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

        163.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몇 가지 완효성 비료가 채소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른 화분 침출수의 EC를 정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EC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아그로블렌과 토비 3g이상의 침출수의 EC는 3.50 ds·m-1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엔다이브는 엽장의 경우 대조구 16.8cm에 비해 모든 시비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엽수도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다. 아그로블렌과 토비 3g이상 시비구에서는 식물이 고사하였다. 상추는 엽장과 엽폭의 경우 대조구의 11.7cm, 4.8cm에 비해 모든 시비구가 증가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아그로블렌 1g, 오스모코트 3~5g 시비구가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근장의 경우 아그로블렌 3g과 토비 1g 시비구를 제외한 시비구가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도 길게 나타났다. 머스타드는 엽장과 엽폭의 경우 오스모코트 1g 시비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아그로블렌 1g이 21.4cm, 10.6cm로 가장 길었다. 엽수의 경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보다 증가 하였으나 시비구간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고 아그로블렌 1g 시비구가 8.6장으로 가장 많았다. 방울토마토는 초장의 경우 모든 시비구가 대조구의 12.9cm보다 증가하였으며 오스모코트 5g의 시비구가 47.9cm로 가장 컸으나 오스모코트 1g, 마감프K 1g, 5g 시비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구와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개화시기의 경우 시비구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과실의 경우 시비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열리지 않았으며 시비구의 경우 마감프K 모든 시비구, 아그로블렌 1g, 오스모코트 3~5g이 다른 시비구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많이 열렸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엽채류 및 과채류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엽수, 과실수 그리고 시비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아그로블렌 1g이 가장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164.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인공 배지를 사용하여 채소류의 생육반응을 알아보고 EPP소재 화분에 적합한 가볍고, 보수성이 우수한 배지를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고형율은 배지A가 27.4%였으며 배지B~E는 10% 정도였다. 공극율은 B~E의 경우 90% 정도로 A의 72.6%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A의 함수량은 63.6g 이었으나 B~E는 70g 이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B의 pH는 5.6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C, D, E 순이었다. EC의 경우 A가 2.16ds/m 으로 가장 높았으며 B~E의 경우 0.43ds/m 이하로 매우 낮았다. 사용한 배지의 물리성은 변하지 않았다. 엔다이브의 엽수는 D, E에서 19.2장으로 가장 많았다. 상추의 엽장과 엽폭은 B~E에서 각각 19cm, 11cm 정도로 배지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배지 A의 14.7cm, 9.1cm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엽수와 근장의 경우 유의차는 없었지만 잎의 크기와 마찬가지로 B~E가 A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타드의 엽장은 B~E가 A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의 초장은 C~E에서 50cm 정도로 A에 비해 유의하게 생장이 증가하였다. 개화일은 D가 7월 28일로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이 E로 7월 30일이었다. 과실수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E가 8개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실험에서 조제한 배지는 기존의 원예상토에 비해 가볍고 보수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식물의 생육과 배지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엔다이브, 상추, 머스타드, 토마토의 재배에 적합한 배지는 E(코코피트:피트모스:수태=2:5:3)로 판단되었다.
        16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llelopathic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Ganghwa domestic mugwort (Artemisia spp.) on vegetables and its related allelochemicals. When the receptor vegetables, such as Chinese cabbage, lettuce, and red radish, were treated with aqueous extract obtained from Sajabalssuk (A. sp*I), Ssajuarissuk (A. sp*II) or Ssajarissuk (A. sp*III), their germination rate, leaf number,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restric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aqueous extract. Allelopathic effect was the highest in radish, than lettuce and Chinese cabbage in order. The growth of topplant were more inhibited then root growth observing in restriction of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chlorophyll contents. The plant height, the root length of red radish were 53.3 and 61.2% and their fresh weights were 19.8 and 26.4%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respectively. A. sp*III showed the highest allelopathic effect among the donor plants. In HPLC analysis, 7 phenol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A. sp*I and A. sp*II, and, in A. sp*III, and hydroxybenzoic acid and phenylacetic acid were further identified as allelochemicals. It is considered that their plant growths were variously inhibited by the amounts and types of allelochemicals in aqueous extract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farm land after cultivation of mugwort, these results can be useful to select the following field crops.
        167.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4 vegetables (garlic, red pepper, perilla leaf and lettuce) collected from 10 restaurants around university was examined. The vegetables were evaluated for total plate count, coliforms, psychrophiles, yeast,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results of total plate count showed the highest value as 5.4±0.69 log CFU/g in lettuce, following by 4.8±1.53 log CFU/g in red pepper, 4.5±1.65 log CFU/g in perilla leaf and 3.4±1.27 log CFU/g in garlic. The contamination level of coliforms and psychrophiles were highest in red pepper with maximum as 4.7 log CFU/g and 8.2 log CFU/g, respectively. Red pepper of psychrophiles showed the highest average value as 5.0±1.82 log CFU/g followed by 4.2±1.91 log CFU/g in lettuce, 4.7±1.55 log CFU/g in perilla leaf and 2.4±2.10 log CFU/g in garlic. The average number of yeasts were highest in perilla leaf with 4.4±1.41 log CFU/g and were lowest in garlic with 0.9±1.41 log CFU/g. The contamination level of S. aureus was detected in 27 samples among the total 40 samples with the range of 0.5-5.2 log CFU/g. In conclusion, the microbial quality of the fresh vegetables evaluated in this study was not very good. Therefore, it needs to be enhanced through the good sanitation management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ethods to improve the safety of fresh vegetables.
        168.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preserving frozen vegetables (Aster scaber,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for a long period and of using them after such storage by measuring changes in quality due to their preservation. Various freshly harvested vegetables were blanched under optimal conditions (that were determined in a preliminary experiment), quick-frozen at –40℃ for 24 h, and stored at –20℃. The change in the chromaticity of the frozen A. scaber,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did not vary. The hardness of the frozen A. scaber, green pumpkin, Chinese cabbage and Welsh onion did not change during the preservation period, whereas the hardness of the cotyledon and hypocotyl of the soybean sprout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sixth month of their storage.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the A. scaber during the preservation period remained constant at 103 CFU/g, whereas those of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decreased slightly to 102 CFU/g. Coliform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preservation period that was used in this stud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arketability of the frozen vegetable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A. scaber,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can be safely preserved by freeze-storing them for up to 12 months.
        169.
        2012.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that could encourage consumers and establish thedirection of development for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preference for sproutsand leafy vegetables of 823 people over 20 years of ag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The preference for sprouts was higher in men (3.75±0.96) than in women (3.64±0.84), whereas the preference for leafy vegetables was higher in women (4.06±0.74) than in men (3.88±0.90). Based on age, the respondents in their 40s or above had high preferences for sprouts and leaf vegetables due to the importance that they accorded to health and nutrition (p<0.01). The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were purchased mainly for their high nutritional value. The purchase frequency of once a month or more for leafy vegetables (82.7%) was higher than that for sprouts (57.1%). The consumers purchased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mainly from a large discount store. The respondents in their 20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purchasing from a local store whereas the older one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traditional markets. The reason for the choice of the place of purchase was convenience. The freshness and price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nsumption of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In the case of leafy vegetables, the consumers preferred to buy them using the conventional weight measurement system rather than in small packages. On the other hand, mixed small packages were preferred for sprouts. The purchase frequency was correlated with the preferences, need for improvement and purchase intent for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The aspects that require improvement for producing high-quality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were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sprouts and leafy vegetables, there is need for variations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and safety of the products.
        170.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ole apples were cut with a sharp or dull knife, and whole cabbages and crisp lettuce heads were cut into salad or thin strips with a knife or by hand. The fresh-cut apples, cabbages, and lettuce were packed in low-density polyethylene bags and kept at 4°C, and their qualities were investigated. Browning and softening of the apples that were cut with a sharp knife were more delayed than those of the apples that were cut with a dull knife. The soluble solids and pH of the fresh-cut apples were not affected by the sharpness of the cutting blade. The browning indexes of the fresh-cut cabbages and lettu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amples that were cut with a knife than by hand and in the samples that were cut into large piec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utting blade sharpness, cutting tools, and cut types affected the quality of the fresh-cut apples and leafy vegetables, and that the cutting methods which minimized the cutting damage should be used to retard the browning and softening of the produce
        17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상용 중인 과일 및 채소로부터 췌장베타세포 보호활성을 가지는 추출물의 식물 자원을 탐색해보고자 수행되었다. Alloxan에 대한 총 13종의 과일・채소 추출물에 대한 효과를 햄스터췌장베타세포주(HIT-T15)를 배양한 후 세포생존율, LDH 방출량, NAD+/NADH ratio, 인슐린 분비량 및 4종의 항산화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13종의 과일・채소 추출물은 alloxan에 의해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마늘종(Allium sativum) 등의 11종의 시료는 alloxan에 의해 증가된 LDH 방출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산수유(Cornus officinalis) 등의 9종의 시료는 alloxan에 의해 감소된 NAD+/NADH ratio를 유의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3종의 추출물인 마늘종(Allium sativum), 산수유(Cornus officinalis)와 고들빼기(Yongjia sonchifolia) 추출물은 인슐린 분비능을 보호하였고 깻잎 등 5종의 시료는 SOD, GST, GR 및 GPx와 같은 항산화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과일・채소 추출물은 세포괴사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고 세포 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마늘종(Allium sativum), 산수유(Cornus officinalis), 자두(Prunus salicina),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및 고들빼기(Yongjia sonchifolia)와 같은 5종의 추출물이 alloxan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췌장베타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172.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전처리 채소와 가공식품의 유통단계를 분석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생물 변화와 학교급식에 이용되는 식재료의 미생물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유통 중 박피도라지에서 일반세균 CFU/g, 대장균군 CFU/g, E. coli < , S. aureus < CFU/g, B. cereus < CFU/g이 검출되었다. 전처리 양파에서는 일반세균 CFU/g, 대장균군 CFU/g이 검출되
        173.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린잎 채소는 조직이 연하고 부드러워 가공, 포장, 유통시에 물리적인 상해를 받기 쉬우며 수확 후 수분증발 및 성분 변화 등으로 품질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연구는 어린잎 채소 중에서 다채의 수확 후 생리특성을 구명하고 적정 포장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연구소 온실에서 2007년 1월 29일에 다채 종자를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여 30일 정도 키운 다채를 사용하였으며, 수확 후 에서 12시간 예냉 처리한 후 P-plus 필름,
        174.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a fresh-cut leafy vegetable processing plant were evaluated. Total plate counts of samples collected from the wall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ranged from CFU/100 , CFU/100 , and CFU/g, respectively. No coliforms were detected on walls; however, equipment and raw materials contained coliforms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ND (not detected)to CFU/100 and CFU/g, respectively. Additionally, total plate counts for falling and floating bacteria in the processing plant were CFU/plate and , respectively.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or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on walls, equipment, or raw material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ygiene control in the fresh-cut processing plant should be improved.
        175.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phenolic content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29 fruits and vegetables were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plum (1.06 mg GAE/g fresh weight) and cherry (0.95 mg GAE/g fresh weight) were high, whereas those of banana, carrot, and cucumber (each at 0.07 mg GAE/g fresh weight) were low. I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ssay, apple mango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92.8%) among the 29 ethanol extracts tested, followed by paprika (75.4%), beet (75.3%), and cherry (75.1%). In the inhibition assay, cherry (34.95% inhibition) and grape (31.03%)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among the 29 fruits and vegetables examined.
        176.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고,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재배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황기, 석결명, 술패랭이꽃, 질경이 새싹채소의 재배 중 녹화기간에 따른 항산화효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종에 따라 광합성이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황기 새싹채소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녹화 0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녹화 0일, ABTS radical 소거능은 녹화 1일,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석결명 새싹채소는 2일 녹화했을 때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1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술패랭이 새싹채소는 녹화 3일 째에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Fe2+ chelating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radical 소거능과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은 녹화시키지 않았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질경이 새싹채소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은 녹화 2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 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물 종에 목표로 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광합성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식물 종과 원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재배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177.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엉 종자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 종자는 25℃ 명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왕성하였으며, 4일만에 82%가 발아하였다. 발아 종자를 암조건에서 재배한 결과, 20℃에서 길이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녹화처리는 새싹의 길이생장을 억제하였으나, 자엽의 길이 및 부피생장을 촉진하였다. 수확 후 예냉하여 포장한 우엉 새싹채소는 4℃보다 10℃에서 저장할 때 저장 기간이 증가되었다. 포장용기의 통기구는 저장 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0, 1, 2, 3일 녹화처리한 새싹채소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우엉 새싹채소의 radical 소거능 및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시판중인 브로컬리, 적채, 완두의 새싹채소 및 콩나물보다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우수하였으며, 특히 3일 녹화시킨 우엉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처리가 길어질수록 우수하였다. 우엉 새싹채소는 우엉의 성체 잎줄기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엉 새싹채소는 기능성 채소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178.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SR spectroscopy에 의한 방사선 조사 건조향신료의 조사여부의 정확한 판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사선 조사 유래의 cellulose radical에 대한 parameter를 분석하였다. 건조향신료 분말 4종(고추, 마늘, 양파, 후추)에 대하여 0, 1, 5, 1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ESR signal을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4종의 건조향신료는 모두 방사선 조사 유래의 triplet signal인 cellulo
        179.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생초, 각시취 및 저먼케모마일의 종자를 15~30℃에서 각각 명조건과 암조건으로 20일 동안 발아시킨 결과 기생초는 15℃, 암조건에서 4일 후에 83.0%, 각시취는 25℃, 명조건 20일 후에 51.7%, 저먼케모마일은 25℃, 암조건에서 4일 후에 90.3%의 발아율을 보였다. 발아된 종자를 암조건에서 길이생장을 시킨 결과 기생초는 30℃에서 5일, 각시취는 25℃에서 6일, 저먼캐모마일은 20℃에서 6일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3종 모두 녹화처리시 길이생장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으나, 기생초와 각시취 새싹채소는 길이생장이 억제되는 대신 부피생장 이 왕성한 특징을 보였다. 녹화처리에 대한 생육반응은 각기 다르게 나타나 기생초는 녹화 3일, 각시취는 2일이 적합하였으며, 저먼케모마일은 녹화처리를 하지 않고 출하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종 모두 수확 후 밀봉되는 용기에 포장하는 것이 수분 감소량을 억제시키면서 오래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에 따라 온도와 통기구의 유무에 따른 수분 감소량 및 갈변 억제 등 품질 유지에 다양한 반응을 보이므로, 판매 형태 및 주기에 따라 저장환경을 달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180.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와 빌딩옥상에서 상추, 래디시, 미니배추 등의 채소를 재배하여 비타민 C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을 재배장소별로 비교하였다. 아파트의 남향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 옥상 재배와 비슷한 생육정도를 보였으나, 일조량이 부족한 동향 발코니 재배 채소는 크기는 작으나 조직이 연해 샐러드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향 발코니에서 30일 재배한 상추와 래디시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18.0 mg%과 27.9 mg%로서, 동향 발코니와 옥상 재배 채소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옥상재배 채소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코니에서 재배한 채소는 수확 후 바로 섭취함으로서 저장 및 유통에 따른 항산화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발코니 공간은 봄부터 가을철 까지 다양한 채소를 재배할 수 있는 채소밭으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시 아파트의 발코니에서 기능성 식용식물을 재배한다면 관상효과와 더불어 매일 신선한 무공해 채소를 공급하게 될 것이며, 본 연구 결과는 발코니 채소밭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