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2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 코이어 자루재배시 습해의 원인을 구명하고 습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미니찰을 고시하고 단동형 2중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실시 되었다. 배양액은 Yamazaki 토마토 전용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공급시간은 해뜨고 1시간 후 시작하여 해지기 2시간 전에 종료하였다. 자루당 I자형 찢기 및 L 자형 찢기는 6개씩 15cm 길이로 찢었으며, 밑 찢기는 3 개씩 15cm 길이로 뚫었다. 배액구 위치에 따른 배지무게는 포습 24시간 후 I자형 찢기는 14.2kg, L자형 찢기는 13.8kg, 밑 찢기는 12.8kg로 밑 찢기가 가장 가벼웠다. 포습 24시간 후 1일 관수하여 무게를 측정한 결과 I 자형 찢기는 14.5kg, L자형 찢기 14.2kg, 밑 찢기 13.3kg 로 역시 밑 찢기가 가벼웠다. 이것은 밑 찢기에서 배지 내 함수량이 가장 적은 것을 의미한다. 부정근 발생정도 는 I자형 뚫기 및 L자형 뚫기에서 160 및 170개 발생하였으나 밑 뚫기에서는 53개 발생하였다. 뿌리의 건물중 (5주)은 밑 찢기가 57g으로 I자형 찢기 23g 및 L자형 찢기 25g과 비교해서 2배 이상 높았으며, 뿌리길이도 밑 찢기가 31.4cm로 다른 찢기 방법과 비교하여 길었다. 상품수량은 밑 찢기가 26.5kg/20주 로 I자형 찢기 19.7kg, L 자형 찢기 24.0kg와 비교해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따라서 U자형 베드에서 코이어 자루배지를 이용하여 수경재배를 할 경우 배액구는 밑 찢기로 만들어야 습해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2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mmon glyph of “tui” is mainly Chinese bronze inscriptions and Seal letter. There are two main types of its oracle glyph( and ). But they are not includ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According to the dictionary record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is usually just simply defined as variant character. But about the glyph of development relations there is still no conclusion.Through collecting ancient books and various point of view, I attempt to explore the volution of glyph and to discuss its oracle glyph of “tui”. And it is concluded that the two main types of its oracle glyph can only be identified as variants in the specific historical stage.
        4,300원
        23.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新撰字鏡≫為一部日本的古辭書, 此書一本均保有有字書․韻書․類書的特徵, 於是具有非常獨特的體例. 而且此書本身就是俗體的寶藏 因為作 者會集了≪玉篇≫․≪一切經音義≫․≪切韻≫․≪干祿字書≫․≪正命要 錄≫以及當時在日本文人的文獻力的漢字, 并按照自己的原則類聚大量的異 體字, 附加適當的註釋. ≪新撰字鏡≫的體例受到≪干祿字書≫之類字樣書的影響, 有關異體字 均集中排列在一處當字頭, 其下用‘形‘‘形作‘, ‘同作‘, ‘同‘; 若干形同‘等的術 語, 解釋其字形之間的關係, 在下列了字釋和其他信息. "如䒫, 二形七矢 反. 上. 生山, 其味甚苦, 人能食尓, 古多. 又云加乃尓介.", "溲, 三形 作.正所牛反. 平.", " 篘, 三同. 楚尤反. 平. 篘酒. 或作醔."等. 第二個特徵就是, 字頭之間活躍性相對來強, 上下字頭緊緊聯繫的情況 頗多. 比如‘上個字頭是正字, 下面的字頭就是俗字, 再下面的字就是其古文 ‘之類的例子不難查到. 更顯著的用‘上’‘上字’‘上同作’, ‘上古文‘等的定形術語 來說明字頭間的關係. 如: "年, 奴田反. 平. 秊, 二上同字.", "河, 故歌反. 水名, 出稽山; , 上字.", , 除殄反. 止也. 履也. 趁也.; 跈, 上正作.", " , 上字俗作.", "曝, 補木反. 入. 日乾也. 曬.; , 上古文.“ 最後就是在陳述的註釋裏面, 提示字頭的不同屬性的異體字, 如正字, 俗 字, 古字, 今字等. 並且用‘上通下正‘, ‘上俗下正’等的格式闡明某字的正俗辨 認. 如: "謌, 葛羅反. 歌哥二字同.", " , 祖到反. 躁趮二形同. 不安靜也."," , 張流二反. 平. 狂也. 相欺惑也. 嚋同作.", " , 鞀鞉皷三形同作.徒刀 反. 跳如鼓而小, 持其柄搖捋之者也.", "防, 坊字同. 扶方反. 俻也. 當也."," 氣, 亦作炁. 去既反. 去. 欝也. 息也.", "㦣, 亦作寱讏二形. 于劌魚祭二反. 眠內不覺. 妄言也."," , 去玄反. 麥莖也. 槀也. 或作䅌.", ", 都礼反. 又 作觝. 抵也. 角觸也.", "蹎, 又作二形.", "劖, 躬字正字.", "矟, 所角反. 鉾也. 長一丈八尺. 槊, 上俗作.", "叨, 他榮吐高二反. 平. 食也. 殘也. 貪也. 俗作饕.", "召, 上俗作, 二正作.", "若苦, 上通, 下正.", " , 上通作."
        6,800원
        2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disquisition demonstrates the rationality of the theory that “honesty is made up of human and their words”which was put out by Xu Shen through a complete analysis to the record of honesty in Zuo Zhuan. Wherever the record of honesty existed in Zuo Zhuan, there always were human’s words as a background or echo. The conception that “Words mean honesty” was popular an in a leading position in the age that Zuo Zhuan was written. Such conception was tightly held by the social system and it also was a guarantee of people’s life.
        4,000원
        2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한자의 해서체는 오랜 기간 동안의 규범화과정을 거쳐 정리된 것이지만, 그 학습과 운용에 있어서는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개별 자소의 변이형태가 워낙 많다는 점이다. 한자는 隷變 이후 자형 자체의 象意性은 많이 훼손되어 대부분의 개별 자소들이 符號化되긴 하였지만, 여전히 義符 혹은 音符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자소의 사용위치 혹은 결합대상이나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한자의 학습과 운용과정에서 봉착하게 되는 난제들 가운데 해결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문제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필자는 몇 해에 걸쳐 한자의 자소추출 및 정리에 관심을 갖고 일련의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2010년에는, 고문자 계통에서의 특정한 자소의 자형이 예서를 거쳐 해서체 자형으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두 개 이상의 자형으로 나타나는 경우 혹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자소가 동일한 형태로 정리된 경우 등의 자소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변이형태를 분석、정리하여 「한자 해서체 자형에 나타나는 자소의 변이형태 小考」라는 제목으로 졸고를 발표한 바 있다. 본고는 이상의 작업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자형교육 현장에서 변이자소들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공론화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적출 될 것이며,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한자학적인 관점에서의 변이자소와 실용적 문자체계로서의 변이자소를 동일한 기준으로 일일이 구분하고 분석해야 한다면 오히려 교육현장에서 혼란만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대상 한자의 범위설정도 간단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코 개별 연구자 몇 명에 의해서 결정될 문제가 아니다. 다만, 논의의 시작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는 시급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라는 판단에서, 본고는 기왕에 설정되어있는 「교육용 기초한자」1800자를 대상으로 하여, 출현하는 개별 변이자소를 분석 정리하고, 그 활용방안에 관한 개인적 의견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중국 교육부에서는 2009년에 공포한「현대 상용한자의 部件 및 부건명칭 규범(現代常用字部件及部件名稱規範)」을 통하여, 현대한어 3500 상용한자의 514개(441組) 部件을 제시해 놓고 있으며, 이 가운데에는 해서체에서도 운용되고 있는 ⺈(負字頭)、⺧(告字頭)、(春字頭)、(靑字頭)、⺢(水底) 등의 변이자소들도 포함되어 있다. 일반자소 및 변이자소가 모두 정리되어 학계의 논의를 거쳐 그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우리나라에서도 「교육용 기초한자」의 부록으로 構形素로서의 자소목록이 제시되어,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2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고는 정족산본 朝鮮王朝實錄의 漢字 異體字形 연구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진행한 기초 작업이다. 實錄은 오랜 기간에 걸쳐 편찬된 歷史書인 만큼 時代나 편찬시기에 따라 여러 자형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정족산본 태조실록 권1, 태종실록 권1을 대상으로 검토를 진행하였다. 본고에 열거한 유형은 韓國文集叢刊에 나타나지 않은 자형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제자와 동일한 원리의 자형이 있을 경우 예시하였다. 본고에서 검토한 1) 기존 筆劃의 형태가 추가되거나 변형된 유형’에서 , , , 3種, 2) 글자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중복되는 필획이나 일부 필획을 생략한 유형’에서 ‘ ’ ‘ ’ ‘ ’‘ ’, 4種, 3) 유사한 構件으로 변하거나 새로운 형태로 변한 유형’에서 ‘ ’ ‘ ’ ‘ ’ ‘ ’ ‘ ’ ‘ ’‘ ’ 7種의 자형은 中國의 字書와 日本의 難字異体字典, 韓國의 高麗大藏經異體字典에 나타나지 않았다. 太祖實錄에서 는 ‘ ’ ‘ ’ ‘ ’ ‘ ’ ‘ ’ ‘ ’ ‘ ’ ‘ ’ ‘ ’ 등의 윗부분에서 ‘艹- ’의 변화현상이 자주 나타나며, 太宗實錄에서는 ‘ ’ ‘ ’ ‘ ’ ‘ ’ ‘ ’ ‘ ’ ‘ ’ ‘ ’ ‘ ’ 등의 아랫부분에서 ‘貝- ’의 형태의 자형이 자주 나타났다. 中國字書와 비교 검토한 결과 주로 碑文과 隷書에 관련한 책에 實錄과 동일한 자형이 나타났으며, 이 중 절반이 넘는 15件의 字形은 中國과 日本의 字書에 나타나지 않았다. 漢字文化圈의 모든자료를 검토하지 않았지만 實錄의 일부를 검토한 결과 他國의 字書와 文叢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자형과 실록만의 독특한 자형이 눈에 띄었다.
        28.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 characters may be taught both as components of the mother tongue as well as elements of certain foreign languages. This paper centres on understanding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writing of Han characters as an aspec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mastery of Han characters may be considered a key objective in mother-tongue as well as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China, Taiwan, Hong Kong and Japan, but is only considered as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Korea. However, the written forms taught in schools in the five above-mentioned locations differ markedly from one another. Japan has strict stipulations about written forms of Japanese; the governments of China, Taiwan and Hong Kong adhere to prescribed benchmarks on the written form of Han characters; while Korea only sets requirements on fonts. Although Hong Kong supposedly has a recommended benchmark, differences in written forms can be foun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This leads to problems in teaching and assessment since few teachers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difference in written forms of Han characters found in Hong Kong and elsewhere in South-East Asia. This paper looks at differences in the written forms of Han characters in the five regions mentioned above, and at some of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se differences.
        5,100원
        29.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Ⅰ. 序論 因尚未對韓國語言文字中仍然占據重要地位的漢字進行正式的規範化,從而導致漢字使用、漢字教育及漢字相關政策等存在諸多問題。因此筆者認為韓國切實有必要實施漢字規範化,同時特別強調需要對韓國漢字的形、音、義、量、序進行規範,本論中將主要論述關於韓國漢字字形規範化的相關問題。 對於韓國漢字字形存在的問題,在張豪晟, 金彥鍾, 許喆, 楊沅錫等的研究中均有所提及。但大都是提出漢字字形存在的問題,而沒有對這些問題提出相應的解決方案。另外在吸收中國漢字規範化研究成果時,沒有能夠針對韓國的實際情況進行進一步的適用性研究。 考慮到以上幾點問題,本論將在分析大陸和臺灣的漢字字形規範化現狀的同時,以韓國教育部制定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以下簡稱‘教育用漢字’)為對象提出字形規範化方案。 Ⅱ. 教育用漢字字形表記原則及字形規範化的必要性 韓國的教育用漢字初次制定於1972年,於2000年時,經過韓國漢文教育學會的研究,對44個字進行調整之後,從2001年起一直使用到現在。這些教育用漢字是根據什麼原則進行表記?在教育部的《漢文教育用基礎漢字1800字 調整白皮書》(2000)中提出的字形表記原則是“漢字字形原則上以本體字進行表記。但同時考慮那些以《康熙字典》的字形為根本且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裏提出“本體字表記的原則”的同時留下了“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的附則。因此提出了若俗字或異體字等也是廣泛通用的話,也將予以考慮這一點。根據這些規則,對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進行正確的定義相當困難。另外本體字的概念也是不明確的,在對於正字和本字的概念進行研究後,以此為基礎再次對在白皮書中本體字的概念進行相關的整理。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正字是“同正體字,與異體字和俗字相對,由國家或社會規定的標准漢字字形。”異體字是“指讀音和意義完全相同,但形體構造不同的字,與正體字相對”,俗字是“與正體字相對,指流行民間,尚未被社會或政府所承認的字。”通過分析這些,正字可以說是在字的形態性側面上,國家或社會正式承認的標准字體。 本字是“與假借字相對,與通假字相對。指專為某個詞的本義所造的字,就是字形表現出所代表的詞的本義的字。”通假字是“與本字相對。指在漢語書面語中代替本字或通用字的那個字。”假借字“是本來沒有正字,一直借用某一個字。本來有一個正字,但是書寫的人一時寫了別字,或者由於地方習慣寫成另一個字。”即本字是在意思和運用層面上,可以說是同假借字和通假字相對而言的概念。 筆者認為應該將白皮書中提到的本體字定義為“不是異體字或俗字,同時從古至今都被認為是正字(正體字)的字體”。即教育用漢字字體必須使用正字。另外,根據白皮書中“考慮現在廣泛通用的字形”這一條款,可能出現異體字或俗字被選為教育用漢字,但是筆者主張應該將這些字用正字予以替代。正字是“國家或社會承認和規定的”,但根據時代的要求這些規定也可能出現變化,因此可能出現正字和異體字、俗字區分模糊的情況。在這些情況時,將根據原義所造的字或字形承載原義的本字視為正字是比較恰當的。總而言之,筆者主張教育用漢字應該以使用正字為原則,在正字標准模糊時將本字視為正字。 若通過這些辦法,提出韓國教育用漢字的規範字形的話,能夠使各個漢字的筆畫和筆順規範化,也能夠使漢字書寫方案規範化。 Ⅲ. 大陸的字形規範化:《現代漢語通用字表》 《現代漢語通用字表》(1988年公佈)是在1965年公佈的《印刷通用漢字字形表》(6196字)無法滿足當時語言文字生活的實際需要的反省中嘗試推出的。它是以《印刷通用漢字字形表》為基礎進行製作的,包含《現代漢語常用字》的3500字,總共收錄7000字。它成為現在大陸使用的漢字字形和筆畫的標准。另外在1997年製作施行了使現代漢語通用字的筆順規範化的《現代漢語通用字表筆順規範》。 Ⅳ. 臺灣的字形規範化:《常用國字標准字體表》
        3,000원
        30.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ar composition of rectangular formation houses in 8 areas, both cities and counties, in the sphere of Andong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ouses in each region. This study of the rectangular formation of hou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ill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trends of housing in Andong cultural area.. In this study, the subject houses are composed of three parts: Bonchae, Anchae, and Sarangchae, and the author classified the planar types of the houses. The differences in the regional planar types were analyzed through visual and statistical methods. The analyzed results reveal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ctangular formation houses in terms of their planar aspects in the Andong region. The distribution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toward one type out of two types of distribution of Bonchae, Anchae, and Sarangchae. The ratio for the higher distribution was approximately 70%, whereas the ratio for the lower distribution was around 20%. For convenience, the type with a higher distribution rate is referred to as the “major type,” and the type with a lower distribution rate is termed the “minor type.’ The complete-type houses (73%) in Bonchae were a major type there, and the symmetric-type houses (73%) in Anchae were the major type in that location. In addition, the corner-type houses (72%) in Sarangchae were the major type .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ajor types and minor types in the 8 regional cities and counties, regional differences were noted. The three regional groups can be divided into A, B, and C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ratio. Andong, Bonghwa, and Yecheon belong to region A. that shows a variety of distribution types and a dispersive trend. Yeongyang and Yeongdeok belong to region C that shows a simplified trend.Yeongju and Cheongsong belong to region B
        5,100원
        31.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function and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日type plan building ruins in the Hoe-amsa monastery site, that’s renovated by Zen priest Na-ong(1320-76) in the later Goryeo Dynasty(918-1392),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China, Japan, and Goryeo in that time. The ruins of 日type plan building, located in the east side of Buddha hall ruins, is the ruins of Jungryo(衆寮). It was called as Jeondanrim(旃檀林), and the name can be seen from the record(天寶山檜巖寺修造記) of Yi-saek(李穡, 1328-96). It’s name and the composition of plan is very similar to the Jungryo of Chinese and Japanese Zen monastery in 13th-14thcentury. And from it, we can see that, the priest Na-ong tried to introduce institution of Chinese Zen monastery, which he experienced during the time of study in China. But, the location of Jungryo in Hoe-amsa monastery is deferent from the Zen monastery of China and Japan, and it can be said as the setting characteristics of Hoe-amsa monastery in Goryeo Dynasty.
        4,900원
        3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33.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H-shaped houses in 1930s and examines the characters and meanings of Kim, Jong-Ryang`s H-shaped houses as a new trial to urban Hanok of those days. He, who was concerned about the housing problem of Seoul, made an attempt to make various types of dwellings.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Korean Style H-shaped houses in Samcheong-dong. As the alternative housing type against other urban Hanok of Seoul in 1930s, the H-shaped houses of Kim, Jong-Ryang had characters as follows : 1) H-shaped house has two special characters. First, the whole space of a single house can be divided into a left region and a right region. Second, it can be divided to a front region and a rear region. In his H-shaped houses, the left/right division was expressed as folding of space-layers in parallel with urban streets. The front/rear division was used as classification of main-living space and sub-living space. 2) KJR`s H-shaped Japanese-Korean Style houses were proved to be designed as urban housing against the extreme housing shortage of Seoul in 1930s. 3) His houses however were not accepted broadly as a urban house type because the construction cost of those was higher than an average and the element of Japanese style house was not adapted to Korea. Kim, Jong-Ryang`s trial is valuable because it was the rare case of realization of many discourses as defects of existing house type. With more rigorous investigations on KJR`s experiment in modern house type, we could understand the housing condition of Seoul in 1930s and modern urban houses more than before.
        5,200원
        34.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3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직선 강상자형 거더의 단면변형에 의한 변형 및 응력계산을 위한 Matlab 해석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단면변형이론을 요약하고 빔유사이론을 제시한다. 이후 탄성지반위의 보-기둥부재의 지배방정식을 제시하고, 일반화된 고유치해석을 통하여 집중 및 분포하중을 받는 보요소의 엄밀한 강성행렬을 계산한다. 본 연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격벽을 갖는 상자형 거더의 뒤틀림응력을 계산하고 유한요소해와 비교한다.
        4,000원
        3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강상자형교의 바닥판과 주형에 대한 생애주기비용(Life-Cycle Cost : LCC)를 고려한 최적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생애주기비용의 최적설계 문제는 초기비용, 유지관리비용 그리고 강도와 처짐 그리고 균열에 대한 파손 기대비용의 최소화 문제로 정식화할 수 있다. 기존의 재래적인 설계방법과의 비교를 동해서 강상자형교의 생애주기비용 최적설계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수치적인 결과의 고찰을 통하여 LCC에 근거한 최적설계가 여타의 설계방법들보다 좀 더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며 안전한 설계를 유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3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s a study on the ㄱ-shaped church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Since the Protestantism had been introduced into Korea, the style of ㄱ-shaped church was the popular style that have been fashioned in all the country of Korea. When the Protestant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ideology which ruled over the Society of Chosun Dynasty was the Confucianism that emphasized the precepts, for example, the loyalty for the King,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and so on. The Korean Protestants built the church which had ㄱ-shaped plan, so that they solved the second problem :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e style of the ㄱ-shaped chur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which distinguish the Korean church from other nations'. Actually the ㄱ-shaped churches had been built by Korean Protestant denominations, from the early days of introducing the Protestantism till the end of 1920's. Even though most of the style of the ㄱ-shaped church is replaced with the modern style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religious influence, luckily the ㄱ-shaped two churches : Kumsan Church(1908), Toodong Church(1929) are in existence in the Provice of ChonBu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ㄱ-shaped church clear. This study is based on the actual survey of the ㄱ-shaped churches in existence: Kumsan Church, the Toodong Church and on the documents, photographs, interviews and so on for investigation not existing one now. The ㄱ-shaped church have the plan to separate men's side from women's with a right angle and have a pulpit which was placed at the meeting point of the front part of men's and women's sides. Generally, seen from the court, the churches have men's side in left and women's one in right. There was a screen blocking both sides in the church. But it disappeared in 1920'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ocial conventionality. Most of its structural form is the Korean wooden style. The ㄱ-shaped church appeared in a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church architecture.
        5,200원
        39.
        199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규 고분자형 계면활성제(α-allyl-ω-methoxy polyoxyethylene and maleic anhydride block copolymer)를 사용하는 고분자형 마이셀 촉진 한외여과법을 제안하였다. 제거용질로서는 염료의 중간체이며 발암성 물질인 1-나프틸 아민을 사용하였다. 고분자형 마이셀의 촉진효과는 중공사형 폴리아크리로니트릴 막(분획 분자량 6,000, 표면적 0.017m2)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플럭스의 선형의존성은 0.6kg/cm2까지 유지되었고, 점차 압력증가에 따라 플럭스 증가율은 감소하였다. 고분자형 마이셀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거율은 2mM의 용질에 대하여 0.19, 2 wt.%의 고분자를 첨가한 상태에서의 제거율은 0.96이었다 고분자형 마이셀 내부로의 가용화가 분리효율을 5배 촉진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