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1.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 목적은 축제 체험 요소, 도시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도의 영 향 관계를 분석하고, 칭다오 맥주 브랜드 지식이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 도 간의 영향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구하며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중국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체험 요소 중 인지, 감성, 행동, 감각, 관 계 등 5가지 요인이 모두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는 도시를 타 도시와 차별화하며 방문객 들에게 강력한 인지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둘째, 인지, 감성, 행동, 감각 이 4가지 요인은 도시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도시 브랜드 자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독창적 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방문객의 오감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해야 한다. 셋째, 도시 브랜드 자산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브 랜드 자산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칭다오 맥 주 브랜드 사전 지식이 도시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많은 충성 관광객을 유치하 기 위해 칭다오 맥주의 IP를 강화하고 브랜드 지식의 확산에 집중해야 한다.
        7,8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중국과 한국 주요 영화제인 베이징 국제영화제와 전주 국제 영화제 포스터의 색채 디자인과 문화적 상징성에서 나타나는 문화 간 차 이를 탐구한다. IMAGE COLOR SUMMARIZER와 한국 표준 색채 분석 (KSC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색채가 감정 표현과 문화적 상징성에서 차 지하는 역할을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포스 터는 차가운 색조와 미니멀한 디자인을 선호하여 이성적 미학을 강조하 는 반면, 중국 포스터는 따뜻한 색조와 전통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문화 적 풍부함과 국제적 매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hmitt의 감각 경험 이론을 통해 본 연구는 브랜드 구축과 문화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독 특한 시각적 전략을 강조하며, 문화 간 시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기여 하고자 한다.
        8,1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글로벌화의 관점에서 한국의 부산국제영화제와 중국의 상하 이국제영화제 포스터 디자인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문화 상징과 색채 사용을 중심으로 두 국가 영화제 포스터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문화적 표현의 차이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틀로 Schmitt의 전략적 경험 모듈(SEMs)을 활용하고, 정량적 색채 분석을 위해 한국표준색채분석 (KSCA)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시각적 상징이 어떻게 문화적 상징성과 감 성적 공감을 전달하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부산영화제 포스터는 한색 계열을 선호하여 이성적이고 미니멀한 현대 미학을 반영하고 있으며, 상 하이영화제 포스터는 난색 계열과 풍부한 문화적 상징을 통해 강한 국가 정체성과 감성적 매력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글로벌 화의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 영화제의 브랜드 포지셔닝 및 디자인 전략의 차별성을 강조하며, 국제 영화제 포스터에 문화 상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통찰과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8,100원
        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에 참여한 관람객이 원하는 다양한 체험과 주 관적인 견해인 지각된 가치가 관람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고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 째, 체험요소는 지각된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지각된 가치는 관람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체험요소와 관람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요소가 지각된 가치를 증가시켜 관람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 라서 다채로운 체험을 통해 받게 되는 자극이 관람객에게 강한 영향을 주고 매력적으로 판단하여 공연 관람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이를 통해 축제 운영자들에게 관람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축제의 효과적인 운영과 성장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 였다.
        5,700원
        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시대의 혁신적인 지도자였던 정조대왕의 업적과 수원화성의 역 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현대적으로 계승하기 위하여 시작된 수원화성 문화제는 다채로운 축제 프로그램과 고유한 문화적 유산으로 인해 우 리나라 대표 문화관광축제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는 수원화성문화 제를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수집한 키워드의 분석을 통해 포괄적인 인 식과 동향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축제, 정조대 왕, 능행차, 수원시, 경기도, 화성행궁, 다양한, 세계유산축전, 힐링폴 링, 공연, 가을, 미디어아트 등의 키워드가 온라인 상에서 자주 언급되 고 있었다. 둘째, 중심성 분석 결과, 빈도분석의 결과와는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NCOR 분석 결과, 총 6개의 수원화성 문화제 관련 키워드가 군집되었으며,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5,800원
        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의 두 주요 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과 '서울세계불꽃축 제'를 중심으로 축제와 도시 브랜딩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해관계자 역할 의 중요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 주도와 민간 주도 축 제의 특성, 정부의 역할과 규제가 축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축제가 서울 의 도시 브랜딩에 기여하는 방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접근법을 채택하여 46명의 축제 관계자 및 참가자들과의 심층 인 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주제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축제의 소유권과 운영 방식이 축제의 성격과 도시 브랜딩 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의 역할과 규제 수준이 축 제의 창의성, 자율성,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축 제는 서울의 도시 브랜드 강화에 기여하고 있으나, 정치적 변화에 따른 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잦은 변경이 일관성 있는 브랜드 구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축제의 문화적 콘텐츠가 도시 브랜드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이 축 제의 성공과 도시 브랜딩에 핵심적인 요소임이 드러났다. 연구의 결과는 축 제와 도시 브랜딩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도시 브랜딩을 위한 축제 활용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특히 이 해관계자들의 역할과 협력 방안을 분석함으로써, 축제의 성공적인 운영과 도 시 브랜드 강화를 위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6,900원
        7.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경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활용한 융복합 미디어 아트 축제의 주제 공연콘텐츠 매체 특성을 분석하고 지속 가능 한 축제의 정체성과 문화도시 이미지 구축 및 축제 브랜딩 효과 를 연구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융복합 미디어아트 축제 공연콘텐츠에 내재된 스 토리텔링, 서사구조, 도상성, 지표성, 비결정성의 언어적 속성에 주목하고 콘텐츠 창·제작 기획서와 제작 과정, 현장 연구, 결과보 고서, 연구논문, 보도자료, 현장 모니터링 및 축제 관련 홈페이지 와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융복합의 개념을 명확하게 분석했으며, 공연예술과 축제 공연콘텐츠에 내재 된, 융복합의 표현 양상과 특성을 도출하고 미디어아트 축제 공연콘텐츠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적 속성과 예술적 확장성에 대한 의미와 가치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융복합의 언어적 속성을 분석하여 지역 문화 예술 축제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공연예술과 융복합 미디어아트 축제 공연콘텐츠의 매체 활용과 예술표현으로 인한 절대우위의 가치를 연구한 것이다. 융복합 미디어아트 축제 공연콘텐츠의 예술적 확장성은 지역 문화예술 축제의 도시 브랜딩과 브랜드노믹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600원
        8.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중단되었던 대규모 페스티벌들이 다시 재개되고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과 덴마크의 로스킬데 페스티 벌, 영국의 글래스토버리 페스티벌 등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 다. 세계적인 문화콘텐츠들이 기술과 창의성의 융합으로 기술적 진보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흥행을 이루고 있다. 또 한 새로운 소비집단의 대두와 니즈가 나타나고 AI감성 마케팅 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고 예상된다. 한국의 K-pop,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 확 산으로 한국의 문화콘텐츠 문화산업이 경제뿐만 아니라 인류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은 증대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과 프랑스 니 스카니발의 문화축제콘텐츠를 비교하여 두 축제의 문화 원형적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축제의 문화적 특성과 차 이점을 밝혀 성공적인 한국의 문화축제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을 두고 있다. 두 축제는 각국의 전통적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적 으로 재해석된 대표적인 사례로,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 해 수행되었으며, 두 축제 모두 전통적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글로벌 관객에게 어필하는 독창적인 문화콘텐츠로 발전해 왔음 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문화콘텐츠를 발전시키고 문 화융합페스티벌의 한 장르가 생겨날 계기가 될 것이다.
        6,400원
        9.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범국민 책 읽기 문화 확산과 독서진흥 활성화를 위해 개최 되는 대한민국 독서대전 개최지의 선정이유를 살펴보고, 해당 지역이 선 정되는데 영향을 미쳤던 지역의 특색있는 독서문화행사를 밝혀내어 지역 별 경쟁력 있는 독서문화행사의 우수사례를 발굴하는 것에 그 목표가 있 다. 독서대전은 2014년부터 개최된 이래 11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한 민국 독서대전의 법적 근거, 운영 목적, 운영 과정 등을 포함한 독서대전 개요를 살펴보았다. 이에 더해 총 10개 개최지의 선정이유를 다룬 공식 보도자료, 지역신문기사, 관련 연구 등에서 언급된 독서문화행사를 분석 하여 선정이유를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10개 지역 중 6개 지역이 한 도시 한 책 읽기 운동을 하고 있었고, 해당 독서운동은 점점 지역과 밀 착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었다. 또 하나 눈에 띄는 특징은 지역 내 다 양한 기관의 관심과 협력을 기반으로 책과 독서와 관련한 지역 축제 및 행사가 운영 중이라는 점이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지역 중심의 독서문 화행사의 성공사례가 공유되어 지역 독서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6,000원
        10.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부 주도의 국제문화교류 축제 관람객의 참여 경험을 상호 문화주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제문화교류 축제의 질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례로는 20년간 범아시아 축제를 지향해 온 ‘인바운드형 국제문화교류 음악 축제’인 ‘아시아송 페스티벌(Asia Song Festival)’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본 축제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디어도프(Deardorff)의 상호문화역량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본 축제 관람객의 ‘태도’는 타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도 및 유사 축 제 참여 경험이 있는 등 개방적 태도를 보였지만 사업에 대한 인지는 낮 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식과 이해’의 측면에서 본 행사는 타문화에 대 한 인지의 기회가 되었지만 문화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한 도구 보완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내부적 결과(사고의 틀 전환)’에서는 음악을 매개로 한 교류 경험인 동시에 아시아 음악에 대한 관심 향상의 기회가 되었지만, 평소 대상국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으므 로 아티스트의 사회적 이미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마지막으로 ‘외부적 결과(행동 변화)’ 의 경우 향후 문화교류 현장에 서의 적절한 의사소통과 해당 국가 방문 및 추가 문화체험 등 구체적인 행동방식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한류를 매개로 한 정부 차원의 상호문 화교류 정책사업의 방향성을 고찰하는데 실무적이고 학술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300원
        1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어브러시는 실용적이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므로 산업 각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바디페인팅 아티스트에게도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에어브러시는 정교한 색상, 형태, 그라데이션 표현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바디페인팅 분야에서도 그 활용 영역이 점차 확대되 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월드 바디페인팅 페스티벌의 에어브러시 전용 카테고리 수상 작 품을 중심으로 디자인 구도, 색채 기획 및 배색과 표현기법을 분석하여 에어브러시 바디페인팅 작품의 최 신 디자인 경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구도에 있어서 주로 강조 (emphasis)와 균형(balance)의 원리를 사용하여 상반신의 정중앙에서 메인 이미지를 강조하고 하반신에서 는 좌, 우 대칭으로 균형이 잡힌 구도가 주요한 디자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색채 기획 및 배색으로는 주 목성을 높일 수 있는 대비 배색의 활용이 주요하게 활용되었으며 셋째, 주요 수상 작품 모두 스텐실과 그라 데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형태의 정확성과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바디페인팅 디 자인을 기획하고 에어브러시를 활용하여 작품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작품 제작을 통해 에어브러시 바디페 인팅의 예술적 활용을 대중화하고 국내 에어브러시 바디페인팅 작품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4,200원
        1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창원시는 질 좋은 철(鐵)을 생산하여 넉넉한 삶과 찬란한 철 기문화를 꽃 피운 전통을 지니며,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중심도 시다. 창원시는 “삼한 시대부터 좋은 철이 많이 생산되어 중국 과 일본에까지 수출했다.”는 역사적인 사실에 기반하여 기계공 업을 꽃피운 도시의 의미를 시민 화합의 구심력으로 삼고자 야 철축제(冶鐵祝祭)를 개발하였다. 야철축제에서 가장 상징성 있는 행사가 성산패총(城山貝塚) 에서 시작하는 야철제의(冶鐵祭儀)인데, 이 제례의식에서 추는 5가지 춤(고청무, 강신무, 기원무, 대동무, 천도무)을 통칭해서 기원무라고 한다. 이 명칭은 전래한 것이 아니라, 발굴 후, 체 계를 잡는 과정에서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본고는 창원야철제 기원무가 창원시의 정체성을 담은 민속문 화유산으로 전승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 춤의 기원, 전승, 의상, 무구, 춤사위, 장단, 상징 등에 관하여 무용학적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범위 영상은 창원야철제기원무 여현주 보존회장 이 제공한 영상과 자료를 기반으로 했고, 면접과 대담을 통해 보충하였다.
        6,900원
        13.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amount of expenditure per capita of visitors to the Mongsanpo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and quantitatively measure how much the festival contributes to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y through input-output model. The analysis data used 302 questionnaires, excluding missing questionnaires, surveyed on festival visitors from April 21 to May 7, 2018, during the 9th Mongsanpo port webfoot octopus and seafood festiva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average expenditure per person of festival visitors, it shows that the average one-person festival visitor consumes KRW 129,519: entertainment costs KRW 5,672 (4.4%), accommodation costs KRW 16,860 (13.0%), food costs KRW 74,791 (57.7%), transportation costs KRW 21,646 (16.7%), shopping costs KRW 6,788 (5.2%), and other costs KRW 3,762 (2.9%). Among the expenditures of festival visitors, the proportion of food expenses was the highest, and transportation costs and accommodation costs were in order. Second, based on the actual expenses spent by visitors at the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the direct economic effect of the Mongsanpo fishing village festival was estimated be approximately KRW 14.8 billion. Third, as a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effect of the Mongsanpo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in 2018, the amount of production induced in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ies was estimated at KRW 33.3 billion, and the amount of value-added inducement was estimated at 11.3 billion won, and employment inducement reached 272 people, which is consider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national econom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and provides the extent to which the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using local specialized fisheries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 to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y. Thus, it is expected to serve as useful information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business feasibility required for budgeting for local fishing tourism festivals.
        4,000원
        14.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evaluation on ‘The 2021 Jeju World Natural Heritage Festival’ with a framework of various stakeholders related to festivals. While aiming for the essential context of the celebration, we tried to find suggestions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celebration and the designation of the World Natural Heritage. As a methodology, surveys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framework of multifaceted evaluation. To summarize the important contents presented as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cept of ' encounter with hidden nature' from the positivity of the concept of 'encounter with hidden nature' to have fellowship with mankind about natural heritage. For reference to this,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designation of World Natural Heritage through a contextual approach using the frame of 'encounter'. Second, since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can help in many way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many experts to participate as a staff or activist. Third, it is necessary to sublimate Jeju's natural heritage into a public celebration without damaging it. Finally, it should be a festival centered on local communities and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a system in which the World Natural Heritage Village Preservation Association, which will be created (tentative name), will be centered and promoted by the villagers.
        4,200원
        1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consumption expenditure by considering potential expenditure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fishing village tourism behavior, motivation for visits, and optional attributes of tourists at Muchangpo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in Boryeong. The analysis data are 300 questionnaires of visitors to the festival during the 2018 Muchangpo Mysterious Sea Road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from March 17 to April 8, 201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consumption expenditure of tourists to the festival in Boryeong,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residential groups outside Chungcheong-d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Among the factors of fishing village tourism behavior, the only number of days of stay more than one night has a positive (+)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factors for motivation to visit the festival, fun/interest and simple rest/leisur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enditure whereas stress relief have a negative (-) effect on expenditure. I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tourism facilities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enditure, but natural scenery and excellent natural scenery show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expenditure. The main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ggests that the promoti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outside of Chungcheong Province in order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from the Muchangpo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Second, it indicates that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unique high-quality festival programs differentiated from other local festivals, promoting the existence of simple rest/leisure facilities rather than webfoot octopus boat fishing experiences or natural scenery (i.e., mysterious road and sunset) in order to attract festival tourists' spending at the Muchangpo webfoot octopus and finespotted flounder festival.
        4,200원
        16.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21년 3월 개최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 자를 중심으로 공연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해 다루어졌다. 이를 통해 그간 선행되지 않았던 온라 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대해 사회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향후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로 COVID-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침체되어 있던 국내 인디 라이브 공연장을 활성화시키고자 국내 에서 최초로 개최된 유료 캠페인형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이다. 연구 방법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자 5명을 선정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로 도출된 결론은 첫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지속 가능성은 다소 부정적이었으나 향후 공연 문화가 온-오프라인 동반 개최로 바뀔 것으로 예상해 다양한 관점에서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문제점으로 예산의 부족, 기술적 문제가 존재했으나 페스티벌의 질을 높인 후 티켓 가격을 상승시켜 예산을 확보하며 온라인 공연 플랫폼 강화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관련 업계 관계자와 정부 부처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장르 간 차별 없는 규제와 실질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단일 사례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 티벌의 개선방안 및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향후 대중음악계가 꼭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 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5,100원
        18.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리랑카에서는 인도로부터 붓다의 사리를 전해 받아 탑을 세우면서 사리 이운(移運) 페라하라 의식을 거행하게 되었는데, 이로부터 스리랑카에서 페라하라 전통이 시작되었다. 이 축제는 역대 스리랑카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축제로 오늘날 스리랑카 국민에게 생활 깊숙이 내재화되어 있다. ‘까티나(Kaṭhina) 가사공양 페라하라’, ‘웨삭(Vesak) 페 라하라’, ‘결혼식 페라하라’, ‘장례식 페라하라’ 등 다양한 형태로 페라하라가 스리랑카 문화 속에 스며들어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역사 적인 축제 중의 하나인 ‘캔디(Kandy) 페라하라’는 많은 사람들에게 널 리 알려져 있는 바, 이미 1,8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싱할라 왕조가 캔디 시대 때에 이 축제를 ‘에살라(Esala) 페라하라’라고 불렀고 그 후 이 축제는 스리랑카 불교의 유구한 전통을 상징하는 축제로 성스러운 불치(佛齒)사리 및 신들에 대한 공경을 표하기 위해 거행되어 왔다. 이처럼 불심(佛心)뿐만 아니라 신앙사상도 나타내는 페라하라 축제는 스리랑카의 문화 발전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스리랑카에서 페라하라가 정치ㆍ문화ㆍ경제ㆍ심리 등 여러 방향에서 영향을 미쳐왔는데, 오늘날에도 이 페라하라 의례를 통해 사람들에게 정신적 맑음과 경제적 발전을 이루게 했고,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적 감각과 감정을 지닐 수 있도록 하여 창조적인 힘을 성취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후 스리랑카에서 붓다와 관련된 유물에 가장 최고의 존경을 보이게 만들었고, 스리 마하보디를 돌고 치아사리를 이운하는 페라하라 전통을 창출하였다. 페라하라 의례 행사는 붓다의 사리 등 불교 유물이 스리랑카 사람들에게 최고의 숭배를 받으며 다루어지도록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 페라하라 전통은 스리랑카인들에게는 깨달음을 상기 시켜 줄 뿐만 아니라, 또한 이것이 사람들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본다. 뿐만 아니라 500년 동안 서양 식민지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전통을 지키고 있다는 것은, 스리랑카인들의 삼보에 대한 신심이 깊다는 것을 충분히 반증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6,600원
        19.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fireflies are considered to be insects that come from green or clean regions, many local festivals are held around the country. Fireflies in Muju, Chonbuk, Mt. Gyeyang in Incheon, Anter Village in Chungbuk, and O-chang Chungbuk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are the most popular festivals. In the case of O-chang, Chungbuk, we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fireflies succeeding as a local festival. The O-chang Firefly Festival was held from June 1, 2018 to June 5, 2018, marking the ninth anniversary of the Firefly Festival as the topic of “Firefly·Insect industry Festival.” Firefly (Luciola lateralis, the larvae are aquatic) is a main exhibiting insect. About 30 living species of aquatic insects, attracting insects, agricultural insects, and edible insects, and insect photo artwork were displayed. The event was organized not only watch, but also experience for making various insect models, such as cooking insects and a exhibition of illustrated poems of insect subjects. In addition, they performed special stage performances such as bubble shows, magic shows, puppet shows, and insect movies to watch while waiting. As a result, the number of visitors increased 67 percent year-on-year to 21,700 this year. It is considered a success by relieving visitors of various free attractions and experiences.
        20.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estival branding is undergoing a revolution based on the consolidation of new communicative behaviours in virtual brand communities (VBC), above all channelled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s (Hudson & Hudson, 2013; MacKay, Barbe, Van Winkle, & Halpenny, 2017). Although generic literature (Dessart, Veloutsou, & Morgan-Thomas, 2015) has highlighted the role of user engagement in VBC, there are no in-depth analyses of how users modulate engagement attributes and behaviours and how they are related to festival branding, as well as other possible and sometimes interrelated drivers (social capital creation, place making). Thus, this paper aims to characterise these elements in festivals’ VBC to cover these shortcomings. This proposal performs a multi-platform, multi-period, multi-user and mixed-method analysis of nearly 2,150 references in the Twitter and Facebook VBC of one of the most prominent music festivals in Europe, Sónar (Barcelona). Results show the benefits for organisers (and other relevant users) of jointly understanding these elements (and their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 aim of retaining various positive economic and social impac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