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4

        141.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years, there is increasing demand for seedling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However, the bare-root nursery of the species has been reported to be challenging due to meteorological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levels of shade and fertilization of container-grown D. macropodum, which has shade tolerance in seedling stage. The shading treatment was regulated with the shading level of full sun, and 35%, 55%, 75% of full sun. The fertilizing level was made by regulating Multifeed 19 (N:P:K =19:19:19, v/v) with 1000mg·L-¹, 2000mg·L-¹, 3000mg·L-¹, together with the control. The height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3000mg·L-¹ under 55% of shading. The root collar diameter was surveyed to be the highest in 1000mg·L-¹ and 3000mg·L-¹ of full sun. A case of the whole dry mass production was surveyed to be the highest in 3000mg·L-¹ under 55% of shading and 2000mg·L-¹ under 35% of shading. Moreover, the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oduction and sound growth of D. macropodum seedlings by container nursery; consequently, the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seedlings of D. macropodum that is to overcome meteorological disasters from bare-root nursery.
        14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용 참나무 선발을 목적으로 도입된 루브라참나무는 1972 년 원산지로부터 도입하여 적응성 검정 결과 생장과 재질이 우수하고 적응력이 뛰어나, 1991년 추가로 23개 산지를 도입 하여 각 산지별 75본씩 소규모 산지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New York와 Vermont주 루브라참나무의 수고생장이 우수하 였고, Minnesota주와 Virginia의 생장이 불량하였다. 직경생장에서도 수고생장과 유사한 결과가 나왔으며, 특히 수고생장 이 불량한 Minnesota주와 Virginia주는 직경생장도 불량 하 였고, 직경생장이 우수한 지역인 Illinois주와 Vermont주의 수고 생장은 상위 그룹에 속하였다. 수종별 생장에서 루브라 참나무는 상수리나무보다 약 30% 생장이 우수하고, 알바참 나무와는 약 300% 생장이 우수하였다. 특히 재적생장에서 루 브라참나무는 상수리나무보다 약 3배가량 재적생장량이 좋았 다. 수간의 형태적 특징에 따른, 통직성 조사시 가장 우수한 산지는 캐나다의 Qubec주의 Beloeill 산지였고, 가장 불량한 산지는 Wisconsin주의 Sauk Country 산지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우수한 Qubec주의 Beloeill 산지는 우리나라 향토 수종 인 상수리나무(Control) 보다 생장에서 약 3.5배 우량한 특징 을 보였다. Beloeill 산지는 다른 산지들에 비해 수간이 통직 하고 우량하여 우리나라의 기후 풍토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생장과 통직성 조사시 우수한 산지는 북위 43~46°에 분포하는 미국의 New York주와 캐나다 Qubec주 의 루브라참나무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루브라참 나무는 국내 수종인 상수리나무보다 생장이 우수하고, 로버참 나무와 알바참나무보다 적응력이 뛰어나 유망해 보여 도입수 종으로서 산지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44.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have the basic and applied information to develop the cultivation methods and models an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high-quality ginseng. Plant height wa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to four years old, and then it was grown up very slowly. Stem length was shown similar tendency as the plant height did. Its range were from 9.4 cm in one year old to about 42.4 cm in four year-old ginseng. The leaf area was clearly increased until four years old, 10.1cm2 in one year old to 204.9cm2 in four years old, while it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four years old. Root length w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until four years old, and then it was grown up very slowly. Tap root length which was measured was appeared about 8 cm from three years old to six years old, showing not much different among the year-olds. The root diameter w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to six year-old ginseng, about 2.9 mm and about 19 mm,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on the shoot than that on the root. It was slightly decreased as they were getting old. In shoot part, the rate of leaves and stems based on dry weight was about 1 : 1. In the root, the dry weight of tap root was heavier than that of lateral root. The dry weight of shoot was decreased after four years old, while it of the root was continuously increased until six years old, resulting the production of ginseng ro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 and root of ginseng were dramatically increased from one year old to four years old and then their growths were appeared different between shoot and root, showing not much growing in shoot and keep growing in root.
        145.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염중인 간척지 토양에 감자재배 가능성을 검토코자 새만금 간척지 토양을 대조구를 포함한 4수준의 염농도로 조정하여 충진한 포트에 5개의 감자 품종을 식재하여 시험을수행하였다.1. 토양염농도에 따른 감자 입모는 4.8 dS m-1까지 결주없이 균일하게 입모 되었다. 염농도별 감자 출현소요일수는 숙전토양 비하여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3-4일이 지연되었고, 3.2 dS m-1에서는 6-10일이,4.8 dS m-1에서는 7-13일이 지연되었다.2. 토양염농도에 따른 경수는 숙전토양에 비해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각각 14%-58%가 감소되었으며,이후 토양염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가 심했다. 초장은주당 경수가 적었을 때 커지는 경향으로 염농도보다경수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3. 괴경 수량은 대조구 대비 1.6 dS m-1일때 33.7%, 3.2 dS m-1일때 59.5%, 4.8 dS m-1에서는 79.3% 가 감소되었다.4.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수량의 감소가 시작되는 염농도를 분석한 결과 추동은 1.2 dS m-1, 추백은 1.8 dS m-1,추강과 추영은 1.9 dS m-1, 그리고 수미는 2.0 dS m-1이었고, 수량의 50%가 감소되는 염농도는 추백은 2.4 dS m-1,추동 2.45 dS m-1, 추강 2.81 dS m-1, 추영 3.03 dS m-1,수미는 3.29 dS m-1였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간척지 재배에 적당한 감자품종은 수미로 판단된다.
        146.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 weight on different asp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Quantity of sinapine leaked from seed was greater as the viability of seeds was dropped by the time elapsed of seed aging model and long storage condition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The cultivar of safflower was Jin-Sun and the seeds that are separated to three different weights of small, middle, and larg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Large seeds revealed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 coleoptiles fresh weight, coleoptiles dry weight, radicle fresh weight and 1000 seed weights than other seed weight. Seed weight had little effect on yield while seed number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Interestingly, yield per plant and its major components, number of capsules and capsule weights, revealed a negligible relationship with oil content.
        14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have the basic and applied informations relating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ginseng. 2 years-old ginseng was cultivated under hydroponic culture with the controlled environment conditions in a greenhouse. Major growth characters and yields were investigated with two different temperatures and several growth stages. The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were higher at low temperature than those at high temperature. They were not clearly different with six different growth stages. The root length was not clearly different between two temperatures; however it was continuously grown from June until August. The root diameter was higher at low temperature than that at high temperature. It was rapidly increased from June until August. The length, width, and area of leaf were higher at low temperature than those at high temperature.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different plant tissues were also heavier at low temperature than those at high temperature. The moisture content of ginseng root was continuously decreased from June until August. The yield of ginseng was higher at low temperature compared to that at high temperature. The cultivating conditions in hydroponic culture of ginseng, especially temperature, would be an important factor to have better growth and production.
        148.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상가치가 높은 상록활엽수 4종에 대하여 실내조경소재로서 도입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차광률 0, 35, 50, 75, 95%로 달리하여 실험구를 조성하고 생육상태와 광합성반응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으로 그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생육특성을 살펴볼 때, 까마귀쪽나무와 돈나무는 차광률 95%까지 그리고 금목서와 홍가시나무는 차광률 75%까지 양호한 생육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 변화는 생육특성에서 나타난 결과와 유사하였다. 상대적으로 까마귀쪽나무와 돈나무는 차광률 35~95% 범위에서 차광 정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순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금목서와 홍가시나무는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고 차광률 95%에서는 오히려 총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광합성능력은 4수종에서 3가지 유형의 순응 반응을 나타냈다. 차광률 95%에서 불량한 생육을 보인 금목서와 양호한 생육을 보인 돈나무는 전형적인 양엽과 음엽에서 나타는 광합성능력 차이를 나타냈다. 돈나무와 유사하게 차광률 95%에서 양호한 생육을 보인 까마쪽나무는 양엽과 음엽 간에 광합성능력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양수에 가까운 중용수로서 차광률 95%에서 불량한 생육을 보인 홍가시나무는 차광률 35%에서 가장 높은 광합성능력을 나타냈다. 최종으로 각 수종에서 차광에 따른 광환경의 순응 정도, 즉 내음성을 광보상점으로 평가하면, 금목서는 차광률 75%인 968lux 이상, 까마귀쪽나무는 차광률 95%인 273lux 이상, 돈나무는 차광률 95%인 331lux 이상, 홍가시나무는 차광률 75%인 565lux 이상의 광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9.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속하게 생장하는 소나무의 조기 선발인자를 구명하고자 32년생 소나무의 풍매차대 검정결과로 얻어진 재적지수를 기준으로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선발된 12가계의 생장특성과 동일한 가계의 유묘 생장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선발된 12가계의 종자 특성과 동일 가계의 성목 생장특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다만 소나무 유묘의 초기 생장과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별 1년생의 유묘 건물중과 성목의 재적지수(32년생)와는 1%의 유의적 정의 상관
        150.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held to identify the germination feature of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which has high economical value. Seeds were collected in the Mt. Changbai in China. To eliminate dormancy of the seeds, chilling treatment were carried out in the 5 ℃ refrigerator. 30 days, 60 days, 90 days,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s were taken. After being Treated, seeds were under 15, 20, 25 ℃ of temperature and light, dark conditions respectively to see the differences in germination. Within many features, germination ratio of seeds and germination period were investigated. Also, features related to early growth were checked through the closer look into acrospire, growth of cotyledon of young plant. Over 30 days of chilling treatment was all effective. Especially,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The seeds germinated well in the light conditions.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 15 ℃, light conditions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conditions as 54.5% of the seeds germinated. The germination period was 4.29 days. 30 days after germinating, length of the aerial part had been 1.90 cm. But after 45 days, the length grew rapidly to 4.58 cm. Fresh weight of scales plant was also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45 days. Therefore, transporting the plant 45 days after seeding judged to be good.
        152.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트로브잣나무의 미국 6개 산지의 생장을 분석한 결과, 남쪽산지인 Georgia와 North Carolina 산지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 전체적인 생장의 경향은, 남쪽 산지의 생장이 우수한 반면 북쪽 산지의 생장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으며, 잣나무에 비해 평균 2.4배(1.7~3.1배) 정도 재적생장이 우수하였다. 유시생장의 순위가 27년생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 되었으며, 이는 우수산지에 대한 조기선발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15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리나무 실생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 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변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채종원 임령 12년생 때의 평균 수고는 9.96 m, 평균 흉고 직경 14.50 cm, 평균 지하고 1.04 m, 평균 수관폭 6.80 m, 평균 가지각도는 18.82^º이었고 평균 통직성 등급은 2.58로 조사되었다. 수고생장에 있어서 075 및 052 가계가 우수하였던 반면에 0511 및 0517 가계는 불량한 것을 나타났다. 또한
        15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나무 풍매차대의 유시와 성숙기 이후의 생장 패턴을 비교하고,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종자는 1978년에 강원도, 경기도, 충청북도에서 선발된 수형목으로부터 채취되었다. 차대검정림은 1981년에 강원 춘천, 충남 공주, 전남 나주 등 3 지역에 조성되었으며, 총 30가계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일정 시기별로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재적지수를 산출하였다. 수고,흉고직경 및 재
        156.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테다소나무의 생장은 포지에서는 산지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림지에서 30년생에 이르면 수고, 흉고직경, 재적 등 모든 특성에서 산지간 차이가 있었으며 비교수종인 리기테다소나무에 비하여 재적생장이 약 1.3배 정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생장은 수고 15.6 m, 흉고직경 25.0 cm, 재적 0.369 m3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Worcester, Greene, Berkeley산지는 0.4 m3이상의 재적생장을 보여 형질이 우수한 산지로 나타났다.
        157.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내습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을 5엽기에 9일간 침수 처리한 후 잎과 배축을 대상으로 횡단면을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 다음과 같다. 1. 엽록소함량, 광합성, 책상조직 수, 엽두께 및 잎 건물중은 습해에 의해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풍산나물콩보다 소백나물콩의 감소가 더 많았다. 2. 잎 조직의 책상조직의 치밀함은 습해에 의해 급격히 감소되었고 품종간 차이도 관찰되었으며, 풍산나물콩은 주맥의 통도조직 중 목부의 발달을 볼 수 있었다. 3. 배축의 통기조직 형성은 소백나물콩은 보이지 않았으나 풍산나물콩은 피층에 파생통기조직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58.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 군락으로 자라고 있는 은방울꽃 개체군의 개체 내 각 기관들간의 상호관계, 생식기관의 변화, 종자의 생산량과 개체의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귀여 2리에서 2002년 4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하나는 생식기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였고, 다른 하나는 각 기관들의 상관관계와 종자생산의 에너지 분배를 파악하기 위해 채취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은방울꽂 개체군의 특성에서 영구 방형구 내 개화하는 개체의 잎 장수는 평균 2장이었고, 나중에 나온 잎의 크기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체 당 평균 7.9개의 꽃을 피우며, 나중에는 평균 5.4개의 열매를 맺고, 평균 16.1개의 종자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잎의 크기, 지하부의 크기 및 생식기관의 각 속성들간에는 1% 및 5%내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은방울꽂의 개화 시기는 4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였으며, 이로부터 추정한 개화지속기간은 대략 8~9일이었다. 5월초에 개화한 개체 중 80%가 5월말에 열매로 남았고, 8월말에는 68%가 열매로 남아있었다. 넷째, 생산된 종자의 건중량은 총엽면적보다 지하부의 건중량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160.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량품종 육성을 위해 선발된 헛개나무 차대묘 20가계의 생장특성과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묘고는 61.6cm, 평균 근원직경은 6.98mm였으며, 가계별로는 KW 2-5 가계가 평균 묘고 79.3c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반면 근원직경에서는 JN 2-2 가계가 평균 9.16m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묘고와 근원직경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KW 2-5와 JN 2-2 가계는 가장 낮은 생장을 보인 가계들과 비교하여 각각 57%와 53%의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묘고와 근원직경의 초기생장 상위 1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와 JN 2-2 가계가 전체 가계 평균에 비해 125%의 선발 효과를 보였으며, 상위 2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 JN 2-2, KW 1-1, KW 1-15 가계에서 115%의 선발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엽장과 엽폭,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및 엽형지수와 측맥수 등 6항목에 대하여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변이계수는 9.4~42.4%로 나타나 변이 폭이 큰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특성의 변이계수가 각각 42.4%와 28.7%로 다른 특성들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조사된 엽특성들은 모두 가계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엽장과 엽형지수간 상관을 제외한 모든 특성들간의 상관에서는 정의상관 관계가 인정되었고 특히, 엽장과 엽폭특성간의 상관계수가 0.8049로 나타나 두 특성간에 매우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