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8

        141.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safety of the scaffold structures used wire rope. The structural safety on the scaffold structures with wire rope and boiler furnace was evaluated. As a results, all assessment structures with wire ropes were checked to be safe.
        14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basic research logic stating that the systematic improvement of rural housing plot's boundary barriers should call for the integrated consideration of their on-and-around installing settings, this study tries to analyse characteristics of installing environment of boundary barriers for improvement works of th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screening process, 3 influencing and appraisal factors were determined: main house-boundary barrier shortest distance as on-site factor, building coverage as inside one, and attached road width as outside one. 21 study villages were subgrouped into structurally improved(9) and not(12). Site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has varied very much, i.e. in some cases it is positive or complementary, but in other cases, negative or crossed. Therefore this study would propose that differentiated and flexible strategies with integrated consideration of on-and-around site installing settings be applied in their improvement projects rather than village-wide unified or straight forwarded ones.
        143.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lative importance for the perception of managers on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was evaluated using the AHP method. The fields for evaluation were 4 fields including human relationships, working conditions, work compensation and work burnout. Also, the relative importance for the perception of managers and priority order were analyzed through 15 evaluation item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human relationships among 4 fields we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ield, followed by work compensation, working conditions and work burnout. Also,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irperson for the human relationships, continuity of employment for the working conditions, salary for work compensation, and mental stress for work burnout were considered respectively as the most important item. Also, salary among all evaluation items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item for the relative importance, followed by continuity of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village residents and mental stress. However, work load, consulting firms, impersonal treatment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administration showed relatively low importance and priority order. It is considered that this analysis result will be used as important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the role of manager in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144.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farming area,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year after year. And the gap between farming area and the city regarding quality of life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Besides, it has much poorer ground for living than the city. The current farming village maintenance project is adopting a different system now from the top-down project exclusively led by the government in the past to the bottom-up one reflecting how the residents think positively. Lack of the residents' understanding and education about the maintenance project, however, some of them are just focused on maintenance and development distorted from making a village where people want to live. Accordingl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by their types based on field research and spatial analysis using Space Syntax in order to develop more premeditated and effective maintenance plans to perform maintenance in farming area. As a result, When you install streetlights street lights should be installed at places with a high of Connectivity and spatial depth is deep. Based on this method, the research is going to suggest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furniture improvement in the villages and the proper positions for their future installation.
        145.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review the current economic measures to be used to assess the economic effects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to find some effects not included into the current measures, and to suggest new additional economic measures. So thus, economic assessment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has been criticized to be overestimated. For example, some research reported that the projects enhanced rice productivity by 20% or 30%. We suggest four new measures to evaluate economic effects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projects: (1) enhancement in productivity, (2) switchover from low-income crops to high-income crops, (3) rises in land price, and (4) lower fluctuation in production.
        146.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원자산을 활용한 공원재정비에 의한 공간구성의 변화가 이용형태 및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한국의 도시공원의 재정비사업의 계획론적인 관점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요코하마시 카나자와구의 토미오카 no.5 공원의 재정비사례를 대상으로 2회의 걸친 공원 이용자 설문지 조사와 지역주민, 행정 담당자, 재정비공원 설계자를 대상으로 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확인 된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한국의 도시공원 재정비사업의 방향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첫째, 향후 공원재정비 사업의 적극적인 추진이 예측되는 한국에 있어서 공원자산에 관한 이용자의 인식도조사를 통해 파악된 공원자산을, 적극적으로 보존 및 활용한 재정비 수법은 공원의 평가와 만족도향상에 유효하며, 공원 자산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에 대한 인식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재정비를 위한 주민설명회에서 확인 된 공원에 대한 지역주민의 요구와 지자체의 공원재정비의 목적과 과제의 파악을 통해, 이에 맞춰 명확한 설계의도를 설정하는 것은 이용자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재정비 사업의 프로세스라고 볼 수 있으며, 재정비를 포함한 도시공원정비 사업추진에 시민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14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자원 사업의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그 사업이 추구하는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치의 수렴이 중요시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목적과 가치의 관계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준과 대안들이 선정되어야 한다. 또한 선정된 대안에 대해서는 개별사업의 중요도를 바탕으로 한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특히, 댐 직하류 하천정비사업과 같이 내재된 가치가 복합적이고 판단기준이 다양한 경우 최적의 대안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다기준의사결정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거 연구에서 수행되어 제시된 댐 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의 투자우선순위로부터 상위 10개 대안을 선별하고, 이를 순위선호 결정에 장점이 있는 PROMETHEE 기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기준별 가중치는 AHP 기법에서 제안하는 고유벡터법에 의해 산정된 값을 적용하였고, PROMETHEE 기법에 의해 재선정된 투자우선순위 결과는 각 평가기준에 대한 대안들의 상관성 및 특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데 효과적인 GAIA 기법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총 10개의 대안 가운데 주암조절지댐, 운문댐, 용담댐 순으로 투자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와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PROMETHEE 기법은 댐 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대안이 고려되는 의사결정 문제에서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정보로 이루어진 의사결정 과정의 내부적 구조를 GAIA 기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다소 복잡할 수 있는 의사결정 평가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148.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lue and functionality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have been neglected in the aspects as the buffer zone(boundary barrier) that links between the inside space(housing site) and the outside space(roa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evaluated conservation value, economical efficiency and durability by the types and materials of the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 through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By applying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boundary barriers on total 21 case study villages, each factor value was measured. And using Matrix Analysis Technique, the boundary barrier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and the improvement ways for each type were propose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showed similarity value(more than 0.85 out of 1). But economical efficiency of those was low(less than 0.5 out of 1) and those functionalities were very lacking(about 0.3 out of 1). In the conclusion, the maintenance of boundary barriers in rural villages requires the policy that is able to complement conservation value and economical efficiency and is proper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village. These renewable policies would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the value of rural amenity as well as creation of economical and social value.
        14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policy for regional development in bottom-up style is introduced, each local government reflects opinion of regional residents and experts, and continues to strive for active use of regional capability and natural resources. As a result, there are active movem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Eup and Myeon unit or village unit inside local government.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n areas of Eup and Myeon is proceeded with a goal of improvement of life quality for regional residents through strengthening base function of Eup and Myeon areas and improving function of basic service by expanding facility of optimal level availabl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such as educational, cultural, welfare facility etc. in Eup and Myeon areas which are base space of rural communities. For analysis method of region for selecting areas where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s done, this study suggested analysis of connection structure based on interaction and analysis of centrality. And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Buyeo province in Chungcheongnamdo.
        150.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자연재해에 대한 지속적인 대비와 예측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인간은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오랜기간 꾸준하게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재해의 피해 또한 인간의 노력 이상으로 커지고 있으며 자연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정비사업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효과분석이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대상지구를 선정하고 지역주민 현장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빈도 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AMOS)을 통하여 정책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연재해정비사업의 정책은 합리성과 적합성이 담보되어 있고, 지역주민의 정신적·물리적 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비사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였으며, 정부의 정치적 지지도까지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재해정비사업의 진행은 합리성과 적합성이 담보된 사업이고 이는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 건전한 민주주의 발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Gasangri, Yeongcheon city area, based on the use of the cultural factors and strengthening them in study area. Unlike other cases of today's Korea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is plan keenly concerns not only for tourists but also for the village people. Since culture means the quality of life also, this project especially deals with 'community', 'well-being', and 'convenience' for the inhabitants. On the other hand, it attempts to connect with "Cyan Museum", which is the first grade art gallery remodelled from closed school, to make village of culturally abundant atmosphere. In result, seven sub-projects of the expansion of basic living foundation, and two improvement of landscape in area have planned. Among stereotype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similar programs of tourism, the project makes difference on targeting for the meaning and resource of place culture.
        152.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Namsunghyun 'Gamggot(persimmon flower)' area, based on local tourism resources. For more efficient use of local tourism resources, questionnaire surveys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were conducted. On the base of the results, the vision and objectives were established. And each items of project by division were also considered by the results of such surveys. Finally, priority scores of each items of project, based on importances and weighted value, were derived for more efficient propulsion of project and to construct sustainable rural community.
        15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본의 신법에 의해 시설정비가 된 실제 도시공원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설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제도상의 문제점이나 개선안 등, 도시공원에 있어서의 유효한 BF의 적용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정비된 시설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는 높았지만 화장실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게시판의 높이와 정보내용에 있어서 두 계층 간에 상반된 평가가 나타났다. 둘째로 유는 도로의 폭, 계단, 경사로, 화장실의 출입구 넓이, 내부 넓이, 세면대, 변기, 유구시설의 모든 항목, 게시판의 높이가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무는 출입구 폭, 도로의 폭, 계단, 경사로, 화장실의 문, 세면대, 변기, 유구의 시야 이외의 모든 항목, 게시판의 내용이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로 기준에 의해 정비 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각 시설에 대해 이용자들의 다양한 불만과 요구사항이 존재했다.
        15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sparities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between Guns(rural counties), and between Eups/Myuns(rural districts) in Jeollanam-do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imensions of regional disparity in basic living structure were measured by 3 components ; road, public water service and sewage disposal. By utilizing the published statistics, this study has examined 8 Guns(counties) containing Eup and Myon in Jeollanam-do province which can represent 4 different rural areal types, respectively, i,e. mountainous, semi-mountainous, flat and seashore areas. The data acquisition time of this study is fixed on end of 2009 year in order for possible collections of the most recent published statistics. It presents evidence on the magnitude and evolution of discussion of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Guns(counties), and between Eup & Myon, and between Myons in Jeollanam-do province even though infrastructure provision level of Jeollanam-do rural areas are much more improved than the past. Concludingly, the existing disparities in this area is meaningful and so, it should be seriously reconsidered when deciding local government's budget allocation priority.
        156.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댐이 건설된 이후 댐직하류 하천구간은 하천구역내 사유지 경작과 하상주차장 등의 입지, 사주가 발달하여 하폭감소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하천정비의 미흡으로 홍수시 하천통수능력이 감소하여 유역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댐 운영조건도 일부 제약을 받고 있는데 이의 해소를 통한 댐 기능의 회복과 운영의 효율성 제고가 하천의 치수 안정성 확보와 함께 개선대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댐 운영관리개선과 연계된 댐직하류 하천정비사업이 시행되고 있는데 사업의
        157.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댐의 계획과 설계단계에서 설정된 유효저수용량은 여러 가지 이유로 운영단계에서 잘 지켜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댐은 운영과정에서 내 외적인 주변여건의 변화로 본연의 운영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의 목표 달성을 위한 기능회복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며, 관련 대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댐 하류하천의 부적절한 관리는 댐의 홍수조절기능과 하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국 댐의 다목적 기능을
        158.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하천재해의 대부분이 지방하천과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반하여 소하천의 정비율이 지방하천에 비하여 월등히 낮고, 기존의 정비도 수해복구 위주로 진행되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어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 소하천정비사업의 예방투자에 대한 연구 및 소하천 설계기준 개정 등에 관한 준비가 진행되고 있어, 향후 소하천정비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소하천 정비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함에 있어, 정비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계획 및 설계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하천은 지역별로 지형, 수문, 수리적 특징이 매우 다양하므로 소하천의 피해사례, 성공적인 정비사례 등을 분석하여 소하천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적정한 정비방안을 수립하고, 하천의 기본기능인 치수, 이수,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설계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친수적인 기능을 가미한 경제적이고 홍수에 안전한 소하천을 계획하고자 한다.
        159.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로 인한 하천재해의 대부분은 지방하천과 소하천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소하천의 경우 주로 미 정비하천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조사 결과는 소하천정비사업비가 증가함에 따라 소하천 피해 또한 변동성은 있으나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소하천정비사업이 소하천의 재해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비사업 수행시 재해예방을 위하여 위험도가 큰 소하천을 우선지원하고 산간지역이나 보존지역 및 농경지 구간과 같이 상대적으로 정비효과가 낮은 소하천은 정비사업 대상 선정 시 제외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하천정비가 반드시 필요한 소하천을 우선 선정하기 위한 선정기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 소하천정비사업 선정기준은, 재해위험이 높은 하천을 우선 선정함으로써 최소한의 소하천정비사업 비용으로 최대한의 재해예방효과를 거두기 위한 선정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160.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하여 지금까지 수행된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에 대해 비용대비 효과성을 분석했다. 최근의 재해이력을 고려하여 8개의 분석대상지구를 선정하였으며, 편익·비용비(B/C)를 사용하여 투자효과를 분석하였다. 해당지역의 과거재해이력을 활용하여 편익을 산정하였으며, 비용은 총사업비로 적용했다. 8개의 분석대상지구에 대한 분석결과는 피해규모, 할인율 등의 인자에 따라 다른 범위에서 B/C>1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8개의 대상지구에 대한 평균 B/C는 1.78로 1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으로 인한 투자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