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7

        102.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주요 콩 품종의 파종기 이동이 isoflavone 등 생리활성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 04'N, 경도 126° 54'E)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수행되었다. 여름형콩 품종인 새올콩과 다원콩, 가을형콩 품종인 태광콩, 풍산나물콩 및 청자3호를 이용하여 파종기를 5월 15일, 5월 30일, 6월 15일, 6월 30일, 7월 15일에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aidzein 함량은 모든 시험품종에서 genistein과 total isoflavone 함량은 청자3호를 제외한 시험품종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glycitein 함량은 다원콩을 제외한 시험품종에서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2. Cyanidin-3-glucoside(C3G) 함량은 다원콩과 청자3호, delphinidin-3-glucoside(D3G)와 total anthocyanin 함량은 다원콩에서만 파종이 늦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pelargonidin-3-glucoside(Pg3G)와 petunidin-3-glucoside(Pt3G) 함량은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3. 청자3호의 lutein 함량은 파종기에 따라 2.7~3.0 μg/g로 유의차가 없었고, chlorophyll 함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6월 30일과 7월 15일 파종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4. 조지방 함량은 태광콩과 청자3호는 조기에 파종할 때 많았고 기타 시험품종은 파종기간 유의차가 없었다. Palmitic acid 조성비는 대부분 시험품종에서 파종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tearic acid 조성비는 새올콩, 다원콩, 청자3호에서 파종이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Oleic acid, linoleic acid 조성비는 새올콩에서만 파종기가 빠를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Linolenic acid 조성비는 대부분 시험품종에서는 파종이 늦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파종기 이동에 따른 탄수화물과 조단백질 함량은 대부분 시험품종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새올콩은 조기에 파종할수록, 다원콩은 만기에 파종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103.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nsenosides of roots in Panax ginseng were analyzed by metabolic-targeting HPLC using the partial least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PLS-DA) and compared depending on sowing methods between direct seeding andtransplanting method. Score plots derived from PLS-DA could identify the sowing method between the direct seeding andtransplanting method in P. ginseng roots. The ginsenoside compounds were assigned as Rg1, Re, Rf, Rg2, Rb1, Rc,Rb2, Rb3, and Rd. Contents of Re, Rf, Rg2, Rb1, Rc, Rb3, and Rd of main roots produced from the transplanting method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samples produced from direct seeding method. Also, contents of Rg1, Re, Rf, Rg2, Rb1,Rc, Rb2, Rb3, and Rd of lateral roots from the transplanted sampl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samples producedfrom direct seeding method. Therefore, HPLC with PLS-DA analysis can be a straightforward tool for identificationof ginsenosides in main or lateral roots of P. ginseng obtained from two different seeding methods between directand transplanting methods.
        111.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self-sufficiency in Korea was 22.5% in year 2011, and as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US comes into effect, the amount of soybean importation increases. In 2012, paddy field soybean cultivation was over 0.1 million ha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due to rise in market price of soybean. Moreover, double cropping system including paddy field soybean is widely adopted nationwide, but studies on appropriate cultivar for this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planting date and different cultivars on soybean growth and yield was investigated for three planting dates (June 20, July 5, and July 20) with 15 cultivars. According to ANOVA test, soybean yiel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owing date and cultivars and interaction between sowing date and cultivars was also detected, meaning each of cultivars resulted different yield depending on sowing date. When planted on July 20, stem length, nod number, branch number and grain weight was decreased because of short growing period, resulting in yield decrease. Percentage of yield obtained from July 20 in contrast to that of June 20 showed that Pungwon, Nampung and Daepung recorded the least yield decrease and the highest yield when planted late. Evaluation of late-sowing-adaptable soybean cultivar in paddy field is now being carried on following last year.
        11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fts in sowing time on the ecological responses, growth and yields of major soybean cultivars in a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Naju, Jeonnam Province (latitude 35° 04'N, longitude 126° 54'E)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The test cultivars included Saeol-kong and Tawon-kong of the summer type,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of the autumn type. Sowing took place on May 15 and 30, June 15 and 30, and July 15 of each year. Of the summer type soybean cultivars, Saeol-kong showed a smaller curtailment in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days from sowing to maturity according to sowing time postponement than Tawon-kong. Of the autumn type soybean cultivars, Taekwang-kong exhibited a lower photoperiodic response in reproductive growth period than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both of which recorded higher level photoperiodic responses in vegetative growth stages and reproductive growth periods than other test cultivars, with the former exhibiting higher levels than the latter. Most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decrease in stem length,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and stem diameter according to postponed sowing tim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m length and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of the Saeol-kong cultivar. Differences in sowing times did not affect the first setting pod node order of Saeol-kong and Tawon-kong summer type cultivars of internode lengths of all of the test cultivars. All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show decreases in pod number per plant due to postponement of sowing time except for the Saeol-kong cultivar. The variation was more prominent in small grain cultivars such as Tawon-kong and Pungsannamul-kong with the latter autumn type cultivar showing especially large variation. Yields were the greatest for the Tawon-kong,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cultivars sown on May 30 and Cheongja3 sown on May 30 and June 1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ields of Saeol-kong for different sowing times from May 30 to July 15, with the yields lowest for the batch sown on May 15.
        11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조 생산은 위한 친환경적 유기재배를 위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효율적인 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조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출수일 비교시 비닐피복 이식구에서 4일, 헤어리베치 이식구에서 3일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헤어리베치 이식구, 비닐피복 이식구와 직파구, 헤어리베치 직파구 순으로 92.4%, 86.9%, 50.2%, 24.6%로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작은 호밀 직파구와는 -63.7%의 차이가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비닐피복구와 헤어리베치구 높게 나타났다. 2. 헤어리베치구에서 방제가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화본과와 광엽 잡초의 분류 비교시 헤어리베치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9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났으며 호밀구에서는 화분과 잡초에서는 47% 이상, 광엽잡초에서는 90%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3. 수량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이식구>비닐피복 이식구>호밀구 이식구≒무처리 이식구>헤어리베치 직파구>비닐피복 직파구>호밀구 직파구≒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116.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깻잎 생산 전용품종은 대부분 만생종으로서 우량종자를 채종하고자 할 경우 도복 등이 발생하지 않아 생육관리가 용이하면서 종실 충실도가 높은 파종적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잎들깨 생산 전용 품종 '잎들깨 1호'를 시험재료로 하여 5월 6일부터 7월 15일 까지 10일 간격으로 8회 파종하여 생육, 도복 발생 여부, 적산온도 및 수량성을 분석하였다. 1.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경장이 짧아지고, 주경절수, 분지수,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여 도복이 발생하였다. 2. 개화일수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는데 5월 6일을 기준으로 파종이 1일 지연되면 개화일수는 0.86일씩 단축되었고, 개화기부터 성숙기까지의 결실일수는 29~31일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등숙립율과 종실수량은 5월 6일 파종부터 6월 15일 파종까지 유의성이 없었고, 6월 25일 파종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4. 등숙에 필요한 적산온도, 도복 발생 여부, 등숙립율과 발아율 등으로 판단하면 만생종 잎들깨 품종의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파종적기는 6월 5일(정식 7월 5일)~6월 15일(정식 7월 15일)이었고, 이때 10월 28일~11월 3일경에 성숙되어 종자생산이 가능하였다. 5. 연차에 따라 0℃ 이하로 떨어지는 시기가 일찍 오는 경우 한해에 의하여 노지재배는 고사될 우려가 있고, 중부지역에서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잎들깨 채종재배가 가능하였다.
        11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친환경농업과 화학비료의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여 녹비작물의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중부지역에서 동계 월동이 가능한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 알팔파로 그 종류가 적어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녹바작물의 이용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녹비작물을 선발하고자 봄에 두과녹비작물 8종을 밭토양에 파종하여 녹비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의 수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생체중으로 23.6 ton, 건물중으로 4.16 ton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루피너스, 자운영, 알팔파 순이었다. 또한 녹비수량은 모든 두과녹비작물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작물별 질소 함량은 헤어리베치에서 kg당 41.3 g으로 가장 높았고 자운영, 네마장황,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알팔파 순으로 32.2, 29.5, 29.2, 25.8 및 24.2 g이었다. 인산 함량은 알팔파(4.3 g kg1)와 크림손클로버 (4.2 g kg1)에서 높았고,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 루피너스 순이었다. 칼리함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35.9g kg1로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알팔파, 헤어리베치 순이었다. C/N율은 녹비작물 8종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C/N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5 미만이었다. 두과녹비작물별 질소생산량은 녹비작물 8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여 6월 19일에 가장 많았으며 작물별로는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71 kg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자운영 (51 kg), 레드클로버 (46 kg), 헤어리베치 (41 kg) 순이었다. 따라서 녹비작물의 건물수량과 C/N율, 질소 생산량을 기준으로 볼 때 수원지역에서 봄에 파종하여 녹비로 이용 가능한 두과녹비작물은 크림손클로버,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가 우수하였다.
        118.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제초제 친환경 작물 재배 시 봄 리빙멀치용 맥류의 사용을 위해 품종 및 파종기에 따른 출수반응 및 잎의 생산량을 2007년, 2008년 및 2009년 3년에 걸쳐 조사하였는데,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밀은 품종간 출수반응이 뚜렷이 나타나 리빙멀치용품종의 선택이 중요하였는데, 파성이 높은 Frima 및 윈트그린 품종은 지온이 낮은 3월 파종에도 출수되는 개체가 없어 리빙멀치 용으로 가능하였고, 파성이 낮은 Koolgrazer, 곡우 등 조생품종은 지온이 높은 5월 상순파종까지 출수가 되어 리빙멀치 용으로 부적합하였다. 2. 보리와 밀은 지온이 낮은 3월 파종에서 모두 출수하였지만 4월 초중순 이후에는 대부분 출수하지 않는 뚜렷한 출수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엽중에서는 밀보다 보리가, 보리 품종에서는 미락이 올보다 많았다. 3. 4월 초 중순 파종에서는 엽중이 품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엽중이 감소하는 4월하순 이후 파종에서는 품종간 엽중의 차이가 나타나, 맥류의 파성이 크게 문제되지 않는 4월 하순 이후 파종에서는 출수반응보다는 엽중의 확보가 더욱 중요하였다. 4. 호밀 품종 두루는 4월 초순부터 리빙멀치 용으로 파종이 가능하였고 다른 품종보다 엽중이 많아 리빙멀치용으로 유망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119.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3-year-old ginseng (for Samgyetang product) cultured by various seeding density in direct-sowing culture. Ginsengs were cultured by the seeding density, 275, 300, 330 352 and 396 seeds per Kan, 180×90cm area. Survived rate (82.1%) were the highest in plot of 352 seeds sowed, length and leaf width were high in plot of 300 and 352 seeds. Root yield grain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seeding density in direct-sowing culture except 352 seeds sowed. Average root weight and diameter were the highest in plot of 352 seeds sowed, 31.6 g and 18.4 mm, respectively. Crude saponin and each ginsenosides content were the highest in plot of 275 seeds sowed. Rg1 content was decreased, Rc and Rb2 content were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seeding density. Total solubl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plot of 330 seeds sowed and the lowest in plot of 396 seeds sowed, and oligo- and disaccaride content were high in plot of 330 and 352 seeds sowed. R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s cultivated according to various seeding density, hardness and springness were high and maximum fracture force was low with decrease of the seeding quantity.
        120.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인 충청지역에서 사료작물의 새로운 작부체계로 보리와 완두를 혼파재배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혼파비율과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수량은 보리의 파종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보리와 완두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5월 16일에 예취할 때 가장 많았다. 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 단백질은 4월 25일 예취시에는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으나, 5월 2일 예취 이후부터는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보리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ADF와 NDF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RFV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DN함량은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예취시기별로는 5월 9일 예취시까지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그 이후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와 Mg함량은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Ca은 증가하였고, K은 감소하였다. 예취시기별로는 P, Ca 및 K은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나. Mg은 5월 9일 예취시기까지는 별 변동이 없었고, 그 이후 예취시 부터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에너지함량에서 ENE, NEM 및 NEG는 혼파비율과 예취시기 간에 유의성이 있어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다. 건물중에 각 성분의 함량을 적한 수량에서 보면 단백질, P, Ca, K 및 Mg 등의 무기물 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75 : 25% 파종구에서, ENE, NEL, NEM 및 NEG 등의 에너지 수량과 TDN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예취시기별로는 TDN 수량, 모든 무기물 및 에너지수량은 5월 16일에 예취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