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국 일반계 고등학교 재학생 1, 2, 3학년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 여 학년별 작업치료 인식도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학과 탐색의 시기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를 통해, 작업치료의 인식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율적인 홍보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7개 지역의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5일까지 알게 된 경로, 최소한의 교육과정, 국가고시 필수 여부, 대상자의 연령대, 업무 범위, 취업처와 같은 작업치료 인식도와 작업치료(학)과 지원 및 홍보 방법에 대한 질의와 응답으로 구성된 N사의 온라인 설문지 공유 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총 860부 중 부적절한 응답 153부를 제외한 707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처리 및 분석은 기술통계량을 이용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고등학생의 작업치료 인식의 수준은 48.9%로 나타났다. ‘작업치료 대상자의 연령대’를 학년별로 구 분하여 분석한 결과, ‘모르겠다’를 선택한 비율이 1학년 177명(32.2%), 2학년 157명(30.3%), 3학년 84명(23.6%)으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년별로 분석한 다른 작업치료 인 식도 항목 또한 같은 결과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희망하는 학과 홍보 방법으로는 ‘Social Network Service(SNS)홍보 게시물’이 2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일반계 고등학생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작업치료 인식도가 높아졌다. 이는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위한 학과 탐색을 통해 높아지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충분한 탐색의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고등학생이 희망하 는 학과 홍보 방법인‘SNS 홍보 게시물’을 활용하면 작업치료 인식개선 등의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4,800원
        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미래에 안경사가 될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안경원 종사자 복지에 대한 요구도 를 설문하고 분석하였으며, 이 자료가 안경사 복지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에 응답한 전체의 일반적 특성과 취업 희망분야를 분석하였고, 취업 희망분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보인 안경원에 취업을 희망하는 재학생 148명(47.90%)을 대상으로 안경원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 1일 근무 희망시간, 희망 휴무 요일과 수, 월 희망 급여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취업 희망분야에서 안경원 148명(47.90%), 안과 68명(22.01%), 안경관련회사 52명(16.83%), 진 학 등 기타는 41명(13.27%)였다. 안경원 취업은 경제적 안정 50.00%, 발전가능성 25.00%, 적성 23.65%, 사회적 인정 1.35% 이유로 희망 하였으며, 1일 근무 희망 시간은 평균 8.91±1.337시간, 월 휴무일 희망 수는 평균 6.27±2.475일, 휴무 희 망 요일 수는 일요일 평균 2.79±1.618일, 토요일 평균 2.12±1.618일, 주중 평균 1.42±1.508일이었고, 월 급여는 평균 166.70±46.164만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안경사 복지 개선은 안경사 개인 삶의 질과 직업의식의 향상을 일으키고 이는 안경사의 적극적이 고 긍정적인 근무태도로 이어져 고객 신뢰와 매출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안경원 경영에도 도움이 될 것 으로 사료된다.
        4,000원
        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D대학교 안경광학과 재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대학 입 학 후 2015학년도 1학기까지의 평균평점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t-검정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 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취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대학생활적응(r=.320)이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정체감의 요인 중 흥미와 재능(β=.356, p=.012)이었고, 전공만족도는 교과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유의미했으며, 대학생활적응 요인 중에서는 학업적응(β=.367, p=.032)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존중(β=.292, p=.047)이었다. 유의미한 변수들을 동시에 투입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인 전공만족도(β =.465, p=.002)와 전공에 대한 인식만족도(β=-.415, p=.003)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업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과 전공만족도 증진에 필요한 안 경광학과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10.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3년제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출신고교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전공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 다. 방법: 3년제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를 일반만족도, 인식만족도, 관계만족도, 교과만족도 항목을 분류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이용된 설문지의 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4점)’, ‘보통이다(3점)’, ‘그렇지 않다(2점)’, ‘매우 그렇지 않다(1점)’의 5점 리커트 척 도로 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Ver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출신고교에 따른 전공만족도 항목 중에서 사회적 만족도가 3.43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 만족도(p=0.05)와 인식만족도(p=0.03)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인문계 고등학교 문과 출신 학생들은 3.43으로 교과과정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과 출신 학생들은 3.57로 인식만족도 가 가장 높았다. 기타(정원 외) 입학생들은 다른 출신고교 학생들에 비해 모든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인식만족도는 3.94로 나타내었다.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 학생들은 전공 만족도 중 관계만족도와 교과만족도 항목에서 3.45로 나타내었다. 결론: 출신고교에 따른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분석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지도에 활용하여 변화하는 미래에 부합하는 전문안경사 를 배출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11.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안경광학과에 입학한 재학생들의 입학동기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도를 알아 보고자 한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과 학과적응을 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 환경적 차원 4항목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Ver1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비 교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입학동기는 36.9%의 학생이 주변인의 권유(부모님, 교사, 친지, 선후배, 친구 등)를 고려해서, 21.0%가 수능성적을 고려해서, 17.8%가 전공의 독특성(전문성) 을 고려해서, 16.4%가 취직용이성을 고려해서, 7.9%가 적성 및 흥미를 고려해서 안경광학과 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성 및 흥미를 고려해서 선택한 학생들이 대학생활 및 학과적응 중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의 적응도가 다른 그룹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입학동기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인지적 차원의 적응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입학동기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을 분석하여, 안경광학과에 부적응하여 힘들 어 하고 있는 학생들의 중도탈락율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1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학과 선택과 관련된 요인들(학과 정보습득경로, 학과 선택 이유, 학과 선택시기)이 성적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생을 이해하고 학생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경기, 충북, 대전, 전북, 경남에 위치한 안경광학과 재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안경광학과 학생의 학과 선택은 정보습득경로에서 가족소개 41.0%, 학과 선택 이유에서 취업률고려 33.5%, 학과 선택 시기에서 대입원서접수기간 54.8%로 가장 높았다. 성적은 정보습득경로에서 본인(3.05±0.75), 선택 이유에서 전문직(3.08±0.76), 선택 시기에서 타과 재학 중 또는 대졸 후(3.13±0.80) 입학한 학생의 성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정보습득경로에서 전체의 22.6%를 차지하는 본인(3.10±0.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1.0%의 가장 높은 비율인 가족 소개는(2.92±0.50)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선택 이유에서 5.8%를 차지하는 전문직(3.11±0.4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에 맞추어 입학한 14.2%의 만족도는(2.64±0.5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선택 시기에서 고등학생 이전에 선택한 1.0%의 학생(3.00±1.73)으로 가장 높았으나, 54.8%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원서접수기간의 만족도는(2.81±0.5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성적과 전공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4,000원
        1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학사정관제도는 대학입학전형을 선진화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 중의 하나다. 입학사정관 Admissions Officer)을 통하여 내신과 수능이라는 점수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입학생의 잠재력과 자질, 성장가능성 등을 다각적이고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여 각 대학 고유의 인재상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신입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제도는 각 대학이 대입전형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육성하고 채용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대학과 모집단위별 특성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전형은 각 대학의 설립이념과 교육목적을 반영하는 다양한 전형방식을 운영하여 특기와 적성, 잠재성 및 발전가능성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 교육함으로써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이라는 교육효과를 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들의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사교육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전형에 적용 가능한 사교육 감소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공교육 활성화를 도모하는 입학사정관전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제한할 수 있는 대안 및 제도적 개선점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5,100원
        1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지역 안경광학과 재학생 183명과 서울, 경인지역 산업체 재직 안경사 123명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 교과과정을 5개 분야로 구분하여 5점 척도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집단의 교과과정 만족도는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는데(재학생: 16.44±2.66, 산업체: 16.47±3.38) 분야별로는 이론교육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재학생: 3.87±0.74, 산업체: 3.82±0.68) 외국어교육과 인성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재학생의 경우에 이론교육(p
        4,000원
        15.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BK21 사업의 인력양성 성과를 재학생 유지로 설정하고 BK21 사업 참여기간과 제적 학생 수 그리고 재학생 제적률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 2002년, 2005년 3개년에 걸친 패널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 POLS(pooled ordinary least squares), 고정효과(fixed effect)와 임의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BK21 사업 참여기간은 제적 학생 수와 재학생 제적률에 공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BK21 참여기간이 재학생 유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지원자 대비 입학자 수로 파악한 입학 가능성이 높은 대학원이 재학생 유지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교수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포함한 전임교원 가운데 박사학위 소지자 비율, 전임교원 1인당 대학원생 수, 외국인 교원 수, 졸업자 대비 취업자 수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4,500원
        1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내·외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대학 전공 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 법: 설문을 통해 경기도, 경남, 전남, 전북에 소재 대학의 재학생 507명과 서울시, 대전시, 경기도, 전북에 근무하는 안경사 138명을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전공교과목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안광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기하광학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재학생과 안경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안과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안질환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안경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안경재료학 과목이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검안학 영역 요구도는 재학생들의 굴절검사학 과목 평균점수가 4점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 < .05). 4개 전공 영역의 요구도 비교에서는 2집단 모두 검안학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안경학, 안과학, 안광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는 실습 4개 과목 중에서 굴절검사 과목 확대 요구도가 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요구를 전공 교육에 반영하여 안경원에서 보다 유용한 시력검사를 할 수 있도록 굴절검사와 관련된 과목의 확대와 강화가 요구된다.
        4,000원
        17.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and the living habits of 606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Chonnam area. The subjects included 290 freshmen (47.9%) and 316 undergraduate students (52.1%).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ost students (73.9%) skipped breakfast because of lack of time (65.8%) of the cases. Self-reported eating habits problems were eating irregular meal (52.8%), overeating (21.1%), unbalance diet (13.0%) and skipping meal (7.3%). The type of favorite snack was biscuit (31.8%) and cup Ramyon(31.8%). The weight control was higher in freshmen compared to undergraduate. The rates of smoking in freshmen and undergraduate were 21.0% and 26.6% respectively. The coffee intake and alcohol drinking frequency was higher in undergraduate compared to freshmen. The living habits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ndesirable. Therefore they should have a nutritional program to improve their food habits and the dietary behaviors for students' health.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organized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4,000원
        18.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와 대중매체의 발달로 교수자와 학생이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전문대학생들에 맞추어 플립드 러닝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하였다. 맞춤식 플립드 러닝 교수학습 모형 결과에서 전공과목 pre class 출석률은 92.3%의 결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이외의 교양 교과목의pre class의 출석률은 87.6%로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방사선과 1학년 재학생들의 전공과목 pre class출석률이 교양 교과목 pre class출석률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맞춤식 플립드러닝 교수학습모형의 in class에서 적용한 연구 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연구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직무능력인 지식, 기술, 태도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예비방사선사로서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 본 수업 모형을 적용한 결과 90%이상의 학습자들이 책임감,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협동 능력,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 맞춤식 플립드 러닝 교수·학습모형의 post class에서 방사선사 역할인지 차이 검증에서는 교수학습모형적용전의 평균이 2.10이였으나 적용 후의 평균은 4.40로 증가하여 나타났다. 맞춤식 플립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결과 방사선과 직업기초능력을 함양하기위하여 본 교수학습모형이 적절하며, 이에 확대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19.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것이다. NCS기반 현장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한 방사선과 재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일반촬영에 대한 방사선사 직무수행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모든 촬영방식에서 우수 및 충족 비율이 93% 이상으로 현장중심 교육과정이 재학생의 직무수행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CR 방식은 전체적으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대상자 간 편차가 크고 영상기기조작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Film 방식은 노출조건 설정 및 현상작업이 문제점으로 평가되었다. DR 방식은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영상기기조작능력, 부속기자재운영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촬영에서 성취수준 이하의 평가요소를 교과목 운영에 보완한다면 재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뿐만 아니라 졸업 후 임상에서 방사선사 직무수행도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 한다.
        20.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가 될 사범대학 재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 및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개념적 틀을 도출한 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잠정적 교수역량 모형을 도출하였다. 초점집단인터뷰와 델파이조사를 통해 교수역량 모형을 확정하고,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모형의 타당성 및 진단도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범대학 재학생 41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어 교수역량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결과, 사범대학 재학생의 교수역량은 윤리의식 및 열정, 교과전문성, 수업설계 및 자료개발, 수업실행, 평가 및 결과활용, 상담 및 생활지도, 학급운영 및 행정의 7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편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