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와 사람들의 인식이 변하는 과정에서 망은행위로 인한 증여계약의 해제에 관한 민법의 관련 규정들 역시 민법 개정을 검토하는 논의의 대상 이 되었다. 그런데 그러한 논의의 계기는 주로 망은행위와 증여계약의 해 제와 관련된 비교법적 고찰과 이론적 논의를 통한 것이었다. 그런데 최근 판시된 대법원 2022. 3. 11. 선고 2017다207475, 207482 판결의 구체적인 판단내용들은, 수증자의 망은행위로 인한 해제를 인정하고 있는 입법취지와 제도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민법 제556조 제1항 제1호를 개정할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는 판결이라고 생각하여, 본고에서는 대상판결을 중심으로 수증 자의 망은행위와 증여계약의 해제의 문제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증여계약 해제의 원인이 되는 수증자의 비위행위의 사유의 범위는 제도의 목적과 입법취지에 부합하도록 확대하여 넓히고, 반면 그 비위행위 의 정도는 중대한 것으로 축소하는 방향으로 개정하는 방안 내지 입법론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망은행위를 이유로 증여자가 해제하는 경우 수증자의 반환범위 와 관련하여서는, 해제의 원인이 되는 중대한 망은행위로서 증여자와 수증 자 사이의 신뢰관계를 중대하게 침해하는 행위가 전적으로 수증자에 의하 여 이루어진 이상 수증자의 신뢰가 보호될 필요성이 없다는 점에서 민법 제558조를 삭제하고 수증자가 증여받은 것의 전부를 반환하도록 개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망은행위로 인한 해제권의 제척기간과 관련하여, 현행 6월 의 기간은 망은행위의 피해자에 해당하는 증여자의 보호 측면에서는 지나 치게 짧다는 평가가 대체적인 입장인 것으로 보이므로, 이를 연장할 필요 가 있다고 생각한다.
Dry storage of nuclear fuel is compromised by threats to the cladding integrity, such as creep and hydride reorientation. To predict these phenomena, spent fuel simulation codes have been developed. In spent fuel simul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reep and hydride formation. Traditional fuel simulation codes required a user-defined temperature history input which is given by separate thermal analysis. Moreover, geometric changes in nuclear fuel, such as creep, can alter the cask’s internal subchannels, thereby changing the thermal analysis. This necessitates the development of a coupled thermal and nuclear fuel analysis code. In this study, we integrated the 2D FDM nuclear fuel code GIFT developed at SNU with COBRA -SFS. Using this, we analyzed spent nuclear stored in TN-24P dry storage cask over several decades and identified conditions posing threats due to phenomena like creep and hydrogen reorientation, represented by the burnup and peak cladding temperature at the start of dry storage. We also investigated the safety zone of spent nuclear fuel based on burnup and wet storage duration using decay heat.
‘협의’는 제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대체로 동란의 시대에 자생적으로 형성 된 것이라 본질상 ‘탈중심적’이고 ‘반사회적’인 성향을 지닌다. 본고는 협의 서사가 ‘탈중심’적이고 ‘반사회’적 성질을 보유하고 있는 사기의 「자객열전」과 「유협열전」 의 협의 서사를 궁구한다. 상기한 협의 고사에서 인물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행동의 연쇄를 살피면, 혹은 ‘(조건 걸기)–주고–받고–답례하기’라는 조건부 증여가 서사를 끌어가고 혹은 ‘주고-받기’라는 순수 증여가 반복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답례’의 발생 여부에 주의하여 ‘주고–받기’의 과정에 천착해서 조건부 증여와 순수 증여가 어떻게 서술되어 의미를 형성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consumer signaling in gift giving context. Our focus is on the knowledge the gift giver has about the real quality of the gift, and its influence on how much the gift giver would use extrinsic cue, such as warrantee, in gift giving. We argue that consumers’ intrinsic knowledge (about the gifts they buy for their friends) would determine how much they would use extrinsic cue in giving gift. The results should contrast the widely-known case of the buyer-seller context. That is, in gift giving, the higher the intrinsic knowledge the consumers have, the more they would use extrinsic cue. This effect should be more intense when giving gifts to close friends, compared to giving gifts to distant friends. Additionally, we argue that materialism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s intrinsic knowledge and their use of extrinsic cue in gift giving. The higher materialism personality the consumers have, the more they use extrinsic cue in gift giving.
본 연구는 자신을 위한 선물 구매 상황과 타인을 위한 선물 구매 상황에서 선호하는 재화 유형(물질재 또는 경험재)의 차이를 탐색하고, 이 차이에 대한 개인의 감정적 단절 수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Amazon Mechanical Turk를 통해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연구 1과 연구 2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연구에 성인 100명이 참가하였다. 해석수준 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대상에 대한 의사결정 상황에서는 제품의 구체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고, 심리적 거리가 먼 대상에 대해서는 제품의 추상적 속성에 주목한다. 연구 1에서 자신을 위한 선물로는 추상적인 경험재에 비해 구체적인 물질재를 선호하고, 타인을 위한 선물로는 물질재에 비해 경험재를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 1을 확인하였다. 이어 연구 2에서는 감정적 단절 수준의 조절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가설 2와 일치하게, 감정적 단절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을 위한 선물로는 물질재를, 타인을 위한 선물로는 경험재를 선호하는 경향성이 강해졌다. 본 연구는 선물을 받는 대상에게 느끼는 심리적 거리가 선호하는 선물 재화의 유형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제안함으로써 선물 구매 행동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한계, 가능한 추후 연구도 함께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oice attributes in the purchase of chocolate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choices, by considering the purpose of purchase being self-gift or interpersonal gift. The preferred optional attributes considered and assessed were capacity, package, product composition, brand reputation, and sensuality. The survey included customers who purchased chocolates from June 1, 2017 to August 31, 2017. T-test was appli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optional attribut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purchase. Our results indicate that people consider packages, product composition, and reputation for interpersonal gifts, and that Valentine's Day purchases are frequently for themselves and others' gifts. Our results will help to identify chocolate consumption behavior, and will facilitate in establishing chocolate product composit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through factors affecting preferences based on the purpose of purchase.
이 논문은 첫째, 明末 전후의 진보적인 儒者는 ‘治生’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고, 심지어 치생이 ‘財富의 분배(증여)’와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증여를 실천할 바탕이라고 인식했음을 밝힌다. 그리고 명말의 단편소설집『三言二拍』의 작가 ― 馮夢龍과 凌濛初는 그들의 저술 목적 이 敎化에 있고 通俗적 수단을 지향한다고 했는데, 이러한 의식 기저에는 ‘치생’ 욕구와 ‘증여’ 의식이 함께 교차함을 밝혔다. 둘째, 그러한 치생과 증여의 의식이 『삼언이박』에서 문학 적으로 형상화되어서 배려, 구원, 적선, 환원 등의 다양한 ‘증여’ 서사가 펼쳐짐을 밝힌다. 아울러 여러 ‘증여’ 서사를 지배하는 의식의 기저를 규명하여 재부의 축적과 재분배가 어떻게 문학적으로 담론되는지를 밝혔다.
With the booming popularity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and Wechat, more and more people and firms commence to utilize it to promote products and services. The convenience of sharing personal experience online, however, also leads to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 to complain through online reiews. For example, negative online review has increased 800% over the years between 2014 and 2015 (Causon 2015) and has negative impact on many viewers’ buying decisions (Chevalier, & Mayzlin, 2006).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factors would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other customers’ online complaint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Developing friendships with customers through social media is a common strategy for service provider to retain customers. Prior literature suggests that consumers in general are more tolerant of a service failure when the service provider is having a friendship with the customer than when the provider is having a business relationship (Wan, Hui, and Wyer 2011). Therefore, we suggest that friendship could also attenuate the negative impact of an online complaint from other customer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we predict that this could happen only in the self-consumption situation. In the consumption situation of buying gifts for others, friendship would no longer attenuate the impact of a negative online review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It is because gift giving involves sybolic value of face enhancement in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with the gift giving target. Consumers would be less likely to take risks of buying substandard products as gif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ll be discussed.
This study identifies the best gift ever as a new type of gift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make it different from the ideal, „perfect gift‟. For this, we draw on consumers‟ lived experience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traits of their most cherished gifts. This understanding is of great importance for retailers, who strive to assist consumers on their search for the „perfect gift‟ (Mintel, 2015). As Belk (1996) suggests, the „perfect gift‟ involves sacrifice, altruism, luxury, surprise and is uniquely appropriate for the recipient. Although this concep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literature, there remain two main limitations to address. First, existing work focused on the „perfect gift‟ is conceptual and considers this type of gift in its ideal form, thus neglecting actual experiences of givers and receivers as consumers of their most special gifts. Although some empirical research exists around the subject (Tuten & Kiecker, 2009), these studies assume the „perfect gift‟ conceptualisation proposed by Belk (1996) or suggest that “the „perfect gift‟ metaphor is not always an accurate prototype for giving” (Otnes, 2018, p.222). In addition to this, the retail environment has changed considerably since Belk‟s (1996) work. The new digital world reconfigures the definitions of gift-giving contextualised in a pre-digital landscape (Belk, 2013; Otnes, 2018), raising questions for example, of whether digital gifts can be perfect (Belk, 2013). In order to address these concerns, we propose to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s of their best gift ever (both given and received); to this effect, we conducted 27 face-to-fac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 did not prompt participants with any characteristics of the „perfect gift‟ from the literature but rather focused on capturing participants‟ insights about their best gift ever in their own terms. While we drew insights on the categorisation of the perfect gift proposed by Belk (1996), we adopted an interpretivist perspective allowing themes to emerge from the data (Holbrook & O‟Shaughnessy, 1988). Our findings show that the best gift ever might not be perfect but it is attainable and proposed as a new concept to understand gifts. This extends existing research beyond the notion that "the perfect gift, like most perfection, remains an ideal more than a reality in our gift giving" (Belk, 1996, p.76).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best gift ever is: 1) experiential (i.e. symbolic meanings are associated with the shared giver-receiver experience), 2) memorable (i.e. the experience is remembered vividly and gift meaning evolves overtime); and 3) delightful (i.e. experience of deep emotions of delight, excitement and pleasure). Finally, although the best gift ever shares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the perfect gift including appropriateness, sacrifice, altruism and luxury, our data shows that these characteristics defining the ideal perfect gift (Belk, 1996) are not necessarily met by the best gift ever in most cases. That is, not all of these traits were simultaneously present within the same best gift ever experience and some of them were not important for our participants. Practitioners could support customers in the creation of the best gift ever by helping to build memorable and delightful gift experiences, the value of which can be enhanced over time.
Foods play important roles in Chinese gift giving behavior; they contain abundant symbolic and semiotics meanings. Typical food products are exchange during festivals, commercial intercourse, and other social intercourse occas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eanings and values of food gifts affect gift-giving behavior under Chinese cultural context.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are applied, eighteen participants from food gift industry, academic field and consumers are invited in the study,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framework is designed based on Sheth’s consumption values theory. We find that food gifts cover function valu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epistemic value and conditional value. Gift values are explained by givers and recipients during gift-giving process. Gift-giving occasion, gift-giving purpose, relationship between givers and recipients are influence the value of gift. Study provides some practical recommendation for food products design and marketing.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fferent timing of free gifts (pre-informed vs. surprise) under different consumption occasions (ordinary vs. special) independently and/or together affect consumers’ affective (overall utility) and attitudinal (satisfaction) evaluations of dining service experiences. According to utility theory (Kahneman, Wakker & Sarin, 1997), an individual’s final choice is determined by his/her evaluation of utility which refers to the experience of feelings and emotions in response to a service. Anticipated utility occurs before a purchase or an actual event; experienced utility occurs during the event. In examining the customers’ dining experiences in conjunction with free gift timing and a consumption occasion, this study focuses on anticipated and experienced utility. Two hypotheses are proposed: H1. Consumption occasions moderate the effect of timing of free gift offer on overall uti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experience in a restaurant dining environment. Specifically, on a special (vs. ordinary) consumption occasion, surprise (vs. pre-informed) free gifts increase consumer’s overall utility about and satisfaction with restaurant service experience. H2. Overall utility mediates the interactive effects of free gifts and consumption occasions on satisfaction with restaurant service. Data were gathered using a web-based experiment with a 2(free gift: surprise vs. pre-informed) x 2 (consumption occasion: special vs. ordinary) between-subject design. As a result, both H1 and H2 are supported. Participants dining at a restaurant for a special occasion had higher overall utility about their restaurant service experience when they received free gifts as a surprise as opposed to pre-informed gifts.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who dined on ordinary occasions perceived an overall utility of the restaurant service to a greater extent when they received pre-informed free gifts than surprising gif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trategic timing of complimentary gifts to enhance customer experiences. Moreover, this study found that overall utility mediates the effect of free gifts on satisfaction only under special consumption occasions. In special occasions, participants who receive free gifts elicit affective emotions and then, they are satisfied with the restaurant service, but participants under ordinary occasions are directly satisfied with the service through free gifts.
The act of gift-giving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nsumption rituals that individuals perform world-wide (Antón, Camarero, and Gil, 2014) and represents a substantial industry and a major source of revenue for retailers (Segev, Shoham, and Ruvio, 2013). In addition to its economic significance, gift giving is instrumental in maintaining social bonds and functions as symbolic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Belk, 1979; Belk and Coon, 1993). Various researchers (e.g., Belk and Coon, 1993; Fischer and Arnold 1990; Lowrey, Otnes, and Ruth 2004; Ruth, Otnes, and Brunel 1999; Sherry and McGrath 1989) explore reasons for giving and receiving gifts. Although these studies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gift giving, research on luxury brands as gifts is scarce (Reyneke, Berthon, Pitt, and Parent, 2011). Similarly, research on luxury concentrates on consumer perceptions of luxury brands and motivations behind luxury consumption (Dubois and Duquesne, 1993; Zhan and He, 2012; Roux, Tafani, and Vigneron, 2017).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nsumer resistance to luxury brands.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ese gaps from a conceptual perspective.
Drawing on gift giving, consumer resistance and luxury brand literature, this study will examine consumer resistance to luxury brands as gifts. Consumer resistance is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or groups practise a strategy of appropriation in response to structures of domination” (Poster, 1992, p.1). Consumer resistance can be generic (toward all forms of consumption), or specific (toward a brand or product) (Nepomuceno, Rohani, and Grégoire, 2017). Moisio and Askegaard (2002) suggested three factors that trigger resistance: market conditions that are deemed unacceptable; products or brands that do not conform to the consumer’s self-image; and dominant cultural values that are rejected due to their hegemonic nature. Key motives for luxury brand consumption include impressing others or interpersonal aspects (Berry, 1994; Kastanakis and Balabanis, 2014), and personal or hedonic reasons (Dubois, Czellar, and Laurent, 2005; Wiedmann, Hennigs, & Siebels, 2009). The reasons for resistance to consumption are not merely the opposite of motives for consumption. Hence,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sumption, it is essential to examine resistance to consumption as an alternative consumption (Roux, 2007; Close and Zinkhan, 2009). This study will contribute theoretically to work on gift giving, consumer resistance and luxury brands. Managerial implications will be relevant to brand managers and how they can develop strategies to prevent consumer resistance to their brands.
본 논문은 예이츠의 다른 희곡작품에 비해 비교적 덜 알려진 캘버리 를 주체성과 개인성이라는 주제 아래 집중 분석한다. 무용수들을 위한 4대극(1921) 중 하나인 캘버리는 오스카 와일드의 산문시 선의 실천가(1894)에서 영감을 받았 고 일본 고전극 ‘노’의 형식과 기법을 차용한 극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스카 와일드와 예이츠의 정신적이고 미학적인 연관성과 차이를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이츠의 주 체-객체의 이율배반적 체계와 관련 있는 기독교적인 이미지, 도상, 이야기의 차용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환대”의 개념을 둘러싼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논쟁을 통해 캘 버리에 등장하는 그리스도와 다른 인물들의 주체성 및 그들의 관계를 살펴본다.
입증책임이란 요건사실의 진위가 불명한 경우에 대처하여 요건사실의 부존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급하여 소송당사자 일방에 대하여 그에게 유리한 법규부적용의 불이익을 부담시켜서 판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송당사자의 승패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속이나 증여의 경우에는 납세자에게 자료가 편중되어 있어서 즉 증거의 거리와 증거의 지배를 대부분 납세의무자가 하고 있어서 과세관청에 입증의 곤란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러한 입증책임의 곤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세법의 규정과 달리 많은 추정규정과 의제규정 두고 있다. 하지만 추정규정과 의제규정은 과세관청의 입증책임을 완화 또는 입증필요의 전환을 시키는 점에 있어서 입증책임분배원칙에 대한 예외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입법은 되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고, 그 해석도 엄격할 필요가 있다. 즉 납세의무자의 헌법 제23조의 재산권과 헌법 제27조의 재판받을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점에서 국민의 예측가능성을 고려한 입법이 요구된다. 궁극적으로 조세법률주의를 실질적으로 잠탈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한 고려를 통한 입법이 요구된다. 특히 의제규정의 경우에는 추정규정과 달리 반증을 통한 번복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민의 구제가능성 어렵기 때문에 신중한 입법이 요구된다. 특히 명의신탁의 증여의제규정인 상증법 제45조의2와 관련하여 위헌가능성과 최근 대법원 판례의 ‘조세회피의 목적’과 관련된 변화된 입장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추정규정 중 재산취득자금의 증여추정 규정인 상증법 제45조 1항에서의 입증의 범위에 관하여 종전의 규정과 달리 ‘다른 자로부터’의 문구가 삭제되어 기존과 다른 입증책임론이 필요한 것이 아닌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구원 받은 신자는 창조세계를 선물로 받는다”라는 말은, 루터 학자 게르하르트 포드(Gerhard Forde)가 루터가 종교개혁적 혁파에서 얻은 새로운 신학적, 윤리적 인식을 훌륭하게 응축한 것이다. 하나님 은혜에 의한 구원은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보는 긍정적 관점을 제공하고, 그 속에서의 삶을 은총의 선물이자 책임적 소명으로 환원시킬 동기와 동력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루터는 하나님의 창조세계 속에서 신자의 삶이란, 하나님을 의지하는 신앙으로 피조물로서의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것으로 보았다. 창조세계 자체와 그 속에서의 신자의 일상생활을 긍정적으로 본 것이다. 중세 가톨릭 교회가 창조세계 속 일상적 삶을 경시한 데 비해, 루터는 이 땅에서 신앙으로 하는 모든 일을 영적인 일로 여겼다. 창조세계 속에서의 세 가지 삶의 형태인 교회, 가정, 국가에서의 직분을 신앙으로 감당하는 것을 하나님께 대한 예배이자 신자의 소명으로 보았다. 그리스도인이 하나님의 두 왕국에서 개인 윤리와 공적 윤리를 바르게 구분하고 적절히 적용하면서, 자신의 직분을 통해 소명을 다할 때 사회는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가르쳤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0대들의 연중행사로 가장 큰 발렌타인데이의 선물 포장디자인에 콘셉을 적용한 포장디자인으로 이들의 소비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09년 9월 9일 대경대학교 제과제빵학과 1학년 여학생 89명, 2학년 여학생 25명 총 114명을 대상으로 12시부터 14시까지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선물에 대한 일반적 질문에서 대부분 선물을 하는 편이었으며 구입 장소는 주로 전문매장과 할인매장이었다. 선물구입에 지출핸 금액은 1만원-3만원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선물에 있어서 98%이상이 선물 포장디자인이 꼭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비용을 부담해서라도 포장디자인을 하겠다는 응답자가 85% 이상으로 선물에 있어 포장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물포장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디자인이었으며, 선호하는 색상은 빨강과 흰색, 하늘색이었다 선물 구입 시 포장디자인이 마음에 들면 비싸더라도 구입 하는가 라는 질문에서 대부분이 구입한다는 응답을 한 결과로 보아 포장디자인이 구업에 직접적인 영향올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렌타인데이 선물포장디자인에 생화 사용이 생동감 표현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감성 질문에 있어 선물포장을 합으로 선물하는 이의 정성이 충분히 전해진다는 응답이 98%, 작품을 보고감성에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자가 95% 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발렌타인데이 콘셉을 적용한 선물포장디자인이 소비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