에서 많이 이루어지 고 있다. 바이러스 병징으로 의심되는 느타리버섯 시료를 진 단용 프라이머 PVP를 이용한 RT-PCR법과 염기서열분석 으로 버섯바이러스를 검정한 결과, 비슷한 병징을 보이는 6 가지의 느타리버섯 중 3개의 시료에서 RT-PCR 특이밴드가 나타났다. 이 중 병징을 보인 느타리버섯 시료와 같은 품종을 재배하여 비교한 결과 기형 자실체와 건전 자실체 모두에서 RT-pCR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확인된 밴드를 염기서열 분석 결과 OMSV(oyster mushroom spherical virus)로 확 인되었다. 자실체의 기형과 바이러스 감염 사이에 명확한 관 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PVP 바이러스이외의 다 른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가능성도 있으므로 추가적인 검정 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