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0

        12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from six types of household vacuum cleaners in the closed chamber. A test cleaner without HEPA filter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first one minute of initial operation, observing significant generation of airborne particles, and especially for particle size of 0.5 to 2.5 μm, the generation rate increased up to 68.5 × 103 particles/min. Concentration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depends on the production year, the motor power, and the dust filter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The observed resul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design of the vacuum cleaner as well as how they are operated in indoor environment.
        4,000원
        12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가정으로부터의 상충되는 요구로 인해 조직구성원은 갈등을 겪게 되고 이러한 갈등은 조직목표 달 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기존 연구는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 WFC) 양상에 주목하 는 반면 갈등초래의 원인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관심을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소모 모형 (Resource drain model)을 기반으로 갈등의 원인에 따라 일-가정 갈등(WFC)을 일-가정 방해 갈등(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가정-일 방해 갈등(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으로 나누고 갈등의 원인을 시간, 긴장, 행동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직무특성화 모델(Job characteristics model)을 활용하여 유연근무제에 대해 조직구성원이 느끼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간 통제감과 자율성을 가지게 되어 일-가정 방해 갈등(WIF)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낮출 것이라 예측하였다. 대기업 직장인 143명으로부터 얻은 설문 테이타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일-가정 방해 갈등(WIF)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고, 일-가정 방해 갈등(WIF)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유연근무제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인 사실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과 실증결과는 일-가정 갈등(WFC)이 원인에 따라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이 다름을 밝혔고, 기업과 경영자들에게 유연근무제가 일-가정 방해 갈등(WIF)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제도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5,100원
        12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감각방어가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에게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감각방어를 가진 만 15세의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1명이다. 보호자 인터뷰와 평가를 통해 대상자에게 맞는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보호자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가정에서 한 회당 30분씩 하루 3회의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총 8주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인 ABA로 설계되었다. 대상자의 사회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문제였던 귀막는 횟수와 시간은 총 14회(기초선 기간 3회기, 중재 기간 8회기, 재기초선 기간 3회기) 측정하였으며,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에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과 사회성숙도검사(Social Maturity Scale)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후, 귀막는 횟수와 시간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AASP 검사의 low registration은 정상범주에 속하게 되었으며, sensory seeking, sensory sensitivity, sensation avoiding영역의 점수가 각각 정상범주에 가깝게 변화하였고 사회성숙도 검사결과 사회연령과 사회지수가 향상되었다. ◉ 결론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의 감각방어가 완화되었으며 감각 및 감정의 조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500원
        124.
        2014.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내 안전성 평가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에게 적용해봄으로써 노인의 가정환경 평가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에서의 적극적인 사용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가정 내 안정성 평가도구 중 Safety Assessment Scale(SAS)는 다른 평가도구에 비해 비교적 문항수가 적고, 실시 방법이 간단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거주하는 노인 두 명의 가정을 방문하여 SAS 평가를 하였다. 두 대상자 모두 독거노인으로 연령, 인지기능,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Korea; MMSE-K)점수는 유사하였다. SAS 평가결과는 비슷한 인지 수준 의 대상자라고 하더라도, SAS의 점수에는 10점의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1의 경우 대상자 2에 비해 점수가 더 높았고, 즉 이것은 위험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낙상 및 안전사고, 영양 상태의 위험이 컸고 이러한 항목의 중재 및 교육이 필요하였다. 앞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 내 환경에서의 안전성 평가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의 안전한 가정 내 생활을 위한 중재 수립, 대상자 교육, 나아가 대상자의 가정환경 수정을 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하나로서 SAS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2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Bibimbap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blanching (BASB) or without blanching (ASB) pretreatment. BASB samples at 5.0 g showed higher moisture,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than the control (p<0.05). Color L, a, b-values of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content of Aster scaber powder (p<0.05). BASB samples showed lower hardness than ASB samples. BASB samples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SB samples. BASB samples showed higher sensory values for color, savory aroma, savory flavor, and aftertaste than ASB samples. Except for glossiness, BASB samples showed higher sensory acceptance scores than ASB samples. Sensory acceptance tests of all samples showed high scores for ‘usually like’, re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Bibimbap as a home meal replacement, especially that containing blanching pre-treated Aster scaber powder.
        4,000원
        126.
        201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상의 심지층 처분 부지에서 이루어진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처분 심도의 지하수 유량 분포를 분석하고 그 결 과를 처분 안전성 평가에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처분 심도의 지하수 유동량은 가상의 처분 부지를 대상으로 한 광역 및 국지적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의 지하수두 분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하수 유동량 분포를 이용하여 처분공 위 치의 지하수 유동량을 분석하고 최대값을 기준으로 지하수 유동량을 표준화하여 처분공에서의 처분 용기 파손 가능성을 확 률적으로 도시하였다. 확률적으로 제시된 처분 용기의 파손 가능성을 이용하여, 처분 용기로부터 누출이 일어날 것으로 가 정된 위치에서 지표 환경으로 이동하는 방사성 핵종의 이동량에 대한 확률론적 기대값을 계산하여 결정론적으로 평가된 이 전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런 평가 방법은 현장 조건을 더욱 많이 반영할 수 있는 안전성 평가 방안 구축에 기여할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2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과 가정의 상호관계 관련 그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일과 가정 강 부정적 관계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일-가정 갈등으로 개념화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일과 가정 간 긍정적 상호작용인 일가정확충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뿐 아니라 일-가정확충에도 주목하여, 가족친화문화인식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긍정적 직무태도 형성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A광역시에 소재한 민간 사회복지시설ㆍ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621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952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889부를 중심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 문화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은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문화인식과 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과 관련한 사회복지시설ㆍ기관 운영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6,300원
        12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apply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ll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lack an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both their mother tongue and Korean) to participate successfully in regular English classes. For the purpose, 6 third-yea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special class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to identify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regular English classes. Their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into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basic English words, insufficient use of learning strategies, lack of academic language understanding, and lack of self-confidence.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sheltered instruc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roduction of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presume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nglish abilities and confidence. Based on this program, more special English teaching programs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for their successful English learning.
        6,900원
        12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수준을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 영역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 AHA)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연구방법:AHA의 개발을 위해 활동목록수집, 활동목록선별, 최종 활동목록선정, 척도수준 및 채점방법결정의 단계를 진행하였다. 최초 수집된 활동은 38개였고, 3차례의 선별을 통해 26개의 활동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별과정에 참여한 대상자는 전문가 10명과 일반 노인 145명으로 이들에게 설문조사와 패널회의를 실시하여 얻은 각 활동의 적합성과 중요성에 기초하여 활동을 선별하였다. 측정 영역은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으로 정의하였고, 영역별 척도수준은 독립성을 3점, 어려움과 안전성에서 각 4점으로 구성하였다. 채점방법은 리커드 단순합계 척도법으로 결정하였다.결과:AHA는 3개의 측정 영역과 각 영역마다 선정된 26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활동목록에는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14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11개, 여가활동 1개가 포함되었다.결론:AHA는 노인의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의 수행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도구로, 향후 재활분야에서 노인을 위한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개선 등의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0.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는 데 문화적 수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는 문제들은 그들의 우울, 불안 등 내면화 혹은 공격적 행동 등 외현화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원인을 알고,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심리프로그램 개발과 다문화청소년을 교육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을 어떻게 제공하느냐에 따라 한국 사회의 미래 인적자원으로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인재로 활약할 것인지, 아니면 사회에서 이탈하여 향후 잠재적 문제가 될지 결정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사회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차별받지 않고 자신의 권리를 존중받을 수 있다면 향후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국가 간 교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6,000원
        131.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한 가정은 가족 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가정을 말한다. 급변하는 시대 환경 속에서 가족과 가정생활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금 가족과 가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는 일이 개인에게 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 차원에서 중요한 작업임을 모두가 공감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부모교육은 한마디로 어머니 교육이었다. 어머니를 위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어머니 중심의 부모교육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부모교육의 중심에 아버지의 자리를 마련해야 할 필요가 높아지고 있다. 아버지를 중심에 두는 부모교육은 건강한 가정 형성과 가정에서의 아버지 역할 재정립에 기여할 수 있다. 단순히 아버지의 정체성 찾기 중심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부부 관계 증진과 역할 강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부부 중심의 프로그램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가족 공동체 체험 활동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편성함으로써 공동체로서의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고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가정을 형성하기 위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해서 행복한 교실 만들기 수업 컨설팅 활동,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3개국 교육실태 조사, 위기 아동에 대한 개인 및 가족 상담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상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나는 누구인가?, 아버지교육 왜 필요할까?, 부부건강 가족건강, 아빠와 요리해요, 가족 놀이마당, 가족과 함께 문화 체험을 떠나요, 1박2일 가족캠프, 밥상머리교육 이렇게 해봐요, 행함으로 가르치는 봉사교육 예절교육, 아버지가 살아야 가정이 산다’ 등 총10회기로 구성되었다. 어머니와는 차별화 된 아버지의 역할은 경제적 부양자의 역할을 넘어서 남성으로서의 아버지 됨, 자녀와의 관계 향상, 부부관계 개선, 일과 가정의 양립 등에 이르기까지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향후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보편화를 통해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충실해지는 동시에, 가족 구성원 사이의 이해와 소통이 활발해지는 건강한 가정이 형성되기를 기대한다.
        4,600원
        132.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2012년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수입 시장 규모는 1억호 이상의 가정 중 1%에도 못 미치는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약 2400만 달러로, 현재까지는 가정용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제가 없으며 정부의 수거 및 재활용 계획이 일부 시범지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점차 확대될 전망으로 향후 큰 시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선호 가격대와 타겟에 대한 분석 이후, 분리수거가 활성화된 지역 중심으로 중국 하수관거의 특징 등을 고려한 기술을 채택한 제품을 개발하여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4,000원
        13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Angelica keiskei powder pre-treated by far-infrared radiation or freeze-drying methods.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P) showed significantly lighter, weaker green, and stronger yellow color values than powder subjected to freezedrying (FAP) (p<0.001). F-IAP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than that of the FAP.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IAP was 50.3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AP, at 43.51% (p<0.05). Color values of gruel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addition of Angelica keiskei powder (p<0.05). Gruels containing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G)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well a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gruels containing freeze-dried Angelica keiskei powder (FAG). Gruels containing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showed 2.0 to 2.5 times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containing powder alone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black soybean or sweet pumpki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IAG containing more than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had higher sweetness and roasted grain flavor, as well as lower bitterness and astringency compared to FAG. Sensory acceptance tests of all samp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5.0 representing possibilities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gruels as a home meal replacement containing Angelica keiskei powder.
        4,000원
        13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f household washers and detergents for consumers, so that help the producers who make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to get basic material and also help consumers to choose washing machine. Experiment was proceed with two type of washers to compare energy consumption, washing performance, rinsing effectiveness further, damage caused by entanglement of laundry and fabric was assessed. Detergent P and T were u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related to differences of ingredients of detergent. Soiled fabrics of EMPA 108 set were us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washing by different types of contamination. A summary of experimental results are : First, for the consumption of water, drum-type washer consumed 53% less than pulsator-type washer.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time was almost similar for both these machines, but pulsator-type washer showed shorter progress, implying that power saving was more efficient in this case. Second, the drum-type washer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contamination with all types of detergent, but the pulsator-type washer showed better rinsing performance. Third, the drum-type washer performed less data of tangle level and fabric damage. Fourth, detergent "P" exhibited better washing performance than did detergent "T", regardless of the type of soil. And with no limit of detergent variety, water-soluble protein soil showed high removal rate, liposoluble soil especially pigment was hardly removed.
        4,200원
        13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정도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경상북도 B군, 전라남도 N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 60명과 자녀 60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문화적응 스트레스 검사, 자녀에게는 단축감각프로파일과 사회성숙도를 검사하였다. 결과 :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는 한국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 회성숙도에 지연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지수의 관련성과 변인분 석에 대한 연구 결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두려움, 죄책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총점 항목은 자녀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지수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부항목 변인 중에 지각된 차별감과 기타 항목이 사회지수 변동에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차별감, 문화충격, 죄책감 항목이 감각처리능력 변동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외국인어머니의 한국문화적응에 어려움이 자녀들의 감각처리능력과 사회성숙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과 자녀들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시 기 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4,600원
        139.
        2013.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독립적으로 쉽고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거환경을 수정하고, 노인 스스로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지각수준의 변화를 클라이언트의 특정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 대한 독립성, 어려움과 안전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그 변화 및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에서 실시한 가정환경수정 대상 10가구였다. 연구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동년 12월까지 3개월간 이었다. 평가도구는 주거 환경 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독립성, 어려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를 사용하였다. 평가는 가정환경수정 전과 후 2차례 이루어졌다. 결과 : 독립성에 대한 평과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독립성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반하여(p>0.05), 어려움에 대한 평가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어려움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안전성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안전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가정환경수정이 농촌지역 거주 노인에게 있어 거주지 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제거와 함께 일상생활활동 증진에 의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4,000원
        14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diatric home-based physical therapy (PHBPT) provides profess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t the patient’s home, where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are actually performed. PHBPT also allows to avoid the difficulties of trans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e clinic. Despite these advantages, PHBPT is not yet widely practiced in Korea. There is little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opinions of the main stakeholders on PHBPT.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of PHBPT among the main stakeholders, 41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T) (of 60 contacted) were recruited from different regions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population distribution. The recruited PTs completed their questionnaires and also participated in collecting questionnaires from 35 medical doctors (MD) with whom they worked and from randomly selected 201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ruited.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85.5%. The awareness of PHBPT differed between PTs (95.1%) and parents (67.2%) (p<.001). The survey showed that 82.9% of MDs had at least heard about PHBPT. Significantly more parents (83.5%) than MDs (57.1%), and 70.0% of PTs, wanted to start PHBPT service immediately (p<.001). Significantly more parents (90.0%) than PTs (73.2%)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PHBPT (p<.001). Opinions on the details of policies and procedures (i.e., necessity for prescription, treatment cost, and treatment frequency) differed among the respondent groups, but all favored a minimal qualification of 6∼10 years of pediatric experience and a treatment session duration of 1 hour. These findings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to support health service administrators to understand the current demand and develop feasible policies and procedures of PHBPT in Korea.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