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9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화 ‘샤인(Shine)’의 주인공 ‘데이빗(David)’의 조현병 사례를 분석하여, 조현병의 발병 원인과 치유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화의 주 요장면에서 나타난 주요 생활사건에 해당되는 가족의 대사, 비언어적 태 도 및 행동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텍스트화하여 ‘메트릭스(Matrix)’ 분석 방법으로 정리하여 조현병의 유발 요인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적용하 여 분석하였다. ‘데이빗(Davd)’의 조현병은 유전적 요인, 가정 내 갈등, 극 심한 스트레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아버지의 강압적 이고 이중적인 양육 방식, 사회적 고립, 유학과 콩쿨의 실패, 멘토의 죽음, 난곡 도전 등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데이빗(David)’은 아내 ‘길리언(Gillian)’의 지지와 돌봄으로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점차 치유되 어 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치료적 접근에서 부모양육 태도 및 상담자의 지 지와 돌봄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호간의 손상을 피하면서도 내면 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출하고 이를 통해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문화적 장(場)을 확산시키는 등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6,3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ifola frondosa cultivar KMCC03118 was used to isolate monokaryotic strains via spore separation, resulting in the successful crossbreeding of strains KMCC03118-11 and KMCC03118-23, which produced F1 hybrids. These F1 hybrids were then further crossed with various monokaryotic strains to generate F2 progeny.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different medium compositions on fruit body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a substrate consisting of wheat bran and dried sawdust, with a carbon-to-nitrogen (C/N) ratio of 66-68, provided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Among the strains tested, KMCC03137 and GF-18-50 demonstrated superior characteristics, including a larger fruit body diameter, thicker pileus, and greater stipe thickness, with the highest productivity observed at 143.6 ± 13.3 g and 144.7 ± 15.2 g,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color of the caps (L: 29.7 ± 7.1, a: 2.6 ± 0.7, b: 8.2 ± 1.8) remained consistent, indicating stable high-quality produ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al substrate composition for enhancing both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fruit bodies was determined to be 42% Quercus sp. sawdust, 42% Quercus sp. fermented sawdust, 6% wheat bran, and 10% dried tofu residue. This study provides a crucial foundation for the commercial cultivation and breeding improvement of Grifola frondosa,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its genetic enhancement, and providing essential data for future research aimed at increasing the species' genetic diversity and productivity.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Pleurotus ostreatus were grown in bottles at temperatures set to 15°C, 20°C, and 25°C inside the cultivation room. Changes in temperature, CO2 concentration, and humidity inside the bottles were measured,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evaluated. CO2 concentration increased overall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and was particularly stable at 20°C, suggesting that 20°C is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physiological respiration of P. ostreatus . While humidity was relatively constant at 15°C, it decreased over time at 20°C and was maintained at a stable level at 25°C, suggesting that water retention capacity may occur at high temperatures. As a result of the growth investigation, the yield per bottle and individual weight were the highest at 20°C, confirming that 20°C is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condition for the growth of oyster mushrooms. At 25°C, the yield per bottle was maintained but the individual weight decreased and the color tended to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CO2 concentr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yster mushrooms, and that it is effective to control the cultivation room temperature to 20°C for optimal growth.
        4,0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저항성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약물 중재의 종류와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치료저항성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비약물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5년 1월부터 2024년 3월까지 데이터베이스 PubMed, EBSCOhost CINAHL, Cochrane Library에서 검색어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OR “TRS”) AND (“Rehabilitation” OR “therapy” OR “intervention”)를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한 후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에 근거하여 최종적으로 12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결과: 선정된 12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비약물 중재의 종류를 전기자극치료와 정신사회적 중재 두가지로 크게 분류되었다. 전기자극치료를 사용한 6편의 논문에서 정신질환 증상의 감소가 나타났고 정신사회적 중재를 사용한 6편의 논문에서는 정신질환의 증상이 감소하고 일상생활활동, 삶의 질 및 사회인지가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약물치료에 어려움이 있는 치료저항성 조현병 환자는 다양한 비약물 중재를 통해 정신 증상과 인지, 일상생활 등에서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근거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의 회복을 위해서 치료의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한 약물 중재뿐 아니라 적절한 비약물 중재를 적용하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그러한 다각적 접근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5,100원
        6.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은 세계적으로 분화뿐만 아니라 절화로도 판매되는 주 요 화훼작물이다. 상업적 종묘 대량생산은 조직배양 기술에 의 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균일하고 우수한 발근묘 생산 기술이 확립되지 않았다. 생육이 고르고 우수한 발근 배양묘를 생산하기 위한 적정 배양 신초수를 찾기 위해 용적 500mL 유리 배양병에 호접란 2품종(‘Lovely Angel’과 ‘UniVivace’)의 신초를 1, 4, 7, 10개씩 배양한 후 3개월에 지상부 및 지하부 초기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7개의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신초의 생육이나 뿌리 유도 및 생육에 효과적이 었다. 또한, 배양병 재질이 발근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고자 용적이 500mL로 동일한 유리 배양병과 플라스틱 배양병 에 신초 7개 배양 3개월 후 2품종의 생육 특성을 비교한 결과, 2품종 모두 플라스틱 배양병 보다는 유리 배양병이 유의적으로 생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내 발근묘 생산을 위한 배양병 재질의 영향은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균일한 호접란 발근묘 생산은 플라 스틱 재질보다는 유리병 재질의 배양병이 적합하며, 특히, 용적 이 500mL인 유리 배양병의 경우 신초를 7개(묘당 재식면적 5.4㎠) 이내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7.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sources in substrate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as well as the subsequent changes in flavor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T2, composed of poplar sawdust, beet pulp, cotton seed dregs, and cotton seed coat in a ratio of 40:20:20:20, exhibited the highest yield at 156.6 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8.25 mg GAE/g, 70%, and 49%, respectively, showing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1. Additionally, varying nitrogen content resulted in distinct aroma patterns and is presumed to influence taste profiles such as sourness, umami, and saltiness.
        4,0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초분광 영상으로 두 품종의 콩(청자 3호, 대찬)의 들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모델과 다중분광 영상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무처리구와 들불병 처리구에서 5 nm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으로 구성된 원시 초분광 중심파장들의 콩 식물 영역 반사율들을 추출하여 10 nm FWHM으로 병합한 후, t-test로 차이가 나타난 blue, green, red, red edge, NIR1 및 NIR2 각 영역에서 선정된 대표 밴드로 121개의 식생지수를 계산하였다. 식생지수를 입력변수로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RF), extra tree (EXT),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의 머신러닝 기법과 shapley additive explanation 변수 선택 기법을 적용하여 들불병 진단에 가장 적절한 모델을 선정하고 사용된 식생지수와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T-test 결과 품종에 상관없이 blue 1개(420 nm), green 2개(500, 540 nm), red 1개(600 nm), red edge 2개(680, 700 nm), NIR1 2개(780, 840 nm), NIR2 1개(920 nm)의 총 9개 대표 밴드들이 선택되었고, 성능 평가를 통해 선정된 모델에 청자 3호의 경우 SVM모델(OA=0.86, KC=0.72, 10 VIs)이 선정되었으나 혼동행렬 분석 결과 정상오분류가 적은 RF모델이 선택되었다. RF모델(식 생지수 : RE/Blue, NSI, GDVI, Green/Blue, 파라미터 : max_depth=6, n_estimators=100)은 OA=0.81, KC=0.60, precision=0.86, recall=0.81, F1 score=0.80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대찬은 EXT모델(식생지수 : YVI, RE/Green, 2YVI, 파라미터 : max_depth=8, n_estimators=10)이 선정되 었고, OA=0.86, KC=0.72, precision=0.86, recall=0.86, F1 score=0.86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4,600원
        10.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therapy on schizophrenia and to hope that animal-assisted therapy would be a useful psychosocial intervention treatment for schizophrenia patients. Antipsychotics are effective in relieving positive symptoms. The effect will be maximized when the psychosocial intervention therapy, animal-mediated therapy, and drug effects are integrated.
        4,000원
        11.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2.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3.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4.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메타인지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 효과 및 평가도구, 프로토콜을 분석 및 제시하고 임상 적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에서 2020년 사이의 문헌을 EbscoHost, Embase, PsycINFO,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Schizophrenia’ OR ‘Schizo’ OR ‘Psychosis’ AND ‘Metacognitive’ OR ‘Metacognition’ 을 적용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15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의 비뚤림 위험, 연구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 중재 효과 및 영역, 평가도구, 중재 프로토콜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참가자는 외래진료에 참여하고 있는 만성 조현병 환자가 대부분이었고 메타 인지중재의 효과는 조현병의 정신증상, 심리사회적 요인, 인지기능 세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15편의 문헌에서 총 44개의 평가도구가 효과의 확인을 위해 사용되었고,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각 문헌에서 사용된 메타인지중재를 세 가지로 분류한 결과, Metacognitive training(MCT)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대체로 집단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일주일에 1회 또는 2회, 40분에서 60분 정도 실시되었고 전체 회기는 대부분 20회 미만이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메타인지중재는 조현병의 다양한 증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임상 활용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100원
        15.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킨슨병은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인지기능, 신경이상, 운동장애, 감각기능 장애를 보이게 된다. 감각기능 중 안구에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파킨슨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구증상은 시력저하, 색각이상, 대비감도 저하, 눈 깜박임 감소, 안구 움직임 이상, 복시, 환각, 시야 결손 등으로 발생 할 수 있다. 특히, 색각이상 중 청록색 이상이 많았다. 또한, 눈 깜박임이 감소하며 깜박이는 시간이 길어져 안구건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안구 움직임의 이상으로 폭주부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복시가 발생할 수 있고 환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녹내장과 관련이 있어 시야 이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약물치료와 함께 시력검사 및 전반적인 안구의 상태를 검진하고 꾸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16.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16주간 복합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혈중 도파민 농도, 기능적 체력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참여한 60 대 이상의 파킨슨병 환자 24명을 운동군(n=12)과 통제군(n=12)으로 분류한 후 운동군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70분의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실시 전·후 항목별 차의 비교를 위해 그룹 내 차이는 대응 t 검정, 그룹 간 차이는 독립 t 검정, 상호작용 검증을 위해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사용 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파민 농도는 운동군(p<.01)이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제군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능적 체력에서 악력은 운동군(p<.001)과 통제군(p<.05) 모두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덤벨들기(p<.001), 의자 일었다 앉기(p<.001), 3m 걸어갔다 돌아오기(p<.01)가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통제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은 운동군(p<.001)이 16주간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6주간 의 복합운동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키고 근력, 근지 구력, 평형성 및 보행능력 등 기능적 체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4,300원
        17.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는 중요한 채소작물 중 하나이며 강원도 고랭지에서는 시들음병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에 의해 지속적으로 경제적인 피해를 받아왔다. 최근에는 정선군의 고랭지에서 배추과 작물을 기주로 하는 클로버씨스트선충 (Heterodera trifolii)이 발생하여 무 생산에도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 선충은 무에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균과 복합감염에 의한 2차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시들음병균 의 발병에 있어 클로버씨스트선충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무시들음병균과 클로버씨스트선충을 복합 감염시킨 처리구의 식물 초장은 무시들음병균을 단독감염 시킨 처리구의 식물 초장보다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 무시들음병균과 클로버씨 스트선충을 복합감염시킨 처리구의 발병도 (1.60±0.97)는 무시들음병균을 단독감염시킨 처리구 (0.20±0.42)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병률도 무시들음병균과 클로버씨 스트선충 복합처리구 (80%)가 무시들음병균 단독처리구 (44%)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강원도 고랭지에서 무시들음병의 방제전략 수립시에는 클로버씨스트선충의 방제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딸기(Fragaria×ananassa Duch.) 탄저병(Colletotrichum fructicola) 및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은 고온다습한 여름철 육묘기 및 정식 초기에 흔히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2. 국내에서 육성하였거나 일본, 미국, 유럽 등에서 도입한 63개 유전자원에 대하여 탄저병 및 시들음병 저항성을 평가하고 병저항성 자원을 탐색하였다. 3.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원으로 ‘Hokowase’가 평가 자원 중 유일하게 탄저병 저항성 유전자원으로 판별되었고 ‘Albion’, ‘San Andreas’, ‘Sweet Charlie’, ‘17-11-20’, ‘18-18-11’ 등 5개 유전자원은 중도 저항성 자원으로 구분되었다. 4. 시들음병은 ‘Akihime’, ‘홍실’, ‘만년설’, ‘Sweet charlie’ 등 4개 유전자원이 시들음병 발병도가 1미만으로 저항성으로 판별되었다. 5. 선발계통 중 ‘17-11-20’, ‘18-18-11’ 등 2계통은 탄저병 및 시들음병 등 2가지 주요 병에 대한 중도 저항성 자원으로 분류되었다. 6. 향후 탄저병 및 시들음병 저항성 및 중도저항성을 보인 자원들은 육종 소재로 활용하고 원예적 특성 평가를 통해 품종 육성에 활용하고자 한다.
        4,000원
        1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 ‘흑타리’ 품종의 배양 중 고온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미발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온도에 따른 생육차이를 조사하였다. PDA 배지에서‘흑타리’의 적정생육온도는 23~26 ̊C였고, 균사생장속도는 ‘춘추2호’에 비하여 빠른편이었다. 병내 배지온도는 초기에 상승하여 배양 중반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온도가 하강하였다. 배양 온도가 높을수록 배양기간은 짧아졌다. 배양온도 20 ̊C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5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1.8%, 수량은 139.4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24 ̊C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0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4.2%, 병당수량은 132.1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16 ̊C와 28 ̊C처리구에서는 미발이율이 증가되었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농가에서 배양온도와 미발이율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배양실 온도를 18 ̊C로 설정하고 배지품온을 28 ̊C 미만으로 관리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0.3~0.8%를 나타내었다. 배양실내의 온도가 20 ̊C 이상이며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농가에서는 미발이율이 3.5% 정도 발생되었다. 배양실 온도가 19 ̊C이며 배지 최고 품온이 31.3 ̊C까지 상승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8.2%로 높게 나타났다. 배양중 병내부 온도가 28 ̊C이상 상승하고 배양실내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발이율이 증가하고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배양실은 배지품온이 28 ̊C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배양실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고, 배양공간에 맞는 최적의 배양량을 넣어 관리하여야 한다.
        4,000원
        2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렌지는 우간다에서 식량 및 영양 공급과 농촌 일자리 창출에서 매우 중요한 작목이다. 그러나 최근에 우간다 오렌지 주산지 Teso지역 농업인들은 잎과 과일의 반점병뿐만 아니라, 관개시설의 절대적 부족과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으로 생산량 감소와 폐농하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간다 오렌지 생산 농가들의 생산량과 소득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반점병 및 토양수분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농가를 대상으로 실증을 실시하였다. 1. 오렌지 반점병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ridomil, carbendazim, 그리고 cooper 살균제들의 단제, 교호 및 혼합 살포한 결과 Carendazim 단제 사용으로 오렌지 반점 병을 방제하였을 때 농가 생산량과 소득은 각각 55.2% 및 74.8% 증가하여 오렌지 나무 대부분 생육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2. 오렌지 과수원 토양수분 관리는 외부에서 과수원으로 연결하는 빗물 유도로(trench)와 오렌지 나무 밑 수반형 빗물 저장시설(basin)을 설치한 다음 가축 배설물(manure)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농가소득이 약 2배나 증가하는 등 가장 효과가 좋았다. 3.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오렌지 주산지역 농가를 대상으로 시범마을 사업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