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성충의 유살수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 였으며, 시험장내의 기상자료와 Weibull 함수식을 이용하여 복숭아순나방 월 동유충의 우화시기모형을 구하였다. 우화시기 모형은 r2값이 0.93으로 구해진 수식이 적산온도와 누적우화율과의 관계를 잘 설명하였다. 또한, 누적 우화시 기 모형을 바탕으로 사과시험장 인근 의성지역의 1973부터 2008년까지의 기 상온도 변화에 따른 복숭아순나방 초발일과 50%우화일, 우화 완료일을 연도 별로 비교하였다. 복숭아순나방의 연도별 초발생일을 비교한 결과,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대각 각각 4월11일, 4월 13일, 4월 13일, 4월 9일이였다.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초발생일이 약 4일 정도 빨랐으며, 70년대에 비하여 2일정도 빨랐다. 복숭아순나방 50% 우화일은 연대별로 각각 4월 27일, 4월 28일, 4월 28일, 4월 26일로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약 2일정도 빨랐으며, 복숭아순나방 100% 우화일은 각각 6월 1일, 6월 1일, 6월 1일, 5월 30일로 복숭아순나방 50%우화일과 같이 2000년대가 80-90년대에 비하여 약 2 일정도 빨라서, 대체로 2000년대가 1970-1990년대에 비하여 복숭아순나방 월 동성충의 발생시기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사과 해충의 발생 양상을 예측하고 적응 대 책을 수립하여 이에 따른 사과 재배 지대별 해충발생 변동 예측 시스템을 구 축하기 위하여 경기 포천, 수원, 경북 영주, 전북 정읍의 사과원에서 주요 나 방류를 대상으로 발생변동을 조사하였고 지역별 장기간의 기온자료와 사과 주요 나방류 해충의 발생변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지역별 사과 해충군 특성 파악을 위해서 2008년 6월부터 10월까지 각 지역 에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한 주요 나방류해충의 초발생일을 조사한 결과 타 지역에 비해 온도가 0.96℃-3.58℃ 높은 정읍지방에서 복숭아순나방 등 3종 모 두 초발생일이 빨랐다. 지역별 기온 관측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지난 40년간 포천, 수원, 영주, 정읍에서 각각 1.18℃, 2.06℃, 0.95℃, 0.61℃ 증가하였다. 1996년부터 2008년까지 12년간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사과 주산단지인 경북 영주지방에서 주요 나방류 해충의 1세대 성충 50% 채집일을 조사한 결 과 복숭아순나방은 2.4일, 복숭아심식나방은 2.3일, 사과굴나방은 2.0일 빨라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영주지방의 기온관측 자료를 분석 한 결과 12년간 평균온도는 0.24℃ 증가하였고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의 온도발육 모델을 바탕으로 동일 기간의 예상 1세대 성충 50% 우화일은 복숭아순나방이 3.0일, 복숭아심식나방이 2.1일, 사과굴나방이 1.5일 빨라진 것으로 예측되어 실측치와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비슷한 경향을 나 타내었다.
Root-lesion nematode (Pratylenchus vulnus) and pin nematode (Paratylenchus sp.) were detected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t the spray chrysanthemum greenhouse in Gumi, Gyeongbuk. The average density of P. vulnus and Paratylenchus sp. was 667 and 716 nematodes per 100 g soil and P. vulnus density were distributed 87% to the depth of 0~30 ㎝ in greenhouse. When spray chrysanthemum cv Chopin, was transplanted in September 2004 in greenhouse, P. vulnus were 854 nematodes/100 g soil in planting and increased 14,985 nematodes/100 g soils and 1g root after 10 weeks in harvest. Shoot weight and shoot height of spray chrysanthemum decreased 24.8% and 8.0% compared with non-infested P. vulnus after 10 weeks in greenhouse.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후지'/M.9가 재식된 밀식사과원에서 적정 수세와 적정 착과량을 조사하였다. 엽과비는 평균 과중(y=1.715x+205.02, R2=0.66**)과 수량(y=-35.156x+5963.7, R2=0.44**)에서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당엽수와 평균 과중 또한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착과량에 따른 수체생육, 과실품질 요인중 당도 및 착색도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격년결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300g 이상의 과실을 생산하는 기준은 엽과비는 55 수준에서 착과량이 주당 약 55~64개의 수준이 적합하였다. '후지'/M.9 밀식재배시 성목기의 안정된 수세 기준은 평균 신초장이 20~25cm, 신초 정지율이 95% 이상수준을 보여야 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세부적으로는 2차 생장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과대지 비율은 적어도 20~30% 정도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how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form on the inside of apple slices during cold storag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four types of phenols, ingredient variation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and the influence of phenolic compounds on enzymatic browning. This study measured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pH and vitamin C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HD and FA were the main phenolic compounds found in the apple slices, and HD was the most prevalent phenol. Furthermore, comparison of the CG and EP content revealed that there were more CGs than EPs. The phenol content tended to decrease considerably in the fresh apple slices and water-dipped apple slices but only slightly in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and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The degree of browning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fresh apple slices, water-dipped apple slices,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and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The vitamin C content tended to decrease in the fresh apple slices, water-dipped apple slices, 0.5% ascorbic acid solution-dipped apple slices and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The pH tended to increase in all sample groups, but the pH of the water-dipped apple slic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s had the lowest value of pH. The change in soluble solids tended to increase in all treatment groups, but this increase was less in the CP from sucrose-dipped apple slic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browning and chlorogenic acid cont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when stored in the fridge, the change in phenol ingredient content in apple slices influences the browning of the slic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HD and FA were the main phenolic compounds, while CG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browning.
꿀벌을 비롯한 화분매개 곤충의 농업과 자연생태계에 기여하는 공익적 가치는 꿀벌이 생산하는 일차생산물의 약 140여 배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최근 과수 생산 농민들의 고령화로 인한 적화 및 적과에 대한 노동력 부담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적화 및 적과의 생력화 방안으로 화학적 적화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석회유황합제는 이의 중요한 대안이다. 이에 사과원 화분매개 곤충 중 꿀벌에 대한 석회유황합제의 실내 독성 평가와,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 처리 전후 화분매개 곤충 밀도 및 곤충상 조사를 통해 석회유황합제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석회유황합제 처리에 의한 꿀벌 실내 독성은 3가지 조합의 lime sulfur를 이용하여 처리 후 3시간, 12시간, 24시간에 평가된 사망률은 추천 농도를 포함한 대부분 농도에서 미국환경청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 25%미만으로 꿀벌에 안전하다고 평가된다. 야외 포장에서 석회유황합제의 처리 전후 방화곤충의 밀도를 육안 조사한 결과 처리 전 꿀벌의 밀도는 0.18마리였으며, 처리 후 밀도는 0.34마리로 나타났다. 꿀벌과의 다른 종들은 처리 전 육안 조사가 되지 않았으나, 처리 후의 밀도가 0.05마리였다. 트랩을 이용한 방화곤충상 조사에서 주요 벌목 곤충은 처리 전후 밀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파리목의 꽃파리과는 처리 이후 더 높은 밀도를 보였다. 또한 트랩에 포획된 방화곤충은 총 6목, 40과, 635개체이었다. 따라서 석회유황합제는 꿀벌 및 화분매개 곤충에 대하여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demonstrates a variability in efficacy of mating disruption against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populations infesting apples cultivated in differenti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s, trap catches of G. molesta male moths and damaged leaf and fruit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commercialized mating disruptor. Treatment of the mating disruptor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p catches of male moth in treated plot,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plot. This reduced trap catch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f and fruit damage. Moreover, the highest host damage occurred in June just after the highest overwintering adult peaks in both plots. The treatment of mating disruptors in Chungsong effectively disrupted the overwintering population in April and May, resulting in no noticeable host damage during the following growing seasons. However,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host damage between two plots, especially in late seasons. Variation in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ion technology in terms of host damage appeared to be related with nearby pheromone-untreated orchards, which may result in the immigration of gravid female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1992 to 2005 in the major apple producing districts in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including 4~8 cities, to know the occurrence and damage level of two major pests, Carposina sasakii and Grapholita molesta that attack apple fruit. The fruit damage by G. molesta during the harvest period ranged from 0.02 to 1.64%. A tendency of higher damage of G. molesta was observed after 1997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s. The other hand, the fruit damage by C. sasakii was 0.02 to 1.30%, and the damage level was very low with fruit damage of < 0.3% except 1998. The orchard infested with G. molesta was 13 to 71%, while 12 to 57% with C. sasakii. The rates of orchards where fruit damage by G. molesta was found were higher than those by C. sasakii after 1997. The tendency of fruit damage rates in the orchard where the most fruit damage was found was same with the trend of orchard rates infested with the pests. The maximum damage rate by G. molesta was 20.0% in 2005, while 4.5% by C. sasakii in 1998. The damaged shoot rates by the first generation G. molesta was 0.1~8.1%, and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ates of fruit damage during the harvest period. Consequently, it is concluded that G. molesta is dominant species compared with C. sasakii in commercial apple orchards recently.
국내 육성 품종인 3년생 '홍로'와 도입 품종인 4년생 '갤럭시갈라' 사과를 대상으로 정아 고사 시 장과지 및 액아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결과지 길이 및 꽃눈 위치 따른 개화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로'와 '갤럭시갈라' 모두 개화시, 만개기 및 낙화기는 20 cm 이상 결과지에서 5 cm 미만과 10~15cm 결과지보다 다소 늦었다. 화총당 꽃수도 때 정도 적었다. 과중, 종자수, 당산비 등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5 cm 미만과 10~15cm 20 cm 이상 결과지보다 높았지만, 당도와 산 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0 cm 이상 결과지의 정아와 액아 간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액아에서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홍로' 사과의 종자수, '갤럭시갈라'의 Hunter a값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두 품종 모두 과중과 종자 간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아 고사 시 장과지로 대체 활용할 수 있고 '갤럭시갈라'의 경우 액화아의 이용도 가능하였다.
'후지'/M.9에 대한 세장방추형에 적합한 하단측지수 구성을 위하여 하단측지수를 달리하여 수체생육, 광환경, 수량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하단측지수준별 생육은 하단측지수를 5개로 유지했을 때 수폭은 넓었고, 신초장 및 정단신초장은 증가하였다. 수관위치별 수광률은 하단측지수가 5개인 처리구에서 수관상부(지상 150cm)와 수관중부(지상 100cm)에서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총 단과지 화아수는 측지수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수관위치별로 보면 수관하부(지상 120cm 이하)에서 하단측지수가 5개 처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화아의 횡경도 커지는 경향이었다. 과실수량은 하단측지수가 5개에서 가장 많았고, 과중은 하단측지수가 5개와 8개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과실특성은 과형지수, 경도, 산함량, Hunter L, b값은 수관위치와 측지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하단측지수가 5개일 때 높았다. 과실의 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값은 수광률이 가장 높은 하단측지수를 5개로 유지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wo fruit moths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Matsumura), infest apples in Korea by internally feeding behavior. C. sasakii is a quarantine insect pest from some other countries importing Korean apples. G. molesta is not a quarantine insect pest, but can be incorrectly identified as C. sasakii especially when it is found inside apple fruits at its larval stages because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two species by morphological characters alone. This incomplete identification results in massive economical loss by fruits needlessly destroyed or turned away at border inspection stations of the importing nations. This difficulty can be overcome by molecular DNA markers. Several polymorphic regions of mitochondrial DNA of both species were sequenced and used for developing specific restriction site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imers. Based on these sequences, three diagnostic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sites were detected and validated for their practical uses. Also, species-specific PCR primers were devised to develop diagnostic PCR method for identifying the internal feeders.
본 시험은 주요 왜성대목인 M.26 과 M.9, 발근력이 낮은 O.3, 발근력이 높은 Mo.84 등 4 종류의 사과 대목 품종을 재료로 휘묻이 번식시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를 시기별로 각각 비교, 분석하여 부정근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휘묻이 번식시 대목별 발근율은 Mo.84가 가장 높았고, O.3가 가장 낮았다. 대목 별 휘묻이 전 후의 IAA함량은 황화 처리 전 발근력이 높은 Mo.84에서 가장 높았으나 휘묻이 일수가 경과할 수록 IAA 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반면 발근력이 기장 좋은 Mo.84의 ABA 함량은 휘묻이 처리 전 후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휘묻이 처리전에 비하여 처리후에서 ABA 함량은 모든 대목 품종에서 감소하였다. Boron의 함량은 발근율이 낮은 O.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C/N율은 모든 대목들에서 발근율이 높은 Mo.84 대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목의 휘묻이 처리에 따른 IAA 함량은 대목의 발근율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ABA 함량과 boron의 수준은 사과왜성대 목들의 발근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perception on fruits especially, focusing on apples and pears served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6 students (504 female and 595 male students)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July 10 to July 20, 2006.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45% of respondents ate fruits every day and 42% had fruits 2-3 times per week. Approximately, 53% of respondents indicated their usual time to eat fruits was after dinner and secondly 27% had fruits between lunch and dinner. Majority of respondents chose a watermelon as the most preferred fruits and the first chosen among nine fruits (apple, pear, madarin, strawberry, cherry tomato, watermelon, grape, melon, and peach). Cherry tomato was found as the least preferred fruits by 30% of students, however cherry tomato was most frequently offered fruits in elementary school lunch menu. About 50%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ed fruits in their school lunch program. In addition, most students said that they would have fruits more frequently in their lunch menu. However, one fifth of students address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fruits in school lunch program because of kinds of fruits, freshness of fruits, taste of fruits, and quantity of fruits. Almost 71% of students preferred apples. Seventy three percents of students preferred eating apples without peel and 78% of students ate apples as slices of apples. In addition, 61% of students indicated their preference of apple salads. Many students responded they did not eat apples and pears frequently since they do not have a chance to eat them. The implications to increase the chance to eat fruits and promote elementary children's fruits consump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굴 껍데기로 제조한 개미산 칼슘화합물에 몇 가지 활성제를 첨가한 용액 수관살포가 사과 '후지' 과실의 칼슘농도, 과점의 발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굴 껍데기로부터 추출한 칼슘 화합물(Os-CaF, 52.4mg·kg-1)을 수관살포하였을 때 조직으로의 칼슘전이 효과는 무처리에 비하여 잎, 과피 및 과육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Os-CaF에 활성제를 첨가하여 살포하였을 때 '후지' 과실의 칼슘함량은 증가되었다. 특히, 잎에서는 ascorbic acid, polyvinyl alcohol을, 과피에서는 Ag-colloidal, polyvinyl alcohol을, 과육에서는 ascorbic acid, Ag-colloidal, polyvinyl alcohol을 첨가한 칼슘화합물이 칼슘 흡수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칼슘화합물의 농도 및 활성제 종류에 따른 과실품질(과중, 경도, 가용성고형물, 산 함량, 과피색)은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ostharvest dipping treatment with aminoethoxyvinylglycine (AVG) on ethylene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cell walls of 'Tsugaru' apple fruits during storage. Fruits were harvested on August 20, soaked in AVG 50 and 75 mg L-1 solution for 5 minutes, and stored in cold storage chamber at 0±1℃ for 60 days. Fruit quality factor, ethylene productions, and cell wall component changes were investigated at 20 days interval. As a result, the fruit firmness and acid content were much higher in AVG treated fruits than those of untreated one during 60 days of cold storage. Ethylene production of AVG treated fruits was reduced to the level of 1/10 compared with untreated one. As to the change of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in the cell walls of 'Tsu- garu' fruits, the major sugar was arabinose and galactose in water, CDTA and Na2CO3 soluble fractions. The content of arabinose and galactose in untreated fruits increased as the softening of fruits was in progress, but the fruits treated with AVG showed a little change during storage, so it is predicted that these two cell wall compositional sugars were not solubilized by the treatment of AVG. Accordingly, the marketability of 'Tsu- garu' fruits could remarkably increase when soaking the fruits in AVG solution after harvest.
수원시 이목동에 있는 원예연구소의 사과원에서 조사한 1958년부터 1998년까지 자료를 바탕으로 사과응애와 점박이응애의 역사적 발생변동 과정을 추적하였다. 1970년까지는 사과응애가 우점하였고 1980년 이후에는 점박이응애로 우점종이 바뀌었으며, 그 변화는 1970년 중반을 전후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3가지 가정, 즉 첫째, 두 종의 경쟁에서 점박이응애가 승리한다. 둘째, 과원의 초생은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즉 초생이 파괴되었을 때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촉진된다. 셋째, 과원생태계가 교란되지 않을 때 응애류는 천적에 의하여 개체군 밀도가 조절된다 하에 약제살포(고독성 비선택적 약제 처리 및 선택적 저독성 약제처리)와 초생관리(초생재배 및 청경재배=제초제 살포)에 따른 두 종의 장기적 상호작용 결과를 추정하였다. 고독성 농약/초생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제한되어 사과응애는 경쟁을 피할 수 있고, 또한 천적상이 파괴되기 때문에 전 생육기간 동안 사과응애가 우점한다. 고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에서는 계절초기부터 점박이응애가 수상으로 이동하여 사과응애를 경쟁적으로 배제시킴으로써 점박이응애가 우점한다. 저독성 농약/초생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의 수상이동이 제한되어 사과응애가 우점하지만 천적의 작용으로 높은 밀도를 형성하지 못한다. 저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에서는 점박이응애가 수상으로 이동하여 사과응애와 경쟁하지만 천적의 작용으로 밀도가 낮아져서 경쟁압력이 낮아지므로 생육후기 사과응애의 발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계절초기 사과응애, 계절후기 점박이응애가 우점하는 형태로 공존할 수 있다. 본 자료에서 제시한 점박이응애 우점화 현상은 부분적으로 고독성 농약/청경재배 시스템 상태에서 두 종의 장기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설명될 수 있었다. CAD를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가장 일반적인 실로 묶기, 전통적인 손바느질 느낌이 나는 시침질, 현대적 느낌이 강한 깡통에 의한 묶기와 기하학적 효과가 나는 접기 등의 홀치기염색 기법으로 수작업 한 다음 CAD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치기염색기법에 의해 제작된 패턴을 모티브로 하여 수작업에서 얻지 못하는 다색사용가능성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