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8

        14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산업 분야 63명의 고용주 및 현장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이주여성 고용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등을 알아보아 현재 원예산업 분야 다문화 이주여성 고용에 대한 현실을 알고 그에 따른 맞춤형 취업 교육 요구도를 높여 원예산업 분야 고용 확산을 꾀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원예산업 분야 구인특성 요인, 원예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현장 직업 기술 능력, 다문화 이주여성 고용에 대한 인식 및 의사로 구성하였다.원예산업 분야 구인특성 요인으로 한국인 고용 시 가장 크게 요구하고 있는 사항은 원예 작업기술(31.7%), 인간관계 능력(22.2%) 순이었으나 이주여성 고용 시에는 언어(50.8%), 문화 적응(20.6%) 순으로 나타났다. 원예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현장 직업 기술 능력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작업하는 능력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다문화 이주여성을 고용하지 않는 고용장벽에 대한 인식으로는 언어소통의 문제, 한국인과의 근로능력의 차이, 문화적인 차이를 들었다. 다문화 이주여성 고용에 있어서 원예산업 분야의 유익에 대하여는 업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14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외피녹화와 달리 실내녹화는 공간이용 고객의 요구나 민감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용자의 선호도 및 트렌드 조사를 통하여 식생선정, 공간점유, 공간 배치, 디자인 유형 등을 업무공간에서의 실내녹화 공간 표준유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응답자의 업무공간은 현재 90.4%가 식물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 ‘주업무공간’과 ‘입구, 현관’에 많이 위치하고 있었다. 실내녹화의 형태는 화분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며, 실내녹화에 대한 선호도도 높았다. 세부공간은 ‘주업무공간’, ‘휴게공간’에 녹화를 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2~3개소를, 빈 바닥면적의 1/10~1/5에 바닥과 벽에 녹화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화분형태로, 목재 재질을 사용하여 마감하고, 자연석과 조명을 첨경물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사용하는 식물은 2~3종을 관엽과 꽃을 혼합배식하는 형태를 선호하였으며, 중간크기의 밝은 잎을 가지고, 20~50cm의 크기에 가로세로 풍성한 형태의 식물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업무공간의 ‘주업무공간’은 공간의 구분과 함께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휴게공간’은 심리적 안정과 육체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준유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녹화의 설계에 적용 공간유형별 사용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는 표준유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실내녹화를 도입할 시 이용자들의 선호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에는 실질적인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진행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4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요트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의 요트관광 선호도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통해 요트관광 마케팅 전략수립과 보다 효과적인 요트관광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광역시 요트경기장과 해수욕장을 방문한 외부 방문객 및 시민 300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해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요트관광 상품 구매의사는 64%로 요트관광 수요는 낙관적이었으며, 지불가능 지출액은 일일기준 10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의 요트관광에 대한 선호도는 요트체험 및 교육 중심 프로그램으로 주말이나 방학 및 휴가기간을 이용해 당일 또는 1박 2일 요트관광 상품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요트관광의 목적은 여가 및 위락 그리고 선호 동행인은 가족 및 친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들의 요트관광 제약요인은 요트관광 비용, 시간소비형 관광활동 그리고 다양한 상품의 부재가 주요인이었으며, 선택요인은 관광비용, 연계관광 상품 그리고 요트관광 상품의 질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요트관광 활성화 방안 중에 요트관광 상품의 개발, 기반여건 조성 그리고 마케팅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45.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담쟁이덩굴 벽면녹화 경관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도를 재검토하고 경관의 선호도를 비교・분석하여 담쟁이덩굴의 계획과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현장관찰과 문헌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현장관찰을 통해 벽면녹화 현황을 파악하고 실험용 슬라이드를 촬영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통계프로그램(SPSS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 대부분이 담쟁이덩굴에 대해 알고 있었고 담쟁이덩굴이 도시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도시가로에 담쟁이덩굴을 식재하지 않기를 원하는 이유는 관리의 어려움과 미관상 불결로 나타났다. 최고의 선호를 보인 슬라이드는 여름철 경관으로 나타났고 최저의 선호를 보인 슬라이드는 등반지지대가 유리소재인 경관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속성은 성별, 연령,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정연성군집>, <혼잡성군집>, <척박성군집>으로 분류되었다.
        146.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매실의 소비촉진을 위한 주요 동기와 요인을 찾기 위하여 관심소비자층과 일반소비자층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특히 열매매실과 매실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실태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섭취방법, 구매경험, 구매경로, 구매가격, 소비경험, 구매결정요인, 선호요인, 불만족요인, 소비전망, 새로운 가공식품과 소비활성화에 대한 의견 등이었다. 총 534명에게서 응답을 받았으며 SAS program(Version 9.1)의 frequenc
        147.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산 포도주의 생산을 위해서 소비자들이포도주의 어떤 속성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포도주 개발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를 설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선택형 실험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산포도주보다 수입포도주를 더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127명(44.4%)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에 부합하는 개선된 국산포도주의 생산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포도주 속성별 중요도에서는 맛
        14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게임을 플레이 하는 유저의 성격 특성을 분류하고 각각의 성격이 선호하는 게임플레이에 대해서 연구했다. 또한, 유저의 성격별 선호 게임플레이를 조절함으로써 유저간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연구 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의 성격 특성별 선호 게임플레이가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의 디자인단계에서는 콘텐츠 설계의 기초데이터로서의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개인유저들의 플레이 유형 및 비율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유저와 콘텐츠간의 밸런스 조절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게임의 서비스와 업데이트 시 기존 유저의 유형별 성격특성을 바탕으로, 업데이트 방향설정에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저간의 게임플레이 유형의 밸런스를 맞추는데 있어서 기초 데이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149.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장미의 화색에 따른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감성이미지를 알아보고 화색의 이해를 통한 장미의 활용 방안을 넓히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장미는 12가지의 화색으로 나누어 최근 2년 간 경매량이 많았던 품종 중에서 선정하여 2008년에 수도권 거주자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장미 화색에 따른 감성이미지는 의미분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인의 절화장미 색채에 따른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red 21.4%, redpurple 17.1%, purple 15.7%, white 12.4%, yellow와 gradation(1)장미가 6.2%,deep red 5.7%였고, 조사 된 색채감성이미지는 총 5개의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제1요인은 고급스러움, 우아함, 아름다움 등의 장미꽃의 미적요소로 gradation(1)이 3.90으로 가장 높았고, pattern이 2.82로 가장 낮았다. 제2요인은 싱싱함, 매끈함 등의 장미 화색에서 느껴지는 질감요소로 yellow가 3.90으로 가장 높았고, deepred가 2.53으로 가장 낮았다. 제3요인은 장미 화색 자체의 느낌을 나타내는 가벼움, 밝음, 강렬함 등의 색감요소로 red가 3.80으로 가장 높았고,blue가 2.42로 가장 낮았다. 제4요인은 흥분감, 행복감 등의 감정요소로 red가 4.03으로 가장 높았고,purple이 2.56으로 가장 낮았다. 제5요인은 친숙함,자연스러움 등의 개인적 선호도요소로 white가 3.70으로 가장 높았고, blue가 2.65로 가장 낮았다.장미의 12가지 화색에 대한 색채이미지를 각 요인별 factorscore분석을 통해 종합해 본 결과, 장미의 화색별 선호도와 5가지 요인에 대한 factor score는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색에 대한 이미지는 단순히 색상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꽃의 형태,향기,크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Hong,2005), 이는 화색에 대한 이미지가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나타난 절화장미 화색별 선호도와 감성이미지는 장미의 소비촉진과 이용측면에서 중요하게활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150.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와 시각적 선호도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백화점 중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를 조사하고 일반인과 학생,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별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산술평균, t-test, 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수행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및 경기소재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조사 결과 대상지의 진입공간은 옥상정원이 시작되는 공간으로 출입문에서 정원을 바로 조망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으며, 시설물이나 식재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백화점 내부와 연결되는 공간의 특성상 바닥 마감은 화강석과 데크가 많이 사용되었다. 중심공간은 옥상정원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이용자의 활동도 많은 공간으로 주로 수경시설 및 휴게시설, 공간 장식요소 등이 도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수목의 식재는 플랜터를 활용한 주제목 위주의 단순한 형태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하부식생은 잔디를 도입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주고 있었다. 경계공간은 건물의 시설물을 차폐하고 주변 경관의 시각적 저해요소를 차단하기 위해 주로 수직적 형태의 수목이 많이 식재되었다. 시설물로는 휀스의 설치가 두드러졌다. 백화점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옥상의 이벤트공간은 공연과 전시, 음악, 패션쇼 등을 진행하기 위한 무대와 공간 장식요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 존으로 구분된다. 무대로 조성된 경우는 목재 데크가 주로 사용되었고 무대의 배경을 위한 휀스가 설치되어 있었다. 선호도 분석 결과, 다양한 시설물의 도입과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시각적 개방감이 우수한 신세계백화점 죽전점(case 10)이 7.78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건물의 시설물이 많이 노출되어 있고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다양한 활동 공간의 부재를 나타내는 삼성플라자(case9)가 5.39점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공간 장식요소 유·무에 따른 선호도 분석결과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옥상정원의 경우 6.41점의 선호도 값을 나타냈으며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선호도는 6.05점으로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식재 위주로 조성된 공간에 조형미가 가미된 공간 장식요소가 볼거리의 역할을 하고 시각적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조성 면적에 따른 선호도 분석은 너무 좁은 면적에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우 면적의 제약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이나 공간 분할의 어려움이 있고 식재의 경우도 제한적이므로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떨어지고 설치된 시설물이 조화롭지 못하게 보인 것으로 보였다. 반대로 넓은 면적에 조성된 경우 공간의 아늑함이 떨어지고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옥상정원의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충분한 편의시설, 아름다운 경관, 시각적 개방감, 풍부한 녹음, 세련된 분위기, 아늑한 공간감, 다양한 활동 공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스텝와이즈(stepwise)방식의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 모두 아름다운 경관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에서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된 아늑한 공간감과 가장 영향력이 낮은 요인으로 나타난 충분한 편의시설은 일반인 집단에서는 영향력이 서로 상반되게 나타나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견해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근거로 하면 옥상정원 조성 시 이용자인 일반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편의시설이 충분한 아름다운 정원을 계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 옥상정원은 도심에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공간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백화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자 쇼핑중의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이므로 이용자들의 휴식을 위한 벤치나 카페테리아 등 충분한 편의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백화점 옥상정원의 시각적 영향을 조사·분석한 연구로 조사시점의 서울 및 경기지역의 백화점 옥상정원의 전수를 실태 조사하고 선호도를 분석한 내용이므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든 백화점 옥상정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의 제시를 위해서는 시각적 영향과 더불어 실제로 그 공간을 이용하는데 따르는 실태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151.
        2009.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객관적 품질 계량화 기술 개발을 위하여 포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구입 빈도, 구입장소, 구입 단위, 선호도, 포도 씨 유 무에 대한 선호도 및 내 외적 품질인자 등이었다. 총 519명의 응답자에 대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program(Version 14.0)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
        152.
        2009.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포도주 속성별 선호분석 및 가격 민감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대구지역 20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포도주 시음회 및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세 종류의 국내산 포도주에 대한 만족도, 재구매 의사 및 타인 추천 의사는 모두 아이스와인(Vin Coree)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속성별 만족도는 적포도주 (Royal Campbell)와 백포도주(Vin Coree)의 경우 색깔에 대한 만족도가, 아이스와인(Vin
        15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ity residents' preference to experiencing activities for Green Touris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fall, 2006. The sum of 515 copies was analyzed. Residents of Daegu city preferred 'health/leports experience' and 'traditional food experience', among theme experiential activities. While present providing experience programs are rural-life experiences, which are convenient for provider aspect. By the result of cross-table analysis,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gender & age. Men preferred 'health/leports experience', while women preferred 'traditional food experience'. The mean values of preference by 14 experiencing activities showed high at 'health experience', 'traditional food experience', 'leports experience', which represents health & wellbeing trends. By the result of t-test & ANOVA, there also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gender & age.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y age group. Three factors were categorized. 'traditional/wellbeing/health experience', 'nature-play experience' and 'life-culture experience' were those.
        154.
        200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당유자 원료의 세절방법과 당유자 정백당 혼합물의 냉동저장 기간 및 당유자청의 희석배수에 따른 당유자차의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원료선별, 세척, 건조, 절단 및 씨앗제거 과정을 거친 당유자를 슬라이스 세절 후 당침하거나 믹서기로 갈고 과육과 과피를 혼합 당침한, 두 종류의 당유자청을 제조하고 이를 적정 비율로 희석하여 제조한 당유자차의 맛, 색상과 향을 비교하였다 또한 원료세절 후 정백 당에 당침
        155.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거창과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로 20대부터 60대까지 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MA 필름으로 포장한 포장구 사과와 포장하지 않은 대조구 사과의 신선함, 단맛, 신맛, 향미, 아삭거림, 씹힘성, 구매의사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20대에서 신선함, 아삭거림, 씹힘성과 구매의사에서 대조구보다 포장구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0대는 신선함, 신맛, 향미, 구매의사에서 40대는 향에서, 50대에서는 단맛과 향에서만 대조구보다 포장구의
        156.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elve selected rural village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ypical Korean rural landscapes. Among many photos taken in those villages, which are believed to represent rural amenities, one hundred photos were selected and again sixty of them were chose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landscape students. Two hundred domestic subjects and one hundred and one overseas visitors were surveyed to find their evaluations of 'rurality' of the Korean rural landscapes and their 'preferences' of those landscapes. Photo numbers 16, 40, 48, 37, 49, 11, 8, 56, 15 were evaluated most 'rural' and/or 'preferable' by domestic subjects. As the overseas visitors 'mrurality',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ir 'preferences' only. Photo numbers 60, 7, 38, 28, 59, 15 were the most preferred Korean rural landscapes by them. In summary, Korean public generally preferred rural landscapes with natural beauty and, on the other hand, overseas visitors most preferred historic rural landscapes. Both group preferred least rural landscapes with man made structures.
        157.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ing scenery of land for protected cultivation before the system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is enforced in 2006. The site of this study is limited within the area of Chungnam Province and a strawberry, one of representative crops of Chungnam area, was selected as an object of the study to examine the preferences and its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30 cases shows that 'Familiarity' is the highest mean of 3.13 and 'Peculiarity' is the lowest. This means that the greenhouse farming landscape of strawberry is recognized with a familiar landscape. Second, in the analysi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classified by areas, Sungdong area is evaluated the highest on the item of 'Naturalness' and Hongsan is the highest on 'Peculiarity' and 'Complexity'.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et on 'Preference' as a dependent variable, shows that the factor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Preference' is 'Cleanness' and the next is 'Harmony', 'Naturalness' and 'Familarity' in order. These results show that in perceiving cultivated landscape, people prefer landscape which is well managed by farmers and which is not polluted and hence, these will be very suggestive in the selection of GAP farming land.
        158.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suggest planning directions for practical use and to find the conditions of tourist attractions in rural villages founded on city-dweller's preference. Both a questionnaire and a field survey were used for the study. Selected were four villages such as Oryan-ri, gachun-ri, Junggi-ri, and Gyochon-r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ity-dweller's valued on natural environment resources in rural tourism and felt uncomfortable to accommodations. The scoring system reflecting functions of six resources showed that common problems encountered in rural tourism were lacks of people's organization, and human exchange mind, and tourism-related leasure places and facilities. Based upon the results, some measures to develop villages were suggested.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