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2

        12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교사들의 게임 인식 유형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와 상담교사 및 전문 상담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네 가지 게임 인식 유형은 성별, 연령, 게임 경험 유무, 게임에 대한 태도, 게임에 대한 대응, 게임이 학생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인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게임 인식 유형에 따라 학생 게임 이용 수용도를 비 교한 결과 ‘관리/감독의 필요성’, ‘적극 활용의사’, ‘관심과 확인’, ‘부적응 대체활동으로 인정’ 에서 유형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수용 효능감’에서는 모든 유형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 게임 이용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논의하였다.
        122.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수리 논술 문항을 개발하고 채점 기준을 설정하는 하향식 과정과 학생의 응답을 바탕으로 문항과 채점 기준을 수정하는 상향식 과정이 통합된 교사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소재 K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과에 개설된 [수학교과논리 및 논술]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대학원생 52명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인식 검사>와 파이널 프로젝트(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리논술 문항 개발과 채점 기준표 수정을 한 학기동안 그룹 별로 실시하는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발된 교사교육과정을 경험한 교사들의 평가 목적, 방법, 효과성에 대한 인식 변화는 과정 중심 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문항 개발과 채점 기준 설정을 위한 상향식·하향식 평가교육과정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교사 교육을 통해 과정 중심 평가 역량 함양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서 교사들이 향후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시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23.
        2016.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교사가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의 수행도, 중요도, 난이도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 나아가 교육 및 지원의 필요도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립유치원교사는 본 연구에 기술된 직무를 보통 이상으로 자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의 직무 를 다소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직무의 난이도는 보통 이상으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유치원교 사에게 교육 및 지원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직무영역은 교육활동영역이고, 교수학습 실제와 학부모 관계 에서 교육 및 지원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124.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enre awareness among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ly, a survey and writing assessment for two sample papers were conducted with 43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 of survey and writing assessment for investigation is following: First, This study found 3 factors for the constructions of Genre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factors consist of awareness of explicit genre instruction, critical genre instruction and genre expansion. Korean language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both explicit genre instruction and critical genre instruction, however, Compared to an explicit genre instruction, Teachers are more positive response to critical genre instruction. but Given that the emphasis on a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Korean teachers not focus on the critical perceptions of the genre itself. and this genre awareness of instruction did not apply in the context of writing assessment. but genre awareness of expansion that means openness to different genre have a certain correlation with critical genre awareness and also contribute to assess the value of untypical text.
        125.
        2016.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멋대로 맘대로 윌로』 에 그려진 교사와 학생이 각각 교실이라는 공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 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변화되기 전의 호손 선생님은 교실을 통제 및 관리 감독하기 위한 교실로 인식하고 있다. 어두운 조 명과 일자형 책상배치 그리고 바른 자세는 호손 선생님이 교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그리 고 이것은 획일적이고 지시적인 교수와 반드시 교사의 교수를 따라야만 하는 수동적 학습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변화 후의 호손 선생님은 교실 벽을 아이들과 함께 꾸미는 활동을 통해 교실은 선생님과 학생이 함께 만드는 교실로 인식이 바뀌었다. 그래서 교수·학습도 학생중심 교수·능동적 학습으로 바뀌게 된다. 한편, 윌로에게 교실은 교실의 창문을 통해 늘 새로운 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체험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그래서 자신이 체험한 것을 바탕으로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는 능동적 학습을 한다. 그리고 때로는 호 손 선생님께 새로운 세계를 안내함으로서 윌로가 호손선생님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교실이란 공간은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이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교수·학 습에 있어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는 교실 공간에 대해 좀 더 의미있게 인식하여 살아있는 교수,학습의 공간이 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126.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역량기반의 교육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예비교사와 같이 아직 현장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대상자에게까지 연구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교육요구 파악을 위 한 우선순위결정방안은 기존의 경험이 풍부한 대상자에게 적용했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배경지식과 경험의 정도에 따라 보다 타당한 교 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학습자라고 할 수 있는 현직교사와 아직 교직경험이 없는 미경험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스마트교원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순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13개 역량 중 10개 의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존에 교육요구분석에서 사 용되었던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 교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 내용전문성, 대외협력관계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직교사들은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 계 및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역량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큰 인식차이 가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이는 역량에 대한 중요도 판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이 결과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 과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에 보다 적합한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127.
        201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의 수행의 체계적인 평가에 대한 요구의 결과 최근 미국 40개주 600개의 교사교육기관을 통해 교사 수행 평가 (edTPA) 체계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평가에 대비해서 교사 양 성 기관에서 어떻게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예비 교사를 준비시켜야 하는 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한 교사 양성 기관을 대상으로 edTPA 준비를 위 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edTPA 준비 자체가 얼마나 예비교사들의 교수 전문성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예비교사들과 대학 감독관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99 명의 예비교사와 14명의 대학 감독관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사 인식 설문지가 주요 데이 터로 수집되었으며, 기술 통계 분석 및 One-way ANOVA를 이용한 양적 연구 분석방법과 설문 문항 데이터에 대한 질적 연구 방법이 병행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예비교사들의 edTPA 준비와 교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제안들이 기술되었다. 마지막으로 edTPA 준비와 시행과정의 경 험을 바탕으로 한국 예비교사들의 교수 전문성 평가 체계에 대한 제고가 기술되었다.
        12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사회 구조적 차원에서 알아보 기 위해, Bourdieu의 문화(언어) 자본 이론에 기초한 문항을 토대로 연구 참여자인 초등학교 교사 3명, 중학교 교사(국어 담당) 2명에게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질적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파랑새 2.0’을 활용하여 자료 입력, 코딩, 주제 생성의 과정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였다. 교사는 표면적으로 ‘일반 학생과 동일시’라는 전제하에 면담을 진 행하였으며, 면담의 과정에서 학생과의 동일시라는 전제가 은폐라는 점을 자각하고 실체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교사 인식의 은폐․실체․성찰로 범주화하여 해석하였다. 면담의 분석 결과 교사는 교육을 실행 하는 주체로서 모든 학생들을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는 의식적인 압력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특수성을 일반화하여 일반 학생들과 구별되어서는 안 된다는 동일 성을 지향하는 인식의 은폐로 ‘ ’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배경 학생에 대한 인식의 근원에 는 외모 차이, 가정의 사회경제적 환경 인정, 타자화․저성취에 대한 묵인․무관심의 순환 과 같은 ‘인식의 실체’가 놓여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입장을 되돌아보는 경험을 통해 ‘인식의 성찰’ 과정을 거쳤다. 이로써 다문화 배경 학생에 대한 교사 인식의 이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129.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념적․정책적 담론의 급부상과 달리, 학교현장에 기반을 둔 경험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 히 연구자는 정책적 투입이 있기 이전부터 세계시민교육을 자발적으로 수행해오던 교사들 의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에 대한 이해와 현실적 딜레마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사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총 34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및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였 다. 이들 교사들을 공통적으로 입시위주의 경쟁구도로 대변되는 전통적 패러다임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그 개념을 명료히 정의내리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분석 결과 대안적 교육패러다임이라고 인식되는 세계 시민교육의 관점을 가진 교사들은 전통적 교육패러다임이 주류를 이루는 학교현장이란 모 순적 현실 속에서 필연적으로 다양한 딜레마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시간 찾기의 딜레마, 색다른 교육의 시도와 경직된 교사문화 사이에서의 딜레마, 평가의 딜레마로 구현 되어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 개 념의 모호성과 현실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과 함께 세계시민교육 담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13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Wee클래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을 사용 하여 학교상담의 주요 관련자(stakeholder)로서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상담교사 제공 서비스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초 점질문을 바탕으로 서울, 인천, 경기 지역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0명(남자 3명, 여자 7명) 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 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도움요소는 총 12개의 군집으로 ‘군집 1. 자문 및 조언’, ‘군집 2. 심리적지지’, ‘군집 3. 정보 획득’, ‘군집 4. 교사 간 협력’, ‘군집 5. 상담환경 조성 및 홍보’, ‘군집 6. 외부기관 연계’, ‘군집 7. 예방 활동’, ‘군집 8. 위기 개입’, ‘군집 9. 학생과 공감적 관계 형성’, ‘군집 10. 상담교사의 전문성’, ‘군집 11. 학부모 상담’, ‘군집 12. 중재’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5점 리커트 척도)는 ‘군집 8. 위기 개입(M=4.60)’이 가장 높았고, ‘군집 12. 중재(M=3.75)’가 가장 낮았다. 반면 불만족요 소는 총 7개의 군집으로 ‘군집 1. 학생에 대한 지나친 허용적 태도’,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 ‘군집 3. 수업 중 상담의 문제’, ‘군집 4. 교사 대상 서비스 부족’, ‘군집 5. 상담교사 부족’, ‘군집 6. 상담 업무의 비공개성’, ‘군집 7. 상담교사의 역량 부족’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 는 ‘군집 5. 상담교사 부족(M=4.30)’이 가장 높았고,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M=3.60)’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교육의 측면에서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131.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 지역의 공립 유치원 방과후 과정 전반적인 운영 체계, 급·간식 및 안전 관리, 교직원 구성, 시설 및 행·재정 지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제주도에 소재 하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방과후 과정 업무를 담당한 교사 89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5년 1월 5일 (월) ∼ 1월 23일(금)까지 3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성화 프로그램을 가르치는 외부강사의 질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급·간식 업무는 전문가의 영양(교)사가 담당해야 하며 보안시설이 완비되고 보안 담당자가 배치된 안 전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방과후 과정의 인력 배치가 확대 되어야 한다. 넷째, 방과후 과정의 예산이 확대 와 행정 실무 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업무를 지원 하는 교육청의 행·재정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32.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야기를 듣고 방과후 과정 교사 운 영에 관해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로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 한 연구 참여 교사는 충청북도에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 5명과 타․시 도(대전, 경기, 대구, 전라북도) 공립유치원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는 교사 5명이다. 연구 과정은 2015년 4월 6일(월) ∼ 6월 27일(토)까지 12주 동안 주 1회 교사 10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시각으로부터 통찰과 발견, 이해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자료를 많이 수집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화 면담, e-메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면 담한 자료를 취합하여 전사하였으며, 현장 노트를 작성하여 현장에서의 상황을 묘사하여 예비적인 보충 자 료로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갑자기 달라진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 지침이 갑자기 변 경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방과후 과정 교사를 채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원자가 감소하게 된 배경을 보면 방과후 과정 교사 채용 자격 조건이 강화되었으며, 유치원이 위치한 지역적 특성에 따라 면 이하의 경우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부재로 지원자가 턱없이 감소하였다. 셋째, 다양한 방과후 과정 교사의 유형으로 인해 누구와 함께 일을 하느냐에 따라 교사가 느끼는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어려움으로 소통의 부재를 말하고 있다. 한 학급을 함께 운영하는 교 육과정 교사와 방과후 과정 교사가 학급 운영을 잘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소통일 것이다.
        133.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치원 교사의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 다. 현직 유치원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그들이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 는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이 루기 위하여 6명의 유치원 교사들과 3번씩의 개인면담, 그리고 1번의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그들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유치원교사로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자료분석은 해석학적 현상학에 기초하였다. 6명의 교사들에 의하면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은 서로 관련되어 있었다. 교육과 훈련, 높은 보수, 공공에 대한 봉사,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특별한 지식이 전문 직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 훈련, 경험, 보수, 일에 대한 열정, 능력과 한계 알기,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이 전문가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열정, 직업에 대한 사랑, 일에 대한 뛰어난 능력 이 전문성의 정의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용어의 정의와 그 정의들이 유치원 교 사들에게 의미하는 바를 찾고자 시도해보았다.
        134.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창의적 수업 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실행 정도가 어떠한지와 교사 경력과 학력, 설립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 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수업 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실행 정도에 대해서 설문조사 하고 F(t)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창의적 수업 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대체로 높게 인식하였고, 교사의 경력과 학력, 설립유형별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창의적 수업 능력에 대한 실행 정도가 보통 이상이었고, 교사의 경력과 학력,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 현장에서 창의적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13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학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 평가, 입시가 학생들의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현 황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국 337개 초·중·고등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 38,006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 과에 의하면,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학교 내부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상급학교 입학시험을 지목하였고, 과도한 학습분량과 어려운 학습내용 역시 선행학습을 유발하 는 학교 내부의 주요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학생과 학부모는 교사에 비해 선행학습을 가정하고 진행되는 학교수업/시험의 선행학습 유발 정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학생과 학부모의 경우 학교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수업/시험과 학습분량/내용의 선행학 습 유발 정도를 낮게 인식하였고, 자신의 교수 활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교사의 경우 학교 수업/시험에 비해 학습분량/내용이 선행학습을 더 유발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학습을 유발하는 학교 내적 요인에 대한 감소 방안을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13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연계 나눔 경험을 통한 국제이해교육 차원의 다문화 교육을 운영한 실행 연구로, 국제이해교육과 연결하여 나눔 봉사 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진행하며 이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문화 교육 경험과 인식에 대한 설문지와 함께 지속적인 토 의, 면담, 저널 등을 통하여 국제이해교육 차원에서의 다문화 교육을 실행해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 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나눔 봉사를 위한 다문화 기관과의 연계 봉사활동의 초기 관찰자에서 계 획자이자 평가자로서의 역할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편견에서 벗 어나고 이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됨으로써 국제이해교육 차원에의 다문화 교육을 이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137.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 현행 유아교사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공립유치원 교사가 바라는 교사평가의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앞으로 실시해야 할 중국교사 전문성 향 상 중심의 유아교사평가의 토대를 마련하고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독립적인 평가체제를 구축하고 중국 유아교사 평가가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는 교사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중국 연태시(烟台市) 지부구(芝罘区)와 개발구(开发区)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 인 교사 200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예비조사를 거쳐 연구자가 제작 한 질문지로 6개 범주의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를 위해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유아교사 평가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93.0% 공립유치원 교사가 유아교사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32.6% 공립유치원 교사가 유아교사 평가의 목적은 ʻ교사 전문성 발 전ʼ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는 교사근무현황을 반영하는 것에 대한 74.6% 공립유 치원 교사의 인식은 일부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 과정에 관한 공립유치 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교사평가 횟수는 ʻ한 학기 2번(53.5%)ʼ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평 가주체는 ʻ교사동료 (31.2%)'가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의 기준은 ʻ국가 교육부가 하여야 한다 가 1순위(42.3%)ʼ로 가장 많이 반응하였다. 중국 유아교사평가 개선방향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ʻ유아교사를 위한 평가체제가 필요하다(71.8%)ʼ고 인식하였다. ʻ유아교사평가 목적은 인사관리 보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도와주는 것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95.1%)ʼ고 반응하였다. 유아교사평가 내용 은 ʻ객관적이고 구체적이며 양적 평가가 가능하게 기술해야 한다(89.4%)ʼ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자는 ʻ 전문성과 객관성을 담보해야 하다(91.5%)ʼ고 반응하였다. 유아교사 평가 결과가 ʻ당사자인 교원에게 공개될 필요가 있다(93.7%)ʼ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평가 결과활용은 ʻ평가결과에 따른 교원별 맞춤형 연수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하며 교사의 전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93.7%)ʼ고 인식하였다.
        138.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국․공립 단설 및 병설유치원, 사립유치원 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인식을 보면 모든 집단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주된 목적은 ‘교육의 질 향상’으로, 가장 필요한 사항은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를, 불필요한 사항은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 불충실’로 나타났다.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는 교직전문성 인식의 상·중·하 모든 집단 교사가 ‘수업실행’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기준점수를 정하고 그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 우수교사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교사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동료 교사 간 갈등과 위화감 조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결과는 교원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하며, 전문성과 자질 이 우수한 교사는 학습연구년제 등 특별연수 기회를 부여해야 하고, 전문성과 자질이 부족한 교사는 현장 근무와 동시에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치로써 교원능력평가에 따른 업무경감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원능력개 발평가의 전면 실시에 앞서 유치원 교육의 신뢰와 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평가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139.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 대한 분석 준거 틀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행된 수업에서 학생들이 학습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영역과 학습하기 용이한 영역을 조사하여,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지역 3개 대학에서 교직 교육과정 수업을 수강한 학생 96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에 대한 보다 유의미한 해석을 위하여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서 다루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기초 영역은 다른 내용이나 영역으로의 전이가가 높은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한다. 둘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의 교육과정 개발 영역에서는 실제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절차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의 수업 내용 선정에 있어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의 가치성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에 유의하여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