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교직헌신에 대한 원장의 진성리더십, 교직 원의 지지, 조직공정성, 교사 인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 보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2월부터 5월까지 전국 유아교육기관에 초임 교사로 재직 중인 유아교사 418명을 통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과 AMOS 26.0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 트스트랩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공정성과 교사 인성은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교사의 교직헌신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다. 또한 교사 인 성은 교직원의 지지와 교직헌신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초임유아교사 의 교직헌신을 높이는데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조직의 공정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이들을 높여내는 것이 필요함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에서는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조직 공정성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본 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experiences of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Juingonggwanbeop in elementary schools. The goal was to provide universal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schools. Methods: This study use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data from teachers working at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regarding their character education experie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5 themes and 16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five themes included “Starting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for various reasons”, “Feeling joy when seeing students changing through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Difficulties in managing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standardized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nd growth in their school lives through Juingong-gwanbeop charact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develop universal programs and materials for teacher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Juingong-gwanbeop.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적 변화에 따라 양육에 대한 패러다임도 가족에서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이양되면서 가정양육보다는 시설에서 의 대리 양육의 의존률이 높아졌다. 보육교사에 대한 기대감으로 학대 없는 안전보육과 함께 전인적 발달이 이루어지는 건강하고 질 높은 다 양한 보육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보육교사가 근무중 여러 가지 요인으 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에 대한 자긍심과 책임감은 물 론 윤리의식의 인성과 교사효능감을 높여 줌으로 주요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석하여 영유아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탐구하고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 다. 이에 따라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은 물론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 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 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 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학대에 유의 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수효능감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학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의 인성과 영유아학대 사이에서 직무스트 레스와 교수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 육교사 인성은 직무스트레스와 교수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학대에 간 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학대에 미치는 관계에서 인성과 직무스트레스, 교수효능감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 하였다.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하는 인성을 함양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방안과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영유아 학대를 예방 근절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에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인성은 영유아의 성장 발달에도 유의미한 인과관계 를 가지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윤리의식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를 보육· 교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올바른 인성함양과 인성교육에 지속 적인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 스는 사회적 측면에서 다양한 양육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보육교 사의 자질향상뿐만 아니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질 높은 보 육 활동을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사회의 자연적인 현상으로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맞벌이 가족의 증가와 함께 가정에서의 양육 보다는 시설에서의 양육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 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 증하여,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올바른 인성 을 갖추기 위한 체계적인 자기관리와 다양한 프로젝트 개발이 필 요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통한 환 경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들의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참여기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수효능감 분석을 통하여 현장에서 느끼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했다 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영유 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전 문성을 높이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변인 간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 성, 상호작용, 인성, 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 적재값이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관측변인들은 해당 잠재변인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 전문성은 인성, 효능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효능감은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사이에서 인성과 효능감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보육 교사 전문성은 인성과 효능감을 매개하여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인성과 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 보육교사의 역할이 전문성을 통해 영유아들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 하고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이론에 근거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 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며,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을 증진하여 영유아를 잘 보육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인성의 인과관계 구조를 연 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실증적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 의 전문성이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서 교사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 적이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640명을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변수의 기술통계는 자아탄력성의 평균 3.861점, 인성 의 평균 3.805점, 영유아 상호작용의 평균 4.199점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인성 중 사회관계, 긍정자아, 직무수행의 순으로 영유아의 상호작용 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 효과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함의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 훈련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 구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 유아 인성리더십 교육에서 교사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훈 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으로 도구 개발과 훈련체계 구성이 포함된다. 둘째, 개발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테스트 결과의 분석,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용 훈련 효과의 분석 이 포함된다. 연구 결과, 황금원 모델에 따른 구인별 음원 24개, 스탬프로 제작된 습관별 코칭 놀이감 8개, 구인별 음원과 코칭 놀이감을 활용한 코칭 스크립트 24개, 모듈별 코칭 동영상 3개, 8시간의 교사 훈련 체계를 포함한 교사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 황금원 모델에 대한 지필 테스 트,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통한 동료코칭 피드백 분석, CICAIO(Coaching Inventory Child-Adult Interaction Through Observation)를 통한 상호작 용 훈련 효과의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 교사에게 유의미 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직무 수행 능력과 핵심역량을 강화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유치원 및 보육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인성, 인성교육, 직무, 핵심역량 등의 요구도 조사를 하였으며 SPSS 21.0(v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올바른 인성 함양을 위해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는 높았으며, 직무 및 핵심역량과 인성교육 간의 관련성 인식도 높았다. 그리고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인성 요소 10위까지 의 순위는 긍정적 자아개념, 성실함, 도덕성, 책임감, 인내심, 유아에 대한 사랑, 올바른 가치관, 정서적 안정, 타인에 대한 긍정적 사고, 융통성 등이며 우선순위와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와 핵심역량을 강화하는데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인성교육이 유아교사의 직무와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본 연구가 유아교사의 전문적인 직무 수행 능력 향상과 자질을 배양하는 핵심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 영유아교사 인성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프로그램 1차 시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적절성 검토 및 예비연구를 거쳐 프로그램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도 입, 전개, 마무리의 단계 12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성 요인으로는 자기이해, 긍정적 자아수 용, 인간관계,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활동들로 구성하였다. 교육내용은 영유아교사들의 인성사 고를 돕는 인성요인을 스케치북 토의, 강의, 모델링, 코칭실습 등 다양한 기법들과 매 회기 한 국코칭학회의 ACTIVE 코칭대화모델 6단계를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각 회기마다 질문하기, 경청하기, 인정하기 등의 코칭기술을 세부 내용에 맞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유 아교사의 인성함양을 위한 코칭프로그램은 영유아교사의 인성함양을 위한 교육 내용 및 방법 의 기초연구로서, 코칭기술과 코칭대화모델을 접목하여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인성함양의 지평을 확대해 보고자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양교과를 활용한 인성코칭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 관련 문헌을 분석하고 현장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면담과 전문가 협의 를 통해 교육모형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자신의 내면을 가꾸는 영역과 타인, 공동체,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성품과 역량 기르기 영역으로 구분하여 4개 요소를 중심으로 32개 세부요소로 구분하여 중심내용을 선정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도계획을 수립 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2시간씩 교양교과를 활용해 활동중심으로 실시한 결과, 미래 교직에 대한 비전과 이를 위한 계획을 구체화하여 긍정적 측면의 변화로 심리적자 원이 증가하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의 교육모형은 예비교사양성과정 뿐 아니라 현직교사 직무 및 승급교육 등 다각적으로 실효성 있는 인성코칭 과정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 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그림책에 나타난 유아 창의인성교육 매체로서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 창의인성요소(최현주, 최연철, 2017; 서현정 외, 2017)’, 좋은 그림책 기준,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특성이 명확히 드러나는지에 대한 분석 및 유아의 관심과 요구, 현장 적용의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 선정한 5권의 그림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임의로 선정한 5인의 공립유치원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8년 4월 2일부터 5월 13일까지 6주 동안 면담, 저널, 토론 등의 절차가 이루어졌으며, 이 기간 중 연구자는 연구 자료로 면접과 토론 및 비형식적 대화내용 전사본, 연구 참여자의 저널, 현장노트, SNS 및 MMS 메시지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적 맥락 포착, 영역 분석, 반복적 검토, 해석, 수정, 유목화, 재확인 및 재검토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본 포스트모던그림책의 유아 창의인성교육 매체로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창의인성의 출발: 교사의 자기성찰’, 둘째, ‘열린 결말이 주는 권한’, 셋째, ‘서로 다른 입장에 서보는 열린 장’, 넷째, ‘갈등을 허용하고 다름을 조율’, 다섯째, ‘탐구와 열정’, 여섯째, ‘끝나지 않는 몰입’이다.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볼 때 포스트모던 그림책 속에는 유아 창의인성교육의 의미가 다면적으로 내포되어 있으며 이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인성교육이 활성화 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익광고에 포함되어있는 유아인성교육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 사 공익광고자료실에 탑재된 공익광고(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6) 9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본 공익광고의 인성교육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유아에게 정서 표현을 가능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둘째, 모두의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유아를 대상으로 만든 것이 아님에도 그 소재는 유아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여 나와 가족,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셋째, 실천을 이끄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특정 행동의 모방이 아니라 사회문제해결 모색으로서의 문제해결력과 실천을 이끌어낸다. 넷째, 흥미를 더하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 속의 음악은 분위기 극대화는 물론 유아들이 반복해서 따라 부를 수 있는 지속적 흥미를 더한다. 다섯째, 빠져들게 되는 이야기이다. 공익광고는 영상과 음향이 어우러진 매체로서 유아의 시선을 사로잡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여섯째, 짧은 이야기이다. 유아의 주의집중 시간을 고려할 때, 공익광고의 30초 상영시간은 의미 있는 시간이다. 짧게 끝남은 긴 여운을 불러일으켜 유아들로 하여금 자신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여백을 준다. 이와 같이 유치원 교사의 시각으로 볼 때 공익광고 속에는 유아인성교육의 의미가 다면적으로 포함되어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공익광고 속의 숨은 의미 찾기가 지속될 필요와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면서 인성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교사의 역할 또한 중 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은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이 아니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들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성교육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정리하여, 추후 연구되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문헌연구와 기술적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국내 예비교사 인성교육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별로 분류하였을 때, 교직 적·인성검사 도구 개발, 인성과 다른 요소들과의 관계 및 효과 탐색, 인성 및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에 나타난 ‘인성’ 용어별로 정리하였을 때, ‘교직인성’, ‘창의·인성’, 그리고 일반적인 ‘인성’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대상별로는 예비유아교사를 주제로 한 연구가 가 장 많았으며, 예비초등교사와 예비중등교사 대상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 관련 요소들 간의 관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연구들이 그 동안 활발히 이루어진 만큼, 이제는 보다 실천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 구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다음으로 ‘교직인성’, ‘창의·인성’, ‘인성’ 등으로 나뉘어있는 인성에 대 한 개념을 포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으며, 초등 및 중등 교사교육 분야에서 예비교사 인성 교육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갖고 연구주제의 다양화를 위해 노력하여야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상가이며 대학자인 남명의 敬義사상에 내포 된 교육적 의미를 추출하여 오늘날 유아인성지도를 위한 교사의 리더십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敬義사상에 근거한 유아인성지도 교사는 마음 을 다하여 수양하며, 올바른 배움으로 인지적, 정의적, 활동적 리더십을 義 롭게 실천해야하는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본 연구결과가 유아기 인성지도 교사의 리더십 연구에 주는 시사점은 남명의 敬義사상을 통하여 정체성 있 는 교육자 역할을 정립하고 인성지도를 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는 점이다.
이 연구는 현직 중등교사의 관점에서 입직 전 예비교사가 갖춰야 할 교직 적성과 인성 요소 간 중요도 분석을 목적으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을 적용하여 경력 10년 이상의 현직 중등교사 36명으로부터 얻은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직 적 인성 영역 중의지적 영역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역 내 하위요소 간 중요도 분석 결과 관계형성능력(인지 영역), 공감/포용력(정서 영역), 항상 학습하는 자세(의지 영역)등이 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들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전체 하위요소 간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의지적 영역의 항상 학습하는 자세, 변화에 대한 긍정적 마인드, 성실성/책임감 등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적 인성 요소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요소에 대해 전문가의 인식과 예비교사의 인식이 서로 다른가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교원양성기관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 요인에 따라 예비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직인성이 전문가의 인식과 다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22인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실성, 책임감, 교사효능감, 교육적 신념, 소명의식 영역에서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라,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 따라, 교육봉사 이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교직 장래희망에 따라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교직인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효과적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예비교사양성과 선발 과정에서 인성교육 강화 방안, 현직교사 인성교육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인성의 모델로서 인식되고 학생들의 인성발달을 관찰하여 적절한 처방을 제공하는 인성발달의 주요 행위자이다. 인성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교사는 인성과 지식을 조화로운 발달시키는 촉진자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덕적 인성, 시민적 인성, 지적 인성, 수행적 인성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수업 전문가, 인성발달을 통해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수업 설계자, 도덕적 성찰의 모델, 도덕적 문제에 대한 상담자 역할을 해야 한다. 교사를 유능한 인성교육자로서 양성하여 선발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는 교양윤리 및 시민적 인성 함양을 위한 공동체생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지적 인성과 수행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교수․학습 실연 수업 강화, 인성발달에 대한 평가 교육 강화, 생활지도와 수업 실습으로 이원화된 교육실습 등 교원양성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사 선발 및 임용에서는 교직적성심층면접의 인성 및 도덕성 평가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현직교사 인성교육 및 연수에서는 인성 교수․학습 자료 연구․개발 지원 확대, 스마트 인성 교수․학습 자료 개발 인증을 통한 석사학위 취득, 봉사․체험 인성교육 연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성의 덕목과 효율적인 인성교육의 실천방안에 관한 개방형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이었다. 중등학교 체육교사 110명(남; 90, 여; 20)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실시하여 총 499개의 반응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3단계 주제별 범주분석을 통해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인성의 중요한 하위 덕목에는 공정성, 정직성, 존중심, 준법정신, 책임감, 대인관계, 리더십, 양보, 예의, 용기, 인내심, 자기희생, 충성심, 합리성, 협동심 등 총 1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이들 중 도덕적 인성의 존중심과 사회적 인성의 협동심이 체육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인성교육의 실천방안에는 교수전략 개발, 수업환경 조성, 효율적인 수업관리와 체육시설 확보에 관한 교수-학습 요인이 가장 높았고, 교사의 자질, 긍정적 역할, 자기반성과 노력에 관한 교사 요인, 그리고 체육수업내용의 다양화와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재개념화 작업이 요구되며 향후 인성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