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evaluate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nine school zones, which have relatively more traffic acci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2020 to 2022, through a field study and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It identified their performance(i.e., compliance rate) and importance to deriv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The field study showed that the compliance rate of starting points among traffic safety signs was low, and no speed limits were complied with the installation regulations among traffic road markings, but road safety facilities were generally well managed and operated. As a result of AHP, the order of importance was road safety facilities, traffic safety signs, and traffic road markings. More specifically, speed bumps, safety signs, and crosswalks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others in road safety facilities, traffic safety signs, and traffic road markings, respectively. Importance- Performance(complia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ffic safety facilities necessary to be most urgently improved are starting points. This result can be resorted to underlying measures to determine priorities for installing and operating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school zones.
목적 : 근시 어린이를 대상으로 2년 동안 OK-렌즈 착용자의 근시 감소에 대한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OK-렌즈 그룹은 OK 렌즈 착용 기준에 부합하는 30명의 대상자로 구성되었고, 단초점 안경을 착용한 대조군에는 31명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OK-렌즈는 CRT였고, 굴절이상 측정은 조절마비제 사용없이 자 동굴절검사기와 자각적 굴절검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 총 61명(OK-렌즈 그룹과 대조군은 각각 30명, 31명)의 대상자가 2년 동안의 검사를 완료했다. 연구 초 기의 OK-렌즈군과 대조군의 평균 연령±SD는 각각 10.13±1.81세와 10.32±1.73세였고, 등가구면굴절력은 OK-렌즈군에서 –2.53±0.96 D, 대조군에서 -2.56±1.10 D로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년 동안 등 가구면굴절력의 증가는 OK-렌즈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0.70±0.56 D, -1.27±0.78 D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 OK-렌즈 치료는 학령기 어린이의 근시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2023년 2월부터 11월까지 부산에서 유통되고 있는 어린 이 기호식품인 과자 105건에 대하여 곰팡이독소 11종(아 플라톡신 B1, B2, G1, G2, 푸모니신 B1, B2, 오크라톡신 A, 제랄레논, 아플라톡신 M1, 데옥시니발레놀, 파튤린)에 대 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영유아용 과자는 38건 중 과자류 7건에서 곰팡이독소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곰팡이독소는 푸모니신 5건(0.8-97.0 μg/kg), 제랄레논 4건(1.6-6.3 μg/kg) 이 검출되었으며, 총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A, 아플라톡 신 M1, 데옥시니발레놀 및 파튤린은 검출되지 않았다. 검 출된 시료는 기준이 있는 경우 적합하였으며, 기준이 없는 경우 최대 검출량이 기준의 5.4% 수준으로 오염도가 낮았 다. 일반과자 67건 중 과자류 22건, 곡류가공품 4건에서 곰 팡이독소가 검출되었으며, 푸모니신 14건(0.8-109.6 μg/kg), 제랄레논 11건(1.2-7.0 μg/kg), 오크라톡신 A 7건(0.4-0.8 μg/ kg), 아플라톡신 B1 2건(1.2-1.6 μg/kg)이 검출되었으며, 아 플라톡신 M1, 데옥시니발레놀 및 파튤린은 검출되지 않았 다. 검출된 시료는 기준이 있는 경우 적합하였으며, 기준 이 없는 경우 최대 검출량이 기준의 3.2-16.0% 정도로 오 염도가 낮았다. 곰팡이독소가 2종 이상 검출현황은 영유 아용 과자 중 2건에서 곰팡이독소가 동시에 검출되었으며, 일반과자 중 5건에서 곰팡이독소가 동시에 검출되었다. 2 종 이상의 곰팡이독소에 오염된 시료 중 가장 많은 조합 은 푸모니신과 제랄레논으로 나타났다. 곰팡이독소의 위 해 평가 결과, 영유아용 과자에서 푸모니신과 제랄레논은 1일 섭취한계량의 0.08-1.91% 수준이었고, 일반과자에서 푸모니신과 제랄레논은 1일 섭취한계량의 0.06-1.69% 수 준이었고, 오크라톡신 A는 주간 섭취한계량의 0.05-0.33% 수준이었다. 아플라톡신 B1의 1일 인체노출량은 0.0001- 0.0010 μg/kg b.w./day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용 과자와 일 반과자 모든 시료에서 1-2세의 인체노출량이 가장 높았으 며, 3-5세, 6-11세, 전연령 순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모든 연령에서 위해 우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는 어린이 기호식품인 과자류에 대한 곰팡이독소 오염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자류에 대한 안전성 관리에 필요 한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시민들에게 건강한 먹거리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ld caused by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s related to inflammatory reactions such as rhinitis, asthma, and allergic skin diseases. The subjects were children aged 3-7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For indoor environmental measurement, a mold collection medium was installed on the sampling device and samples were collected at 28.3 L/min for 7 minutes. The sampling device was installed at a height of 1.2 m to 1.5 m above the ground to collect sampl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in the 90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53 males (58.9%) and 37 females (41.1%). The majority of the children were 5 years old (26 people or 28.9%), followed by 6 year olds (23 people or 25.6%), 7 year olds (18 people or 20.0%), 4 year olds (18 people or 20.0%), and 8 year olds (5 people or 5.6%). Among the characteristics listed on the questionnaire, 11 children (12.2%) were diagnosed with asthma, and 63 subjects (70%) had not been diagnosed by a doctor in the past 12 months. Regarding symptoms exhibited by the parents, 4 fathers (4.5%) and 2 mothers (2.2%) had sympto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the concentration of other indoor environmental substanc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mold was 57.0 CFU/m3 for non-asthmatics and 14.5 CFU/m3 for asthmatic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ouse dust mites was 338.9 ng/g in non-asthmatics and 79.5 ng/g in asthmatic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 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보 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1일부터 2023녀 9월 31 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26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과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지 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의 관계에 서 회복 탄력성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 는 회복 탄력성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 소진 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회복 탄력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만 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천적 방 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로 작 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어 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사 회적지지를 통해 보육교사의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직 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보육에 전념함으로써 보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국공립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 를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과 직업적 웰빌의 매 개적 역할을 검증하여 보육사의 전문성 증진을 통해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G시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스트레핑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결 과. 첫째,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이 높다고 인식 하는 교사일수록 직무열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어 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 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직업적 웰빙이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을 위 해 중요한 인적자원인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체계적인 인 적자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원장의 리더십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사 회적지지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원장리더십 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원장리더십은 사회 적지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지지는 행복감에 유 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원장의 리더십과 행복감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원장의 리더 십은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행복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 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 을 밝혔다. 어린이집 원장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 며, 보육교사의 행복감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지지로 즐거운 마음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보육교사가 영유아에게 행복하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본 연 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급식설비 손잡이의 식중독 세균 오 염도를 측정하고, 분리 균주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내 성을 분석하여 급식설비 손잡이에 의한 집단식중독을 예 방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은 전라남도 일부 지역 어린이집 101곳의 냉장고, 냉동고, 자외선 살균기 손잡이, 총 303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 이집 냉장고, 냉동고 손잡이에서 B. cereus 4 균주(1.3%) 가 검출되었고 어린이집 냉장고 손잡이에서 S. aureus 2 균주(0.7%)가 검출되었다. B. cereus와 S. aureus의 독소유 전자를 분석한 결과 B. cereus 4개 균주 모두에서 nheA, nheB, nheC, entFM, cytK가 검출되었으나, S. aureus의 2 개 균주의 경우 모두 sea, seb, sec, sed, see, seg, seh, sei, sej 독소유전자가 불검출되었다. B. cereus에서 설사를 유 발하는 장독소가 검출되어 B. cereus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B. cereus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을 실험한 결과 B. cereus 4 균주 에서 AM, FEP 등 β-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 고 S. aureus 균주 모두 AM, P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 었다. S. aureus 균주는 OX 항생제에 각각 중간 내성 1 균주와 감수성 1 균주를 나타내었으나 MRSA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어린이집 급식설 비 손잡이의 교차오염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급식설비 손잡이에 대한 주기적인 살균 등 위생관리 방안을 강화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PURPOSES :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s of traffic safety policies (e.g., the Minsik Act) on the seriousness of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 protection zones. METHODS : A difference-in-differences framework in which the change in the gap of seriousness of traffic accidents occurring in children protection zones and those occurring outside the zone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Minsik Act was applied. Furthermore, a placebo test, in which the samples are restricted to a specific period, is irrelevant to the time of students going to school. RESULTS : On average, when the factors causing traffic accidents are not controlled, the degree of damage in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 protection zones appears to be more serious The introduction of the Minsik Act has been shown to reduce the damage from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 protection zones. In particular, illegal U-turns and signal violations increased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 protection zones, and trucks caused the greatest damage. CONCLUSIONS : The traffic safety policy for children protection zones (Minsik Act) is effective in improving traffic safety by simply “strengthening legal regulations.” This strengthens the importance of traffic safety education to prevent drivers from engaging in driving behaviors such as illegal U-turns and traffic signal violation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traffic safety of children by establishing a truck operation policy that bypasses children protection zones.
PURPOSES : The effect of yellow carpet visibility enhancement was verified and its impact on traffic safety for effective introduction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was studied. METHODS : There is currently no scientific evidence demonstrating that yellow carpets improve pedestrian awaren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creasing visibility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yellow carpet was verifi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level of traffic safety was examined through an objective analysis. A drone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video data to compare the driving speeds of vehicles passing near yellow carpets at six different sites and diagnose the effects of speed reduction.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ibility improvement value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yellow carpet differed from place to place, but a visibility improvement effect existed in certain cases. In terms of the adequacy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yellow carpet had no deceleration effect on vehicles driving on signalized local streets and collector highway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peed reduction effect on unsignalized local streets. CONCLUSIONS : To enhance traffic safety promotion, yellow carpets should be placed on unsignalized local streets. It is important to place the yellow carpet in the right place in a proper manner.
목적 : 본 연구는 8세에서 19세의 근시 학생을 대상으로 어린이 근시관리 누진 안경렌즈의 착용실태를 조사하고 착용 후 2년간 근시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9년 6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수원 G 안경원에서 어린이 근시관리 누진렌즈를 구매한 110명을 대상 으로 근시 진행완화를 위해 렌즈의 착용을 지속하고 있는지 그리고 중도 포기했다면 그 이유를 조사하였다. 그 후 2차 정기방문으로 안경을 다시 교정받은 기록이 있는 72명을 대상으로 초점렌즈(A그룹, 33명)와 어린이 근시관리 누진렌즈(B그룹, 39명)를 착용한 두 그룹으로 나누어 2년간 추적 조사하였다. 결과 : 어린이 근시관리 누진렌즈를 처방받은 110명의 1차 대상자 중 15명(13.6%)이 근시진행 완화 안경 착용 을 중도 포기했으며 이들 중 남자는 11명(73.3%), 여자는 4명(26.6%) 이었다. 또한, 중도 포기한 이유로는 구매의 편의성과 비용문제가 주된 이유로 조사되었다. 1차, 2차, 3차 방문 시기에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A그룹에서는 – 2.09±1.43, –2.78±1.52, –3.31±1.55 D이었고, B그룹은 –2.04±1.08, –2.63±1.06, -2.94±1.08 D로 측정되 었다. 각각의 안경을 2년간 착용한 후에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의 변화량은 A그룹에서 –1.22±0.56 D이었고, B그 룹에서는 –0.90±0.51 D를 보였다(p=0.010). 결론 : 8세에서 19세의 근시가 있는 초중고 학생은 2년 간 어린이 근시관리 누진렌즈를 착용한 후에 단초점렌즈 를 착용한 그룹에 비해 근시 진행이 지연되었다. 근시관리 안경렌즈의 성공적인 시장 정착을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모집단을 장기 추적 관찰하여 그 효과를 연구한 자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tection of passengers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with a school bus for children. Rub-rail is installed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to protect the side of school buses for children to some extent.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there are no safety devices to protect the side of school buses for children. Therefore, the FE model was analyzed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Rub-rail installed on school buses in the United States is applied, and whether it affects the damage to the human body. As a result, the maximum amount of intrusion at the point of collision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Rub-Rail is installed.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results of IIHS for Rub-Rail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tru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보통합에 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유보통합의 구체적인 추진방안과 미래 영유아교육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C시 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100명과 어린이집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총 22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정 등의 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유보통합의 의미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문항은 총 8개였으며 유보 통합의 필요성, 유보통합 선도 교육청 시범운영, 유보통합의 우선적 추진 작업, 교사자격기준, 교사양성기관, 유보통합 후 교육·보육시간, 연령별 분 리방법, 교사자격 통합 후 제일 먼저 조정해야 할 과제의 문항이었다. 차 이가 나타나지 않은 문항은 2개 였으며 유보통합의 의미, 유보통합 후 기 관 운영형태 문항이었다. 현재 일부 시행되고 있는 유보통합 정책과 향후 추진 방안등이 발표된 상황에서도 각 집단별로 유보통합에 관해 바라는 내용과 인식에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미래 유아교육의 발전을 위해 현장 의 목소리를 면밀히 살펴 각 집단간 갈등을 해소하며 영유아만을 위하는 유보통합 정책 수립에 시사점으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제표준에서 규정한 형광직물과 재귀반사 소재에, 아동들이 선호하는 동물의 문양을 재귀반 사 필름과 검정색 직물로 디자인하여 부착한, 2벌의 안전의복과 안전조끼를 제작하였다. 둘째, 야간에 주변광원이 없어도 원거리에서 생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안전의복에 스마트 포토닉 디바이스를 장착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어두 운 때 버튼 원터치만으로 상황에 따라 3가지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제작한 스마트 안전의복을 마네킹에 착용시켜 주야간의 시인성을 비교한 결과, 시인성의 차이가 야간에 확연히 나타났는데, 기존의 안전의복 착용 시에 는 주변광원 없이는 착용자가 표출되지 않은 반면, 스마트 안전의복 착용 시는 약 70m의 원거리에서도 표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에 주행하는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생체를 인지할 수 있어 교통사고나 도로상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광섬유의 발광기능 안정성 유지와 발광시간의 연장을 위하여 에너지 소진 시 태양전지로 수확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안정되게 광섬유 발광이 가능하여 시인성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스마트 포토닉 안전의복은 야간 작업자용으로도 활용 가능함이 증명되었다. 그 러므로 광섬유 안전의복은 태양전지에 의한 에너지 하베스팅 적용으로 안정적인 충전에 의해 실생활뿐만 아니라 어 두운 산업현장에서도 착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가치 관의 변화로 인하여 맞벌이 가정의 증가는 물론 일·가정양립으로 인한 자녀양육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구조모형을 통해 연구변인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어린이 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쳤고, 권리존중은 서비스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변인의 하위영역 간 영향 관계를 검 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지혜와 청지기정신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어린이집 원장 서번 트리더십의 지혜, 설득, 청지기정신은 권리존중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어린이집 원장 서번트리더십의 이타적소명, 감정 적치유, 지혜, 청지기정신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권리존중의 근로환경권, 운영자율권, 운영참여권은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직무만족도의 상사만족도, 보수만족도, 동료만족도는 서비스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 쳤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서비스 질 사이에서 권리존중 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 서 번트리더십은 권리존중을 매개하여 서비스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권리존중과 직 무만족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de protection device for school buses for children. In the case of the door side impact beam, 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because it protects passengers from external collisions. However, in the case of a school bus for children, the space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trim is very narrow, unlike a general passenger car. So, as an alternative to this, we are trying to develop Rub Rail, which is compulsory for children's school buse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ub rail, we want to find out the appropriate shape of the rub rail.
PURPOSES : Speed management is essential for enhancing children’s safety in school zon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digital-based school zone signs and newly proposed signage for increasing visibility influence speed reductions and how the new system facilitates drivers obeying the speed limits.
METHODS : A before/after analysis technique with comparison groups (widely used to evaluate safety effects) was employed. To effectively capture the safety effects of the new system, two significant measures were selected as the measures of effectiveness: the rates of change in space mean speeds and speed limit compliance.
RESULTS : With three target sites and three comparison sites, the mean space speeds after installing the new systems were found to be slightly reduced for all target sites (the reduction rates of the space mean speed were found to be 5% for site A, 1% for site B, and 6% for site C). The lack of a constant tendency in speed reduction effects at all sites might be owing to the fact that the spe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fore the driver's system adaptation was sufficiently performed. Regarding the speed limit compliance rate,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at two sites (10% for site A and 51% for site C), but site B did not show an increasing effect. The reason for the absence of this effect is that the installation of crosswalks and speed bumps at the target site affected the driver's compliance with the speed limit.
CONCLUSIONS : An insufficient amount of evaluation results was obtained for the new guidance system. However, the new guidance system method provid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improving children's safety, i.e., by inducing drivers to actively slow down in school zones.
목적 : 한국실명예방재단에서 발표한 사업보고서를 기초로 약시의 진단 및 원인, 치료 그리고 치료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눈 건강증진 사업인 ‘취학 전 어린이 실명예방사업 보고서’ 중 2016년에서 2020년 최근 5년간의 보고서 내용 중 약시와 관련된 결과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약시 진단 및 원인으로 평균 50.87±3.97%로 절반 이상이 병원에서 약시를 확인하였으며, 평균 51.50±2.48%로 국내 약시안의 절반 이상이 굴절이상으로 인한 약시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약시 치료 기간은 1년 이하가 평균 54.42±9.27% 약시안의 절반 이상이 1년 이내에 치료가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 경 착용과 차폐를 병행한 방법이 평균 51.05±3.85%로 나타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이였다. 평균 68.86±13.13%가 시력이 향상되었으며, 치료 종결된 약시안은 31.98±23.53%를 보였다. 치료에 방해가 되는 원인에서는 아이의 치료거부가 42.34±3.76%로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결론 : 약시의 치료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시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시력 향상을 유지하기 위해 서는 정확한 굴절검사를 바탕으로 한 안경교정 함께 정상적인 양안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국내 약시의 상 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 국내 약시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five traditional Korean drinks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of children aged 7-12 in Korea, Vietnam, and China. The samples used in a sensory test were omija-cha, yuza-cha, sujeonggwa, sikhye and misutgaru. The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overall, appearance (color), odor, taste and mouth-feeling and a sweetness intensity using 5 point hedonic scale (1=dislike extremely, 5=like extremely) and, check-all-that-apply (CATA) method was performed to determine preference and non-preferences factors. The preference of all samples except sujeonggw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of the preferences (p<0.001). Almost items of the preference was rated more than 4 points in Chinese and Korea children. The sweetness intensity showed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of the preferences except sujeonggwa (p<0.001), and evaluated as not sweetappropriate with the score between 2 and 3 points. Sweetness, color, mouth-feeling, familiar flavor and healthy feeling was selected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determine the preferences and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traditional Korean drinks in children of Korea, Vietnam, and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