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0

        12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and origin and connotation of the <Xunmeng zihui>. The paper points out that the term of dictionary definition is the key to grasp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o the users. However, because the ancient authors did not explain the terms they used, this resulted in our study of ancient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is very difficult. If we do not understand the terms, the source and uses of the dictionary, We will not be able to carry on the research to the South Korean Ancient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hether it is the dictionary itself, or its traditional and theoretical.
        4,800원
        122.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ital research in ancient Chinese characters reflects the adjustment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research model under the new condi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this new research model, more innovative research areas can be opened up. Moreover, the operating criterion of empirical study will be elevated. Currently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is research model: overburdened work in the technical area; weak support of existing research and the absence of necessary Chinese information technology. The further realms we can expect are: digital means and platforms will bring a new vision of paleographic research;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platform on the basis of resource sharing and cooperation; the development of the function of supervision on digital platform over criterion of the paleographic research.
        5,100원
        12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oul Metro has set up a principle of liberal translation on naming its stations that it will use thematic role in naming stations in Korean to reveal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and is abiding by the principle. Busan Humetro also applies the same principle. In the view that it can complement the broad principle of transliteration, the thematic role can be fully considered and used in parallel as well. Especially, when thematic role is used, the place name in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considered first. Furthermore, accurate understanding on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should be sought. However, when looking at closely, there are mistakes in many cases, such as that, the existing Chinese character place names are not considered in thematic role, or the origin of place names are misunderstood, or Chinese characters are wrongly applied. In case of transliteration, there is no independent standard on writing Chinese characters for Korean pronunciation. Therefore, a definite implementation scheme which fully reflects 「Template(英汉译音表)」should be sought. Particular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common noun at the rear should be thematically translated or its original pronunciation be written as is. In common nouns at the rear which reveal the natural topography,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common nouns at the rear have lost the topographic informativity. Therefore, it would be appropriate to do transliteration for the whole place name in case the common noun at the rear does not contain the information of the relevant region. However, looking at the actual translation examples, the place names containing the old topographical information were thematically translated uniformly, for example, 나루(ferry)→渡口, 다리(bridge)→橋, 샛강(side river)→江, 내(stream)→川, 못(pond)→池, etc. In the cases that the station name contains the needed information, for example, 성당못(Catholic church pond)→聖堂池 in Daegu Subway, the thematic role is necessar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veying unnecessary information, like, 여의나루(Yeouinaru)→汝矣渡口. In contrast to this, for the cases of public offices or institutions,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transfer into corresponding offices or institutions in China. Presently, it is written literally as 시청(city hall)→市厅 or 구청(borough office)→区厅, but a way to change this to 市政府, or 区政府 should be considered. It would also be proper to write 검찰청(Public Prosecutors’ Office) to 检察院, rather than 检察厅. In cases that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s are not commonly used, like 政府厅舍, It would be also appropraite to try to find words which are commonly used, like 政府办公大楼, rather than writing as 厅舍. However, for the institutions like 国会议事堂, which does not exist in China, should be treated as exceptions. It would be awkward to translate it into 人民大会堂 overly. Because their roles are completely different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writing an English word place name into Chinese, it is necessary to judge whether it is a common noun or a proper noun. If it is a common noun, thematic role would be appropriate, and if it is a proper noun, transliteration should be done. The most problematic cases are when Chinese characters are written together while the English word place names are not translated; Centum City and Renecite Station fall under this category. For Centum City, translated words such as 仙登城 or 仙腾城, which have transliteration and thematic role together, could be suggested, and for Renecite, transliterations such as 日内西德 or 日内西特 could be suggested. In translating Chinese word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have uniformity whether it is by transliteration or by thematic role. For the case of 버스터미널(bus terminal), it would be embarrasing to write differently, like, 巴士客运站, 高速客运站, 客运站, etc. It is necessary to unify into one expression of, for example, 汽车客运站, or something else. Sometimes 삼거리(three way intersection) is written differently as 三岔路口 and 丁字路口, and this should also be unified. Besides, there are cases where the possibility of transliteration was suggested, like, 골(valley)→谷尔, 고개(pass)→谷给, 바위(rock)→巴伊, or 내(inside)→內. In these cases where the common nouns at the rear appear frequently, it seems necessary to form a consensus to unify the transliteration.
        5,700원
        12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pinion of traditional Chinese Philology is that Character is a shape, or a concrete image in one’s mind. But in modern Chinese linguistics and Philology quoted from linguistics in Europe and America, character is considered as the symbol of language. The same of these two ideologies is that character is seemed as a symbol. But the difference is that character equals meaning in the former one, on the contrary the latter considers character equals language. In the former theory, they are the same status between character and language, but in the latter theory, character is seemed as the dependency of language. This difference was originated from different research objects, different standing, and different theoretical basis.
        6,700원
        125.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문에서 관찰한 대상은 다음과 같다. 8명의 중국어와 영어의 두 언어 능력이 우수 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와 영어로 작문을 시행하여 한자로 문장을 구성하는데 곤 란을 격을 때, 그들은 어떤 종류의 ‘보상 전략’(compensatory strategies)을 사용하여 문장 구성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제1언어를 작문하는 중에는 3종의, 제 2언어에서는 8종의 ‘보상 전략’(compensatory strategies)을 사용하였다. 또한 모든 종류의 작문 과정 속에서 작문의 사고구술 프로트콜을 참고하여 기록하였다. 이 과정 에서 중국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학생들의 전략이 비교적 많았으며, 그들은 알고 있는 한자나 한어 병음, 영문의 병음 표기 등 최대한 상관성 있는 언어 자원을 최대한 모두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고, 단어와 두 언어를 결합한 한자 형식을 사용하였다. 후자의 경우 차용 혼성어(loan-blend)나 언어전환(code-switching)등의 상황을 보 였다. 동시에 동일치 않은 수준의 작문 요구 또한 ‘보상 전략’(compensatory strategie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8,700원
        126.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는 형음의의 결합이며, 중국어 서사의 기초단위이다. 한자의 형음의는 서사 와 발음의 형식이며, 이는 형식을 말하고 있다. 더 중요한 것은 한자는 표의문자라 는 사실이다. 한자의 의미는 어소와 어소의 의미이다. 언어 사용의 실제면에서 어 휘는 실질적인 활용 요소이나, 보통 사람들은 언어의 문장 의미에만 관심을 지니 거나, 구의 의미에만 관심을 가지거나, 혹은 대부분 어휘의 의미에만 관심을 가지 고 있어, 대부분 어소의 층위를 분석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한자 개별의 어소 의 의미 혹은 한자와 한자를 이용한 단어의 조합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하 거나 그 이치에 대해 알지 못하 못하고 있어, 언어의 변화나 자의의 역사 속에서 의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여 동일하지 않은 언어 환경 속에서 사람들은 계속하여 어휘를 사용하면서 새로운 어휘를 생성하여 결국 어소의 의미에 상당한 변화를 생성해 내고 있다. 예를 들어,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缴纳税款的人’ 이 왜 ‘纳凉’, ‘接纳’, ‘收纳’, ‘笑纳’, ‘纳妾’, ‘容纳’, ‘吸纳’, ‘出纳员’의 ‘받는다’의 의 미가 전혀 다른 ‘缴交’가 되는가? ‘缴纳’의 반의어가 조합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 ‘纳’의 의미가 사라져, ‘人马’와 같이 현재에는 ‘马’의 의미가 사라졌다고 할 수 있 을까? 왜 ‘纳税人’ 중에서 ‘纳’이 돈을 내다라는 의미가 되는가?또한 ‘缴’의 의미 가 ‘纳’안으로 포함되었는가?혹자는 이것을 일차적 번역의 오류라고 말한다. 그 러나 언어는 이렇게 변화하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보자. 대만에서는 대륙에서 말하는 신부를 ‘陆妻’라고 하는데, 여기서 ‘陆’은 육지의 ‘陆’이 변화하여, 다시 중 국 대륙의 ‘陆’으로 변화한 것이다. 어소의 의미는 계속 축소하여 점점 더 정치화 되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의 부인을 ‘陆妻’라고 칭할 수는 없다. 비록 그가 미국 대륙에서 왔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더욱이 이 어소의 의미는 중국 대륙에서 온 학 생을 지칭하는 ‘陆生’과 같이 또 다른 어휘를 생성해 내는 생산력을 가지고 있다. 본문은 2012년도에 대륙에서 생산된 신조어를 대상으로 자의의 변화를 탐색해 보 고, 이 새로운 어휘의 어원 지식을 살펴보는 동시에 사전 편찬의 방법과 한자 자 의를 공부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여 보았다.
        5,400원
        127.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과 마카오 지역에서 시행되는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에서 시행되는 모든 교육은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출판되는 신문과 잡지 또한 대부 분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 마카오 지역과 중국 대륙 사이의 교류가 점점 활발해 짐에 따라 민간에서 사용되는 간화자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 며, 여러 곳에서 번체자와 간화자가 함께 사용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홍 콩고시평가원에서는 공개적으로 공식적인 시험에서 표준화된 간화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확히 표명하여, 홍콩의 중학생들의 학습과 한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 도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홍콩대학생의 간화자 사용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조 사하기 위해서 우리는 설문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보았다. 우선 2백여 개의 상용 간화자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 능력을 조사하였고, 다시 5백 여개의 간화자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휘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능력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로 백 여개의 간화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간화자를 올 바르게 쓰는가를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홍콩과 마카오의 대학생들의 간화자에대한 분별 능력과 쓰기 능 력을 보여주었는데, 홍콩과 마카오 대학생 대부분이 중국 대륙의 간화자를 분별하 였으나 한자를 쓰는데 있어서는 종종 홍콩식 간화자, 곧 대륙의 간화자형이 아닌 간화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향후 홍콩과 마카오의 어문 교육에 있어서 참 고할 만한 사실로, 한자쓰기 교육을 강화하여 학생들에게 홍콩식 간화자를 사용치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말해 주고 있다.
        5,800원
        128.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inese characters is a letter that is with the most primitive features and is even a dull letter since it took 5000 years to the advent of text hand we are using right now. If we think about Hangul: Korean alphabet which is a scientific letter was made in a generation, dullness of the Chinese characters can even more be highlighted. However, it is this dullness and the honest effectiveness that give the Chinese characters power since it accumulates cultural meanings, especially the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hrough concrete shapes and historical precipitations of long time. This study tries to attract the aspect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inherent in the Chinese characters and to devise a new way to learn Chinese characters that can suggest a humanistic vision. This can simpl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identifi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xisting books with regard to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While books focusing on grades are useful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y can easily neglect the cultural values. On the other hand, while books focusing on cultural aspects let people learn the cultural values based on rich expertise, they are not useful in learning the characters and lack perspective to creatively inherit and develop culture through Chinese characters. Second, the author found out that we need humanistic perspective to avoid disadvantages and encourage advantages. In other words, humanities can converge various cultures focusing on human and can be a foundation to create new culture. And the humanistic elements in the Chinese character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can lead to a more intensified learning. Third, the author investigated principles and ways to draw the element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in the characters. Radicals that take the major part of the Chinese characters are like the archetype that determined the language and imagination of people since they are the embodiment of objects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Chinese characters are not only the mean to record history, but also the historical event and fruit encapsulating the perception on the past affairs. Chinese characters show us the world view and the thinking system of ancient people in the East in their composition principles or operational principles. Finally, the author suggested an education method using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focusing on the word '人': human. In a historical perspectiv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rd is the embodiment of a person who works while bending his waste forward. And in a literary point of view, there are two poems included as an example that show a deep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In a philosophical view, the author suggested his view concerning the definition on human. And for the convenience to learn Chinese characters, the author emphasized that the Chinese characters are the essential elem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Korean by specifying important Chinese characters in the description with regard to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fter that, Chines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word '人'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explored ways to configure textbooks for Chinese characters using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is to find out cultural values hidden in Chinese characters and to couple them in to the education of humanities required by the era. While this cannot be a methodology with a clear and specific framework, this can be flexibly used depending on the diversity of majors of teachers and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6,100원
        129.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在這幾年連續去世了韓國兩位在野漢學家-許棌和李雨燮。他們都繼承儒家傳統學問,終身實踐儒家教訓以外,中間不斷綴文賦詩,又竭誠講學,其門徒早已成爲桃李滿天下。 韩国的汉学,继承了两千多年的传统,这么长久的时间里,汉学及儒学都成为韩国文化的枢纽,不但杰出的汉学家也数不胜数,而且儒家思想一直奠定了韩国统治理念及个人道德价值规范。我们认为这也就是韩国传统文化本源之一。 不过到了现代,西方的文物盖住了全韩国,传统学校一律被淘汰,全国设立西式学校,教西方的文物以代替传统学问,现在的初学到大学里都难以看到我们自己的了.虽然如此,但是还有些人继承传统文化及学术,在巷间里独自研磨,不過并没受到学界的注目, 我们叫他们‘在野学人’。他们两位都在釜山地区作了讲学等学问活动,不幸2006年与2007年两位相继去世,只相隔一年的时间,继承传统学问的两大学者又成了过去的人物。 他们也表现了学问就是以实事求是、经世致用的现实精神。在做人方面就要实践圣人的教训,在文章方面则要能缀文赋诗,这两方面都要俱全,这就是他们终身实践的态度。 他們是在韓國繼承漢學的最後一代,他們終身注重學問的實踐,和我們現代學者大爲不同。現代人主要談理論,不求實際,空理空談多。在此透過兩位傳統漢學家的實踐精神來提供檢討現代學問的端緖,就是本文的主要目的。
        6,100원
        13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dvocate of the exclusive use of Hangul asks to an advocate of mixed use of Chinese characters. We don't have any problems in delivery of meaning by only using of Hangul, and don't get any educational effects by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hen why do we have to study Chinese characters mixed that are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era, why do we increase studying burden and privat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n advocate of mixed use of Chinese characters ask to an advocate of the exclusive use of Hangul. We can't communicate clearly by only using of Hangul, and ㄴstudying Chinese characters strengthen thinking power, then why do we have to stop the mixed use of Chinese characters that is effective in education of students. There are big differences of opinion each other. How can we harmonize these two conflicting thoughts. In results, We have to stand not on the scene of a dispute but on the field of an education, and we have to watch and judge this problem as we think about my own child. Which is effective in understanding any vocaburary, and in improving Korean language ability? This question is the only one standard of choicing way to go. Learning and communicating capabilities, thinking and creating powers of studen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judging way to go. Any other factors have to be excluded.
        6,000원
        131.
        201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는 형 음 의의 세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그중 자형은 한자의 본체이다. 그러므로 자형을 분석할 때 먼저 한자의 자형구조를 파악해야만 한다. 필획, 부건, 정자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는 한자는 구조를 분석할 때 가장 핵심적인 것이 부건이다. 그러므로 한자의 부건을 분석할 때 자형구조를 인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중의 하나이다. 허신의 육서법이 세상에 나온이후 줄곧 한자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 와서 많은 학자들이 육서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많은 한자구조방법론을 내놓았다. 현재 한자의 형체구조이론중 가장 대표성을 지닌 세 가지는 육서와 구석규의 삼서설과 왕녕의 한자구형학설이다. 본 논문은 한자구형학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의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부건을 분석하고자 한다. 부건분석의 결과로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해내었다. 부건분석후 表意, 標示, 表形, 示音, 記號의 다섯 가지 부건을 도출해냈다. 1차 부건 분해 결과로 중학교 교육용 한자는 직접부건 489개, 고등학교교육용기초한자 554개를 분석했다. 그중 중복된 부건은 모두 291개로 1800자 교육용기초한자의 직접부건은 모두 752개이다.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기초부건은 335개이고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의 기초부건은 356개로 그중 중복되는 기초구건은 228개이므로,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기초부건은 모두 463개이다. 한국 교육용 기초한자의 구형모델은 모두 7개로 모든 기능영합성자, 會義 합성자, 音義합성자 ,標義합성자, 形義합성자, 義記합성자, 聲記합성자이다. 구형의 이치적근거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은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는 87.33%,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는 89.1%로 평균수치는 88.22%이다. 교육용 기초한자의 분석결과는 중국의 상용한자와 비교하여, 새로운 한자교육 방법론의 인식은 물론 중국어와 한자의 학습자에게 현대한자의 새로운 한자 학습 방법론을 익히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한자규범화 및 교육용 기초한자 선정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6,300원
        132.
        201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제5회 漢字・漢字 敎育 國際 學術 大會(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n Characters Education and Research)의 주제 발표의 하나로, 韓國의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을 紹介하는 연구 과제로 企劃되었다. 한자 교육 연구의 동향과 성과는 範疇에 따르는데, 한자 교육 연구의 범주와 구분에 앞서 한국에서 한자 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座標로 提示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몇 가지 次元에서 논의될 수 있는데, 한문(과) 교육, 국어(과) 교육, 그리고 중국어, 일본어 교육을 포함한 漢字文化圈 次元으로 收斂된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분야이다. 그리고, 한국의 지리적・언어적・문화적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한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비록 <그림 1>에서 표시하지 않았지만,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그림 1>에서 세로축을 기준으로 보면, (가), (나) 영역에 속하는 한자는 일상 언어 생활이나 국어사전 登載 어휘 가운데 ‘高頻度’ 군에 속하는 한자다. 造語力과 常用度 혹은 活用度가 높다. 한문 교육 차원, 곧 가로축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가), (다) 영역에 속하는 한자가 漢文 典籍에서 높은 빈도를 갖는다. 座標가 스스로 밝히듯이, (가)군에 속하는 한자들이 국어 교육과 한문 교육에서 모두 학습의 轉移 및 相互 作用 效果가 높다. (가), (다)에 속하는 한자군이 바로 현행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種이다. 한편, 한자 교육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연구 문제는, 1972년 이래 국어교과의 附庸으로부터 독립한 한문과의 위상이 외형적으로 좋아진 듯하지만 其實은 孤立無援으로 불안정하게 된 현실을 따져보면서, 한문과 국어의 連繫 내지 統合과 관련지어 조심스럽게 논의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된다. 한국의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과 성과를 범주별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漢文科 敎育課程 : 현재, 한국에서 한자 교육은 일차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가운데, 교과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으로 機能한다. 2009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가운데, 한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한 검토가 집중적으로 遂行되었다. 교육과정에 기술된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한자 읽기 교육, 한자 筆順과 관련된 성과가 提出되었고, 특히 韓國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초・중・고 한문 학습 字典의 현황과 編纂 방안’을 주제로, 한문학습 자전에 대한 종합적 연구 결과를 報告하였고, 2013년 ‘한문 교육과 創意・人性 敎育’을 주제로, 한문과에서 遂行 可能한 창의・인성 교육을 提案하였다. • 漢文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 : 2000년에 새롭게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調整된 이후,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史的 考察, 字義선정, 字形 고찰, 교과서 활용 방안, 형성자의 音價 변화, 의미 통일화 방안 등 제반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를 포함한 교육용 한자의 字量, 字種, 水準,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 측면에서 최근 컴퓨터와 코퍼스언어학의 발달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이 분야를 개척한 연구결과가 注目되는데, 한문교육용 基礎 漢字 선정, 한자 造語 능력, 한자 活用度,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용 基本 語彙․基礎 漢字 선정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 漢字文化圈의 漢字 敎育 : 한자문화권의 한자 교육에 관한 談論은 한자문화권의 再形成, 현대 한자문화권의 문자 사용과 범주, 한자문화권의 변화 등 한자문화권의 地形圖를 새롭게 照明하였다. 특히, 최근 연구 가운데 韓國, 中國, 臺灣, 日本의 한자 字典의 字形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한자 자전에서 標題字 자형 선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방면으로 한자 字形 標準化 방안에 대한 논의를 深化, 擴張시킨 보고가 주목된다. • 國語 敎育 혹 韓國語 敎育과 漢字 敎育 : 국어 교육과 한자 교육(혹은 한문교육)의 관계 양상에 대해 이전의 연구 성과로 連繫 내지 統合, 二元化, 그리고 一元化 방안 등이 제시되었다. 최근의 논의 가운데, 국어 교육에서 말하는 어휘 교육은 하나의 덩어리로 굳어져 일상적으로 부려쓰는 어휘의 의미 파악이 목표라고 말하여, 기호론적 입장에서 어휘 학습의 본질적인 목표인 의사소통에 한자 교육이 왜 효과적인지 타당한 근거를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주목된다. 한편,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2013년 춘계 학술 대회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위상 정립과 방안 연구의 필요성’을 기획 주제로 설정하고, 다방면에서 한국어 교육과 한자 교육의 연관성을 강조하였다. • 初等學校 漢字 敎育 : 초등학교 한자 교육은 어문 정책, 국어 교육, 그리고 한문 교육 등 이해당사자 사이의 爭點이 되어 왔다. 한문 교육의 경우,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현황과 실태, 교육과정, 성격과 목표 등이 핵심 주제였다. 초등학교 한자 교육에 대해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초등학교 한자(한문) 교육의 방안 모색’, ‘초등학교 한자 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 방향 정립과 실행 방안’을 기획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육 전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전개했다. • 漢字 敎授・學習 方法 및 評價 : 한자 교육 연구에서 가장 實際的 연구 분야가 바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영역이다.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는 ‘字源 硏究와 한자 교육’,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의 효율적 방안’을 기획 주제로 설정하여, 한자 교수・학습 방법 분야의 연구를 확대, 발전시켰다. 한편, 한자 교육 평가 분야에서 韓國漢文敎育學會는 ‘동아시아 삼국(韓・中・日)의 한자 능력 평가 및 한문 교재의 현황과 전망’을 기획하고, 한자능력검정시험을 다방면에서 照明하였다. 한국에서 한자 교육을 포함한 한문 교육의 形勢가 점차 衰落하는 것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總論 編制에서의 수업 시수 감소와 ‘한글 전용’에 기반한 국가의 語文 政策과 깊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배경으로 정치・경제・사회・교육 등 제반분야에서 이른바 동양 문화 혹 한자 문화의 영향력이 사라지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문화의 도도한 浸潤과 의식의 感染을 들 수 있다. 향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가운데 하나는, 국어(과)와 한문(과)의 連帶 속에서 두 학문[교과]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인데, ‘한자 교육’은 연대의 핵심에 놓여 있다. 連帶와 調和 위에서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 교육, 한자문화권, 초등학교 한자 교육,방법과 평가, 교육용 한자 등에 대한 연구 수행 및 결과가 실제적 結實을 맺을 것이다.
        7,700원
        13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저학년 학생들이 쉽게 글자를 틀리게 서사하고, 쉽게 잘못 인식하는 태도에 중점을 두고 서술되었다. 선행 연구의 기초 위에서 字理교수법과 部件교수법을 상호 비교하여 보았다. 모 소학교 2학년의 두 개반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字理교수법이 部件교수법보다 학생들의 한자 학습에 더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한자의 조자 방법을 분류하고, 字理교수 학습법을 제안하였다.
        7,000원
        13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學과 漢字 敎育은 그 목표와 성격을 서로 달리한다고 볼 수 있지만, 한자 교육은 한자학의 학문 체계와 이론에 기반하는 부분이 많이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한자학 이론에 대해 탐구하면서 이 가운데에 한자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은 한자 교육에 대한 연구를 더욱 심도 있게 수행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자학 각 분야의 이론을 한자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본고는 중국에서 1990년대부터 한자학의 한 분야로 등장한 漢字文化學에 주목하여 그것의 연구방법론을 한자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론에서는 먼저 현행 한문교과서에서 古代 文化와 한자를 관련지어 설명한 부분을 찾아 제시하면서 이것이 한자 교육의 유용한 한 방법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으며, 또 여기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어서, 한자 관련 서적에서 고대 문화와 한자를 연결시켜 설명한 몇 가지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또 한자의 구성 요소인 部件에 주목하여 그것의 본뜻이 여러 한자에서 활용되는 양상을 고대 문화와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예를 들면, 敎・改・學・孝・流・育・保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들 한자가 묘사하고 있는 고대 사회 어린 아이의 모습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이미 널리 알려진 子 뿐만 아니라 己・・呆도 아이를 뜻하는 부건으로 쓰였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에 제시된 한자와 고대 문화를 연계하여 설명하는 방법에서는 완정한 하나의 한자를 위주로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본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部件이 지닌 자원과 문화적 요소를 검토하고 그것이 활용된 한자를 정리하는 것 또한 한자 교육 방법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7,700원
        13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inese Characters in stone inscription in Chinese middle ag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of the Chinese history and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s. It is very hard word to use these materials for huge quantity, large time span, and spread over different area, so it is necessary to build a database to promote the research work on Middle Chinese Characters. Before this work, creating a set of standards is important basic work. This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re are only some preliminary considerations on the Chinese Characters in stone inscription in Chinese Middle Ages. In the futu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ork more scientific standards will be further discussed.
        4,300원
        13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study of Thai-Chinese transliteration(referring to the Thai-Chinese Dictionary, The Foreign Name Handbook, and The World of Country Maps), it is found that some Thai place's names derived from Chinese language, but have different versions of pronunciation due to dialect language usage. The Thai-Chinese Dictionary transliteration, based on Chaozhou dialect, sound and pronunciation are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Name Handbook and The World of Country Maps transliterations which are based on Mandarin pronunciation. To be more precise, there are [-p], [-t], and [-k] consonants in Thai language but there are only [-p] and [-k] consonants in Chaozhou dialect. When a Thai word which ends with [-t] sound, Chaozhou uses the [-k] sound instead. However, because there are no similar consonant sounds in Mandarin, Thai words must be uttered the same tone as existing words.
        5,700원
        13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make up meanings of three characters "shi"、"wen" and "di" by the help of the abroad meanings and the usages in ancient literature corpus. It’s a good way to explore the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by the usage being corroborated in domestic literature and abroad corpus.
        4,500원
        139.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5,400원
        140.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홍콩에 있는 12곳의 유치원에서 한자 인지 독해 정도를 실험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생들과 비중국인 학생들이 한자를 인지하고 독해하는데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고, 비중국인 학생들에게 중국어 교육을 시행하는데 있어 교육용 한자가 지니고 있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중국인 학생들이 12곳의 유치원에서 접하게 되는 언어(광동어)의 시간은 매주 가장 많게는 840분이었으며 가장 적게는 150분이었다. 실험을 통해 우리는 같은 반에 있는 학생들 사이에서도 한자에 대한 인지와 독해 능력에 매우 큰 개별적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통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중국인 학생들과 중국인 학생들의 한자 인지와 독해 능력에 대한 실험 결과는 확실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동어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세 곳과 영어를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학교와의 비교에서는 학생들의 한자 인지와 독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완전히 영어만을 사용하는 한 곳의 학교의 유치원과 비교해 보면 학생들이 인지하고 사용하는 한자의 수량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비중국인 학생들은 이전에 써보았던 한자를 인지하고 독해하는 능력이 중국인 학생들보다 낮았으며, 쓸 수 있다고 하여 반드시 소리 내어 읽을 수 있음도 아니기 때문에 교사들의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