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5

        162.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roadly speaking, this paper is concentrated on the trimming of the wood demanded for the palace, constructed in the 2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To be concrete, this is the study on the craftman and craftmanship corncerned with the trimming of the wood, its system, and terms of payment of his wages, Construction reports, financial reports, job slips, written estimates, bills for payment,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1) The operation system of whole construction office and its suboffice was very specialized and systematize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2) The craftman engaged in trimming of the wood was subdivided by work function. 3) The craftman for its first trimming, i.e. 'keojang' or 'seonjang' had been treated as a speacial labor recruited to the mid-l8th century, after that, was enrolled into the craftman. 4) A unit cost of its first trimming was firstly appropriated into the reconstruction of the Kyongwoon Palac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 was very subdivided for a personnel management. 5) Contract works were widely applied to all workers engaged in the reconstruction for an efficiency of the accomplishments.
        5,500원
        163.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재투습성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밝혀졌다. 1) 시편두께 0mm에 외삽한 투습저항값이 정(正)이므로 목재표면에서의 수분전달현상을 고려함이 인정되었다. 2) 목재내부의 함수율분포는 함수율 9%를 경계로 두 개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또 시편양측의 공기중 평형함수율이 9%이상일 때는 한 개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수분확산계수는 함수율 9%를 경계로 두 개의 일정한 값을 가지며, 이 값들은 오직 함수율에만 관계한다. 4) 수분이동량은 목재내의 함수율구배에 의존한다. 4) 목재의 수분전달계수는 시편두께에 의존하였다. 이 현상의 기구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
        4,000원
        164.
        199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22개 지역 19수종 238본의 고사목에서 1989년 4월부터 9월까지 선충류와 곤충류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 재선충은 부산지역에서만 검출되었으며, 어리소나무 재선충은 진주와 진해에서 분포가 확인되었다. 고사목에서 분리.동정된 선충류는 9속 13종이었으며 6속은 미동정되었다. 동정된 선충 중 Diplogasteroides dimidius, Rhabdontolaimus adephagus, R.janae, Mikoletzkya diluta, M. ruminis, m. langcauda, Parasitorhabditis hylurgi, Panagrolaimus concolor, Panagrodontus dentatus, Prothallonema intermedium, Macrolaimus canadensis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이다. 한편, 고산목에서 채집된 곤충은 5목 9과 25속 27종이었는데 딱정벌레목이 3과 19속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그중 나무종이 10속 12종으로 빈번히 채집되었으며, Hypothenemus eruditus가 꽃싸리, 싸리, 조록싸리, 만리화, 닥나무에서 채집되어 새 기주로 추가되었다. 소나무 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는 복부에서의 선충 검출수가 가장 많았으며, 성충 한마리당 선충 보유수는 최대 127,535마리, 최소 2,616마리, 정균 42,817마리였다.
        4,000원
        165.
        197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불개미의 다형현상에 있어서 일개미의 몸의 크기와 임무수행과의 관계, 유시웅의의 시맥상의 변이, 성비 및 소의 크기에 따르는 일개미번데기의 형별발생과 일개미집단의 형별구성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개미는 3형으로 분화되어 있으며, 소형은 주로 소의 내부에 동료집단의 보호와 외부에서 진딧물에 방문하는 임무를, 그리고 대형과 중간형은 주로 외부에서 식이운반, 조소 및 동료집단의 보호임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소형이 진딧물에 방문하는 임무는 반드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계절에 따라 다소 변동이 있는 것 같다.
        4,000원
        166.
        197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보고는 불개미 (Formica rufa truncicola var. yessoensis Forel: red wood ant, Polydomous ant)가 어떤 일정한 지역의 삼림애 한정되어 서식하기 때문에 그의 서식지에 있어서의 서식의 제한인자인 생태학적 환경요인을 구명함으로서, 다른 지역의 송림에 이식하여, 실제로 송충의 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므로. 자연서식지(A구)이 있어서의 불개미 집(소)의 분포와 밀도를 조사하는 동시에, 토양의 물리 및 화학적성질, 식물의 분포와 밀도, 소나무의 입목도와 울패도, 조소와 지주식물, 지표면의 습도 그리고 이식시험한 결과 등을 종합한 것이며 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서식지에 있어서 불개미의 집(소)은 주로 산록부와 산복부이 분포하여 서식밀도가 높으나 산정부에는 불개미가 전혀 서식하지 못하였다. 2. 자연서식지(A구)에 있어서의 불개미의 경제밀도는 이고 단위밀도는 로서 실제로 송충의 발새오가 피해를 완전히 억제하고 있으므로 경제적 이용효율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3. 불개미의 자연서식지는 10-20년생 소나무가 밀생하여 임목도와 울패도가 높은 송림의 지표면에 임간나지가 많고 쇠풀과 화본과 잡초인 새류가 부분적으로 군생하는 반면에 잔디가 적었다. 4. 불개미는 자연서식지의 산록부가 산복부에서 주로 새류와 소나무 등을 지주식물로 이용하여 조소하였다. 5. 자연서식지에 있어서 습도에 따르는 불개미의 분포한계선은 5월부터 9월까지(활동기)는 산복부의 선이고 10-11월(월동기)까지는 선이었다. 6. 불개미의 자연서식지는 지표면에 유기물과 수분등의 함량이 많은 반면에 Ca와 Mg의 함량이 적고, 미사와 세사 및 점토가 많은 반면에 조사가 현저히 적었다. 7. 불개미를 자연서식지와 환경조건이 비슷한 비서식지의 송림에 분군이식하면 증식과 정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67.
        197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불개미를 송충의 천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경남지방에 있어서 불개미의 분포, 일만 생태, 이식가능 한계기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블게미는 1-3령기인 송충을 포식하였다. 2) 경남 지방의 불개미의 분포는 18개군 474개소에 분포하고 있으며 총면적은 였다. 3) 불개미 집의 분포는 하부에 , 중부에 및 상부에 였다. 4) 조소의 높이와 군세는 정비례하며 회귀 방정식은 Y=6,200 X-27,813이였다 또한 조소와 수분과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불개미의 이식 한계기는 5월-9월이었고 불개미를 이식한 바 1연간에 5개의 집을 만들었다.
        4,000원
        16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floorboard surface is 1/2 level compared to the hot water temperature of 80℃, which is circulated by hot water heating. And the part above 10mm above the surface of the floorboard was low as 1/3 leve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room where the flooring is applied to the hot water heat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looring material should be improved as well.
        16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이오매스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의 일종으로 다양한 공정에 따라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 디젤, 바이오 가스 등으로 회수하여 석유자원의 대체제로 사용 가능하다. 그 중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셀룰로오스는 바이오 에탄올 등의 연료화를 통해 이용되고 있으나, 리그닌의 경우 펄프 공정 내 부산물로 여겨져 단순 연소를 통한 열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리그닌은 자연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페놀성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이를 이용한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접착제 등의 화학약품화 및 탄소섬유로 소재화하는 등의 리그닌 부가가치화 연구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 대상인 폐목재는 2015년 기준 연간 약 170만 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약 70%가 재활용되어지고 있으나, 3등급 폐목재의 경우 가공과정에서 페인트, 기름, 방부제, 접착제 등 다량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재활용 시 많은 제약을 두고 있다. 이러한 폐목재의 특성을 고려한 재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3등급 폐목재를 대상으로 organosolv 전처리법을 이용한 최적 리그닌 분해 조건 도출 및 UF/NF 멤브레인 시스템 적용을 통한 폐목재 내 목적으로 하는 분자량을 가진 리그닌의 고순도 분리 추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분리된 리그닌의 FT-IR, NMR, TGA 분석을 통해 폐목재 리그닌의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170.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Panax ginseng) has been reported to exert an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 variety of inflammatory. However, inflammation-regulatory activity of wood-cultivated ginseng has not been thoroughly evaluat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wood-cultivated ginseng and elucidated the potential mechanism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Methods and Results : Inhibitory effects of the old wood-cultivated ginseng (WCG-O), young wood-cultivated ginseng (WCG-Y) and ginseng (G) on NO and PGE2 production were examined using the Griess assay and ELISA kit. Suppressive effects of WCG-O on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transcriptional activation, and inflammation signaling events were investig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RT-PCR analysis and luciferase activity reporter gene assay. WCG-O dose-dependently suppressed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WCG-O attenuated LPS-mediated overexpression of iNOS and COX-2. In addition, WCG-O blocked the expression of TNF-α and IL-1β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elucidation of the potential mechanisms for anti-inflammatory effect, WCG-O inhibited the activation of IκK-α/β,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and degradation of IκB-α, which results in the inhibition of p65 nuclear accumulation and NF-κB activation. In addition, WCG-O suppressed the activation of ERK1/2, p38 and JNK, which results in the inhibition of ATF2 nuclear accumul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CG-O may exert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inhibiting NF-κB and MAPK signaling. From these findings, WCG-O has potential to be a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on or therapeutic agents for the inflammatory diseases.
        171.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폐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연료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국내 폐바이오매스는 크게 식품폐기물, 축산폐기물, 농산부산물, 임산부산물 및 하수슬러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공정은 생물학적, 열화학적 공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국내 하수슬러지의 경우, 해양투기가 금지된 이후 에너지로 전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14년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은 98개 지자체에서 96개의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이 운영되고 있고, 추가적으로 18개의 시설이 설계 및 건설되고 있다. 이 중 대부분의 시설은 고화 및 건조연료화를 통해 하수슬러지 처리량 저감을 하고 있으나, 고화 및 건조 연료화를 통한 하수슬러지 저감은 슬러지 자체의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의 연료화를 위해 열화학적 공정 중 하나인 반탄화 공정을 이용하여 10 TPD급 폐바이오매스 반탄화 반응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원료물질인 하수슬러지의 높은 수분함량에 따른 열량 부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폐목재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응온도(250-350℃)와 하수슬러지와 폐목재 혼합물의 혼합비(6:4, 4:6)에 대하여 운전 조건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반탄화물 수율 70% 이상, 생성된 탄화물의 고위발열량 4,000 kcal/kg 이상의 운전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생산된 반탄화물의 원소분석에 따른 C, H, O의 구성비는 저품위 석탄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72.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에서는 조선초기부터 도성 내외와 연해지역에 禁山을 설정하고 禁松정책을 취했다. 한편 민간이 山林을 사적으로 점유해 이용하는 것도 허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 서민에게는 그 기회가 별로 없었고, 그 대상은 주로 양반층이었다. 국가의 禁山정책에도 문제가 많았다. 따라서 일반 서민들에게도 수목 채취를 어느 정도 보장하는 다른 대책이 필요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숙종 21년 당시 민간에서 시행되고 있던 禁松契를 참조해 마을마다 금송계를 만들어 스스로 금송활동을 하게 하는 조치를 충청도에 시험적으로 시행해 보기도 하지만, 이후 국가에서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시행하는 조치는 없었다. 다만 조정에서 여러 차례 논의가 이루어져 금송계 문제가 부각되고, 또 일부 관리들이 작성한 牧民書에 이런 방안이 소개되면서, 금송계가 전국적으로 점차 확산된 것 같다. 이런 과정을 거쳐 마을마다 금양의 경계가 지워져 마을 단위로 禁養하고 採樵하는 관행이 점차 일반화되어 간다. 이런 추세 속에서 禁養權과 그 경계를 둘러싸고 양반층과 사찰, 그리고 금양처를 새롭게 마련해 가던 마을 간에 갈등이 생기게 된다. 이런 갈등 상황에 직면하여 양반층은 마을과 연대하여 금송계를 결성·활용하는 방법을 적극 모색하였다. 이런 금송계는 사족이 주도하면서도 주민이 함께 화합하고 채초문제를 잘 해결해 가려는 것이었지만, 일부 금송계에서는 양반층의 입지가 약화되고 서민들의 입지가 강화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금양경계를 둘러싼 마을 간의 다툼도 적지 않았다. 산송이 계속되면서 관에서는 애매했던 경계를 좀 더 분명히 하고 소송 당사자 간의 권리를 좀더 구체적으로 조정하고 구분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이처럼 사족, 사찰, 마을 간에 금양권과 그 경계를 둘러싸고 갈등이 생기는 것은 산림 중에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않은 공한지가 있었다거나, 또 금양경계가 분명하게 처리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았던 것에서도 연유한 것 같다. 또 금양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여 생존권 차원에서 다른 마을과 채초를 둘러싸고 갈등을 벌이는 마을도 있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금양권 확보를 위한 마을 간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졌다.
        17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nd sulfate ion from acid mine drainage by porous zeolite-slag ceramics (ZS ceramics) that was prepared by adding wood flour as pore-foaming agent while calcining the mixtures of natural zeolite and converter slag. The batch test show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pellet-type porous ZS ceramics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of wood flour was decreased and as the weight mixing ratio of wood flour to ZS ceramics was increased. The optimal particle size and weight mixing ratio of wood flour were measured to be 75 ㎛ and 7∼10%, respectively. The removal test with the porous ZS ceramics prepared in these optimal condition showed very high removal efficiencies: more than 98.4% for all heavy metals and 73.9% for sulfate ion. Relative to nonporous ZS ceramics, the increment of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porous ZS ceramics with 75 ㎛ and 10% wood flour was 5.8%, 60.5%, 36.9%, 87.7%, 10.3%, and 57.4% for Al, Cd, Cu, Mn, Pb, and Zn, respectively. The mechanism analysis of removal by the porous ZS ceramics suggested that the heavy metals and sulfate ion from acid mine drainage are eliminated by multiple reactions such as adsorption and/or ion exchange as well as precipitation and/or co-precipitation.
        17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Panax ginseng C. A. Meyer is wood-cultivated ginseng (WCG) in Korea which depends on an artificial forest growth method. To produce this type of ginseng, various P. ginseng cultivars can be used. To obtain a WCG similar to wild ginseng (WG), this method is usually performed in a mountain using seeds or seedlings of cultivated ginseng (CG) and WG. Recently, the WCG industry is suffering a problem in that Panax notoginseng (Burk.) F. H. Chen or Panax quinquefolium L. are being sold as WCG Korean market; These morphological similarities have created confusion among customers. Methods and Results: WC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areas in Korea. Afte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using the primer pair labeled with fluorescence dye (FAM, NED, PET, or VIC), fragment analysis were performed. PCR products were separat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an ABI 3730 DNA analyzer. From the results, WCG cultivated in Korea showed very diverse genetic background.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method to discriminate between WCG, P. notoginseng or P. quinquefolium using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Furthermore, we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of WCG collected from five cultivation areas in Korea.
        175.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Asarum sieboldii as an environment-friendly fumigant for protecting organic cultural heritages, the inhibitory effect of A. sieboldii extract against wood rot fungi on Hanji was examined. Methods and Results: The physical, opt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Hanji inoculated with Trametes versicolor and Tyromyces palustris, and exposed to the n-hexane fraction of A. sieboldii extract, were measured.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expressed as weight loss, zero-span tensile strength and viscosity and the optical properties were depicted by luminance and chromaticity (L*, a*, and b*).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hexane fraction of A. sieboldii extract inhibited the growth of fungi on Hanji, and preserved its condition. At a concentration of 25 ㎎, the n-hexane fraction of A. sieboldii extract maintained zero-span tensile strength, increased viscosity, and restricted discoloration of Hanji. It also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fungi infested Hanji exposed to the extract did not decreas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s revealed that the spores and hyphae of T. versicolor and T. palustris were not present on Hanji during treatment with > 25 ㎎ of the n-hexane fraction of A. sieboldii extract.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hexane fraction of A. sieboldii extract by virtue of its antifungal effectiveness may help in preserving Korean paper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Hanji.
        176.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result to check basic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yood and fabric board, both of them satisfied the criteria of KS F 3126 but hardened fabric board only showed changes in the absorption width expansion rate. This may imply that continuous expansion and swelling can occur if hardened fabric board is exposed to moisture for longtim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 product and mainteaning it.
        177.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result of abrasion resistance test of decoration wood-based flooring board laminated with PVC on plywood, compared to the flooring board laminated with general HPL surface decoration materials, it was available to secure far higher abrasion resistance. It seems to contribute to secure initial durability and maintenance of decoration wood-based flooring board as an important means, and it might be available for saving repair and maintenance costs due to flooring board issues.
        178.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2,4-dinitrophenol (2,4-DNP) from an aqueous solution by commercial Wood-based Activated Carbon (WAC) have been studied. The effects of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using a batch adsorption technique. The adsorption capacity of 2,4-DNP by WAC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dosage and particle size of WAC, temperature and the initial pH of the solution, an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The adsorption equilibrium data were best described by the Redlich-Peterson isotherm model.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ies of 2,4-DNP by WAC were 573.07 mg/g at 293 K, 500.00 mg/g at 313 K, and 476.19 mg/g at 333 K, decreasing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kinetic data were well fitted to the pseudo-second-order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intra-particle diffusion model suggested that the adsorption process was mainly controlled by particle diffusion. The thermodynam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adsorption of 2,4-DNP by WAC was an endothermic and spontaneous process.
        17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allowable nailing stress according for wood: more diverse nail types need to be considered, especially the types most widely used in the field; different fiber directional properties must be differentiated also, future studies need to integrate much required design factors, for example by including the wood temperature/humidity into the integrated modulus, as wood is very sensitive to changes of moisture in the air.
        18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matoes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daily meals in most households. Thus, it is important to invest in studies enhancing their yield and nutritional value.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wood vinegar (WV) on tomato under greenhouse conditions. Data on fruit number, fruit weight, and plant height were recorded.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mato were determined using the Folin-Ciocalteu reagent and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respectively. FRR-CF+500x-WV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uit number (86.11%) and fruit weight (81.78%) over the control. Results were comparable to HRR-CF+250x-WV, indicating that conventional fertilizer and WV may have synergistic effect on each other. TPC and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was improved by 250x-WV application. The increase in the phenolic compounds can be attributed to WV as a direct source or as a factor triggering the plants to produce more secondary metabolites with the purpose of increasing natural defenses. The significant effect obtained by applying the full recommended rate of conventional fertilizer on the carotenoid content was due to the availability of the major nutrients needed by the plan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arotenoids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TPC and DPPH. However, TPC and DPPH showed that these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omatoes are excellent source of antioxidant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of some human diseases and improved health. The results provided evidence that WV alone and/or its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fertilizers has favorable effects on the quality of toma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