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5

        14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PRISMA) guidelines의 보고 지침 체크리스트 항목을 바탕으로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CINAHLPychINFO, Embase, Cochran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Cochrane Risk of Bias Tool을 통하여 각 연구의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다. 검색어에는 “MCI”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hysical activit*” OR “physical performance” OR “physical exercise*”, AND “executive function*”을 사용하여 최종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무작위대조군 연구 11편을 선정하였다. 결과 : 중재는 주로 그룹으로 진행 되었으며 복합적 중재보다는 단일 중재가 많았다. 중재를 진행한 전문가는 피트니스 전문가,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가 많았다. 실행기능을 측정한 도구로는 TMT-A(21.4%)와 TMT-B(17.9%)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로 사용된 신체적 활동으로는 유산소 운동과 (8편, 72.7%) 무산소 운동 (7편, 63.6%)이 많았다. 유산소 및 무산소 운동을 포함한 중재는 실행기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여가 활동을 제공한 중재는 실행기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체적 활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실행기능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작업치료는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실행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로 인지적 접근과 더불어 신체적 활동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300원
        14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를 향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압축적 고령화(compressed aging) 현상은 여러 가지 다양하고 복잡한 노인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화 시대 노인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노인 대상 댄스 게임 콘텐츠를 제안한다. 노인 대상 댄스게임을 디자인하기 위해 기존의 운동을 통한 노인 건강 유지 및 활동 개선에 대한 연구, 노인 대상 신체 운동 게임에 대한 연구 성과와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댄스게임을 살펴보았다. 운동은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이다.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인지적, 정신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댄스의 강도, 빈도, 시간 등을 고려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Gear S3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헬스앱과 연동하여 노인이 심박수를 체크하면서 안전하고 즐겁게 운동을 할 수 있는 노인대상 댄스게임을 디자인하고 이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댄스게임은 운동, 음악, 게임성이 합쳐진 콘텐츠로써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노인들이 운동할 수 있도록 유인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000원
        143.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산림치유 6대 요법 중 걷기, 경관 감상, 숲속 향기를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체험활동이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삼척시에 거주하며 우울증과 건망이 심하다고 호소하는 독거노인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 집단은 매 주 1회(총 6회기)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들은 모두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한국판), SF-36(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에 대한 사전-사후(one-group pre-post test design) 설문지 검사를 받았다. 연구 결과 치유 프로그램 참여 후 응답자의 정신상태와 우울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산림환경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 해소 그리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홀로 남겨져 외부활동을 기피하는 은둔형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토록 유도할 경우 나이와 환경으로 인한 치매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14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Korean adults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The education program was 45 minutes of short-term training, which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lectures and exercise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stage, talking about status and reasons for checking nutrition labels; in the development stage, explanation of nutrition labeling and their content, reading, and identifying sample nutrition labels, as well as comparing nutrition labels and selecting better foods; in the closing stage, summary of nutrition labeling and a pledge to check nutrition labels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A total of 53 adults (88.5% female) aged 30 years and ov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nutrition labeling awareness of the subjec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5.8 to 96.2% after the education. After the education, the correct recognition rate of a nutrition lab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6.9 to 78.8% for the amount of food, from 25.0 to 73.1% for the calorie content, from 36.5 to 69.2% for the nutrient contents, and from 30.8 to 82.7% for the percent daily value. The self-efficacy of checking nutrition labels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before the educa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score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4.2 out of 5. The outcome show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nutrition labeling improved the participants’ awareness and self-efficacy towards checking nutrition labels.
        4,000원
        14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vjenth-Hamberg stretching of the sternocleidomastoid, upp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on the lung function of adults with forward neck posture. The subjects were 20 adult students in P university located in Pohang, Korea, whose degree of head forward displacement measured according to NEW YORK state posture test was mil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the Evjenth- Hamberg Stretching group (EHSG, n=10) and the control group (CG, n=10). Their forced vital capacity (FVC), slow vital capacity (SVC),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within-group comparison, only the EHSG experi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the first second (FEV1), and peak expiratory flow (PEE)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05<p). In between-group comparison, the PEE of EHS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CG (.05<p). Regarding SVC, only the EHSG experi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spiratory vital capacity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With regard to MVV, only the EHSG experi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tidal volume during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Our results indicated that Evjenth- Hamberg stretching was an effective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to improve the lung function of adults with FHP by correcting their head forward displacement.
        4,000원
        14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nges in balance and proprioception of adults with limited ankle joint dorsiflexion, after the application of talocrural joint mobiliz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3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ith limited ankle joint dorsiflexion. Th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ankle joint mobilization group (AJMG, n=12) and the control group (CG, n=11). After 2 weeks of intervention using grade III talocrural joint mobilization in the anterior-posterior movement, the balance and proprioception of the subjects were assessed. Static/dynamic balance capabilities and ankle proprioception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dynamic balance and proprioception of AJM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tervention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the dynamic balance and proprioceptive sense of AJM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This study suggests that AJMG can help improve the dynamic balance and proprioception.
        4,000원
        14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balance and muscle strength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 in adults. Thirty adult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ominant hands of the target. The subject's muscle strength of legs was measured with Nicholas MMT, and the balance was measured with BIO-Rescue. We compared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 indicated no statistical difference 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egs(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etting the effective treatment direction and treatment level, and in controlling posture, balance and motor function.
        4,000원
        14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동의한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강원도 홍천군 소재의 치유의 숲에서 2017년 9월 8일부터 10일까지 2박 3일 동안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단축형 기분상태 척도(K-POMS-B: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Mood States-Brief)와 스트레스 반응 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의 기분상태와 스트레스 반응 차이를 살펴보았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성인의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기분상태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활기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의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하위척도 중 공격성을 제외한 긴장,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요가와 명상 중심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000원
        150.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wareness of hypertension prevalence among Korean youth and related cause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6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used to apply weights for complex sample analysis. A total of 1,075 data age 19~35 Korean youth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25.7% of age 19~35 Korean youth were in the prehypertension stage and 6.1% were in the hypertension stage. Those aware of hypertension was 0.3%. This revelation necessitates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by way of physical examination among youth to ensure no youth are left untreated in terms of health management. This study indicated that diabetes affects hypertension significantly among males (p<0.0001), with low income (p=0.034) and obesity (p<0.0001). Consequently, they should be managed as high-risk, and it is imperative to educate them about changes in lifestyle such as walking or less dining-out, rather than engaging in specific sports activities or nutrient intake.
        4,000원
        15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enebrio molitor beetles have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and folklore medicines to treat various human diseases worldwide. Alzheimer’s disease (AD) is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and the most prevalent form of dementia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human β-amyloid cleaving enzyme (BACE-1) is a target for AD treatm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BACE-1 inhibitory activity of 12 compounds that were extracted from T. molitor adults and their 65 related compounds using a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based enzyme assa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wo positive controls for BACE-1, the cell-permeable isophthalamide BACE-1 inhibitor IV and the natural BACE-1 inhibitor,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Based on IC50 values, linoleic acid, ergosterol, palmitoleic acid, and tryptopol (28.41‒46.16 μM) were the most potent BACE-1 inhibitors and the anti-BACE-1 activity of these compounds was lower than either inhibitor IV (13.13 μM) or EGCG (1.12 μ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anti-BACE-1 activities of compounds was examined using their IC50 values and the values of the physical parameters (molecular weight (MW), log P, and molecular refraction (MR)) for the 41 fatty acids (R2 = 0.674 (P = 0.044)) and 29 flavonoids (R2 = 0.587 (P = 0.063)). Correlation coefficient (r) analysis showed that MW, log P, and MR may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C50 of the fatty acids (MW, r = 0.658; log P, r = 0.471; and MR, r = 0.713) and IC50 of the flavonoids (MW, r = 0.547; log P, r = 0.644; and MR, r = 0.591). Further studies will warrant possible applications of T. molitor adults as therapeutic BACE-1 blocker.
        15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enebrio molitor beetles have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and folklore medicines to treat various human diseases worldwid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ine compounds that were extracted from T. molitor adults and their 64 related compounds using a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ree positive controls, 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Based on IC50 values, linolenic acid (77.65 μM) was the most potent antioxida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is compound was higher than that of either ascorbic acid, BHT or EGC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rotocatechuic acid (IC50, 153.68 μM) and ascorbic aci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techin (IC50, 192.32 μM) was higher than that of either BHT or EGC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pounds was examined using their IC50 values and the values of the physical parameters (molecular weight (MW), log P, and molecular refraction (MR)) for the 41 fatty acids (R2 = 0.729 (P = 0.031)) and 29 flavonoids (R2 = 0.521 (P = 0.054)). Correlation coefficient (r) analysis showed that MW, log P, and MR may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C50 of the fatty acids (MW, r = 0.743; log P, r = 0.642; and MR, r = 0.815) and IC50 of the flavonoids (MW, r = 0.642; log P, r = 0.495; and MR, r = 0.643). Further studies will warrant possible applications of T. molitor adults as an antioxidant.
        15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는 포도원에서 생장 초기부터 신초를 흡즙 가해하여 잎의 기형화, 화진형상, 열매의 소립화, 기형, 열과 등의 피해를 일으킨다. 2017년과 2018년도에 경기도 화성 포도원의 캠벨얼리 품종을 대상으로 가온 하우스, 무가온 하우스, 비가림 재배, 노지 재배의 재배 양식과 생육단계별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배양식별 피해는 1월부터 가온을 시작하여 7월 초순에 수확하는 조기가온 하우스와 3월부터 보온을 시작하여 8월 중순에 수확하는 무가온 하우스에서는 피해가 5%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그러나 비가림 및 노지재배에서는 잎과 열매의 피해가 관찰이 되었고, 특히 무농약 노지재배에서는 2017년도 27.6%, 2018년도 36%의 피해가지율을 나타내었다. 노지재배에서 피해 발생은 캠벨얼리 발아기 (BBCH(생물계절코드) 10)부터 이전 해에 포도나무 눈의 겉 인편 사이에 산란된 월동알이 부화하여 6 ~ 7엽(BBCH 16 ~ 17) 전개기까지 어린잎과 열매를 흡즙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온도 적산 모델에 따른 노지재배과원의 최적 방제시기는 월동알 부화 시기에는 2017년 4월 26일 (BBCH 11), 2018년 4월 30일(BBCH 11)이였고, 1세대 성충 출현시기에는 2017년 6월 5일 (BBCH 71), 2018년 6월 8일 (BBCH 74)로 예측되었다. 즉, 월동알 부화시기는 캠벨얼리 전엽 초기(BBCH 11), 1세대 성충 출현 시기는 과립 착과 초기(BBCH 71)로 예측되었다.
        15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날개매미충 성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선호하는 광과 행동습성을 이용하여 유인포획장치를 개발하였다. 포획장치는 주광색 컴팩트램프 2개(30W, 20W), 황색판, 포집수반으로 구성되었다. 포획장치의 포획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갈색날개매미충 발생밀도가 높은 과수원 3개소를 선정하여 성충이 발생하기 전인 7월 상순에 차, 블루베리, 아로니아 과수원에 트랩을 설치하고 9월 하순까지 일주일 간격으로 포획량을 조사하였다. 2017/2018년 겨울은 이상저온 지속기간이 길어 월동한 알의 평균 부화율이 24.7%로 평년의 65%보다 40% 낮아져 해충 발생밀도는 현저하게 낮았다. 포획트랩에 성충은 7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 포획되었는데, 8월 중하순에 가장 많이 포획되었고 야간평균기온이 20℃ 이하로 낮아지는 9월 상순부터는 포획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작물별 포획량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8월 하순으로 광주 아로니아에는 1,570마리, 보성 차에는 510마리, 화순 블루베리에는 571마리가 포획되었다. 따라서 포획트랩을 이용한 갈색날개매미충 방제는 7월 중순부터 9월 상순까지가 가장 효율적이다.
        15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up exercise program on health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in cerebral palsy. Adults with cerebral palsy in their 20’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measurement tools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was engaged in manual exercise for the range of joint movement and extension exercise for arms, legs and trunk, and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group exercise program including boccia exercise. The health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05<).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health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two groups, the valu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ercise programs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in the twenties are considered as benefi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health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4,000원
        15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D 가상현실은 이미 여러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엘리트운동 선수들의 훈련 등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주로 심상훈련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3D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심상훈련의 가능성, 유용성, 적합성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상현실에서의 운동이 더 이상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훈련에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체육 등에 활발히 활용되는 추세에 있다. 3D 가상현실에서의 운동의 장점은 안정성이 높으며 외부환경에 대한 제한이 적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을 고려할 때 이는 노인체육에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심상훈련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가상현실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되었으며 어떤 결과를 도출하였는지 면밀히 고찰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가상현실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후속 연구 과제를 위해 3D 가상현실 심상훈련의 간학문적 접근, 노인의 특성 및 지원요구를 고려한 지원, 습득된 기술의 일반화 및 유지 방안을 고려한 접근 필요성에 대해 제언을 제시하였다.
        5,400원
        157.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능성 음료에 대한 인식 및 구매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기능성 음료의 구매와 섭취 시 기능성 음료에 대한 지침서 및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능성 음료의 구입 실태, 구입 경험, 인식, 섭취빈도 및 태도 등을 조사하였다. 1. 조사대상자 중 남자는 183명(51.7%), 여자는 171명(48.3%)이었고, 연령은 20대가 146명(41.2%), 30대가 81명(22.9%), 40대가 69명(19.5%), 50대 이상이 58명(16.4%)이었다. 그중 기혼자는 182명(51.4%), 미혼자는 172명(48.6%)이었다. 2. 최근 한 달 동안 기능성 음료 구입 여부는 조사대상자의 82.8%(293명)가 기능성 음료를 구입하였다. 3. 기능성 음료를 구입하는 이유는 남자는 ‘피로회복’이 43.1%, ‘갈증해소’가 21.6%, ‘건강증진’이 19.6%, ‘영양보충’이 15%, ‘다이어트’가 7%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자는 ‘피로회복’이 28.6%, ‘건강증진’이 26.4%, ‘갈증해소’가 22.1%, ‘영양보충’이 12.9%, ‘다이어트’가 10% 순으로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새로운 기능성 음료의 대한 정보습득 경로는 미혼은 매장방문(47.9%)을 통해서 기혼은 주변사람(43.0%)을 통해 얻는다고 응답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기능성 음료의 구입 장소는 미혼은 편의점(46.5%)에서, 기혼은 대형마트(29.5%)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기능성 음료 구입 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제조일자(M=4.25)’, ‘원재료 함량(M=4.17)’, ‘영양표시(M=4.15)’, ‘원산지(M=4.13)’, ‘가격(M=4.13)’, ‘맛’(M=3.96), ‘상표’(M=3.62), ‘향’(M=3.55), ‘색(M=3.24)’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모든 항목에 대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기능성 음료 구입 비용은 20대는 ‘1만 원 이하’가 50.9%, 30대는 ‘2~5만 원’이 42.6%, 40대는 ‘2~5만 원’이 42.4%, ‘50대 이상은 ‘11만 원 이상’이 40.4%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4. 기능성 음료 섭취빈도를 분석한 결과, 에너지음료는 여자보다 남자가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홍삼 음료는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주 1~2회 섭취가 44.2%로 높았으며(p<0.001), 미혼보다 기혼이 홍삼 음료를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여자보다 남자가 비타민 음료를 많이 섭취하였고(p<0.005), 건강원 음료는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주 3~4회 섭취가 28.8%로 가장 높았으며, 기혼이 미혼보다 섭취빈도가 높았다(p<0.001). 기능성 음료를 섭취하는 시기는 ‘평상시’가 42.3%로 가장 많았고, ‘일할때’ 27.0%, ‘식사 전후’ 16.7%, ‘운동 전후’ 14.0% 순으로 조사 되었다. 기능성 음료 섭취 후 남자는 피로회복의 효과를 인지하였으며, 여자는 다이어트 미용이나 공복감 해소, 변비 개선에 효과를 인지하였다.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소비자의 올바른 기능성 음료의 구매와 섭취를 위하여 소비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성에 대한 명확한 정보전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능성 음료의 내용 영양소함량에 따른 상한섭취량과 과잉 및 부적절한 섭취로 건강상의 문제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조사대상자의 기능성 음료에 대한 정보 습득경로로는 기사검색과 웹서핑 및 스마트폰 이용이 주가 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영양교육은 인쇄물 교육보다는 앱이나 인터넷(배너) 광고 등을 통한 교육의 활성화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4,300원
        15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성경 번역에 있어서 어린이(미성년)와 어른의 문체 차이로 인한 ‘수용성’ 여부를 연구한 것이다. ‘수용성’은 보그란드와 드레슬러가 주장한 ‘텍스트성’(textuality)의 하나이다. 어린이와 어른의 성경 문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여덟 가지 방법으로 시행을 했는데 그에 해당하는 예로는 어린이 그룹을 네 부류(A, B, C, D)로 성인그룹을 네 부류(A-1, B-1, C-1, D-1)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각 문체에 따른 번역 결과물의 수용 여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경 번역의 문체 비교에서 독자들은 격식체를 선호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성경 특유의 문체를 선호한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 독자의 입장에서 번역가가 번역하는 것은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는 것이 번역학의 이론이자 보그란드와 드레슬러의 주장이다. 그러나 성경 번역의 경우 예외가 되며, 독자에 대해서 너무 고려하여 번역하면 오히려 효과적이지 못한 번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고의 결론이다.
        6,100원
        160.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Deficits of both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DFROM) and dynamic balance are shown in person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nd the elderly, with the risk of falls. Objec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FROM and dynamic balance in elderly subjects and young adults. Methods: Fifty-nin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kle stability young group (SY), ankle instability young group (IY) and ankle stability older group (SO). We recruited three old subjects with ankle instability, but excluded them during a pilot testing due to the safety issue. DFROM was measured by weight bearing lunge test (WBLT) and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via 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 in anteromedial, medial, and posteromedial directions. The group differences in WBLT and SEBT and each group’s correlation between WBLT and SEBT were detected using the R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Y, IY, and SO groups. The SO group showed the highest DFROM and IY group showed the lowest DFROM (SY: 45.88±.66˚, IY: 39.53±1.63˚, SO: 47.94±.50˚; p<.001). However, the SO group showed the lowest dynamic balance score for all SEBT directions (SY: 87.24±2.05 ㎝, IY: 83.20±1.30 ㎝, SO: 77.23±2.07 ㎝; p<.05)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in any group.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nkle DFROM is not a crucial factor for dynamic stability regardless of aging and ankle instability. Other factors such as muscle strength or movement coordin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training dynamic balance.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the rehabilitation process by measuring and treating ROM, balance, and muscle strength when treating young adults with and without ankle instability as well as elderly peopl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