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재배, 수확 후 세척 등에 사용되는 농업용수는 미생물에 오염될 경우 병원균을 농산물로 전파하여 식중 독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하천수, 저수지, 지하수 등 다양 한 수원의 농업용수에서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오염 수준 을 조사하고 자외선(ultraviolet, UV) 소독이 농업용수 내 미생물을 저감시키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였다. 농업용수의 미생물 수질조사 결과 대장균 오염도는 수원 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수의 대장균 농도는 평균 0.95±1.23 log CFU/100 mL였으며, 저수지는 평균 0.76±1.07 log CFU/100 mL, 지하수는 평균 0.1±0.47 log CFU/100 mL, 기타수원은 평균 0.6±0.87 log CFU/100 mL로 조사되었다. 수원별로 보면 하천수, 저수지, 지하수 순으로 높은 미생물 오염을 보였다. 다양한 용수 조건에 서 자외선 소독을 테스트한 결과, 99.9% 미생물 비활성화 에 필요한 UV 선량은 증류수에서 1.2-1.6 mW/cm2·sec, 농 업용수 원수에서 2.0-2.7 mW/cm2·sec 범위 였다. 고형물 응집제를 통해 전처리된 농업용수는 처리되지 않은 농업 용수 원수에 비해 자외선 투과율이 높았으며, 미생물을 99.9%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자외선 선량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수 자외선 투과도가 감소함에 따라 소독 효율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본 실험에서 조사된 선량 은 수질에 상관없이 수초 내 99.9%의 미생물 감소를 달 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UV 소독기술은 농업용수의 미생 물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To utilize textured vegetable protein (TVP) in food manufacturing, TVP was soaked in salt solution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TVP were then measured. When TVP was soaked in a salt solution, the pH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the pH decreased after 18 hours of soaking. The salinity of the control decreased slightly from the initial value depending on the soaking time.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showed higher salinity than the control. Water absorption capacity of the control increased as the soaking time increased. However, water absorption capacity of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alt solution increased. Lightness of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showed less change than the control during soaking. The rednes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alt solution increased. The yellownes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during soaking.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control decreased during soaking in water. The group treated with salt solu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as the concentration of the salt solution increased. However, adhesiveness, elasticity, and cohesiveness generall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ruit and vegetable jellies mixed with Boswellia. Jellies were prepared with 0, 2, 4, 6, and 8% Boswellia, sugar and konjac. As a result, the pH of Boswellia jellies decreased to 5.19, 5.05, 4.94, and 4.84, respectively (p<0.001). Their L-value, a-value, b-value, and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ed Boswellia (p<0.001), while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ed Boswellia. Free sugars and organic acid contents had the highest bw10.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had the highest BW5 (112.9 mg TAE/g), BW10 (99.41 mg TAE/ g), and while the ABTS activitie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Overall, Boswellia can be used to produce high-quality jelly, which is expected to help develop excellent functional jelly products.
식물성 떡갈비를 조리방법을 달리하여 조리한 후 수분함량, pH, 가열감량, 직경 감소율, 두께 감소율, 색도, 물성,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식물성 떡갈비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오븐으로 조리했을 때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pH는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경우 가장 높은 값을, 팬 프라잉한 떡갈비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가열감량과 직경 감소율, 두께 감소율은 모두 오븐에서 조리한 떡갈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열감량은 전자레인지 조리시 가장 낮게 나타났으 며, 직경 감소율과 두께 감소율은 에어프라이어에서 조리한 떡갈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식물성 떡갈비의 명도와 적색도는 각각 전자레인지, 오븐으로 조리한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명도와 적색도 모두 팬 프라잉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황색도는 팬 프라잉한 떡갈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오븐과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경우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물성은 경도, 씹힘성, 탄력성, 응집성 모두 팬 프라잉한 식물성 떡갈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경우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식물성 떡갈비의 기호도 평가는 전반적으로 팬 프라잉한 경우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조직감 항목을 제외하고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식물성 떡갈비의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팬 프라잉이 식물성 떡갈비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조리방법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lorine water and plasma gas treatment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control of Latuca indica L. baby Leaf during storage. Latuca indica L. baby leaves were harvested from a plant height of 10cm. They were sterilized with 100μL·L-1 chlorine water and plasma-gas (1, 3, and 6hours), and packaged with 1,300cc·m-2·day-1·atm-1 films and then stored at 8±1?and RH 85±5% for 25days. During storage, the fresh weight loss of all treatments were less than 1.0%, and the carbon dioxide and oxygen concentrations in packages were 6-8% and 16-17%, respectively for all treatments in the final storage day. The concentration of ethylene in the packages fluctuated between 1-3μL·L-1 during the storage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ethylene was observed at 6 hours plasma treatment in the final storage day. The off-odor of all treatments were almost odorless, the treatments of chlorine water and 1 hour plasma maintained the marketable visual quality until the end of storage. Chlorophyll content and Hue angle value measured at the final storage day were similar to those measured before storage in chlorine water and 1 hour of plasma treatments. E. coli was not detected immediately after sterilization in all sterilization treatments. After 6 hours of plasma treatment, the total bacteria fungus counts were lower than the domestic microbial standard for agricultural product in all sterilization treatments. The total aerobic counts in the end storage da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storage, whereas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sterilization treatments. The sterilization effect against bacteria and fungi was the best in chlorine water treatment. Plasma treatment showed sterilization effects, but within a prolonged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effect decreased gradu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lorine water and plasma treatment were effective in maintaining Latuca indica L. baby Leaf commerciality and controlling microorganisms during postharvest storage.
본 연구는 큰다닥냉이 어린잎 채소의 MA저장 중 OTR 필름 종류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플라스틱하우스에서 2주간 재배한 초장 10cm 내외의 큰다닥냉이 어린잎를 산소투과도가 1,300cc, 10,000cc, 20,000cc, 40,000cc, 그리고 80,000cc·m-2·day-1 ·atm-1인 OTR필름과 대조구인 미세천공필름(Ø 0.06cm, 36ea/100cm2)을 사용하여 포장하여 8oC에서 10일간 저 장하였다. 저장 종료일 모든 OTR필름 처리구의 생체중 감소율은 0.5%를 보였고, 대조구인 미세천공 필름은 1.3%의 감소를 나타냈다. 포장 내 산소농도는 20,000cc, 40,000cc, 그리고 80,000cc OTR필름 처리구에서 저장 중 18%이상의 농도을 유지하였고, 1,300cc OTR필름 처 리구는 저장 종료일 11%의 농도로 가장 낮게 유지되었 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1,300cc와 10,000cc OTR필름 처리구에서 각각 4.5%와 3.4%의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하였고, 다른 OTR필름 처리구는 1% 미만의 농도를 유지 하였다. 포장 내 에틸렌 농도는 저장 기간 중 1,300cc OTR 필름 처리구에서 3-5μL·L-1로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1,300cc OTR필름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이취와 가 장 높은 외관상 품질을 보였는데,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은 황화현상으로 인한 품질저하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저장 종료일에 조사한 엽록소 함량과 Hue angle값은 1,300cc OTR필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1,300cc OTR필름 처리구에 서 가장 낮았다. 따라서 MA저장 중 황화와 이취 억제효과가 우수한 1,300cc OTR필름이 큰다닥냉이 어린잎 채소의 포장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Vegetables and fruits contain a great deal of vitamins, minerals, dietary fiber and phytochemicals. Therefore, healthconcious consumer prefer beverage made from fresh fruits and vegetables due to their health benefi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ices depending on the apparatus used: either a low-speed juicer or high-speed blender. All ingredients could be made into juice without addition of water using the low speed juicer. However, addition of water was necessary to produce juice with the high-speed blender.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higher in juice made with the low-speed juicer than that produced with the high-speed blender and were correlated with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Protease activity of pineapples juic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two methods, but protease activity of kiwi juice was about 8 times higher in juice made with low-speed juicer than that made with the high-speed blender. SOD activity also tended to be higher in the juice made with low-speed juicer.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in the juice made with high-speed blender was higher than that of juice made with a low-speed juicer and was correlated with color change. In addition, the high-speed blender caused an increase juice temperature, but temperature was not changed during use of the low-speed juicer. The noise level of the low-speed juicer was low, but the high-speed blender had high noise intensity comparable to that of railway or aircraft nois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juice, juice made with the low-speed juicer was preferred over juice made with the high-speed blender. As a result, the overall quality of the juice produced using the low-speed juicer was superior.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salt Myungran jeotkal (Alaskan pollock roe) were evaluated after fermentation at 4℃ and 20℃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deep sea water, salt from deep sea water, and vegetable-origin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fermentum JS, LBF). When fermented at 20℃, the addition of LBF to Myungran jeotkal resulted in a slow increase in lactic acid content, followed by an abrupt increase after five days of fermentation. However, when fermented at 4℃, the lactic acid conten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urther, when Myungran jeotkal fermented at 4℃, the pH decreased as lactic acid production increased. The salinity of Myungran jeotkal fermented at 4℃ and 20℃ was 7% and was not affected by fermentation period. When fermented at 20℃, volatile basic nitrogen and amino nitrogen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fermentation. Further, volatile acid content decreased, however, the content of amino nitrogen increased after 11 days of fermentation with LBF and no salt effects were observed. When fermented at 20℃ for 13 days, preference (sensory evaluation) was the highest in all experimental groups after 9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eriod increased. The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1,648.8 mg/100 g) in Myungran jeotkal when sun-dried salt and LBF were added, 2.3 times higher than in the control.
현대인의 과도한 설탕 섭취, 채소 및 칼슘 섭취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칼슘을 첨가한 무설탕의 과일 채소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품에 대하여 이화학 적 변화와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당도는 사과의 농도를 줄 이고, 케일의 함량을 증가시킨 결과, 낮은 당도를 보였으며, 제조한 잼의 pH에서는 당도와는 달리 사과와 케일의 양과는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 과의 함량이 적을수록 약간 높은 pH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명도 및 황색도의 경우, 케일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명 도 및 황색도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적 색도의 값은 -2.05~-1.37로 케일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 여 증가 또는 감소의 경향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의 경우, 케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hardness), 탄 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및 씹 힘성(Chewiness)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러나 부착성(adhesiveness)은 케일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경우, 10.0~12.0%의 케일 첨가군이 유의적인 차이 없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케일의 농도가 높을수록 맛을 비롯하여 향, 색, 발림성 및 종 합적 기호도는 모두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설탕 대신 프락토올리고당으로 대신하고,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케일을 첨가하여 잼을 제조할 때 사과와 케일의 비율은 3:1 또는 4:1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시 텃밭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대부분은 식탁에 바로 오르는 채소류로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나 아직 이에 대한 자료가 없다. 본 연구는 도시 텃밭에서 재배되는 채소류의 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 보하기 위하여, 2012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서울시내 11 곳의 도시텃밭에서 채취한 9종 채소류(배추, 상추, 무잎, 시금치, 겨자잎, 쑥갓, 파, 양배추와 치커리) 530 표본을 대상으로 총호기성균(일반세균), 대장균/대장균군,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및 E. coli O157:H7 오염 수준을 정량적으로 혹은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조사한 농산물에 존재하는 총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의 평균 수는 각각 6.3 log CFU/g (범위, 3.8-8.1 log CFU/g) 및 4.3 log CFU/g (범위, 2.1-6.4 log CFU/g) 이었다.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67%에서 발견되었다. 치커리에서 가장 많은 수의 총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이 검출되었고, 부추에서 가장 적은 수의 대장균군 오염을 보였다. 대장균은 전체 채소류의 2.3%에서 발견되었으나, 농산물별로는 상추, 무잎, 갓과 치커리에서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조사한 농 산물에서 식중독 유발 세균인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 및 E. coli O157:H7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서울시내 도시텃밭에서 재배되는 채소류에서 식중독 유발 세균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재배 과정중 대장균군 및 대장균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Many community gardens in large cities worldwide grow vegetables; however, no information regarding the levels of sanitary indicator bacteria and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vegetables grown in urban community gardens is available.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vegetables from urban community gardens in Korea, 530 samples (nine types of vegetable, including Chinese cabbage, lettuce, radish leaves, spinach, mustard leaves, crown daisy, leek, Korean cabbage, and chicory) were collected at 11 urban community gardens in Seoul, Korea from September through October 2012. The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Escherichia coli, total coliforms,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H7 were evaluated quantitatively and/or qualitatively. The mean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ere 6.3 log CFU/g (range 3.8-8.1 log CFU/g) and 4.3 log CFU/g (range 2.1-6.4 log CFU/g), respectively. Total coliforms were detected on 67% of whole vegetables. Chicory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whereas the lowest number of coliforms was detected on leeks. E. coli was detected on 2.3% of whole vegetables, including lettuce, radish leaves, mustard leaves, and chicory; however,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on any of the vegetable samples using this highly sensitive and validated proced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ce of coliforms and E. coli demonstrates that opportunity for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safety exists throughout the produce production chain, although no major foodborne pathogens were present in vegetables grown in urban community gardens.
본 연구에서는 가나슈 제조 시 사용되는 크림의 지방 종류(동물성 유크림과 식물성 크림)에 따라 함유량을 달리하여 제조하고 이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분석하여 지방 종류와 함유량에 따른 품질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대조군으로 100% 동물성 유크림을 첨가한 가나슈에서 유크림 함량의 25, 50, 75, 100%를 식물성 유지로 대체하여 시료를 제조하여 일반 성분분석, 색도, 점도, texture profile analysis, 산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가나슈의 수분 함량은 5.71-6.22%의 범위로 크림의 유지방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수분의 함유량도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조단백질은 5.04-5.73%의 범위에서 유지방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오지 않았다. 조지방은 29.49-31.77%, 조회분은 0.38-0.40%로 나타났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명도와 황색도는 MC0 시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MC100 시료가 가장 낮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점도는 수분함량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던 MC100 시료가 가장 낮은 점도를 보였고,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점도도 증가하였다. 이는 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품질특성은 경도(hardness)는 식물성 유지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고, 탄력성(springiness)과 씹힘성(chewiness), 부드러움(softness)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되었으나, 불포화지방의 함유량이 높은 유크림의 비율이 높은 경우 전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식물성 유지 첨가에 따라 저장성이 높아지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경도(hardness), 융해도(melting rate), 점착성(sticky), 건조성(dry), 탄력성(springiness)은 식물성 유지의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부드러움(softness)은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가나슈 제조 시 사용하는 식물성 유지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경도(hardness), 점착성(sticky), 탄력성(springiness)과 같은 특성이 강화되어 시료의 견고성
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로 저장성 실험에서 산가의 증가도 낮은 수준을 보여 저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도와 점착성, 건조도, 거친정도의 증가로 인해 기호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지는 향후 기호도 조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The several enzymes reaction which involve the quality change of fresh vegetables, such as chlorophylase, polyphenol oxidase, lypoxygenase, C-S-lyase, myrosinase and enzymes related lignification were reviewed. Numerous enzyme reaction continuously proceeds to the deterioration of vegetables after harvest due to the respiration and biochemical metabolism reaction, especially in case of physical injuring.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inhibit and to control these enzyme reac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organoleptic and nutritional quality of fresh vegetables.
The effect of the packing methods for enhancing the shelf life and improving the postharvest quality of the tah tasai Chinese cabbage baby leaf vegetable was studied during storage. Fresh baby leaf vegetables were packed in four commercial packaging types: (1) a non-perforated bag with a 0.03-mm oriented polypropylene (OPP) film; (2) a perforated bag with 1.0-mm-diameter holes on an OPP film; (3) a 0.40-m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ontainer with a hinged lid; and (4) an expanded polystyrene (EPS) tray wrapped with a 0.02-mm polyvinyl chloride (PVC) film. The quality parameters, such as the weight loss, moisture content change, color difference, and appearance of the baby leaf vegetables were investigated. The baby leaf vegetables in the PET container and in the non-perforated OPP film bag showed relatively low weight loss, high moisture content, and good external appearance compared to those in the EPS tray and in the perforated OPP film bag during limited storage periods, at 16oC.ThePETcontaineralsoprotectedthebabyleafvegetablesfromphysicaldamage.Thestudyresultswillenabletheselectionofabetterpackagingsystemforextendingthefreshnessandincreasingthemarketabilityofbabyleafvegetables.
본 연구는 비가열 신선 과채음료 6종에 대한 250~350 MPa 범위의 중고압 처리에 따른 미생물 개체수, 비타민 함량, 관능적 특성 변화 측면에서 권장 유통기간 3일 동안의 품질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간 연장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g당 이하로 유지되는 채소 및 과일 원료에 있어서 온도 , 습도 55~60% 가 유지되며, 낙하균과 부유균의 미생물이 각각 CFU/plate, 의 수준으로 관리되는 신선 음료 생산 현장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