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0

        141.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ponin and ginsenosides are very important as medicinal components of ginseng. These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anax species, cultivation area, or manufactured products. In this research,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
        142.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ging-related effects on the activities of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of rat liver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Korean red ginseng water-extract. Rat did not show any discernible signs of the rejection symptoms, and blood GOT and GPT levels were not influenced by ginseng water extracts, Cytochrome 450 levels and NADPH cytochrome P45O reductase, p-450 dependent ethoxycoumarin O-deethylase, and benzphetamine N-demethylase activities were decreased with aging, however, these phase I system enzymes activities in the ginseng group of24 months were well maintained compared with normal group. But, Levels of cytochrome bs and NADH-cytochrome b5 reductase activities were also decreased with aging and were not found a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y, phase II enzyme system, in liver cytosols was also decreased in old ages, but the degree of decrease was higher in normal group than in giuseng supplemen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ng-term supplementation of red ginseng water extracts from weaning to 24 months do not show any side effects to rats, and retard age-related deteriorations of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activities in old ages.
        143.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과 청국장의 단일 및 혼합 분말의 향미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원료와 제조회사가 다른 홍삼(J사 6년근, P인삼조합 5, 6년근)과 청국장(사 제품) 단일분말 및 혼합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기호도를 조사하였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색상은 시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홍삼의 경우 L값은 , a값은 , b값은 이었고 청국장의 경우 L값은 , a값은 , b값은 을 각각 나타내었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휘발성 성분은 시료별
        14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인삼과 미국삼에 있어 원료수삼의 품질 외적요인과 홍삼품질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종간특성을 비교하였다. 원료수삼의 편급과 등급을 결정하는 품질요인은 체형계수, 동장 그리고 근중을 적용하였으며 이들 요인과 홍삼 품질관계를 구명하였다. 1. 편급의 분포는 고려인삼의 경우 중편과 대편급이 많았으나 미국삼은 중편과 소편급이 많았으며 미국삼은 고려인삼에 비해 동장이 짧고 동직경이 굵고 부정형 지근이 많았다. 2. 원료삼 품질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양호하였고 홍삼품질은 고려인삼이 지삼 이상의 고급홍삼이 많았으나 미국삼은 양삼과 같이 저급홍삼이 많았다. 3. 원료수삼 품질요인중 중편삼과 대편삼의 경우 고려인삼은 체형계수 0.5 이하였으나 미국삼은 0.5를 상회하여 미국삼은 홍삼품질에 적합하지 않았다. 4. 고려인삼과 미국삼 모두 품질요인으로 동장과 근중은 홍삼품질과의 관계에서 비슷한 경향이나 체형계수가 특히 홍삼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인이었다. 5. 따라서 고려인삼과 미국삼 모두 원료삼과 홍삼품질 향상을 위해 근중, 체형계수 그리고 동장의 조정이 요망되었다.
        145.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인삼과 미국삼을 공시하여 Panax속 종간의 원료수삼 및 홍삼 등급에 기초하여 품질을 평가분석하였다. 1. 미국삼은 고려인삼에 비하여 근중이 적고 부정형 지근이 동체에서 많이 발생하는 관계로 체형이 불량하였다. 2. 홍삼수율은 고려인삼이 30.4%,미국삼이 33.8%로 미국삼이 높았고 홍삼의 본삼수율은 고려인삼이 80.4%, 미국삼이 72.2로 고려인삼이 높았다. 3. 원료수삼 1등급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2배정도 많았으나 2등급은 미국삼이 고려인삼에 비하여 많았다. 한편 고급홍삼인 천지삼율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높았다. 4. 홍삼 품질의 저하 원인은 고려인삼 미국삼 모두 내공과 내백 발생에 있었고 특히 미국삼은 내공에 비해 내백이 3배 가량 많이 발생하였다. 5. 홍삼의 지별 분포에서 고려인삼은 20지 이상의 대편급이 많았고 미국삼은 20지 이하의 소편급이 많았다.
        146.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기능성 홍삼사포닌성분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홍삼엑스에 열처리, 산(acid)처리하여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산도를 조정하지 않은 무처리구(control, pH 4.4)에 120℃ 열처리한 경우 ginsenoside-Rg3의 함량이 약 2배 정도 증가였다. 구연산으로 pH 2.0으로 조정하고 온도처리한 처리구에서는 2.8배나 많은 ginsenoside-Rg3 성분이 증가하였으나 다른 유효한 사포닌의 파괴가 두드러져 처음 홍삼엑스에 함유되어 있던 총사포닌의 65% 정도가 소실되었다. 80℃에서 12시간 처리를 한 경우에는 pH를 2.5와 2.0로 조정한 처리구에서는 11.20 mg과 12.50 mg으로 홍삼엑스의 3.3 mg보다 3.3배 이상 ginsenoside-Rg3 성분이 변환되었다. Ginsenoside-Rb1, Rb2, Rc, Re, Rg1의 함량이 산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급격히 소실되었고 홍삼 특이성분(ginsenoside-Rg3, RH2, Rh1)의 함량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매실엑스로 pH를 2.5로 조정한 처리구에서는 13.34 mg으로 홍삼엑스의 3.3 mg보다 4배 이상 변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록 31%정도의 total saponin의 감소가 있었으나 120℃의 고온처리에서 처럼 다른 유효한 사포닌의 큰 손실 없이 60℃에 12시간 처리하는 것만으로도 다량의 ginsenoside-Rg3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4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유효성분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4년근 수삼을 구입하여 깨끗이 수세한 후 96-98℃에 3시간 정도 수증기로 증삼한 후 30시간 정도 열풍건조하여 홍삼제조를 위한 간이법을 개발하였다. 제조한 홍삼으로부터 홍삼엑스(60˚ brix 이상)를 제조하였으며 홍삼엑스의 추출수율은 60% 이상이었다. 간이법으로 제조한 홍삼을 재료로 하여 농축한 홍삼엑스의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서 HPLC를 이용하여 총 사포닌(total saponin)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D계 사포닌 중 암세포전이억제효과와 평활근이완작용이 탁월한 ginsenoside-Rg3에는 H사에 비하여 2배 이상 검출되었으며, 간상해 억제작용과 혈소판 응집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ginsenoside-Rh1종의 경우 3배 이상 검출이 되었다.
        148.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증숙단계별 고려홍삼의 조직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6년근 고려인삼을 60분, 120분동안 증숙한 후 수분함량을 13±0.5% 까지 건조 후, 수직 수평으로 절단하였다. 조직은 표피, 피층, 목질부로 구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증숙 없이 건조된 시료는 세포막이 유지되고 그 안에 전분입자의 결정성이 유지되어 있었다. 반면에 증숙시간이 연장될수록 호화 후 건조에 따른 수축으로 인하여 조직이 치밀하여지고, 세포조직 사이의 도관, 수지관 등의 동공 및 세포막의 구분이 없어진 것이 특징이었다. 또한 수산화칼슘 족정은 증숙시간 60분 이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은 내용성분이 호화 된 후 건조로 인해 조직이 수축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로서 증숙단계에 따른 홍삼 조직의 분명한 특성을 비교 관찰할 수 있었다.
        149.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physiological changes with age by chronic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All rats were reared in the conventional system. Ginseng treated rats were continously supplied with ginseng water extracts together water from 6 weeks of age to the age 24 months. Rats did not show any discernible signs or the rejection symptoms by red ginseng water extracts. A long-term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extracts did not cause any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gain of body and organs weight, food intake and general properties of urine. However, red ginseng caused to decrease the level of serum cholesterol, glucose and TBARS, and it attenuated effectively the age-dependent decline of LDH activity. Other biochemical parameters measured from blood and general properties of urin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term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to rat does not cause any clear physiological changes in appearance and urine, and it retards age-related deteriorations in some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LDL-cholesterol, glucose and LDH in serum.
        150.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삼의 저장기간 (무저장, 2일, 6일, 8일, 10일) 및 저장온도 (20℃, 34℃, -10℃)로 구분하여 제조된 홍삼의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비교 조사하였다. 수삼의 수분함량은 저장일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삼을 10일동안의 단기간 저장온도는 34℃의 냉장저장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전질소 함량은 저장일 10일로 갈수록 무저장구에 비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온도별로는 실온, 냉동, 냉장저장 순으로 무저장구보다 전질소 함량이 증가함을 보였다. 각각의 저장구별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무저장구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 온도별로는 냉장 저장구가 실온, 냉동 저장구에 비하여 다소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았다. 저장조건별 홍삼의 사포닌 Rf 에 대한 8종의 ginsenoside Rb1, Rb2, Rc, Rd, Re, Rg3, Rg1, Rg2의 상대적 함량 (%)비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각각 저장조건에서 Rf 대한 Rb1, Rg1의 상대적 함량비가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기타 ginsenoside 함량변화는 시료간의 차이에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저장조건에 따른 변화 경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관능적 성질에서 각각 저장구별로 홍삼의 품질, 맛과 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볼 때, 34℃에서 냉장저장 운반하는 것이 홍삼 향미의 안정적 유지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15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 인삼중 폐포와 4등급 이하를 유발시키는 90%이상이 적변삼이라고 불리는 인삼의 표피 색택이 붉은 삼이 그 원인이다. 이러한 적변삼은 미국삼보다는 고려 인삼에 서 다량 발견되는 바, 적변은 유전적 요인이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RT-PCR을 이용하여 인삼적병에 내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고려인삼 3년근 1개체 중에서 적변이 발생된 부위와 건전 부위의 RNA를 추출하여 형성된 cDNA를 여러개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PCR 증폭을 한 결과 정상 부위의 cDNA에서 발견되지 않는 band가 적변삼의 부위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band가 형성된 부위의 유전자가 적변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고 이러한 유전자는 향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어떠한 유전자인지 판명을 하여야 하며 적변관련 유전자이면 선발마커로서 사용되고 또한 형질전환을 통한 적변내성 인삼계통을 육성할 수 있으며, 만약 적변과 관련이 없는 유전자로 판명된다면 더 많은 primer를 사용하여 적변관련 유전자를 탐색해야 할 것이다.
        152.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에서는 식품의 미생물작용에 의한 변질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성 천연항균제품(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에 홍삼추출물을 첨가하여 조제한 식물성 천연 항균복합소재(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and Red Ginseng extract mixture BAACG)의 항균력 검사, 열 및 pH안정성, 미생물 세포막의 형태 및 기능성 변화를 검토하고 BAA
        153.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월 초에 채굴한 6년근 수삼을 41, RH 87∼92%에 10주간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시료 채취하여 홍삼을 제조하여 당과 색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은 저장기간의경과에 따라 저장전의 62.71%에서 저장 10주째는 54.58%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환원당은 저장전 11.69%에서 약간 감소하여 7주째는 9.92%로 조사되었다. 유리당은 fructose는 저장전 0.47%에서 점차 증가하여 10주째는 4.70%로, glucose와 suc
        15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삼(panax ginseng C.A. Meyer) 추출물 단독의 항산화 활성과 홍삼추출물에 삼백초(Saururus chinensis(Lour.) Baill.)와 복분자(Rubus coreanus Miq.) 추출물을 농도별로 보충 급여 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rague Dawley rat에 이들 추출물을 8주간 섭취시킨 후 희생시켜 간장 cytosol중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T 등의 항상화 효소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급여군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의 효소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높았다. 특히 홍삼 단독보다는 삼백초와 복분자를 보충급여시 상승효과가 높았으며 급여기간이 길수록 그 효과가 높았다.
        155.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삼의 증삼전 열처리로 홍삼중의 추출가능 물질은 물추출물 뿐만 아니라 60%주정 수용액 추출물의 양을 근본적으로 다량 생성시켜 추출수율을 높였다. 또한 갈색도가 증진되었으며, 전분질을 함량을 저하시켜 추출물중 원심분리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분을 감소시키므로써 이의 제거를 위한 원심분리기 등 고가의 공정 단축이 가능할 수 있다. 증삼 전 예열 적정온도는 70℃에서 60분이 적합하였으며 증삼시간에 따라서는 엑스추출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예열 조건별 물 추출물 엑스의 향미 비교에서 향과 맛 모두 당의 특성 향미가 증진됨을 나타냈다.
        156.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출 시간을 5시간으로, 추출 온도를 33-5로 설정한 진공역적방식 조건과 8의 고온의 다중단 추출방식 간의 조사포닌 함량비교 결과, 고온의 다중단 추출방법으로 제조한 흥삼엑스의 조사포닌 함량이 8.1-8.2%인데 비하여, 저온 및 단시간 추출인 진공역적 추출방법은 조사포닌 함량이 5.4-5.9%로 조사포닌 함량은 낮은 반면에 사포닌 Rg 및 Re의 분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공역적 추출방법이 다중단 추출방식보다 수율에서도 15-
        157.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mercial red ginseng, which was manufactured for the past 6 years, showed a microbial level of 2.010\ulcorner to 7.210\ulcorner CFU/g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molds. The moisture content of commercial products was ranged from 13.54 to 17.26%, which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product standard, 14%. Irradiation of red ginseng at 2.5 kGy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microorganisms contaminated to below the detectable level. Irradiation prevented mold growth on red ginseng during storage at RH 90% and 25; molds were found at the 72nd day after storage in 2.5 kGy-irradiated sample, while 41st day in the nonirradiated control. At this point of time, irradiated samples showed an increased level of moisture content required for mold growth, 22.2% in 2.5 kGy group and 21.5% in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red ginseng could be effectively improved by the optimum dose of irradiation, which was expected to secure the quality stability of red ginseng during distribution under the high-moistured conditions.
        160.
        199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년근 인삼에서 다경형(多莖型) 인삼의 지상부 생육특성과 다경형 인삼 뿌리를 원료로 하여 제조한 홍삼의 품질을 조사하였던 바 몇가지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株당 줄기의 직경, 무게 및 잎의 무게 , 면적은 줄기 수가 많을수록 증가되었으나 줄기당 줄기의 직경 및 엽면적, 엽중은 감소하였다. 주내(株內) 줄기의 직경, 무게 및 잎의 무게, 면적에 대한 변이폭은 줄기수가 많은 인삼일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의 비는 2경(莖)이하의 인삼에 비해 3경(莖)이상의 인삼에서 높았다. 2경이하의 인삼에서는 주당엽면적 및 엽중과 근중간에 정 (+)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경당 엽면적 및 엽중과 근중간에는 유의 상관이 인정되지않았다. 홍삼품질의 저해요인인 내공(內空) 및 내백(內白) 발생비을은 대편급 (100~150g/root) 과 중편급 (60~99g/root) 다같이 1.2경인 인삼에 비해 3경인 인삼에서 월등히 많았고 고급홍삼(天蔘+地蔘) 수율(收率)은 3경인 인삼에서 감소하였다. 따라서 고급홍삼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줄기 수가 많은 품종육성이나 지상부를 지나치게 번무(繁茂)하게하는 재배방법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