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

        1.
        2018.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tigue crack growth retardation of 304 L stainless steel is studied using a neutron diffraction method. Three orthogonal strain components(crack growth, crack opening, and through-thickness direction) are measured in the vicinity of the crack tip along the crack propagation direction. The residual strain profiles (1) at the mid-thickness and (2) at the 1.5 mm away from the mid-thickness of the compact tension(CT) specimen are compared. Residual lattice strains at the 1.5 mm location are slightly higher than at the mid-thickness. The CT specimen is deformed in situ under applied loads, thereby providing evolution of the internal stress fields around the crack tip. A tensile overload results in an increased magnitude of the compressive residual stress field. In the crack growth retardation, it is found that the stresses are dispersed in the crack-wake region, where the highest compressive residual stresses are measured. Our neutron diffraction mapping results reveal that the dominant mechanism is by interrupting the transfer of stress concentration at the crack tip.
        4,000원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 that the impact of freshwater organism exposed to the salinity environment by the frequent rainfall following climate change. To evaluate the stress response following salinity exposure, we assessed the survival rate, molting success rate, the developmental period and mouthpart deformities in Chironomus riparius. In addition, we measured the molecular responses of biomarker gene, gen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70 (HSP70) in C. riparius exposed to salinity after 96 hour. The C. riparius survival rates were showed on time dependent manner and not observed survival organisms above 15 psu at day 4. The pupation and emergence of C. riparius were not seen above 15 psu, and the molting success rate was less than 20% at 10 psu. The developmental retardation of C. riparius was well observed in the pupation and emergence period and was delayed by 4 days at 10 psu compared to the control and 5 psu. The mouthpart deformities after salinity exposure at 96 or 72 hour were observed at 10 psu and 15 psu. The expression of C. riparius HSP70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xposure to 5 psu and 10 psu. Thus, salinity has been caused to be various ecotoxicological and molecular stress responses on freshwater organisms similar to harmful substances such as EDCs and so on.
        4,000원
        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unknown in vivo functions of Torsin by using Drosophila as a model. Downregulation of Drosophila Torsin (DTor) by DTor specific inhibitory double-stranded RNA (RNAi) induced abnormal locomotor behavior an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H2O2. In addition, altered expression of DTo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s of synaptic boutons. One of important biochemical consequence of DTor-RNAi expression in fly brains was up-regul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ltered expression of ADH has also been reported in Drosophila Fragile-X mental retardation protein (DFMRP) mutant flies. Interestingly, expression of DFMRP was altered in DTor mutant flies, and DTor and DFMRP were present in the same protein complexes. In addition, DTor and DFMRP immunoreactivities were partially colocalized in several cellular organelles in larval muscles.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ynaptic morphologies of dfmrp null mutants and dfmrp mutants expressing DTor-RNAi. Taken together, our evidences suggested that DTor and DFMRP might be present in the same signaling pathway regulating synaptic plasticity. (This work was supported by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 2015R1D1A3A01018497)
        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0.8%(w/w) 밀가루를 첨가 시 증자 쌀가루 내부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가래떡을 4oC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노화억제효과를 분석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가래떡 전분의 표면미세구조는 처리구의 경우 저장 초기나 대조구에 비하여 표면에 작은 구멍이 보였으며 이는 저장 중 밀가루의 가수분해효소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 기간에 따른 blue value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는 감소한 반면에 처리구는 증가하였다. 결정구조에서는 대조구와 첨가온도 95oC의 경우 저장 28일 후 B-type과 V-type이 혼합된 형태의 XRD pattern의 peak가 날카로워지면서 크기가 커지는 것을 관찰되었고 첨가온도 55oC와 75oC의 경우는 단일 피크의 XRD pattern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대조구의 용융엔탈피(ΔE)는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첨가온도 55oC가 가장 적은 용융엔탈피 값을 보였다. 저장 28일 후의 경도와 씹힘성은 첨가온도 55oC가 가장 낮았으며 각각 대조구의 0.7과 0.5% 수준이었다.
        4,000원
        5.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egree in the reduction of retrogradation in Garaetteok during 3 days at4oC with the addition of 0.8% wheat flour.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control (CO) and Garaetteok with0.8% wheat flour added (TR) after storage for 3 days was 45.8% and 76.0%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the initial storage stage. The water solubility of TR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CO throughout the storageperiod, and the difference between CO and TR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For the X-ray diffraction(XRD) pattern, CO showed an A-type pattern and the peak was sharp with the peak size increasing as the storageperiod increased, whereas TR showed a single peak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Enthalpy changes (∆E)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of CO and TR after storage for 3 days were 851.8 and 16.1J/kg respectivelywith hardness of 96.3 and 4.0N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1% level.
        4,000원
        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떡 굳음방지기술의 적용하여 저장성이 개선된 건강지향형 잡곡 떡을 제조하기 위하여 멥쌀의 일부를 보리 분말 0, 15, 30, 45%로 대체한 가래떡을 제조한 후 4o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수분, 색도, 텍스처 및 기호도 검사를 수행하였고, 이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떡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가래떡의 경도는 보리 분말로 45% 대체한 가래떡을 제외하고 저장 기간이 경과하였음에도 경도 증가가 억제되었다. 색도는 보리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는 감소하고,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떡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가래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제조 직후에는 보리 분말을 함유하지 않은 가래떡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보리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전반적 기호도는 저하되었으나, 보리분말 0, 15% 대체 가래떡은 저장 3일 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가래떡의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래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수분 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제조 직후와 저장 3일 후 기호도 평가에서는 각각 경도와 점착성이 높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 < 0.01). 이상과 같이,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보리 분말 대체 가래떡의 저장 후 노화지연, 기계적 텍스처 및 관능적인 기호도를 고려할 때 보리 분말 대체량 15%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말단기에 diene 기와 dithiol 기를 갖는 두 가지 새로운 액정 단량체의 합성을 보고하며, 이를 배향 후 광경화하여 광학 위상지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합성된 두 가지액정단량체의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액정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을 광개시제와 혼합하여광경화형 액정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러빙 배향막이 코팅된 표면 위에서배향시킨 후 광조사하여 thiol-ene 중합에 의해 경화함으로써 광학 위상지연 필름을 제조하였다.
        4,000원
        8.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사례에서는 학교작업치료지원이 정신지체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정신지체를 진단 받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특수교육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도구는 KDTVP-2(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Sensory Profile(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사의 학기말 평가 내용을 인용하였다. 감각통합이론을 적용하여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기간은 1학기 2010년 03월 23일∼07월 13일까지 주 2회 40분간 총17주 치료를 실하였고, 2학기 2010년 09월 31일∼12월 17일까지 주 2회 40분간 총17주 치료를 실하였다. ◉ 결과 : K-DTVP-2(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 평가결과 눈-손협응, 공간위치, 따라그리기, 도형-배경, 공간관계, 시각통합, 시각-운동속도 영역에서 향상된 기능의 점수가 나타났다. Sensory Profile(감각프로파일) 평가결과 전영역에서 유지 및 기능향상이 나타났다. 학기말평가결과 자신의 느낌이나 경험, 욕구 등을 친구나 교사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글자를 필순에 맞춰 정확하게 쓸 수 있다. ◉ 결론 : 학교작업치료지원이 정신지체 특수교육대상자의 학습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4,000원
        9.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장애인의 사회성을 증진하기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성 연구에 있다. 집단미술치료의 대상은 Y시 S장애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정신지체장애인 중에서 복지관 담당 사회복지사에 의해 의뢰된 7명의 정신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은 2008년 4월 4일부터 6월 27일까지 정신지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진행주기는 주 1회로 복지관내 사회기술 훈련실에서 90분씩 진행되었다. 연구의 효과성 검증은 사회성평가척도 검사와 그림을 통한 질적 평가로 측정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사회적응력 증진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지체장애인의 억압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응력을 증진시켜 주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사회적 인간관계에서의 불편감이나 낯선 사람들과 어울리는 상황에서의 불안감을 완화시켜 주었다. 이와 같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집단미술치료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이고 회피적인 억압된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도록 도와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하고 불안정한 정서를 완화시켰으며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개선으로 사회성을 증진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집단미술치료는 정신지체장애인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6,400원
        10.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heet aluminum alloys have been used in manufacturing of machine structures. In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of thin sheet aluminum alloys, it is important that fatigue crack growth rate is affected by crack closure phenomenon. In this work,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in experiment of constant stress condition for thin sheet Al 2024-T3 alloys, and identified the retardation behavior of crack growth by comparing experimental results of thin and thick plate specimen. We attempt to operate the fatigue life estimating process using the fatigue related material constants from referred fatigue crack propagation analysis. And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and prediction results of fatigue life of thin sheet aluminum alloy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retardation behavior of fatigue crack growth and crack closure phenomenon.
        4,000원
        11.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ol-ene 중합이 가능한 새로운 반응성 액정 단량체로서 2,5-bis[4'-(5-hexenyloxy) benzoyloxy]toluene를 합성하였다. 반응성 액정 단량체는 ethyl 4-hydroxybenzoate와 6-bromo-1-hexene을 반응하여 얻은 중간체인 4'-(5-hexenyloxy)benzoic acid와 methyl hydroquinone를 축합하여 79%의 수율로 합성하였다. 얻어진 반응성 액정 단량체의 구조는 1H-NMR과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DSC와 온도 조절기가 부착된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65℃와 157℃ 사이에서 네마틱 액정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성 액정 단량체는 1,6-hexanethiol, 광개시제와 함께 혼합하여 thiol-ene 중합을 위한 광중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러빙 처리된 폴리이미드 기판 상에서 이와 같은 조성물을 코팅한 후 광조사에 의해 중합한 결과 λ/4의 위상차를 갖는 광학보상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4,000원
        1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화아형성 비유도 조건인 장일 하에서 theobroxide의 처리농도, 처리회수, 처리시기를 달리하 여 나팔꽃의 생장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로 는 나팔꽃 왜성 품종인 Kidachi와 Sun Smile, 고성 품종인 Violet을 사용하였다. Theobroxide에 대한 반 응은 품종에 따라 크게 달랐다. Theobroxide의 분무 처리에 의해 왜성 품종인 Kidachi와 Sun Smile은 초 장, 줄기의 길이, 분지수와 생체중의 변화가 크게 없었 지만, Sun Smile 품종은 고농도 theobroxide 처리로 초장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성 품종인 Violet은 초장, 줄기의 길이와 생체중이 크게 감소하고, 분지수가 증가 하였다. 고성 품종인 Violet은 본엽이 5-6매 일 때 2mM의 theobroxide를 2일 간격으로 5회 분무처리 하 는 것이 억제 재배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에 나타나는 반사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노후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 경계면에 보강재의 효과적인 부착 방법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부착재로는 RSC-4 유화아스팔트, 컴파운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UPR) 등 3종류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스팔트 혼합물은 3종류의 밀입도 혼합물(AC 60-80, RLDPE 8%, PG 76-22)을 사용하였다. 보강 재료로서 유리섬유 그리드 하부에 직포가 부착된 것을 사용하였다. 복합모드 파괴(mode II)의 모사를 위한 촉진시험은 휠트랙킹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사균열의 진전은 피로수명으로서 하중 사이클 수에 따라 측정하였고, 공시체의 변위는 각각 시험 공시체에 대하여 demec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UPR 부착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다음은 RSC-4의 순이었다. 그러나 현장 적용성을 고려할 때 , RSC-4 유제가 보강 재료의 부착을 위해 적절한 선택으로 판단된다.
        4,300원
        16.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수행에 대한 지식과 결과에 대한 지식이 정신지체 성인의 운동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한 명의 정신지체 성인 여성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교대중재 방법을 적용하였다. 운동학습 과제는 기능적으로 독립된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타이핑 하기였고, 결과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타이핑과 수행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타이핑을 연습하게 했다. 그 이후 훈련 직후, 훈련 후 1시간 경과 후에 기초선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 시간과 실패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훈련 효과의 보존을 알아보기 위해 이틀이 경과한 후에 다시 측정하였다. 결과 : 두 중재 모두에서 운동 학습 과제에 대한 수행시간과 오류가 감소하였다. 연습 직후에서는 수행에 대한 지식 중재가 결과에 의한 지시 중재보다 과제 수행시간 단축 백분율이 높았지만, 연습 1시간 후와 유지기간에서는 결과에 대한 지식 중재가 수행에 의한 지식 중재보다 과제 수행시간 단축 백분율이 높았다. 수행에 대한 지식 중재보다 결과에 의한 지식 중재는 각 시점에서 실패율이 낮았다. 결론 : 결과에 대한 지식 중재는 수행에 대한 지식 중재에 비해 좀 더 빠르게 학습을 촉진하고 오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지체인의 운동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되먹임으로 결과에 대한 지식 중재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스노젤렌 공간이 중증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자극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스노젤렌 공간의 이론적 및 작동적 쟁점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3세와 11세의 두 명의 중등도 정신지체 아동이었다. 두 개의 A-B 개별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자료는 작업치료실에서 치료선 자료는 스노젤렌 공간 안에서 30분 동안 연구대상자의 자기자극 행동의 빈도가 측정되었다. 결과 자료는 빈도수의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시각적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 두 명의 연구대상자 각각에서 기초선 3회기, 치료선 7회기 동안 자기자극 행동의 빈도가 측정되었다. 기초선 보다 치료선에서 자기 자극 행동의 평균 빈도가 감소하였으며 치료 회기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 자극 행동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이 연구는 스노젤렌 공간이 중증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 자극행동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4,000원
        2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ragile X mental retardation (FMR) syndrome is the largest source of inherited mental retardation. The syndrome is usually caused by the transcriptional silencing of fragile X mental retardation gene (FMR-1). An 18 years old male wascompla띠ing of multiple toαh missing and abnormal facial profùe, of which signs were matemally dominant in his family. In the C)π。gene디c analysis the pa디ent and his parents did not show any discontinuity in the long arm end of X chromosome, but in the PCR produαs targeω19 the CGG repeat sequence in the 5' untranslated region of FMR gene both the patient'’ s and his mother' s gDNAs produced a normal and an extra bands, sized about 400 and 800 bps, respectively, while the his father' s gDNA produced only one normal band, sized about 400 bps. 까1US , we suppose that the pa디.ent has heterozygotic alleles of FMR gene inherited matemally, and that the patient s FMR gene was in a premutated state relevant to the dentofacial abnormalities.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