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9

        1.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결정론적인 역사적 순환에서 인간이 개입하고 참여할 수 있는 여러 방식을 세 편의 수태고지 시를 중심으로 다시 읽는다. 예이츠의 역사 체계에서 역사 순환은 단순히 인간의 외부에서 부과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여러 잠재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한다. 「레다와 백조」는 그리스 문명의 탄생이 레다라는 인간의 실존과 몸을 통해 매개됨을 보여준다. 「한 희곡 작품에서 발췌한 두 편의 노래」는 인간의 자유가 실패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역사 순환의 힘에 저항하는 것에서 표출됨을 드러낸다. 「재림」은 역사 순환이 역사에 대한 사실 그 자체가 역사의 사실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관점과 문제의식에 따라 해석하여 재구성된다는 예이츠의 확신에 맞닿아 있다. 세 편의 수태고지 시에서 예이츠는 역사의 순환과 인간의 잠재력—몸, 실존, 자유의지, 해석 등—사이의 대립을 화해로 전환하는데, 이는 역사의 순환을 재배열하고 의미를 부여하려는 인간의 투쟁으로 매개된다.
        5,500원
        2.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렛트(rat)에 있어서 정액 보존액이 인공수정 후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에 공시한 렛트는 20 주령 이상의 성숙 완료된 암컷 18 마리, 수컷 6 마리였다. 렛트의 정액채취는 먼저 에테르로 흡입 마취시킨 후 양측 정소의 중앙부를 1~2cm 절개하여 정소상체의 미부를 적출한 후 PBS 용액이 담긴 배양접시(⌀35mm)에 옮겨서 수술용 미세 칼로 세절하여 정자를 채취하였다. 각 2 개체로부터 채취된 정액은 활력을 평가한 후 60% 이상의 개체의 정액을 혼합하여 Androhep, Modena 및 BTS 희석액으로 각각 희석하여 정자 농도를 1.5x108spermatozoa/ml 로 조정하였다. 보존액별 혼합된 정액은 17℃에서 6 시간 보관 후 인공수정에 사용하였다. 인공 수정할 암컷 렛트는 실리콘 탭형 progesterone(4-Pregnene-3,20-dione, Sigma) 방출 장치를 질 내에 6 일간 삽입시킨 다음 제거 직후 PMSG 25IU 를 근육주사하고 24 시간 후에 hCG 20IU 를 근육 주사하여 발정과 배란을 유도하였다. hCG 주사 후 6 시간 후에 정액을 주입하여 인공수정시켰다. 처리별 인공수정 직전의 정자 활력은 각각 80%, 60% 및 50% 수준이었다. 정액 주입 직전 미니 스포이드 내 생리식염수로 질 내 상피세포를 관류 흡입 한 후 슬라이드글라스에 도말시켜 표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표본에서 유핵의 세포상(파편모양)을 관찰하여 정액 주입 시의 발정상태를 확인하였다. 상피세포의 용이한 관찰을 위해 10% giemsa 용액에 도말된 슬라이드글라스를 30 분간 침전하여 염색시킨 후 꺼내어 증류수로 세척하고 드라이기로 건조시킨 후 검경하였다. 인공수정으로 보존액별 정액을 처리별 6 마리의 암컷에게 마리당 0.2ml 의 정액을 주입하였다. 정액주입기는 1ml 주사기에 라운딩된 주사침을 연결한 주사기였다. 인공수정 후 10 일경에 복부촉진법으로 임신 여부를 진단한 결과 수태율은 Androhep, Modena 및 BTS 보존액별 수태율은 각각 83.3%, 66.7% 및 33.3%였다. 하였다. 인공수정 시 그룹별 발정발현율은 각각 83.3%(5/6), 100.0%(6/6) 및 66.7%(4/6)였다. 발정 발현된 개체에 대한 수태율은 Androhep, Modena 및 BTS 보존액의 수태율은 80.0%(4/5), 80.0(4/5)% 및 75.0%(3/4)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액보존액에 따른 인공수정 후 수태율은 BTS 보존액이 낮게 나타났으나 Androhep 과 Modena 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발정이 발현된 경우에는 인공수정으로도 거의 수태 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자연교배에 따른 인력과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tificial insemination (AI) is one of the bes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for increasing reproductive capacity and facilitating the genetic improvement in farm animals. AI has been used in Uganda for over 60 years, but a small population of the total herd has been u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I with estrus synchronization technique and to propose ways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dairy farms through AI services in Uganda. In total, 78 cows from 11 dairy farms were selected for timed-AI. Synchroni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vsynch programs followed by AI using frozen semen from Korean Holstein (0.5 ml straws). Pregnancy rate was varying among farms (0-50%) and the overall pregnancy rate was 28.2%. Cows in luteal phase at the time of treatment was 40.0% whereas that in follicular phase was 20.8%. After treatment, cows that showed normal estrus signal were 45.5% (25/55). Abnormal estrus was categorized into pre-estrus (9.1%), cystic ovaries (21.8%), anestrus (18.2%) and delayed ovulation (5.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y that an assured protocol for timed-AI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dairy farms through AI services in Uganda.
        4,000원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artificial insemination (AI) time with diagnostic kit at ovulation time. We already applied the patent about the protein in the cow heat mucose in external reproductive tract. And we would examine the accuracy for detection of cow heat by the kit produced with the protein. Evaluation of optimal heat detection was tried two time at 12 hrs and 24 hrs after the heat. And then, AI service also performed two times with no relation to the results of heat diagnosis by heat detection kit and pregnancy rates were checked with rectal palpation on 60th day after AI. Heat diagnostic results by kit in natural heat after 12 hrs in Hanwoo cows were showed 31.3~75.0% on positive in first heat detection and 33.3~100.0% on positve in second heat detection. In the 1st positive results were significant different (p<0.05), but 2nd positive were not. The results of heat detection showed different result on regional influence and individual cow effects. The pregnancy rates of first trial of heat detection were showed 34.4~78.7% on positive and 21.3~68.8% on negative after the diagnosis by heat detection kit. And the pregnancy rates of next trial of heat detection were showed 33.3~85.7% on positive and 14.3~66.6% on negative after the heat diagnosis. Both positive results of first trial and next trial also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t (p<0.05), but negative results were not. In positive result, first trial of total pregnancy rates was higher than the next trial of pregnancy, but there showed opposite results on negative results. In conclusion, the optimal heat detection kit is suitable to ordinary Hanwoo cows and it suggested that we have to improve the kit’s accuracy by detecting the materials like proteins related optimal AI time.
        4,000원
        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of Ilex cornuta Lindl. & Paxton, Cotoneaster dammeri, Ardisia pusilla ‘Variegata’, and Ilex aquifolium 'Silver Queen' when sphagnum moss was used for media, and the pottery plants were submitted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shade levels. After transplantation to pottery pots with Sphagnum Moss, the growth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at 25℃ of soil was the highest with 16.8 cm in plant height, 75.0 in leaf number, 256.5 cm2 in leaf area, 18.9 g in fresh weight.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were in the same range but soil temperatures of 15℃, 20℃, or 30℃ had no effect and the survival rate remained 100%. On the other hand, when I. aquifolium ‘Silver Queen’ was submitted to night temperatures of 4℃, 8℃, 12℃, or 1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4.1 cm in plant height, 70.0 in number of leaf, 221.1 cm2 in leaf area, and 18.9 g in fresh weight at 15℃; C. dammeri showed similar results. The survival rate at night temperature 4℃ or 8℃ was 100%, but the plant growth was sluggish. In shading 30% or 60%, the fresh weight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was increased at shading 60% as the plants became taller. Non shading increased the leaf number and leaf area of plants compared with shading. In conclusion, the quality of small woody plants in pottery can be improved when the plant is grown before shipping at a soil temperature of 25°C and a greenhouse night temperature of 15°C, at 30% shading after acclimation
        4,0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growth of Ilex cornuta Lindl. & Paxton, Cotoneaster dammeri, Ardisia pusilla ‘Variegata’, and Ilex aquifolium ‘Silver Queen’ when sphagnum moss was used for purpose of export and the pottery plants were submitted to different watering and quick versus slow release fertilizer. The growth of I. aquifolium 'Silver Queen' watered 50 mL every 3 days was the highest with 16.0 cm in plant height, 79.3 in leaf number, 178.2 cm2 in leaf area, and 18.5 g in fresh weight. C. dammeri also grew best when watered every 3 days. However, the survival rate was 100% for I. aquifolium 'Silver Queen' watered at 12-day intervals and C. dammeri watered at 6-day intervals or more. With quick release fertilizer of 1,000 – 2,000 mg·L-1 applied at 1- to 4-week intervals, I. aquifolium 'Silver Queen' and C. dammeri, plant height, number of leaf, leaf area, and fresh weight increased as fertilizing intervals were shorter. During the short quick release fertilizing at 4-week intervals, the survival rate remained 100%. With slow release fertilizer of 0.5 mg, 1 mg, or 2 mg applied at intervals of 6, 12, and 18 weeks, I. cornuta Lindl. & Paxton and A. pusilla ‘Variegata’ plant height, number of leaf, leaf area, and fresh weight increased with increase of fertilizer amounts and shorter intervals of fertilizing. However, concentration of fertilizer had no effect on plant growth. During the short slow release fertilizing at 18-week intervals, the survival rate remained 100%. Theref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small woody plants in the pottery aimed for export, it is preferable to water at intervals of 3 days after acclimation, and use either quick release fertilizer at 3-week intervals or slow release fertilizer at 12-week intervals.
        4,000원
        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에서 저수태 발생율은 5∼35%로 지역, 조사방법 및 연구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다(Purohit, 2008). 저수태의 원인으로서는 비정상적인 번식기관, 자궁 내 감염, 호 르몬 이상, 사양관리 부적합, 복합적 요인 등이 관여하고 있는데(Singh 등, 2008), 이 중에 서도 자궁 내 감염의 요인이 2.4∼20.0%로 비교적 높게 보고되고 있다(Rao, 1981). 자궁질 환을 가진 대부분의 암소들은 황체단계가 연장됨에 따라 무발정형태로 나타나게 되므로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호르몬 투여방법을 포함하여 PGF2α나 estradiol의 투 여 그리고 항생물질이나 povidone-iodine(PVP-I)의 자궁 내 주입과 같은 많은 치료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호르몬 잔류, 항생제 내성균 및 처리 중단시기 등의 문제점들을 가 지고 있다. PVP-I는 처리 중단시기가 필요하지 않고, 과도한 투여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우유로 전이되지 않으며, 구입이 쉽고, 저렴하며, 투여하기가 용이하다는 실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고무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Rayos 등, 2002). 또한 자궁내막의 환 경을 개선하고, 암소의 자궁수촉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PGF2α를 생산하는 역할이 빨리 회 복된다(Ahmed와 Elsheikh, 2014). 그러나 PVP-I는 농도가 중요한데, 농도가 너무 높으면 자궁벽을 자극할 수 있고 문제를 더 키울 수 있는 반면에, 농도가 너무 약하면 효과가 나 타나지 않거나, 어떤 유형의 미생물이 제거되는 대신에 다른 기회적 미생물이 점유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다(Rayos 등, 2002). 자궁내막염을 가진 암소의 경우에는 자 궁 내에 존재하는 화농과 유기물의 잔재가 PVP-I 용액의 살균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견해도 있으나(Nakao 등, 1988),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1% 및 2% PVP-I 용액이 번식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Mido 등, 2016; Ahmed와 Nour, 2015; Ahmed 등, 2013; Knutti 등, 2000; Edwell 등, 2000; Rayos 등, 2002; Koujanz 등, 1996). 본 연구에서는 2% PVP-I 용액을 저수태우의 자궁 내에 주입하여, 발정발현 및 수 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저수태우에 2% PVP-I 용액을 50mL 자궁 내에 주입하여 자연발정 비율, 유기발정(PGF2α)에 의한 발정발현율, 자연 및 유기발정에 의한 수태율, 황체중기 및 황체중기 이외의 단계에 따른 자연발정 발현율을 조사하였다. PVP-I 처리 후 자연발정 비율은 27.3%(3/11두)였고, 유기발정에 의한 발정발현율은 87.5%(7/8두)였으며, 자연 및 유기발정에 의한 수태율은 63.6%(7/11두)였다. 황체중기(발정 주기 5∼10일) PVP-I 처리에 따른 자연발정 발현율은 60%(3/5두)였고, 황체중기 이외에 PVP-I 용액을 처리한 경우의 자연발정 발현율은 0%(0/6두)였다.
        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vitamin or mineral supplements on the conception rates of dairy heifers when replacing the last injection of GnRH with hCG in ovsynch protocol (experiment 1) and also to investigate whether the estrus synchronization treatment in the heifer stage affects the conception rates after 1st parturitio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50 heifer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20 heifers each in groups 1 and 2, and 10 in group 3. All three groups were treated with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GnRH on day 0 (day 0 = the day of program start), PGF2α on day 7 and hCG on day 9, and were inseminated on day 10, 12~16h after hCG injection. In group 1 (vitamin group), the heifers were treated with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5 ml of vitamin-ADE 500Ⓡ, and group 2 (mineral group) was treated twice with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30 ml of mineral supplement-LAPTOVETⓇ on a one-week interval beginning on the day of hormone treatment (day 0 and day 7 respectively). Group 3 (control) was treated only with hormones. Pregnancy diagnosis was performed by ultrasonography through a rectal probe. First service conception rates (FSCR) and average services per conception (ASPC) were recorded for all subjects. Of the total 50 heifers, 6 (2 in group 1, 3 in group 2, and 1 in group 3) heifers were eliminated due to accidents during experiment 1. FSCRs were 58.8% (10/17), 66.7% (12/18) and 44.4% (4/9) in groups 1, 2 and 3, respectively. ASPCs were 1.53±0.72, 1.27±0.59 and 1.63±0.74 in groups 1, 2 and 3,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relatively good results (higher FSCR and lower ASPC) were obtained in both group 1 and 2. In experiment 2, 11 primiparous cows from group 2 of experiment 1 in heifer stage which had been treated both with the hormones for estrus synchronizing and mineral supplements (ES group), and 12 primiparous cows treated only with minerals (non-ES group)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strus synchronization program on conception rates after 1st parturition. Following the examination, postpartum ASPCs were 1.55±0.82 and 2.17±1.47 in ES group and non-ES group, respectively. The postpartum average days open (ADO) were 116±56 and 197±93 in ES group and non-ES group,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sirable results (lower ASPC and shorter ADO) were found in ES group after 1st parturiton. In conclusion, experiment 1 indicates that vitamin or mineral supplement with ovsynch protocol may have some positive effect on FSCR and ASPC of dairy heifers, and in experiment 2, ES program in heifer stage had a positive effect on ASPC and ADO following 1st parturition.
        4,000원
        9.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랑가시나무 (Ilex cornuta Lindl. & Paxton), 무늬호랑가시 나무(Ilex aquifolium ‘Silver Queen’), 백자단(Cotoneaster dammeri) 및 무늬산호수(Ardisia pusilla ‘Variegata’)를 수태 로 도자기 분에 심어 단근, 전정, 차광, 밀폐 등의 처리를 하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도자기 분 이식 시 단근 정도에 따른 무늬호랑가시나무의 생존율은 모든 처리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백자단의 생존율은 무단근은 100%, 25% 단근은 93.3%로 높았으나 50% 단근은 26.7%로 낮았다. 무늬호랑가 시나무의 전정 정도에 따른 생존율은 모든 처리에서 높은 생 존율을 보였다. 차광 정도에 따른 생존율은 호랑가시나무가 무차광에서 13.3%, 30% 차광에서 30.0%, 60% 차광에서 53.3%이었으나, 무늬산호수는 모든 처리에서 100%를 보였다. 밀폐 정도에 따른 도자기 분화 식물의 생존율은 호랑가시나무 의 경우 무처리와 비닐 밀폐에 구멍을 내고 30% 차광한 처리 에서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습도가 높은 완전 밀폐처리와 밀폐하여 30% 차광한 처리에서는 호랑가시나무와 무늬산호수 는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300mL의 도자기 분 식재 시 수 태 중량에 따른 식물의 생존율은 호랑가시나무에서 120g은 66.7%로 가장 높았고, 160g은 33.3%, 200g은 26.7%, 240g은 20.0%로 수태의 중량이 많을수록 생존율이 낮았다. 수태로 도 자기 분 이식 시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근을 거의 하지 않고 수태의 양을 많지 않게 하며 비닐 밀폐에 차광을 하면 된다.
        4,000원
        1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wanted sex progeny of genetically confined White Hanwoo (albinism) with preselected sex sperm. One bull of White Hanwoo was chosen for semen donor and X sperm was sorted by MoFlo XDP cell sorter. To compare the pregnancy and birth rates, KPN straw was used as control, total number of unsorted sperm was 20×106/straw. Sexed X frozen semen with 2×106 cells or 4×106 cells per straw were in seminated twice on Hanwoo heifers. The abnormality of the sexed X semen was 24.9 ± 7.31% and distal reflex abnormality of mid piec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11.7%) compared with that of KPN 768 (5.6%).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pregnancy and birth rates between 2×106 cells or 4×106 cells of X-sperm but KPN se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pregnancy rates of KPN 768, 2×106 cells and 4×106 cells X-sperm of White Hanwoo cattle were 85.0%, 26.3% and 50%. The birth rates were 80.0%, 15.8% and 21.4%, respectively. The female offspring rates of KPN 768, 2×106 cells and 4×106 cells X-sperm of White Hanwoo cattle were 43.8%, 100% and 100%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ex sorted White Hanwoo could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wanted progeny with 2×106 cells/straw for AI.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alf production, the sperm number of sex sorted semen will be optimized for sex selection of White Hanwoo progeny.
        4,000원
        1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자연환경의 변화가 젖소의 인공수정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종속변수로는 32개 농가의 인공수정자료를 이용하여 60개월(2008년 1월~2012년 12월)의 월별수태율을 구해 패널 자료로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젖소의 인공수정 수태율에 미치는 주요한 설명변수로 자연환경 변수로는 기온, 강수량, 그리고 풍속을 이용하였고, 월별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월별더미변수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연환경 설명변수 중 기온 변수가 가장 유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기온이 1℃ 상승하면 수태율은 약 –0.6%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더미변수를 활용한 추정에서는 1월, 4월, 6월, 7월, 8월의 더미변수가 유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치를 보면 평균 수태율은 1월의 경우 약 44%, 4월의 경우 약 33%, 6월은 약 32%, 7월은 약 31%, 8월은 약 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태율은 기온이 높아지는 여름이 될수록 낮아지며 겨울의 경우 수태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1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서로 맞물려 순환하는 이중의 회전원추로 이천년 주기로 반복되는 문명의 부침을 보여준다. 융성하는 문명의 중심에 서 쇠락이 시작되고 몰락의 꼭짓점은 번영의 정점인 밑변과 맞닿아 있다. 한 주기가 그 종말에 이르면 새로운 신격이 출현하는 수태고지가 있다. 예이츠에게 수태고지는 신적 존재가 인간 역사의 순환에 현현하는 것이며, 신화와 종교뿐만이 아니라 예언 된 미래에 대한 선험적 인식이 융합된 광대한 시적 세계의 창작을 의미한다. 시인은 「레다와 백조」,「신의 어머니」그리고 「재림」에서 자신이『비전』에서 표명한 역사 주기와 수태고지를 원대한 상상력으 로 연결시키고 있다. 시인은 역사를 통찰해 문명의 흥망성쇠를 예술적으로 승화된 신인합일의 한 순간에 응집시키는 혜안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이러한 예이츠 시 세계의 독해는 인류 문명사의 주기적 순환원리라는 거대담론에 대한 이해와 함께 사랑 과 탄생과 죽음으로 반복되는 소우주적 삶의 원리를 새로이 일깨워준다.
        5,800원
        15.
        2012.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ison of transferable embryos and pregnancy rate between Hanwoo and Chickso.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on Hanwoo 78%, and Chickso 85%,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total embryos are each 14.76± 2.16 and 6.23±1.07. So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are each 10.94±1.91 and 4.58±1.05. In addition, the mean number of total Hanwoo embryo from <10 and 10≤ of corpora luteum was 0.50±0.50, 11.56±1.92, respectively. In case of Chickso,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 from <10 and 10≤ of CL was 2.75±1.39, 6.00±1.00,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s were Hanwoo 40%, and Chickso 37% following transfer of fresh embryos produced in vivo. Also, the pregnancy rates of Chickso 60%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than the Hanwoo 42.48% following transfer of following transfer of frozen embryo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ckso may be effectively used for transferable embryos production in Hanwoo. Although the transferable embryos number was not enough, it seems the Chickso greatly affect pregnancy rat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sibility of transferable embryos from Chickso for embryo transfer could be confirm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pregnancy rate of embryo transfer following superovulation for effective Hanwoo and Chickso production.
        4,000원
        1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useful inducing method of estrus for Korean native cows. Under the condition of estrus induction by administering for the cows in which corpus luteum (CL) in ovaries wa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ovarian responses and the changes of progesterone () concentration against compared with conception rate were observed in cows and heifers. In inducing estrus administering . to the cows which has corpus luteum in ovaries, ovarian reponses, the changes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conception rate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The results attained from the studies were as follows. Significant decreases of CL in size over time after administration were detected in both cow and heifer groups (p<0.001), but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the CL regression rate (p>0.05). In addition, the percentage changes relative to the plasma concentration on day 1 after treatment were decreased to below 1ng/ml. The growth rate of follicle was observed as 31% on day 1 and 42% on day 2 in cows, and 34% on day 1 and 97% on day 2 in heifers, resulting that growth of heifers are faster than that of cows (p<0.05). The conception rate after treatment were 60.5% and 64.2% in cows and heifers, respectively. It also indicated that the conception rate after estrus observation with injection was as high as 66.6% while that with timed-artificial insemination (TAI) regardless of the estrus observation was 56%, which means the pregnancy rat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fter estrus obser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AI (p<0.05). In the result of all above,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CL size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by days but rapid growth in follicles, which has no differences in cows and heifers. The conception rate was commonly high after estrus observation and more than 50% under TAI.
        4,000원
        17.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 암소를 사육하는 농가 현장에서 번식효율은 농가의 수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국내 번식 간격은 15.9개월로써 일본의 번식 간격 13.6개월에 비하여 2개월 이 상이나 차이가 나고 있고, 한우가 번식 간격이 길어진 주된 요인은 우선 분만후 발정재귀일 의 지연으로 인한 무발정 기간이 길어진 영향과 인공수정시 수태율이 떨어지고 있는데서 공태기간이 길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꾭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발정동기화 방법중에서 한우에게 가장 높은 수태율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아울러 발정동기화 처리가 혈중 P4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를 혼합한 복합 프로그램 적용시 발정발현율에서 대조구는 PGF ₂α (25 mg; i.m.)를 1차 투여하고 11일이 경과한 후 PGF₂α(25 mg; i.m.)를 2차 투여하고 72시 간에 인공수정하였고, 처리 1구는 CIDR을 삽입하고 7일후 CIDR 제거와 동시에 PGF₂α(25 mg; i.m.)를 투여하고 72시간 경과후 인공수정하였으며, 처리 2구는 CIDR을 삽입하면서 GnRH 100 μg을 투여하고 7일후 CIDR를 제거함과 동시에 PGF₂α(25 mg; i.m.)를 투여하고 2일후 GnRH 100 μg을 재투여하고 24시간후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로써 발정발현율은 대조구 85%, 처리 1구 88.3% 및 처리 2구는 93.3%로 나타냈다.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 복합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P4 수준은 0일차에 1.64~6.56 ng/ml이였고 3일이 경과한 후 7.18~9.9 ng/ml로 최고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PGF₂α 투여 시 점인 7일이 경과한 후 6.59~9.58 ng/ml 수준으로 분포하였으며, 10일이 경과한 인공수정 시점에는 0.7~1 ng/ml 수준으로 하강하여 대조구, 처리 1구, 처리 2구 공히 발정이 적절히 유도되었으나 인공수정후 발정 한주기가 지나간 재발정 시기에는 처리 1구 11.02 ng/ml, 처 리 2구 13.65 ng/ml 대비 대조구에서는 낮은 수태율로 인하여 혈중 P4 수준이 5.73 ng/ml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 복합 프로그램 병용처리시 수태율 개선 효과에서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 복합 프로그램 사용에 따른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 51.6% 대비 처리 1구 58.3%, 처리 2구 66.6%로써 15% 개선되는 경향이였고 수태율은 각각 83.3%, 88.3% 및 93.3%였다.
        1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분만 후 최적 수정시기를 탐색하기 위한 초기의 연구에서는 분만 후 경과일 수에 따라 분만 후 60일 이내, 61 90일 및 90일 이상으로 구분하여 시험이 수행되었는데 처리별 첫수정 수태율이 각각 48%, 70% 및 76%였고, 수태당 수정횟수가 2.09회, 1.55회 및 1.54회였다고 보고하였으며(George, 1955), 분만간격이 360 374일인 젖소의 첫수정 수 태율에 있어서 분만 후 0 45일 38%, 46 60일 47%, 61 90일 55% 91 120일 59% 및 121 180일 59%로 분만 후 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수태율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고 보고하였다(Bozworth 등, 1972). 그리고 분만 후 50일 및 80일에 발정이 발견된 경우 의 수태일수는 각각 88일 및 121일이었고, 수태당수정횟수는 각각 1.50회 및 1.96회였다 고 보고하였다(Schneider 등, 1981). 또한, 분만 후 50 75일, 76 100일 및 100일 이상 에서 인공수정 시 임신율이 각각 36%, 47% 및 43%로 76 100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Pursley 등, 1998). 분만 후 비유단계에 따른 발정발현율, 수태율 등이 연구자 들에 따라 다소 의견을 달리하고 있고, 특히 산유능력(평균능력 및 고능력)에 따른 조사 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유단계 및 산유능력에 따른 발정발현 율, 수태율을 조사하고, 차기의 번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 적정 수정시기를 구 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분만 후 기간에 따라, 분만 후 30 59일(30일구), 60 89일(60 일구), 90 110일(90일구) 및 111일 이후(111일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분만 후 발정 발현율은 30일구가 16.7%(17/102), 60일구가 28.4%(29/102), 90일구가 20.6%(21/102) 및 111일구가 34.3%(35/102)였고, 분만 후 수태율은 30일구가 52.9%(9/17), 60일구가 51.7 %(15/29), 90일구가 47.6%(10/21) 및 111일구가 48.6%(17/35)였다. 산유능력별로 보면, 발정발현율에 있어서 30일구의 경우 평균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25.0% 및 16.7%, 60일구의 경우 각각 40.6% 및 20.8%, 90일구의 경우 25.0% 및 12.5%, 111일구의 경우 9.4% 및 50.0%였고, 수태율에 있어서 30일구의 경우 평균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87.5% 및 25.0%, 60일구의 경우 각각 61.5% 및 0%, 90일구의 경우 75.0% 및 33.3%, 111일구의 경우 66.7% 및 50.0%였다.
        1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소소비량은 수정란이식 수태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하나인 수정란의 품 질을 판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알려져 왔다. 최 등(2010)은 한우 체내수정란의 형태학적 인 등급에 따른 산소 소비량을 비교, 체외수정란의 산소 소비량과 총세포수의 상관관계 를 확인한 결과, 국제수정란이식학회(International Embryo Transfer Society, IETS)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정란의 등급 판정 기준에 준하여 형태학적 등급이 좋을수록 수정란의 산소 소비량도 높아지고, 체외수정란의 산소 소비량에 따른 총 세포수와 산소 소비량 사 이에도 정의 관계가 있다고 보고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정란의 산소 소비량을 측정 하여 그 품질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내수정란의 산소 소비량이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우 체내수정란의 생산은 난소 및 자궁질환이 없는 건 강한 한우 공란우를 과배란을 유기하여 3 way Foley catheter를 이용하여 수정란을 채란 하였다. 체외수정란은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관행방법을 기준으로 생산하 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수정란의 산소 소비량 측정은 수정란 호흡장치(FHK, HV-405, Japan)를 이용하였고, 수정란 호흡 장치는 주사형 전기화학현미경(Scanning Electrochemical Microscopy, SECM)을 이용하여 산소 농도 분포를 각각 측정하였다. 한우 체내수정 란의 산소 소비량(10¹⁵/mol s— 1)을 측정하고 이를 수란우에 이식한 후 수태율을 조사한 결 과 산소 소비량이 가장 높은 12.0 이상에서 85.7%의 높은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 하여, 10.0 미만의 낮은 산소 소비량에서는 흥미롭게도 수태율이 0.00%를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들은 형태학적 등급이 좋을수록 수정란의 산소 소비량도 높아진다는 보고를 근 거하여, 산소 소비량이 높은 수정란을 이식하면 수정란이식 수태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사료 값의 상승과 한우 값의 하락으로 한우 사육농가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 며, 한우 번식농가에서는 공태기간과 수태당 수정횟수의 증가 등에 의한 사육비용 증가 가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우 번식농가에서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와 3회 이상 인공수정하여도 임신되지 않은 저수태우의 생식기 상 태를 점검한 후 조기임신을 위해 배란동기화법인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을 조사하였다. 장기공태 한우 52두의 수정기록 및 분만기록을 확인 후 생식 기의 상태를 검사하였다. 자궁 및 난소 등을 검사한 결과 자궁 상태는 모두 정상이었으 나 1두는 허약(BCS 2.0)과 난소기능 휴지로 시험축에서 제외하였다. 장기공태우 51두 중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는 13두로 평균 수정횟수 3.6회, 평균 공태일 123.8일, 평 균 산차 4.2회였으며,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장기공태우 38두의 평균 수정횟수 는 1.8회, 평균 공태일 115.9일, 평균 산차 3.3회였다. 수정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 6두 에 Ovysynch를 처리하였고, 나머지 7두에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분만후 공태기 간이 90일 이상인 한우 38두는 19두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Ovysynch와 CIDR-based TAI를 처리하였다. Ovysynch 처리는 발정주기 임의의 시기인 Day 0에 gonadorelin (Gonadon, Dongbang, Korea) 100 μg를 근육주사하였고, Day 7에 dinoprost(LutalyseTM, Pharmacia, Belgium) 25 mg을 근육주사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 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결정액 1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CIDR- based TAI 처리는 Day 0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와 CIDRⓇ(InterAg, New Zealand)를 질내에 삽입하였고, Day 7에 CIDR를 제거하고 dinoprost 25 mg을 근육주사 하였으며, Day 9에 gonadorelin 100 μg를 근육주사하고 16시간 후 즉 Day 10에 한우 동 결정액 1 straw를 융해하여 인공수정하였다. 수정 횟수 3회 이상인 저수태우에서 수태율 은 Ovysynch 처리가 50%, CIDR-based TAI 처리가 57.1%였다. 분만후 공태기간이 90일 이상인 한우에서 수태율은 Ovysynch 처리가 63.1%, CIDR-based TAI 처리가 68.4%였다. 본 실험에서 장기공태우의 생식기 검사결과 52두 중 51두에서 정상적인 자궁과 난소상태 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장기공태 한우의 대부분이 미약발정, 발정관찰 미흡 및 배란지연 등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었다. 장기공태 한우 51두에 두 종류의 배란동기화법을 처리 한 결과 32두 임신으로 62.7%의 수태율을 나타내어 배란동기화법을 장기공태우에 적용 할 경우 양호한 수태율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장기공 태우에 Ovysynch와 CIDR-based TAI 처리에 의한 수태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처리 비용측면에 있어서 Ovysynch 처리에 의한 배란동기화법이 효율적인 것 으로 추정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