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직업적합도와 근무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주요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가 자신의 역할수행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이 교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 족, 교육신념, 조직몰입의 수준은 보통이었고, 역할수행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는 직업적합도가 높을 수록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보육교사가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우, 민간 어린이집 또는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직무만족, 조직몰입(정서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육신념과 조직몰입에, 교육신념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역할수행에, 교육신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만 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신념은 매개효과가 존재하나, 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영·유아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국·공립어린이집 수준으로 개선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육교사의 교육신 념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5,8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직업정체성, 조직몰입에 대한 인식과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관계를 분석한 이후,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만 족과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원의 교육서비스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원강사의 인사관리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 원에서 초·중·고등학생을 지도하는 학원강사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과 AMOS 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0.05에서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 직무만족, 직업정체성, 조직몰입은 보통 수준이고, 개인배경에 따라 일부 변인 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은 직무만족, 직업정체성, 조직몰입에 정(+)의 영 향을 미치고, 직무만족, 직업정체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등 주요변인의 구조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직업정체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원강사의 조직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과 같은 외재적 요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 고, 직무만족, 직업정체성과 같은 내면적 요인을 고려한 인사관리가 필요하다.
        6,600원
        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in the world, and firefighters have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professional popul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ducation is essential in all occupation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the most common disease and the biggest obstacle for firefighters in Korea. Firefighters who have suffered physical and mental damage in many types of disaster sites due to their extreme occupations are rapidly increasing the suicide rat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job training, education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rom new employees to leadership training is urgently needed.
        4,300원
        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조직에 코칭과 코칭리더십을 활성화시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여 소방조직의 발전을 도모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라북도 소방서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31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간부의 코칭리더십이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총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직접적인 영향(direct effect)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소방간부의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조직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은 코칭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소방간부의 코칭리더십이 높아질수록 직원들의 직무만족은 증가하며, 직원들의 직무만족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도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방간부는 업무를 수행할 때 조직의 목표와 비전을 실 현하기 위해서 직원들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할 수 있도록 코칭리더십을 발 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5,400원
        5.
        202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resource management has always been the most important part of any organization (corporate and government-owned). Until whenever improvement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always the background of every problem that occurs 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OC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the Public Works Office of Kutai Kartanegara Regency. Sampling involved the entire population, i.e. 109 informants. They are employees who have goods and services certificates. Hypothesis test carried out with the SEM-PLS model in two stages (outer model and inner model). After that, the survey data was used SMART PLS 3.0. Based on empirical findings, we find that procedural justice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OCB,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Procedur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have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novelty of the study lies in the originality value that describes the conditions in a government agency with different benchmarks (variables and indicators) from previous studies, so it is very interesting and varied.
        4,500원
        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원들은 고객들에게 해당 안경원들의 좋은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안경사들의 실제 감정을 억제하게 하고, 배우가 연기를 하듯 고객의 감정에 맞추어 일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감정노동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경사들의 감정노동에 속한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직무소진과 갖는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 소진이 안경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에 포함된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5개의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A안경 체인점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들(n=361)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측정변 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후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실증분석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변수인 표면행위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위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사들의 직무소진은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안경사들의 감정노동에 속한 하위변수들을 직무소진의 선행요인으로 파악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안경사들의 태도변수들을 연구모형에 포함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은 물론 감정노동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누적하는데 기여하였고, 향후 감정노동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안경원에 근무하고 있는 감정노동자인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600원
        8.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SPSS Statistics Version 22.0 프로그램을 활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상호작용공정성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800원
        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salespeople's self-determination, shared valu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a fashion compan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75 salespeople who worked in fashion shop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vi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determination was extracted a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Only the relatednes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addition, recognizing hared val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hereas, the practice of shared val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ormal, but not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versely, inform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but was not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Moreo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within fashion companies are discussed in the concluding section of this paper.
        4,600원
        10.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몰입을 정 서적몰입, 규범적몰입, 유지적몰입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몰 입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리더-부하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규명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항목에 대한 탐색적요인분석 결과, 조직몰입의 정서적, 규범적, 유지적몰입, 직무만족도, 리더-부하교환관계 등을 포함하여 총 5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누적설명력은 71.270%로 나타났다. 탐색적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개념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모든 항목에서 비교적 적합한 수준을 보였고, 신뢰도 분석 결과 모든 측정항목의 내적일관성도 매우 우수한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β= .428), 유지적몰입(β= .342), 규범적몰입(β= .293)의 순으로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식음료 종사원이 조 직에 몰입하게 되는 감정적인 애착의 정도로써 정서적몰입 이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며, 조직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상황적인 측면에서의 유지적몰입과, 조직에 대 한 신념의 정도로써 규범적몰입도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유 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조직 에 대한 몰입이 높아질수록 개인적인 측면에서의 직무만족 도 높아지기 때문이며, 조직은 구성원 간 강한 결속력을 만 들고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직 내외적으로 구축할 필요 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정서적몰입, 규범 적몰입, 유지적몰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리더-부하교환관계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나 가설 2는 기각되었다. 분석 결과 리더-부하 간 밀 접한 교환관계를 가질수록 조직몰입 하위 3개 요인 모두 직 무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컸지만, 유의미한 수 준은 아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 치는 영향력이 리더-부하교환관계에 따라 달라지지 않음을 시사해준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문적인 시사점으로써, 본 연구는 특급 호텔 식음 료 부서 종사원이 지각하는 조직몰입을 정서적몰입, 규범적 몰입, 유지적몰입으로 구분하고 직무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해 실증함으로써 이론적인 토대를 구축하였다. 현재까지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를 고찰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지만, 조직몰입을 세부적으로 구 분하여 어떠한 측면의 몰입이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만족도 를 유발하는지 검증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었다. 특 히 특급 호텔의 경우 인적서비스로 이뤄지는 기업의 특성 상 종사원의 몰입과 만족이 조직의 성과에 매우 중요하며, 이러 한 시점에서 이뤄진 본 연구는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 원의 조직몰입을 거시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직무만족도와 연계하여 상호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찾 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몰입과 만족도 증진을 위한 조직차원의 중요한 실 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본 연구를 통해 특급 호텔 식 음료 부서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 는 변수가 정서적몰입이라는 사실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자 신이 속한 조직에 진심어린 노력과 내재적인 충성을 다하려 는 정서적몰입이 다른 몰입 변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직 무만족도에도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으로 추측된 다. 특히 정서적몰입이 높은 경우 자신이 속한 조직을 다른 사람에게 매우 호의적으로 표현하고 평가하기 때문에 특급 호텔 식음료 부서 종사원의 직무만족도 증가 뿐 만 아니라, 특급 호텔의 외적인 차원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특급 호텔 차원에서 구성원의 자발적 행동으로써의 정서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조직의 내외적인 의사결정에 종사원을 참여시키고, 내부마케팅 의 일환으로써 조직 차원에서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도 필요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종사원의 조직에 대한 몰입과 만 족이 리더와 부하간의 상호관계에서도 비롯되므로, 조직 내 멘토나 멘티를 활용하여 리더와 부하직원이 밀접한 교환관 계를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하며, 조직 내 동아리 지원이나 여 가 프로그램을 확대함으로써 조직과 구성원이 정서적인 유 대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모형은 독립변수로써 조직몰입과 종속변수로써 직무만족도 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직무와 조직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태 도를 포괄적으로 함축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고 하겠다. 더 불어 조직몰입이라는 개념은 개인과 조직 사이의 상호작용 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각 개인과 조직의 특성에 따라 다 르게 나타날 수 있고, 개인의 직무에 대한 태도보다는 조직 에의 잔류나 이직을 결정하는데 더욱 중요한 요인이므로, 추 후 연구에서는 조직몰입과, 개인조직적합도와의 관련성을 고 찰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서울 지역의 특 1급 호텔에 근무하는 식음료 종 사원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확대하 여 해석하기에는 제한적인 결과라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연 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몰입을 증진시키는 것이 조직의 성 과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현 시점에 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추가적인 변수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1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ense of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technical designers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needed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field of technical design.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normative-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The sample consisted of 217 technical designers working at vendors and agent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e of self-efficacy levels among technical designers according to age and work experience. Person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but also on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personal self-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extrinsic job satisfaction than social self-efficacy. Both personal and social self-efficacy influenced continuance commitment whil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elf-efficacy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a clear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both social and personal self-efficacy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Nevertheless, social self-efficacy had a greater influence on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personal self-efficacy. This fact demonstrates the need to exert more effort to promote the sense of personal self-efficacy of technical designer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provide appropriate proposal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field of technical design.
        5,100원
        1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서노동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주시 소재 대형 쇼핑몰 판매원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과정을 거쳐 연구결과 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노동의 구성개념 중 내면행 동이 많아질수록 직무만족은 증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표면행동은 내면행동에 비해 그 영향력이 작기는 하지만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직무만족이 커지면 조직몰입도 증대한다는 점이 다시금 확인되었다. 넷째, 직무만족이 정서노동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정서 노동의 내면행동은 고객만족을 향상시키고 노동자의 직무만족을 높인다는 면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야 할 것이다. 특히 정서노동 강도가 강한 경영 현장일 경우 경영자가 내면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 서노동을 수행하는 노동자의 내면행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만 할 것이다. 다음 으로 정서노동을 수행하는 노동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를 긍정적으로 느끼도록 직무와 개인 간의 적합성을 높이고 직무를 충실히 설계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고 풀이 할 수 있다.
        5,100원
        1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8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 J지역에 소재한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 총 27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해서 다중회귀분석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을 통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직몰입과 관련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 보육의 주체인 보육교사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이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를 동일시하고 자신의 직무에 몰입할 수 있도록 조직몰입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 자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시스템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5,400원
        1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경영에 있어 관리자의 리더십은 경영성과 달성과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 및 효율적 활용 가능성 으로 가름할 수 있다.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태도와 능동적 대응을 통한 기업경영의 경쟁력 향상은 관리자의 경영능력과 리더십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 은 기업경영에 있어 관리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간이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가능성을 경기지역 중소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4년 5월 9일부터 27일까지 300부의 설문조사에서 유효자료 256부를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첫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둘째, 카리스마, 분발고취, 상황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는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 족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5,400원
        15.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공정성의 인식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다양한 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윤옥경(2006), 김응분(2010), 최은하(2013) 등 연구에 따르면 여성교도관은 남성교도관보다 조직 내 제한된 범위내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주장에 따라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에서는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두었으며 실제 여성교정공무원이 생각하는 조직 내 공정성을 파악하고, 조직 내 공정성(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9일부터 28일까지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유효한 설문지 107부를 분석대상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모두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들은 직무에 대한 만족과 조직몰입을 위해서는 조직 내의 공정한 절차보다는 결과 측면의 보상과 관련된 분배공정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교정공무원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상, 근무환경, 직무와 관련된 승진 등의 내재적 만족도를 높이는 등 인적자원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6,100원
        1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과 가정의 상호관계 관련 그동안의 연구들은 주로 일과 가정 강 부정적 관계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일-가정 갈등으로 개념화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일과 가정 간 긍정적 상호작용인 일가정확충에 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뿐 아니라 일-가정확충에도 주목하여, 가족친화문화인식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긍정적 직무태도 형성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9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A광역시에 소재한 민간 사회복지시설ㆍ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621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이 중 952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889부를 중심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 문화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은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문화인식과 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가정갈등과 일-가정확충과 관련한 사회복지시설ㆍ기관 운영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6,300원
        17.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nlike many occupations, a salesperson’s performance is measured primarily by the extent to which he/she meets weekly, quarterly, and annual objectives. Long-term objectives, such as sales, profit, customer satisfaction, and market share quotas are driven by the achievement of short-term and more frequent quota targets, such as the number of leads generated or the number of sales meetings held. In addition, the sales process itself is defined by the achievement of “steps,” such as identifying prospects, securing meetings, identifying needs, overcoming resistance, and gaining commitment.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sales agent’s need for achievement (NFA) and its influence on performance outcomes. To date, the research and anecdotal evidence have produced a few models that examine the outcomes of NFA, each explaining respective aspects of variance (Amyx and Alford, 2005; Riipinen, 1994; Hansemark, 1997). Extant literature in NFA domain provides a support for a lin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FA and performance (Amyx and Alford, 2005). However, results are mixed concerning NFA’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Past literature contends that NFA will positively influence commitment (Steer, 1977; Morris and Snyder, 1979; Sager, 1991). However, in a recent empirically study, NFA was found not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myx and Alford, 2005). Further, Johnson and Stinson (1975) empirically demonstrated that NFA negatively influence satisfaction. Contrarily,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NFA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Behrman and Perrault, 1984; Bluen, Barling, and Burns, 1990). An important variable often examined as key intervening variable in examining performance outcomes in management and sales domains is role clarity (Lang, Jeffrey, Bliese, and Adler, 2007). Role clarity is an indicator of the extent to which people understand their fit and purpose within an organization (Netemeyer, Maxham and Pullig, 1990; Fisher and Gitelson, 1983; Jackson and Schuler, 1985). This relative sense of fit and purpose may help explain the mixed results regarding the link between NFA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salespeople with a high NFA perform better than those with a low NFA (Amyx and Alford, 2005). Organizations have a vested interest in retaining higher performing salespeople, and both job satisfaction (J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been linked to retention. Given these relationships and the achievement-oriented nature of the sales job,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if any, between NFA and two outcome variables, namel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explores direct influence of NFA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ext, the study investigates how role clarity moderates the influence of NFA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3,000원
        1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에서는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시간 근로자를 활용하는 것은 기업의 노동비용 절감과 인력운영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있는 반면, 인력관리 비용의 증가와 업무 생산성 유지의 애로가 있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업무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시간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조
        5,100원
        2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hysical therapists. Currently, healthcare is changing very rapidly with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response to these rapid and uncontrollable changes, organizational members are often empowered. Through the empowerment process, feelings of powerlessness and frustration can be reduced and factors promoting work performanc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be enhanced. One said this term popularly, there was a lack of stud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physical therapy administr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352 therapists from many hospitals from February 1 to February 28, 2008, and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etc.,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empowered subjects, gender (p<.05) and age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p<.01).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pattern, marriage status, and the period of duty were observed to be different among empowered therapists (p<.001). The degree of empowerment as perceived by therapists was 58.72. Empowerment was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01). The study on empowerment was significant from the aspect of strategies to increase work performance. To elucidate the optimal strategy to effectuate empowerment in clinical practice, we studied various aspects of empowerment.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warranted.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