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pid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microorganisms or their genetic information. Thus,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was established, and countries are working to secure industrially and academically useful bioresources to deal with the agreement. In the case of Korea, because 67% of bioresources are imported from abroad, we are required to secure domestic bioresources as well. The number of isolated foodborne illness-causing microorganisms is predicted to invrease based on the incresing number of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 each year. Consequently, appropriate long-term preservation methods are necessary to secure the isolated microorganism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resourcification. Therefore, the long-term preservation methods for bacteria, fungi, viruses, and protozo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oresource banks, and the functions of the cryoprotectants were reviewed and discussed. This review should be informative in the preservation of microorganism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4,0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7년 국내에서 유통되는 유산균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과 가공식품 120건에 대하여 프로바이오틱스 함량, pH와 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중 프로바이오틱스 5개 제품에 대한 보존방법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85건 중 2건이 표시량 이하였고, 가공식품 35건은 모두 적합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프로바이오틱스수, pH, 산도 평균은 각각 1.2 × 1010 CFU/g (표시량: 3.4 × 109 CFU/g), 5.35, 1.29%이었으며, 가공식품 중 유산균 함유량 표시 식품 17건의 유산균수 평균은 5.8 × 108 CFU/g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5제품의 보존온도(−20℃, 4℃, 20℃, 40℃)와 보존기간(1, 3, 6개월) 경과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함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 보존기간 1개월에서 6개월 후 프로바이오틱스수 감소율은 평균 59%이었고, 4℃에서 가장 낮은 감소율과 40℃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5개 제품 중 3제품에서 보존기간 1개월에서 3개월 경과 후 40℃에서 70%이상 급격한 균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보존온도와 보관기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할 때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냉장보관을 권장하며 구입 후 되도록 단기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생쥐 초기 배아를 이용하여 동결 보존된 배아의 생존율 또는 발달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배아의 발달 단계에 따른 동결 - 해동 후 생존율에 있어서는 2세포기 배아가 4~8세포기 배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배 발달율에 있어서는 4~8세포기 배아가 유의하게(p<0.01), 높아 생존율과 배 발달율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동결 보호제에 따른 배아의 생존율에 있어서는 2, 4~8세포기 배아 모두 DMSO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배 발달율에 있어서는 EG가 DMSO에 비해 더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나타내어(p<0.01, p<0.05) 동해로 인한 상해가 적은 것으로 생각되어 2, 4~8세포기 배아에서 EG가 더 효과적인 동결 보호제로 사료되며, 동결 프로그램으로는 완만 동결 - 급속 해동법이 더 우수한 프로그램으로 보인다.
        4,000원
        7.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yophyllus)Desio꽃잎으로 에탄올 용액과 글리세린에 의한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에탄올 침지시간과 글리세린 처리 농도 및 침지시간이 보존화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 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탈수 및 탈색처리 효과는 꽃잎의 탈색이 완전히 이루어져 명도가 가장 높고, 채도가 낮은 24~48시간에서 적절하였다. 글리세린의 적정처리 농도는 30%에서 36시간 처리구의 먼셀값이 H값 4.0R, V값 6.49, 채도를 나타내는 C값은 19.8로 신선한 꽃잎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건조 후 무게 변화에 있어서는 침지 시간이 길어지고 글리세린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율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2시간 침지 후 무게 변화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시간에 따라 86~90%까지 감소한 반면, 40%로 농도가 높을수록 51~69% 감소하였고, 48시간 침지 후의 변화에서는 글리세린 무처리구에서 건조시간에 관계없이 90% 감소에 비하여 글리세린 40%에서는 46~54%로 감소율이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소요시간은 글리세린 10~20% 농도에서는 글리세린 침지 6시간을 제외하고 모두 24시간이 소요되었고, 30~40%, 12시간 침지부터는 48시간이 소요되어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건조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8.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 목적은 동결과정에서 최소한의 손상으로, 응해 후 최대한 높은 활력도의 정자를 얻는 것이다 정자가 난자와 수정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생존성과 운동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정자의 진진 운동성과 첨체의 정상 여부 및 형태 검사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사람 정액을 동결보존 할 때 semi-programmable freezer를 이용한 완만동결 방법과, 액체질소의 vapor를 이용한 급속동결 방법이
        4,000원
        10.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의 인공수정에 사용할 정자의 보존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동결속도와 응해 온도를 설정하여 적절한 동결방법을 정립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동결의 방법에 있어서는 액체질소의 표면으로부터 17 cm 높이에서 동결하는 -3/min의 동결속도로 실시하여 37에서 2분간 응해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생존성과 운동성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지만 첨체의 intact한 비율은 약간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의 보완을 위해, 액
        4,000원
        11.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tificial insemination (AI) with frozen or cooled semen is widely used in commercial fields of cattle and pig. Little is known about characteristics of canine sperm after freezing or cooling. For both practical and commercial goal, the canine semen treated with cooling and freezing should be carried out to exam the fundamentals, including sperm motility, survivability and fertilizing capacity. The aim of this study, thus,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tended exposure to 4 on canine semen by motility, survivability, acrosomal changes following different duration. Fifteen ejaculates collected by digital manipulation twice per week from 3 dogs (Shih-Tzu) were divided to 16 aliquots after adding Tris-egg yolk (TE) buffer formulated by our laboratory, and cooled from 37 to 4, by ramp rate of 0.6/min. Each sample was evaluated by their motility, survivability and the acrosomal status at 0h (control), 2h, 12h and 1 d~10 d, respectively. The motility of spermatozoa was graded to 6 levels using the modified method of Seager. The survivability of sperm was assessed using an epifluorescence microscope after Fert/Light (Mole-cular Probes Inc.) staining.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the spermatozoa of intact acrosome, 200 spermatozoa were assessed in randomly selected fields,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e after FITC/PSA (Sigma) staining. At 2 h after cooling, the motility of most spermatozoa were assessed to be grade 0 and 1. At 12 h, high number of sperm were in grade 0 to 1,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of 2 h. From 1 d to 4 d, ~50% of sperm was assessed to grade 0 to 1. On day 7, a little sperm were in grade 0 to 1. No sperm showed motility on day 10. Sperm motility was rapidly reduced by the percent of 10% of grade 0 to 1. From 2 h to 6 h, the number of live sperm was 90% and the sperm chilled for 10 days lived>50%. Acrosomal intact of spermatozoa exposed to 4 for 2 h was 51%, supposed the sperm of control was 100%. Our results suggest that 1) this is easy to transfer and preservation for short periods 2) AI can be used by semen chilled for 6-Day.
        4,000원
        1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lytical method for preservatives in food was develop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Propionic acid, sorbic acid, benzoic acid, ethyl salicylate, ethyl p-hydroxy benzoate, iso-propyl p-hydro benzoate, n-propyl p-hydroxy benzoate, iso-butyl phydroxy benzoate, n-butyl p-hydroxy benzoate, p-hydroxy benzoic acid and dehydro acetic acid were extracted from cooling beverage with diethyl ether. The polar hydroxyl and carboryl groups of food preservatives were derivatized with N-methyl-N-tent-butyldimethylsilyl-trifluoroacetamide (MTBSTFA) to form the corresponding tert-butyldimethyl-silylated derivatives, and submitted to GC/MS analysis. The mass spectra of the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selection of monitoring ions for multi-residue analysis of 11 preservatives by GC/MS. The macro program was also develop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se preservatives in food.
        4,000원
        15.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s the most important steps that have generated consistent progress in principles and developmental progress of embryo cryopreservation, and also study on freezing procedure and its application by conventional method and current improved method for freezing procedure and its appilcation of embryo cryopreservation in farm animals. Four were of particular interest: 1.The transport of water across the ccli membrane (zona pellucida) during freezing and thawing accordinglyplays a role in determing whether the celi survives. This movement of water is controlied mainly by extracellular phase changes and by the nature and concentration of any cryoprotective agent present. Therates of cooling, freezing and warming, and the intervals over which they are applied are further decisi've factors in determining whether a cryopreservation procedure allows survival after thawing. 2.The first successful deep freezing experiments with sheep morula and blastocysts during the seventies were based on the early procedures used for mouse embryos.Current research during the eighties is developed with the aim of simplifying and improving current procedures such as one-step dilution and rapid or ultra-rapid cooling by using the model of laboratory animals. 3.The conventional method for the embryo cryopreservation is described. An alternative to this method which may result in high survival and also in reducing of the freezing and thawing time is done by combing a permeable cryoprotectant such as glycerol, DMSO or propanediol and a non-permeable compound such as sucrose, trehalose, raffinose or lactose. 4.Finally a different approach to the preservation of embryos, named vitrification, is introduced. This procedure depends upon the ability of concentrated solutions of cryoprotective agents such as glycerol and propanediol to supercool to very low temperature (-196) during rapid cooling before solidifying without formation of ice. However, more complete data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vitrification of blastocysts.
        4,500원
        19.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온 적응성 효모 SCY297의 종균 방법에 따른 생존율과 약주 제조시 양조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결건조, 송풍건조 및 액체 제형 방법으로 제조한 다음, 실온에서 장기 저장에 따른 효모의 생존율과 양조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부형 제로 skim milk, α-lactose, trehalose를 5%씩 첨가하여 생존율과 양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부형제가 첨가된 동결건조 및 액체 제형 SCY297 효모는 실온에서 15주 까지 약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송풍건조는 skim milk 첨가한 경우만 약 80% 이상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및 제형화된 효모 SCY297로 약주를 발효하여 그 술덧을 분석한 결과, 동결건조 및 송풍건조된 SCY297는 무처리 SCY297보다 적정산도는 0.61, 아미노산도는 14.23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5.07% 감소하였다. 액체 SCY297는 무처리 SCY297보다 pH 1.86, 아미노산도는 5.1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2.9%로 감소량이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종래의 고상형 방법보다 액상형 방법을 통한 종균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