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2

        62.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Rhizobium inoculant, nitrogen, phosphorus, and molybdenum on nodulation, dry matter production, yield attributes, pod and seed yields, protein and phosphorus contents in seed of pea (pisum sativum) var. IPSA Motorshuti-3 were assessed by a field experiment. Among the treatments Rhizobium inoculant in combination with 25kg P and 1.5kg Mo/ha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umber of nodules/plant, total dry matter yield, number of pods/plant, number of seeds/pod, 1000-seed weight, green pod yield, green and mature seed yields of pea. The highest green pod yield of 15.37 t/ha (97.05~% increase over control) and green seed yield of 9.6t/ha (69.31~% increase over control) were obtained by inoculating pea with Rhizobium inoculant in association with 25kg P and 1.5 Mo/ha. The effects of 60 or 120kg N/ha were comparable to Rhizobium inoculant in most cas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yield attributes, yield, protein and phosphorus contents in seeds of pea. From the viewpoint of yield attributes, yield, and seed quality, application of Rhizobium inoculant along with 25kg P and 1.5kg Mo/ha was considered to be the balanced combination of nutrients for achieving the maximum output from cultivation of pea in Shallow-Red Brown Terrace Soil of Bangladesh.
        65.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 재배시 비효면에서 효과적인 황 시용방법을 구명하고자 황분말 20 kg/10a와 유안의 시용방법 및 시용량을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 유형 및 시용 정도에 따른 생육은 황 시용시 무시용에 비하여 초장이 큰 경향이었으며, 경태와 경엽중이 굵거나 무거웠고,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 보다는 유안 처리시 양호한 경향이었다. 2. 황을 시용함으로써 화두수 등 수량구성요소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종실 수량이 4-10~% 증수되었다. 황 유형간에는 황분말보다는 유안이 효과적이었으며, 유안 시비방법 간에는 엽면시비 8.3kg/10a과 토양시비 33.0~~49.5kg/10a 시용구와 차이가 미미하였다.
        66.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vegetable soybean cultivar, “Dajin” (Milyang 125) was selected from a cross Keunolkong / Josaengbaekjo(Introduction) // Keunolkong, and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3 on the basis of its yield performanc
        6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액재배산 소괴경의 절단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2001년 분무경 양액재배산 괴경을 3, 5, 7, 9, 11, 13g의 절편이 되도록 1(전서), 2, 3, 4개로 절단하여 플러그묘판에서 출아시켜 이식재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35일에 출현율은 절편크기가 7-13g에서 83.0-85.4%, 3, 4절단서 재식구에서 84.0-86.6%로 높았다. 2. 10a당 총서 및 종서규격서 수량은 절편크기가 3g에서 9g으로 증가됨에 따라 10a당 총서수량은 각각 2,052kg과 1,589kg에서 2,924kg과 2,428kg으로 크게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 절편의 무게가 증가되었을 때에는 괴경수량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3. 10a당 총서수량은 전서 재식구에서 1,918kg이었던 것이 3절 절단서 재식구에서 2,982kg로 증가되었고 종서규격서 수량도 전서 재식구에서 1,422kg/10a이었던 것이 3절 절단서 재식구에서 2,579kg으로 증가되었으나 3, 4절 절단서 재식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평균서중은 절편크기가 3g에서 13g으로 증가함에 따라 46.3g에서 71.5g으로 증가되었으며, 전서 및 2절 절단서 재식구의 56.5g과 58.0g보다 3, 4절에서 재식구에서 63.6g과 64.9g으로 무거웠다.
        68.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란 재배시 관행적으로 이용가치가 적어서 버리는 설우(屑芋를 종우(種芋)로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란의 출현은 종우(種芋)의 크기별로 약간의 차이가 인정되어 자우(子芋)인 설우(屑芋)나 소우(小芋)가 친우(親芋)보다 약간 빠른 경향이었으나 출현율은 친우가 높았다. 2. 생육은 자우(子芋)보다는 친우가 엽병장이 크고 엽병속수(葉炳束數)가 많아 양호하였으며, 자우(子芋)가 클수록 생육이 양호한 경 향이었다. 자우(子芋)중 설우(屑芋)도 엽병속이 1.5~2.6개 발생되어 정상적인 생장이 가능하였다. 3.토란 종우(種芋)의 크기에 따른 괴경(塊莖)과 부산물(副産物) 엽병(葉炳)의 수량은 자우(子芋)의 크기간에 차이가 인정되어 자우(子芋)가 클수록 수량이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설우(屑芋)도 크기에 따라 10a 당730~1,680kg의 괴경(壞莖)과 100~310kg의 엽병(葉炳)을 생산할 수가 있어서 대면적의 재배시 종우(種芋)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69.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level of slow release N fertilizers when total amounts of nitrogen required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in paddy were applied in the soil of seedling box. To evaluate the emergence rate and growth of rice seedlings, five levels of Meister (MS) 10, MS S10, and latex coated urea (LCU) which are equivalent to 0, 40, 60, 80, and 100kg N h a-l were mixed in soil of the seedling box. Emergence rate differed depending on the fertilizers and N levels; in MS 10 plots the emergence rate was 40.8% at 40kg N h a-l and no seedlings were emerged at the higher levels, in MS S10 plots higher than 80% at all the N levels, and decreased with the N levels from 70.0% at 40 kg N h a-l to 59.5% at 100kg N h a-l of LCU. Seedling started to wilt at 40 kg N h a-l of MS 10 and 80 and 100 kg N h a-l N of LCU on the 8th day after sowing, while seedling growth was normal at all the levels of MS S10. Field performance of rice was evaluated at the 0, 30, 60, 90, 120kg N h a-l of MS S10 applied in the soil of seedling box and N was not applied in paddy. Grain yield at 90 and 120kg N h a-l of MS S10 was similar to conventional urea split application (120 kg N h a-l ), but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30 and 60kg N h a-l of MS S10. Fertilizer N recovery decreased with N levels and the N recovery at 90 kg N h a-l of MS S10 and conventional urea split application were 62.2 % and 44.2%, respectively, with similar grain yield. The optimum level of MS S10 to be applied in seedling box seems to be about 90 kg N h a-l considering grain yield, price of fertilizer, labor applying fertilizer, and fertilizer N recovery.d fertilizer N recovery
        70.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자처리 한 종자를 실제 포장에 파종기를 달리하여 포장환경과 양파의 생육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양파 직파재배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파종기별 포장출아율, 포장출아소요시간, 생육특성, 잡초발생, 수량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1.종자처리 종자의 포장출아율은 파종기간 차이가 없었고, 출아소요시간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2. 종자처리 종자의 직파재배 파종기는 9월 10일이 적기로 출아율과 출아소요시간은 각각 87과 192시간이었으며, 늦어 도 9월 20일 전에는 파종을 마쳐야 한다. 3. 이삭재배와 직파재배의 월동 전 유묘생장은 9월20일 파종까지는 직파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뿌리수가 직파재배묘에서 월등하게 많았다. 4. 월동 후 3월 8일 조사한 유묘생장은 전체 파종기에서 직파재배가 이식재배보다 양호하였는데 이후 조사에서는 생장의 차이가 점차 감소되었으며, 5월 8일 조사에서는 9월 20일 직파묘와 이식묘의 생장이 거의 비슷하였다. 5. 결주율은 이식재배 3%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는 13∼18%로 훨씬 높았으며, 그 정도는 파종이 지연 될수록 심하였다. 6. 평균 구중은 직파재 배에서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감소하였는데, 직파재배와 이식재배에서 각각 230과 217g으로 직파재배에서 무거웠다. 7. 추대율은 직파재배가 이식재배 보다 높았으며, 파종이 지연될수록 약간 감소하였다. 8. 수량은 직파재배와 이식 재배가 각각 5,134와 5,300kg으로 이식재 배가 높았는데, 직파재배에서 파종이 늦어질수록 감소가 뚜렷하였다. 9. 품종간 평균 수량은 조생종과 중만생종에서 각각 3,750과 4,908kg으로 중만생종이 훨씬 높았고, 조생종에서는 소닉 품종이, 중만생종에서는 농우대고가 가장 높았다. 10. 흑색유공비닐 직파재배에서 발생 잡초는 흑쐐기풀 외 9종으로 흑쐐기풀, 민바랭이 및 개여뀌가 우점종이었으며,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발생잡초량은 감소하였다.
        71.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xcessive soil water in paddy field induces growth losses during the vegetative stages of soybean plants. Our objectives were to know growth responses of soybean as affected by the level of ridge heights.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Research Farm of Korea University near Seoul in 1996. Ten cultivar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were planted at the ridge heights of 10, 30, and 50cm in paddy soil on 27 June. Total dry matter accumulation at the 10cm ridge height was severely decreased until the growth stage of R5 as compared to the ridge heights of 30 and 50cm, and this decrement was mainly due to both reduced leaf and stem dry weights. However, seed dry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lower ridge height with the increment of harvest index. Cultivar differences were found on seed dry weight, crop growth rate from R1 to R5, and leaf/stem ratio of R5. From the above results, soybean growth responses to excessive soil water in paddy field were different between seed filling stage and late vegetative to early reproductive growth stages
        72.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water deficits on soybean [Glycine max (L.) Merr.] could appear on seed quality through changes of morphological plant characteristics. Two Korean genotypes, Hwangkeum (determinate growth habit) and Muhan (indeterminate growth habit), were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reatment stage and method of water deficit during reproductive growth period on yield and seed quality of soybean. Water deficit at R5 or R6 stages was as damaging to seed quality as double water-deficit treatments at R2+R5 or R2+R6. However, seed from double water-deficit treatment tended to have lower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compare to the corresponding single water-deficit treatment. In comparison with Muhan, Hwangkeum had significantly greater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value. Seed yield per plant in both genotypes depended greatly on seed yield of branches. However, the proportion of number of branch seed to total seed umber in Hwangkeum was increased as the water deficit was applied during later reproductive stage, whereas, in Muhan the proportion was lower. Water-deficit treatments including the single and double water-deficit treatments and non-stressed treatment were able to b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for Hwangkeum and four groups for Muhan based on the influences on yield components, number of pod, number of seed, and single seed weight,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both genotypes, R2+R5 water-deficit treatment decreased number of pod and seed, but increased single seed weight. On the contrary, R6 or R2+R6 stress increased the pod and seed number, but decreased single seed weight
        73.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紅花)의 안전다수확(安全多收穫) 재배기술(栽培技術) 확립(確立) 일환(一環)으로 무처리(無處理), 파종시(播種時), 개화시(開花時), 개화기(開花期), 개화후(開花後) 10일부터 수확기(收穫期)까지 비가림재배의 효과를 구명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홍화(紅花)는 일찍 비가림 재배에 의하여 출아기(出芽期)와 개화기(開花期)가 빨랐으며 지상부 생육이 양호하였다. 10a당 종실(種實)은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일찍 비가림한 것이 387kg으로 노지재배 198kg에 비해 95%증수 되어 비가림 적기로 판단되었다. 홍화 종실의 색도는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비가림 한 것이 명도가 가장 높고 적색도와 총색도가 가장 낮아 거의 횐색 을 나타내었다. 비가림 시기에 따른 경제성(經濟性)은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비가림이 가장 높았는데 노지재배 10a당 소득 3,675천원에 비해 파종부터 수확기까지 비가림은 6,705천원으로 82%정도 소득이 향상되었다.
        74.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호 입모향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휴면을 타파하고 발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 진 종자처리방법으로 종피파상, 황산침지, 저온처리, 수세처리, 노천매장 등의 처리를 공시하여 실내 검정에 의한 발아향상효과와 포장에서의 입모,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실내상토시험 결과 발아율이 무처리 50%에 비하여 수세처리 62%. 노천매장 77%로 향상되었다. 이 효과는 수세처리에 의한 발아억제물질 용탈과 노천매장 처리에 의한 발아억제물질 용탈 및 미숙 배의 생장이 발아향상의 주원인으로 추정 된다. 2. 볏짚 피복 포장에서 입모율은 무처리 83%에 비하여 수세처리 87%, 노천매장 90%로 향상되었고 출아일수도 무처리 47일보다 수세처리 21일, 노천매장 31일 각각 단축되었다. 3. ha당 건근수량은 무처리 423kg 비하여 입모율이 높아 수확주수가 많고 출아가 빨라 생육기간이 길어 식물체당 생근중이 무거웠던 수세처리와 노천매장처리가 각각 22%, 29% 증수되었다.
        75.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s of medicinal soybean [Glycine max(L.) Merill] are characterized by a black seed coat, white stripe at hilum border, yellow cotyledon, and very small seed weight. Production of this medicinal soybean has recently increased as a consumption increa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of collected medicinal soybeans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production practices and breeding materials. The collected medicinal soybean lines were cultivated at three locations for two years. Twenty-seven lines were planted at the Research Farm, Korea University, Namyangju city, on May 23, and at the Research Far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aegu, on May 20, 1995. In 1996 field experiments, forty-four lines were planted on May 25, at Research Farm, Korea University, and twenty-seven lines among those were planted on June 7 at the Research Farm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Milyang city. The investigated lines had purple or white flower.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were similar or l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cultivars. Branch number was greater for the investigated lines. One hundred-seed weight of the lines ranged from 8.5 to 15.0 g. Mean seed yields ranged from 1.54 to 2.89 MT/ha. Nine lines of the investigated medicinal soybeans showed higher yield capacity than the control cultivars.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system and breeding program of medicinal soybeans.
        76.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땅콩의 무효개화를 유제하여 정입율이 높은 재배법을 강구하기 위하여 C-MH를 개화후 24, 28, 31일에 0.2%액, 0.1%액, 0.067%액으로 달리하여 처리한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경장은 무처리에 비하여 38∼44% 감소되었으나 분지수는 처리시기 및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변화가 거의 없었다. 2. 처리후 28일의 개화유제율은 0.2∼0.1%액 처리시 29∼38%, 0.067%액 처리시 22%였다. 3. C-MH처리에 따른 완숙입율(=정입율)은 무처리구(56%)에 비하여 개화후 28일 처리시 55∼59%이고, 이 중 0.1%액 처리구에서 59%로서 3%가 향상되었다. 4. 개화후 28일에 0.1∼0.067%액처리구와 개화후 31일에 0.1%액처리구의 수량이 무처리구와 대등하였다.
        77.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황정(原黃精)(충층둥글레)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종근(種根)을 선발(選拔)하고자, 청주(淸州)와 제천(提川)에서 충북(忠北)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종근(種根)의 크기를 15g, 30g, 45g, 60g(±2g) 별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파종(播種) 당년(當年)에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5일 늦었으나 파종(播種) 2 - 3년차(年次)부터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4 - 7일 빨랐으며 작은 종근(種根)보다 큰 종근(種根)일수록 빨라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초장(草長)과 경장(莖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15g 종근(種根)보다 60g 종근(種根)에서 더 길었다. 3 엽장(葉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5g 종근(種根) 〈 30g 〈 45g 〈 60g 종근(種根) 순(順)으로 큰 종근(種根)에서 길었으며 엽폭(葉幅)은 큰차이(差異)가 없었다. 4. 10a당 수량(收量)은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600kg/10a 이었으나 종근간(種根間)에서 15g의 종근(種根) 청주(淸州) 869kg, 제천(提川) 830kg에 비(比)하여 30g은 64 - 79%, 45g은 111 - 135%, 60g 종근(種根)은 157 - 161%가 각각 증수(增收)되었으나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원황정(原黃精) 재배시(栽培時) 종근비(種根費) 등을 고려(考慮)하면 45g 내외(內外)의 종근(種根)이 유리(有利) 할 것으로 판단(判斷) 되었다.
        78.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주팥의 전년산 바이러스 나병주로부터 얻은 종자가 차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관행재배와 바이러스 매개충인 진딧물을 서단한 강실재배와 비교하고 감염된 바이러스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개충을 서단했던 강실재배에서는 전년도 나병주로부터 얻은 종자도 바이러스 감염증상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관행재배에서는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건전개체나 나병개체로부터 얻은 종자 공히 바이러스가 심하게 나타났다. 2. 관행재배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생육이 부진하였으나 강실재배에서 는 심하게 나병된 개체에서 얻은 종자도 건전개체에서 얻은 종자와 같이 나병 주를 발견할 수 없었고 다소 도장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생육 및 수량성이 양호하였다. 3. 바이러스 감염이 없었던 강실재배는 관행재배에 비하여 협수, 분기수가 많았고 백립중도 무거웠으며 수량도 10a당 202kg으로서 210% 증수되었다. 4. 바이러스에 나염된 모자이크 증상의 엽조직을 50,000배의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한 결과 사상 모양의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79.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적합(適合)한 율무의 파종(播種) 적기(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다수성(多收性)으로 인정(認定)된 애원종과 혹석종을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出穗期)와 성숙기(成熟期)는 4월(月) 상순(上旬)에 파종(播種)하는 경우에는 하순(下句)에 파종(播種)하는 경우보다 약(約) 이틀 정도(程度)늦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초장(草長), 경태(莖太), 경수(莖數) 및 엽수(葉數)등의 생육특성(生育特性)은 4월(月) 15일(日) 에 파종(播種)한 구(區)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100립중(粒重), 1 l 중(重), 건실중(乾實重) 및 종실중(種實重) 등의 수량(收量)은 4월(月) 15일(日)에 파종(播種)한 구(區)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80.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문동(麥門冬)의 발아촉진방법(發芽促進方法)과 실생묘(實生苗)와 분주묘(分株苗)의 생육(生育) 및 수량성(收量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맥문동(麥門冬)은 실내(室內)(25℃)에서 발아율(發芽率)이 濃黃酸(농황산)과 GA3 처리(處理)가 각각(各各) 100%, 층적저장(層積貯藏)이 98%로 가장 높았고, 발아기간(發芽期間)은 층적저장(層積貯藏)이 11일(日)로서 가장 빨랐으며, 포장(圃場)에서는 층적저장(層積貯藏)이 발아율(發芽率)은 93%, 출아기간(出芽期間)이 76일(日) 로서 가장 빨랐다. 2. 신초출현기(新梢出現基)는 실생묘(實生苗) 1년차(年次), 2년차(年次), 3년차(年次), 분주묘(分株苗), 4년차(年次) 처리(處理) 순(順)으로 빨랐고 개화기(開花期)는 반대(反對)로 실생묘(實生苗) 4년차(年次), 3년차(年次), 분주묘(分株苗), 2년차(年次) 순(順)으로 빨랐으나 1년차(年次)는 개화(開花)되지 않았다. 3. 지상부(地上部)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생육최성기(生育最盛期)(11. 20)와 수확기(收穫期)(4. 10)가 비슷하였으나, 괴근수(塊根數)는 수확기(收穫期)가 2배정도(培程度) 많았고, 처리별(處理別)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실생묘(實生苗) 3년차(年次), 4년차(年次), 분주묘(分株苗), 2년차(年次) 순(順)으로 좋았다. 4. 건괴근수량(乾塊根收量)은 분주묘(分株苗)에 비(比)해 실생묘(實生苗) 3년차(年次)가 25%, 실생묘(實生苗) 4년차(年次)가 10%, 실생묘(實生苗) 2년차(年次)에서도 5% 증수(增收)되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맥문동(麥門冬) 재배시(裁培時) 분주묘(分株苗)를 계속사용(繼續使用)하는것 보다는 실생묘(實生苗)를 이용(利用)하므로서 4년차(年次)까지는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