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

        101.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icrotubule assemblies and methylation patterns of porcine IVF and parthenogenetic embryos. Cumulus-oocyte complexes were collected and matured in vitro for 42 hr. Oocytes were fertilized by prepared fresh sperm or activated parthenogenetically by exposure to electric stimulation and 6-dimethylaminopurine. Porcine IVF and parthenogenetic embryos were cultured in vitro for 6 days. Embryos were stained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method to observe the dynamic of nucleus and microtubules in the first mitotic phase and the methylation patterns in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fter then, samples were confirmed and analyzed through a laser-scanning confocal microscope. IVF embryos had a centrosome originated from sperms, which was shown a ɤ-tubulin spot. However, ɤ-tubulin spot was not observed in parthenogenetic embryos. A lower methylation level was observed in IVF embryos compared to parthenogenetic ones at the morula and blastocyst stage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microtubule assemblies and genetic regulation mechanism differ between parthenogenetic and IVF embryos.
        4,000원
        10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the legume pod borer, Maruca vitrata (Lepidoptera: Pyralidae), the soybean pod worm, Matsumuraeses phaseoli (Lepidoptera: Tortricidae) and an Ostrinia spp. (Lepidoptera: Pyralidae) attacking adzuki bean, Vigna angularis, were confirmed as the major insect pests during the reproductive developmental stage of adzuki bean, and M. vitrata existed dominantly. Almost all plants in the adzuki bean field were in jured by at least one of the three species, and 15~60% of reproductive organs were injured. Unbloomed inflorescence occurred continuously through the reproductive stage of adzuki bean. While the flower was many at the early stage and its number soon decreased, the pod was few at the early stage, but its number increased soon and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zuki bean injured by insect pests compensate the flower loss by developing new inflorescence, but the compensation do not cause the development of new pods. While M. vitrata and M. phaseoli were observed in flowers, pods and stem mainly during the first half of reproductive stage of adzuki bean, Ostrinia spp. was observed only in pods and stem during the second half. In addition, while all instars of larvae of M. vitrata were observed, larvae between the third and fifth instars for M. pahseoli and Ostrinia spp. were observed.
        4,000원
        10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Paradacus) depressa]는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하는 해충으로 미국에서는 검역 해충으로 박과류 수출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또한 최근 단호박, 맷돌호박 등 숙과호박 수요 증가로 재배가 증가하여 피해도 같이 늘어나고 특히, 일부 숙과호박 재배 중산간, 고랭지 중심으로 호박과실파리의 피해가 매년 증가(피해과율 : 30~50%)하고 있다. 이에 2007년 5월 초순부터 경기 양평, 강원 홍천 숙과호박 재배지에서 호박과실파리 발생 피해 및 트랩을 이용한 예찰을 실시하였다. 황색, 백색, 청색 평판끈끈이트랩과 유인트랩을 이용한 발생 및 육안 조사를 통해 피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판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예찰법은 호박재배 포장 주변 산기슭 경계 지상부 1m 정도 높이에 종류별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포장내 끈끈이트랩 종류별 호박과실파리 유인 수를 조사하였다. 호박과실파리 성충들은 백색끈끈이트랩에서 가장 많이 유인되었고 청색끈끈이트랩에서 가장 적은 밀도로 유인되었다. 우화트랩에 의한 호박과실파리 월동 번데기 우화는 5월 중・하순에서 6월 중순까지 발생하였고,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호박과실파리 성충은 5월 하순부터 유인되어 재배가 종료되는 9월 이후까지 꾸준히 유인되었다. 호박과실파리 산란에 의한 호박과실 피해는 6월 하순부터 나타나 재배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104.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canine patellar luxation (PL) in Bucheon city during January 2003 to December 2006. The 144 dogs with PL were analyzed according to grade, breeds, sex, age, body weight, and existence of concurrent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Small breed including Yorkshire Terrier (31.65%), Maltese (33.09%) and Poodle (12.23%) had higher distribution of PL. Especially Yorkshire Terrier and Maltese had higher population of PL compared with other breeds. Most of them were diagnosed as II-III grade PL, and only a few dogs had grade I and grade IV PL. Small breed of body weight 2-3 kg (38.88%) had higher population of PL, and most of them were intact female (46.52%) and castrated male (38.19%) dogs. This study showed that cli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operation for dogs with PL well when the dogs are 6 months and 3 year-old, and have II-III grade PL. The reason that body weight of 2-3 kg had higher percentage of PL is related to the breeds. In analysis, intact female and castrated male dog had higher distribution of PL. The occurrence of concomitant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was 11%. Patellar luxation is therefore considered having an influence on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4,000원
        10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라북도 복분자 주산지인 익산, 정읍, 고창을 대상으로 복분자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 및 발생양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복분자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은 차응애, 잎말이나방 등 총 37종이 조사되었고, 문제해충은 잎말이나방, 차응애, 톱니무늬애매미충, 박쥐나방, 무궁화잎밤나방, 검정배줄벼룩잎벌레, 대만총채벌레, 장미흰깍지벌레 등 8종이었다. 수확전 해충으로는 차응애 등 35종이 발생하였고, 차응애, 잎말이나방, 대만총채벌레, 톱니무늬애매미충, 검정배줄벼룩잎벌레 5종이 주요해충으로 차응애 피해가 컸으며, 수확후에는 무궁화잎밤나방 등 13종이 발생하였고, 차응애, 무궁화잎밤나방, 박쥐나방, 톱니무늬애매미충, 장미흰깍지벌레 5종이 주요 해충으로 무궁화잎밤나방과 박쥐나방 피해가 심하였다. 8종의 주요해충 중 차응애는 수확전·후 모두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6월하순, 8월하순, 10월중순 3회 발생피크를 보였고, 박쥐나방은 10월상순 1회, 무궁화잎밤나방은 7월하순과 10월상순 2회 발생피크를 보였으며, 박쥐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은 수확후에 심하게 발생하였다.
        10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지역 차밭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해충 종류와 피해가 심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발생한 해충의 종류는 응애류 2종을 포함하여 총 16종의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피해가 큰 해충으로는 볼록총채벌레, 오누키애매미충, 차잎말이나방, 동백가는나방이었다. 차나무에서 채집된 총채벌레는 볼록총채벌레와 하와이총채벌레, 아까시총채벌레 등 총13종이었으나 볼록총채벌레만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었으며, 다른 종들의 발생은 주변 잡초와 차나무의 개화시기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충에 의한 피해시기는 첫물차 수확기인 4~5월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를 제외하고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6월 하순 이후에는 볼록총채벌레와 오누키애매미충, 차잎말이나방, 동백가는나방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였다. 특히 오누키애매미충은 6월 하순부터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여 방제를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그 이후 수확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차잎말이나방은 가을철(9~10월)에 발생이 많았는데 피해가 심하면 겨울철 동안 나무가 고사하기도 하였다.
        10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human meta pneumovirus(hMPV) is a recently identified Paramyxovi rus associated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 ions(ARIs) ranging from upper ARIs to severe bronchiolitis and pneumonia in humans. We studied the prevalence of this new virus in Seoul from 2005 to 2006 A total of 757 specimens were collected by nasopharyngeal swab from ARI patients and were tested fo1' the presence of hMPV by reverse transcription-PCR. Of these‘ 28 were detected the L gene of hMPV. The age range of the patients with hMPV infection was 1 months to 67 years with similar numbers of females (59 .3%) and males(40.7%) . The main symptoms were cough(100%) , fever (82 .1%) , nasal mucus(67.8%) ‘ vomit(25%) . diarrhoea( 21. 4%). and difficult breathing(21. 4%) and the main diagnosis we1'e pneumonia, bronchioli tis, nasoharyngiti ts, and rhmJtls Virus activity peaked in March and Ma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N gene confirmed the existence and si multaneous circulation within one epidemic season of hMPV isolates belonging to two genetic lineages.
        4,000원
        108.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pulation dynamics of white grubs and its damages in sweet potato fields. There were three species of white grubs that fed on the roots of sweet potato in Honam area. Among them, Holotrichia parallela was a major insect pest. Damage rate of sweet potato by white grubs were about 2 to 40% differed with regions. In some region where it was severe the damage rate of sweet potato was about 80% or more. H. parallela overwintered as a late 3rd instar larvae in soil from late October to late-June, and the survival rate of them was 92%. The occurrence pattern of H. parallela larvae varied in different seasons. In sweet potato field, H. parallela larvae populations started being observed during late-July to mid.-August. The damage by the grub began to occur late-August in field and lasted to the harvest time.
        3,000원
        109.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계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주가 없는 경상대학교 캠퍼스(경남 진주시)와 기주인 콩이 재배되고 있는 포장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발생양상을 비교하였다. 콩포장에서는 개화기 이전(6월 28일)부터 꾸준히 유인되었으며, 10월 11일 이후에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대학 캠퍼스에서는 3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혀 유인되지 않다가 10월 11일 이후부터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가로줄노린재의 암수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밀도로 콩 포장에서 유인된다는 것은 이 해충이 기주인 콩을 찾아 적극적으로 이동한 결과로 생각된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10월 이후에 유인되는 성충은 월동처를 찾아 이동하는 성충으로 판단되었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총 유인된 암수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가로줄노린재는 콩 포장에서 6월부터 11월 하순까지 트랩에 유인되었기 때문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가로줄노린재의 비휴면성충과 휴면성충 모두에 유인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의 세 성분인 (E)-2-hexenyl (Z)-3-hexenoate, (E)-2-hexenyl (E)-2-hexenoate, 및 myristyl isobutyrate를 16.7+16.7+16.7 mg 또는 7+36+7 mg으로 배합했을 때,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수는 무처리나 생충트랩보다 많았고, 두 배합성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10.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tal problems cause not only esthetic but dental problems such as functional disorder, dental caries, pulp disease and malocclusions, and in particular, masticatory problem falls on infants or children, which has effect on articulation disorder and 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their physical growth. Therefore, it's important to detect dental problems early and to provide comparable indications. The pur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valence and pattern of dental developmental anomalie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was undertaken for 1,032 at age from 1 to 10 yea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he result were as follows. Among the examined patients, 333 patients( 32.3%) showed dental developmental anomalies. The prevalences of individual dental anomalies were as follows ; congenital missing teeth 11.6%, supernumerary teeth 6.2%, taurodontism teeth 3.9%, fusion teeth 3.8%, microdontia teeth 3.2%, dens evaginatus teeth 2.3%, dens invaginatus teeth 0.6%, talon cusp teeth 0.2%, macrodontia teeth 0.1%, Dilaceration teeth 0.1%, transposition teeth 0.1%, inverted teeth 0.1%, amelogenesis imperfecta 0.1%.. The anomalies of number(53.6%), the anomalies of shape(37.7%,) the anomalies of size(8.3%), the anomalies of position(0.3%) and the anomalies of structure(0.2%.) were examined. Most supernumerary teeth located on middle. area showed inverted position and unerupted state. The most frequently missing teeth was the mandibular primary lateral incisor(65.6%) and the mandibular 2nd. premolar. In the case of deciduous congenital missing teeth, the prevalence of successive permanent congenital missing teeth (65.6%) was highest in mandibular lateral incisors.. The higher prevalence of microdontia teeth was maxilla lateral incisor, dens evaginatus teeth was mandibular 2nd. premolar, dens invaginatus teeth was maxilla lateral incisor, and taurodontism was mandibular 1st. molar. Teeth play an important role for mastication, articulation, and aesthetic of adults as well as of children. The health of oral cavity could be kept by controling dental problems of children in the basis of the epidermiologic research of oral pathologic field.
        4,500원
        11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김해와 창원의 단감원에서 감관총채별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의 발생생태와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 트랩 조사(2002년)와 피해권엽 내부 정밀조사(2002,2003년)에 의하면 월동세대 성충은 4월 하순부터 5월 하순 사이에 월동처에서 단감원으로 이동하여 단감의 새 잎에 산란하며, 제 1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6월 상중순이었다. 피해권엽 정밀조사에 의한 제1세대 난, 약충, 번데기의 발생 최성기는 각각 5월 상중순, 5월 하순6월 상순, 6월 상순이었다. 대부분의 제1세대 성충은 우화후 월동처로 이동하지만 일부 성충이 산란한 개체가 발육하여 제2세대 성충이 되는데, 7월 하순 이후에 발생하는 성충이 제2세대 성충인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엽율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창원포장에서 6월 상순에 9.7%로 가장 높았다. 피해과율은 6월 중순 낙화 이후부터 관찰되었으며 김해 B포장에서 9월 상순의 피해과율이 30.2%로 가장 높았다. 과수원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한 나무일수록 피해엽 발생시기가 빨랐으며, 특히 소나무 군락을 중심으로 l0m이내에 피해가 심하였다. 성충의 발생시기와 관련하여 방제시기 문제를 고찰하였다.
        4,000원
        11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에서 꽃노랑총채벌레는 4월 상순부터 수확기까지 계속하여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되었고, 봄재배에서 4월 하순부터 6월 중순, 가을재배에서는 정식 직후인 8월 중순부터 9월 상순까지 밀도가 높았으며, 봄재배의 피해엽율이 45%수준 가을재배는 35%수준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PVC하우스와 노지 모두 비슷하였으나 꽃당 충수는 노지보다 PVC하우스에서 약간 많았고, 무방제의 경우는 관행방제에 비하여 3배 이상 충의 밀도가 높았다. 꽃노랑총채벌레에 의한 피해엽은 5월 중순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국화가 생육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경향으로, 품종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모두 정의 상관 관계( = 0.9200-0.9887 , p>0.01)가 있었다.
        4,000원
        117.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은유아등과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2000년과 2001년에 남부지방의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고 수확시기의 과실에 대한 피해정도를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조사하였다. 복숭아명나방은 년 3회의 발생피크를 나타내었는데, 제1화기는 6월 중하순, 2화기는 8월 중하순, 3화기는 9월 하순이 발생최성기이었다. 집중방제 과원에서는 방제소흘 과원보다 복숭아명나방이 적게 발생하였다. 조사대상 과수원에서 수확시기의 과실에는 복숭아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들 두 검역해충이 수출용 단감에 존재할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감원 주변의 식생과 수확기 과실의 피해율(0%)로 볼 때, 유아등이나 성페로몬트랩에 유인된 복숭아명나방은 주변의 밤나무로부터 이끌려온 것일 가능성이 크다.
        4,000원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