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6

        10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monosodium glutamate (MSG) contents in eating out menu and MSG symptom complex. Respondents in the Seoul area were surveyed from Feb. 10 to 20, 2014.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51.3% of respondents were male and 48.7% of them were female. As for age, 73.5% of respondents were 20~24 years old. Favorite menu of respondents’ eating out were Korean food (57.8%), Western food (17.6%), Fast food (9.5%), Japanese food (6.2%), Chinese food (5.2%). Male respondents favored Korean food (62.4%), Fast food (10.2%) and Western food (9.6%), but female respondents favored Korean food (53.0%), Western food (26.2%) and Fast food (8.7%). The 48.7% of respondents considered Chinese food containing high amount of MSG. A few respondents (18.6%) recognized to usage amount of MSG as consideration factor to select eating out menu. However, most respondents (55.2%) perceived harmful to take excessive amount of MSG contained food. The 37.9%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of MSG symptom complex after eating out. Respondents’ self recognized MSG symptom complex were thirstiness (84.5%), drowsiness (55.7%), weakness (34.5%), nausea (30.2%), tightness (20.7%) and headache (14.7%). The 19.9% of respondents like MSG contained food. The reason for disliking MSG contained food were ‘bad for health’ (66.3%) and ‘MSG symptom’ (33.2%). The reason for liking MSG contained food were ‘good taste (83.6%) and ‘habitual eating’ (14.8%).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ome sensitive people have unpleasant reaction after eating ou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atural flavor enhancer may develop to replace the use of MSG.
        4,000원
        10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ractice of dietary behavior and dining out in accordance with intake of sodium among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r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53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May to July, 2014. The SH group who responded that they eat a lot of sodium constituted 30.6% (158 people), followed by the SM group who responded that their sodium intake is about average at 55.7% (288 people) and the SL group who answered that they do not eat much sodium at 13.7% (71 people). Those in the SL group showed positive results for dietary behavior patterns. The SL group showed the lowest rate in terms of how often they eat harmful foods, including processed foods, sweet foods, salty foods, or food with high animal fat content such as pork belly. Positive results among the SL group were prominent in terms of avoiding over-drinking, regular exercise, and nutritional knowledge, indicating greater health management. The distribution of each group in terms of self-perceived sodium inta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 gender, and household income in terms of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regularity of meals, purchase of foods with consideration of sodium amount, frequency of missed meals, balance of food intake, and health management habits.
        4,000원
        10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XX년도 7월부터 8월까지 두 달 동안, A시에 있는 B교도소에서 성인 남자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나의 경험을 셀프 내러티브(Self-narrative) 탐구 방법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교정시설 독서치료 프로그램에서 수형자들과 상호작용한 경험을 1인칭 관점에서 서사적으로 드러내었는데, 그 경험은 '1)시작하기: 닿지 않는 현존의 힘, 2)나누기: 회복을 위한 조각 맞추기, 3)다시 시작하기: 미래 없이 미래를 꿈꾸기'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연구자는 수형자의 교정 효과를 촉진하는 요소를 발견하였는데 그것은 '관계 맺기 경험'이었다. 수형자들은 독서와 나눔의 과정에서 자기의 문제와 그 원인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자신과 같은 입장에 있는 타인과 상호작용하면서 보편성을 인식하고 위로를 받았다. 본 연구는 8회기라는 지속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서 교정시설 내 수형자들과 상호작용하고, 향후 교정과 교화의 프로그램이 더욱 발전된 방향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400원
        10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EFL students’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ies,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change as they advance to upper level schools. Data were collected from 44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cho-gu, Seoul, using Self-Directed Language Learning Readiness (SDDLR) and a revised version of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SILL).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DDLR and SILL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learner factors, interest toward English study was the only factor which affected all the three groups’ SDDLR as well as SILL scores. The influence of study-abroad experience and starting age of private education was limite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group, indicating their short-lived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trategy use. Lastly, there was a high or moderat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DDLR and SILL in all the three groups. However, the specific relationship among subcategories of the two constructs was complicated and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6,300원
        105.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 는 뮤지컬 관객의 SNS 사용에 있어 자기 결정성 이론의 중요한 세 가지 변수인 자 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관객 만족과 SNS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설 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SNS를 이용하는 뮤지컬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 였으며, 정보 검색 및 공유 역량(자율성)과 정보 전달 역량 및 타인에 대한 영향력(유능성), 커 뮤니티 보유와 지속적 관계(관계성)를 물어 이러한 요인들이 관객 만족과 SNS 재이용에 영향 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자기결정성의 세 가지 요인인 자율성과 유능성, 관계성 은 모두 관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관계성이 더 큰 영 향력을 보이고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관객 만족은 SNS 재이용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뮤지컬 관객의 지속적인 동기 부여를 위한 SNS 활용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는 데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7,000원
        10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satisfaction for school food servic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Generally, the subjects had a high satisfaction level for school food service. The boys had comparatively more satisfactory days for school food service than the girls. The most dissatisfactory factors of school food service were the taste and variety of menu for the girls, and the time and place for lunch and the service of employee for the boys. The intersexual differences exist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rregular intake of meals, the reasons to skip meals, and the eating speed. For the boys, the main reason to skip meals was due to lack of appetite, and for the girls, it was the weight-control. The boys finished each meal within 5~10 min and ate more than the amount the girls eat in general. The main components of breakfast for the subjects were a cooked rice, soup, and side dish in 65.9%, and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with 32.8%, which was once per week. The favorite snac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okies and beverages in 29.4%, instant foods in 24.3%, and hamburger and pizza in 21.4%. The intake frequency of snacks was once or twice per week in 46.5% of the subjects. In addition, the subjects had a very high intake frequency of fastfoods with once or twice per week in 72.7%, and the most favorite fastfood was ramen in 57.7%. The subjects in 45.3% took dairy food every day. In conclus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need nutrition education to improve their eating habit an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breakfast.
        4,600원
        10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circuit for autonomous emergency call system. This analysis results show the power output of the proposed harvesting mechanism and circuit up to max power output 5V and it can hold up to 65 msec of the power generation and 10msec of the RF transmission. Based on the these testing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emergency call device without battery power or any external power source is feasible.
        4,000원
        10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s of sub factor among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A,B,C,D quadrant thinking type) is based on the Whole Brain Modal and self-leadership by Manz. The subjects were 102 undergraduates students from the Hoseo university in Cheon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A was the highest and type C was highly rated. Second,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A was not correlated type C and type D. Third,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 C and self-leadership sub facto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4,000원
        11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직업이란 자신에 대한 정의 및 자신의 적성 및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일로 인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대에서 대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에 따른 교육이나 미래의 직업에 대한 희망적인 생각도 하기 전에 취업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다시금 느끼는 시대이기도 하다. 사회복지는 인간과 환경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 현장의 경험과 봉사활동 및 인성 부분의 준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취업 준비는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있고, 이는 곧 미래의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봉사영역과 자신의 능력향상을 위해 이에 대한 연구와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학교환경, 성격, 가족환경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 환경스트레스는 고학년이 높았으며 학교지명도가 개인의지보다 높은 차이를 보였다. 경제적 수준이 높고 취업준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은 학업스트레스와 성격스트레스, 가족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에 대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인성교육관련 프로그램을 학교와 학과에서 실시하여 자존감과 취업준비 모두 높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5,200원
        11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cept, measured by Self Concept Clarity (SCC) scale and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relationships (RISC) scale, and diverse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choice behavior. We hypothesized that lower self-concept clarity and higher relational interdependence would be related to increased susceptibility to choice context–for example, how a choice set is constructed based on one’s initial preference. We examined how variations in a choice set can produce different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making choices, and investigated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 using fMRI. In this experiment, participants first rated their preferences for art posters, and made a series of choices from a presented set. After the choice task, they completed post-choice measures including preferences for the chosen posters, as well as measures of their self-concept clarity and relational interdependence. Our behavioral results demonstrated that when participants faced more conflicting choice context, self-concept clarity was related to more positive affective consequences after choice, whereas relational interdependence was correlated with a lower second-rated attractiveness of the chosen option. The neuroimaging analysis of choice-making revealed that self-concept clarity and the degree of their relational interdependence served as modulators in shaping how one perceives and experiences the same decision-making process. These result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hat it is one of the first studies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cept on value-based decision making process among diverse choice set contexts.
        4,300원
        11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유방암 검진의도를 높이기 위한 심리적 결정요인을 살펴 보고자 하였으며 , 이를 위해 건강신념모델을 구성하는 4개의 신념변인들 (지 각된 이익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 )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첫째, 지각된 이익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으나 ,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성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둘째,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변인들(친구지지 , 가족지지 , 타인지지 )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그 결과, 친구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 가족지지와 타인지지도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셋째, 유방암 검진과 관련 자기효능감이 유방암 검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 은 유방암 검진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6,000원
        1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168명을 대상으로 기술·가정교육의 필요성, 이해도, 흥미도, 참여도와 모둠협동학습에 의한 발표력, 리더십 향상도, 교육효과를 그리고, 융합교육과 융합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사전 실태조사를 하여 기술·가정 교과수업에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수업형태를 조사하고 다른 교과와 연계시켜 지도함으로써 융합적 사고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인 자기주도적 학습 마인드를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5,100원
        114.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고용직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요인을 탐색적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문헌 검토를 통한 개념적 연구를 토대로 특수고용직인 화물자동차운송노동자가 응답한 159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족건강성에 소득적절성과 노동시간은 정(+)의 영향을 그리고 물량확보가능성과 신체부담은 부(-)의 영향을 5% 유의수준에서 미쳤으며 직무부담은 정(+)의 영향을 그리고 작업위험성과 수직적 갈등은 부(-)의 영향을 10% 유의수준에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주관적 인식에서 노동조건이 낮게 나타났고 가족건강성도 높은 편은 아니었다. 이러한 점을 토대로 화물자동차운송노동자를 비롯한 특수고용노동자의 가족건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첫째, 소득이 적절히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의 개선 특히 표준운임제도의 실시가 우선되어야 할 것임. 둘째, 신체부담 완화와 적절한 소득보장이 되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동기본권을 보장해야 할 것임. 셋째, 관련사업자들도 노력해야 할 것임을 실무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학문적 시사점으로 첫째, 본 연구가 탐색적 성격의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노동요인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설명이 필요함. 둘째, 본 연구가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다른 업종의 특수고용직을 대상으로 반복연구 나아가 매개효과와 조절효과(특히 업종)에 대한 연구가 요구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5,800원
        11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show the item difficulty hierarchy of walking/moving construct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Activity Measure (ICF-AM), 2) to evaluate the item-level psychometrics for model fit, 3) to describe the relevant physical activity defined by level of activity intensity expressed as Metabolic Equivalent of Tasks (MET), and 4) to explore what extent the empirical activity hierarchy of the ICF-AM is linked to the conceptual model based on the level of energy expenditure described as MET. One hundred and eight participants with lower extremity impairment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t study. A newly created activity measure, the ICF-AM using an item response theory (IRT) model and computer adaptive testing (CAT) method, has a construct on walking/moving construct. Based on the ICF category of walking and moving, the instrument comprised items corresponding t walking short distances, walking long distances, walking on different surfaces, walking around objects, climbing, and running. The item difficulty hierarchy was created using Winstep software for 20 items. The Rasch analyses (1-parameter IRT model) were performed on participants with lower extremity injuries who completed the paper and pencil version of walking/moving construct of the ICF-AM. The classification of physical activity can also be performed by the use of METs that is often preferr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empirical item hierarchy of walking, climbing, running activities of the ICF-AM instrument was similar to the conceptual activity hierarchy based on the METs. The empirically derived item difficulty hierarchy of the ICF-AM may be useful in developing MET-based activity measure questionnaires. In addition to convenience of applying items to questionnair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 could lead to the use of CAT method without sacrificing the objectivity of physiologic measures.
        4,200원
        117.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50세 이상 중고령자 자영창업의 생존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 전략을 탐색하고자 국민노후보장패널 1~3차 자료를 이용하여 중고령자 자영업의 특성과 생존율을 파악하였으며, 특히 중고령 창업자의 창업전 취업형태가 자영업 생존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 자영업자는 창업전 취업형태에 따라 개인적 특성, 경제적 특성과 사업체 특성 면에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전 취업형태별 자영업 생존율은 창업전 임금근로집단이 가장 높은 반면, 창업전 자영업집단의 생존율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전 취업형태가 자영업의 생존율에 차이를 가져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중고령자 자영창업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자영업 지원 전략을 개발할 때는 이러한 창업전 취업형태의 이질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5,400원
        11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고 코칭관련 지식과 기법을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가치관을 형성하고 자신의 학습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절차는 먼저, 국내외 자기주도학습 관련 문헌 및 코칭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본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목표,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구성요소의 설정 및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회기․2회기․3회기․4회기의 구성요인은 동기적 측면이고 5․6회기의 구성요인은 인지적측면이고, 7․8회기의 구성요인은 행동적 측면이다. 1․2․3․4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아개념, 내적가치, 목표설정, 개방성이고, 5․6회기의 하위요인은 문제해결력, 창의성이다. 그리고 7․8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율성, 자기평가이다. 1회기의 주제는 자아효능감, 2회기의 주제는 내적가치, 3회기의 주제는 목표설정이다. 4회기의 주제는 자신감 향상 5회기주제는 주의집중력 향상, 6회기의 주제는 학습전략 7회기의 주제는 시간관리, 8회기의 주제는 내면다스리기이다.
        4,800원
        119.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pretation of scopally ambiguous sentences involving a universally quantified direct object NP and negation (e.g., The boy didn’t eat every cookie) from a processing perspective. Using an online truth-value judgment task implemented with a self-paced reading technique, data were collected from native Korean speakers,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L2 learners of English. The results indicate that native Korean speakers strongly preferred the full set interpretation (every > not). In contrast, native English speakers strongly preferred the partitioned set interpretation (not > every). L2 learners showed a developmental divergence according to the learners’ L2 proficiency; the low proficiency group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the full set interpretation, whereas the advanced L2 learners showed no preference for either of the patterns. The main findings were examined within the framework outlined by O’Grady (2005), who proposes that the nature and acquisition of scopal contrasts are best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an efficiency-based processor.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