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2

        12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이혼율의 증가로 한부모가족이 크게 늘고 있다. 정부에서는 한부모가족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2007년 한부모가족지원법을 개정하는 등 한부모가족의 지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심리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족 지원체계로서의 리더십코칭접근의 가능성을 검토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한부모가족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한부모가족지원체계로서의 리더십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한부모가족과 리더십코칭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리더십코칭의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체계로서의 접근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4,600원
        12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그들의 인터넷게임 중독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된 구체적인 문제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문헌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였고, 실증분석은 설문지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빈도분석(frequencie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reliability),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즉, 부모-자녀(청소년)간 의사소통이 수용적일수록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낮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하위변수인 대화수용성과 배려성은 높을수록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은 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인터넷 이용시간, 그리고 부모와의 대화시간을 통제변수로 하여 변수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대화수용성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은 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하는 것이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중독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12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 수준이 부모가 보고하는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8세) 뇌성마비 환자들 중 강직성 양하지 마비 형태를 보이는 29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삶의 질 평가는 부모에 의해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은 기능 수준에 따라 세 집단(계단 보행 가능 집단, 일반 보행 가능 집단, 그리고 보행 불가능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삶의 질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을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결과 : 기능 수준에 따라 삶의 질 영역들 중 ‘신체활동과 건강’, ‘심리적 건강’, 그리고 ‘자유시간’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이외의 영역들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높은 기능 수준을 보인 집단에서 전체 삶의 질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 수준이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 기능과의 관계가 삶의 질 평가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인 것으로 이해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향후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124.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he evaluation of utilization and effects of electronic games. The study also examined conflicts that could be occurred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because of the games, and potential predictors of the conflicts. A total of 210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210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children, mothers evaluated that games were not beneficial to children and contained lots of violent content. Mothers concerned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games on school performance among other variable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children who highly utilized games, and enjoyed violent games more experienced negative behaviors during game-playing. In addition, children's experiences of aggressive behaviors during game-playing moderately correlated with 'fighting with friends/ brothers/sisters'(mothers' evaluation), 'unbalanced game-playing' (mothers' evaluation), 'the amount of game utilization'(mothers and children's evaluations), 'the degree of violence of favorite games' (mothers' and children's evaluations). Conflicts between children and mothers due to game-playing could be predicted by unbalanced and excessive game-playing, the degree of violence of favorite games, and potential harmful effects on children and school performances.
        6,900원
        12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혼한 부모를 가진 소년수용자들 가운데 정서장애를 겪고 있는 소년수용자들의 유무와 그 정서장애의 정도를 천안소년교도소의 소년수용자를 대상으로 연구해 보았다. 소년수용자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수용생활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혼한 부부의 소년수용자녀들의 무규범성에 관한 문제는 연구에서 부모가 이혼한 수용자와 이혼하지 않은 수용자 사이에 그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 조사되었다. 설문조사결과 천안소년교도소 수용자들 중 이혼을 하지 않은 부모를 가진 수용자보다 그렇지 않은 수용자의 정서불안이 크다고 조사되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수용자의 부모가 이혼을 한 상태인데도 이들에 대한 교정 복지적인 서비스가 전혀 없어 안타까운 심정이 아닐 수가 없다. 가정은 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안전망이며 부모에게도 부모교육과 교양교육으로 올바른 부모역할과 수용된 수용자에게도 올바른 교양교육을 시켜야 하는 것이 소년수용자의 원만한 수용생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와 사회의 안전망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의미에서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수용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7,800원
        127.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7~11세 자폐성 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접근을 통한 부모교육이 아동의 문제행동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대상아동은 떼쓰기, 자해행동, 반향어 등을 보이는 전형적인 자폐성 장애 아동으로서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복식기초선 설계(multiful-baseline across subjects)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제공된 프로그램으로는 음악, 미술, 여가용 자료 사용 등의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활동이 고안되었다. 종속변인은 문제행동 및 어휘 사용 빈도였다. 결과 : 문제행동의 경우 대상 아동 1은 기초선 평균 15.3회가 중재에서 12.5회로 감소되었고 15.5회로 유지되었다. 아동 2의 경우 기초선 평균 6.3회가 중재 평균 7.1회를 보였으며 유지 기간에는 6.5회로 나타났다. 아동 3의 경우 기초선 6.6회, 중재 7회, 유지기간에는 7.3회를 보였다. 언어발달에서의 결과로 아동 1의 경우 기초선 평균 26회였던 어휘수가 중재에는 40.5회로 증가하였으며 유지기간에는 44.3회로 나타났다. 아동 2의 경우 기초선 기간 동안 34회의 어휘수가 중재 기간 에는 17회로 나타났으며 유지기간에는 10.2회로 나타났다. 아동 3의 경우 기초선 34회, 중재기간 50.6회, 유지기간에는 81.5회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 아동 들은 문제행동상의 감소는 적게 나타났으나 언어발달에는 매우 높은 중재효과를 보였으며 유지 또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실험을 통하여 구조화접근을 통한 부모교육은 아동의 중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128.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아동 부모들의 치료교육에 관한 욕구 조사를 통하여 현재 치료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작업치료계 입장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402부를 회수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여러 전문가들에게 점검받아 수정하였다. 결과 : 부모들이 가장 원하는 치료교사로는 전문 치료 영역을 가지고 있는 치료사이며 77%의 부모들이 택하였다. 한 학교에서 치료교육을 받는 경우는 27%이며 사설기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이 55%이고 두 곳 모두에서 치료교육 및 치료를 받는 아동이 65%였다. 이로 인한 사치료비는 가구당 월 평균 49만원 정도였다. 사설치료를 받는 부모들의 79%가 치료교육의 질적인 문제를 지적하였다. 결론 : 치료교육의 주체인 장애아동과 부모들이 요구하는 부모들이 요구하는 치료교육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세부 전문영역을 가지는 치료교사를 양성하여야 한다. 또한 전문 영역의 치료사를 관련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치료교육의 질적, 양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4,000원
        12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에서 청소년범죄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서 청소년범죄자의 부모에게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를 법제화하여 1호처분이나 보호관찰처분 대상자의 부모에게 교육프로그램에의 참여를 강제적인 명령 혹은 의무로 부과함으로써 저조한 프로그램 참여율을 높이고, 프로그램 운용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부모교육명령제도의 모델사례로서 지적되고 있는 영국의 부모교육명령제도의 도입배경, 구체적인 내용, 실시현황, 관련 쟁점, 효과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서 우리가 도입하고자 하는 제도가 어떤 맥락에서 시행되었으며, 실제로는 어떻게 운용되고, 어떤 효과를 낳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봄으로서 우리나라의 도입타당성여부를 판단해 보고 있다.
        5,700원
        13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유형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차이와 관계를 알아내어,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작업치료 중재방법을 제시하거나 사회적 지원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만 3세부터 7세까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병원, 복지관, 연구소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아동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Parenting Stress Index (PSI)로, 삶의 질은 국내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Quality of Life를 이용하였다. 결과 :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정도, 삶의 질의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총점을 비교해보면 정서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의 스트레스가 정신지체나 신체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점수보다 높은 편이다.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정도차이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서만 나타났다. 정서장애와 신체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성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정서장애보다 신체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상관성이 높았다. 반면에 정신지체 아동을 둔 부모의 경우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성은 없었다. 결론 : 장애아동을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장애유형에 맞는 작업치료 중재방법 제시 및 사회적 지원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132.
        200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133.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34.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ing via internet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under 6. Methods : The web site for internet counseling (ddchild.com) consisted of 1,500-page information for educating children at risk, with mental retardation, autism, learning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nternet counseling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Q/A, real-time chatting, monthly interview, and search engine. The consumer survey form was dispatched to a total of 1,459 registered members and 91 (7%) of them replied to the survey. The survey included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pondents,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y used mostly, their satisfaction level, criticisms and suggestions to this internet counseling. Results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ere: (1) The users were distributed across the nation from Seoul and its vicinity (61%) to Cheju (1%); (2) The respondents’ 68% was middle or lower middle class; (3) The types of disabilities were children at risk including learning disabilities and ADHD (37%), autism (21%), mental retardation (21%), cerebral palsy(18.5%). The 68%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ternet counseling, and 65% actively used the data base consisted of rehabilitation information for educa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garding the usage of the data base, 49% replied that this program was very helpful, because the instructions were described with concrete examples, 47.7% “helpful in understanding how to teach these children,” and 27.7% “in better understanding the behaviors of these children.” As to the suggestions, the respondents demanded two things. One is that the government build more schools and centers for educating these children along with more economic support, and the other requests ar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is internet counseling: enforcing of speech therapy program, opening of demonstration program with regard to the usage of this system, and setting up a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the parents. Conclusion : Operation of the internet counseling system can be a viable approach for providing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low-cost effectiveness in the country where early intervention has not been systematically established.
        4,500원
        13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empirically the hypothesis that parents child-rearing, such as attachment, communication, supervision, and punishment would be effected on juvenile delinquenc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drawn from a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in Seoul, in 2000.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1,01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between 12 and 21.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and self-reported criminal behavior, we used Joreskog and Sorbom's LISREL Ⅷ.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From our study, it is impli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attempt to develop a more refined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aring and crime, and to elaborate the measures on the major concepts such as parental child rearing, and criminal behavior.
        5,700원
        137.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for body weight control of obese children. The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 nutritional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therapy during 20 weeks. Twenty- three children completed this program,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ntrol group and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Par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 4 week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and contact the therapist at least once per week to help their obese childre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values after weight control program between two groups. Triglyceride(TG) level in serum was decreased after weight control program in group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did not add improvements in weight and fitness, but the children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showed increased general self-worth upon completing the program(p<0.05) whereas the other children of control group did not. Also there were desirable changes of exercise and life habits in group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4,300원
        138.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39.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SC 연속 평판슬래브의 설계는 부정정 평판슬래브에 대한 정확한 해석의 어려움 등으로 등가보이론과 등가골조이론에 의한 근사식을 수정없이 사용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한 해석에 의존하고 있으나 해석결과를 간단하게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PSC 연속 평판슬래브의 부재력은 긴장재의 곡선형태에 따라 변하므로 실제 설계시 PS 긴장재의 정확한 곡선식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부착 PSC 연속 평판슬래브를 설계할 때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PS 긴장재의 기하학적 곡선형태를 결정하는 방법과, PS 긴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평판슬래브의 기둥부 휨모멘트에 대하여 판이론을 기초로 간편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론으로 계산된 PSC 연속 평판슬래브에 대한 해석값과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지점 부모멘트를 비교 검토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자에게 컴퓨터의 해석결과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도록 하였다.
        4,000원
        140.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신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 성장 마인드셋, 그릿에 기초하여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학업지연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467명(여=228명, 남=23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일원변량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자신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 성장 마인드셋, 그릿에 근거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이들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 필요형(군집 1), 전반 적 관심 필요형(군집 2), 이상형(군집 3), 부모의 자율성 지지 우위형(군집 4) 등이다. 둘째, 군집유형에 따라 학업지연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군집 2>군집 1>군집 4>군집 3). 각 군집 유형 별 학업지연행동 감소를 위한 제안도 제시하였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