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ing an investigation of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17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the phylum Bacteroidota and 4 strains belonging to the phylum Bacillota were isolated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These isolated bacterial strains formed a robust phylogenetic clade with type strains of the closest related bacterial species, with 16S rRNA gene sequences sharing similarities of higher than 98.7%. To date, there have been no official report of these 21 isol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genus level, these unreported species were affiliated with Mucilaginibacter and Pedobacter of class Sphingobacteriia, Flavobacterium and Gillisia of class Flavobacteriia, Hymenobacter of class Cytophagia, and Paenibacillus and Planococcus of class Bacilli. These species were further examined by performing Gram staining, analyzing their colonies and cell morphologies, and determining their basic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position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21 previously unreported species are provided.
Freshwater environments serve as crucial habitats for diverse microorganisms, playing essential roles alongside plants and animals within the ecosystem. Bacteria in these environments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maintaining ecosystem functions. Among them, members of the phylum Pseudomonadota are known to be involved in processes such as nitrogen fixation, ammonia oxidation, and biofilm formation. Pseudomonadota comprises six classes: Acidithiobacillia,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Hydrogenophilia, and Zetaproteobacteria. This study reports 43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belonging to the phylum Pseudomonadota. They were isolated from various freshwater habitats in Republic of Korea. These strains were isolated and cultured using nine different standard media, with classification based on Gram staining, cell morphology,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Species identity was determin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with a similarity threshold of 98.7% for designation as unreported specie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43 strains were distributed across three classes, 13 orders, 28 families, and 39 genera. This research emphasizes microbial diversity in freshwater ecosystems and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ecological roles and potential novel functions of unreport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벼의 주요 해충인 먹노린재의 실내 사육을 위해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분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부 화한 1령 약충은 수분 제공만으로 2령 약충으로 발육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2령 약충은 수분 제공만으로는 3령 약충으로 발육하지 못하고 모두 사망 하였다. 먹노린재 약충 1령기부터 볏과 8종의 식물을 제공했을 때 출수기의 벼에서 약충부터 성충으로 도달한 개체의 생존율은 90.0%로 가장 높았 으며, 수수와 밀은 각각 30.0%, 26.7%였으며, 보리는 6.7%, 조와 피는 3.3%로 낮았다. 유묘기의 옥수수에서는 3령이 되기 전에 모두 사망하였고, 출수기의 기장에서는 성충이 되기 전에 모두 사망하였다. 유묘기의 벼에서는 성충에 도달한 개체의 생존율이 25%로 출수기의 벼보다 낮았다. 그러 나, 유묘기의 벼에서 자란 1~2령 약충은 출수기 벼와 다른 볏과 식물보다 체중이 가장 무거웠다. 출수기의 벼에서는 4령과 5령 약충의 발육기간이 각각 평균 8.5일과 12.1일로 가장 짧았다. 출수기 벼에서 자란 먹노린재의 성충 몸무게는 50.91 mg으로 유묘기의 벼와 출수기의 수수와 밀에서 자 란 먹노린재의 성충 몸무게보다 무거웠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먹노린재 약충의 발육과 생존에 가장 적합한 기주식물로 출수기의 벼가 제안되 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language identity of a 1.5 generation Korean woman in her 30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cusing on her journey of seeking a stable sense of belonging, and reveals its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 is a woman in her 30s who moved to Germany, with her family in her early teens. She chos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her sense of belonging between Korean and German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he participant held German citizenship but did not consider herself to have citizenship rights. Second, she perceived people who spoke Korean well as attractive and wanted to connect with Korea. Third, the participant utilized her Korean language skills to position herself as marked Germa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a 1.5 generation Korean woman constructs her language identities, builds a sense of belonging, and shapes her meaning of existence, thereby contribut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spects of Korean diaspora.
우리 사회는 사회의 발전 및 유지를 위해 사회복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사회복지가 필요 한 곳에는 아직 미흡한 제도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나타나는 사각지대를 자원봉사자는 이 를 메워 주며 발전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자원봉사를 주도하는 자원봉사자들은 자원봉사 활동으로 개인적 성장을 도모하면서 사회 적으로도 개인의 성장에 도움을 주게 된다. 자원봉사자들은 자원봉사 활동에 소속감을 가질 경우 자원봉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이는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원봉사자들이 인간의 기 본 욕구 중 상위 욕구가 충족이 되어 진다면, 자원봉사활동은 더욱 풍성해 질 수 있다는 것 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자원봉사자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더욱 더 강한 소속감 을 느끼게 하거나, 봉사활동을 통해 소속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공동체 프로그램은 자원봉 사활동에 대한 자원봉사자들의 적극적 태도 및 자원봉사활동의 목표 달성에 대한 동기발생 및 의지가 함양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자원봉사의 소속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동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기존 검증되고 활용되고 있는 공동체의식햠양프로그램 과 푸드아트심리상담프로그램 그리고 십오통활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총 10회기 로 구성하였다. 실제적 프로그램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어 자원봉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원해 본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의 진로활동이 진로성숙도와 대학 소속감을 매 개로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하 였다.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9차년도(2020)와 10차년도(2021) 조사자료 를 활용하여 2021년 현재 대학교 1학년인 총 1,935명을 연구대상으로 상 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고등학교 시기에 경험했던 진 로진학 활동 도움도는 진로성숙도에는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중 도탈락 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진로진 학 활동 도움도는 대학의 소속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시기에 형성된 진로성숙도는 대학 소속감에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대학 소속감은 중도탈락 의도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을 보였으나, 진로성숙도가 직접적으로 대학에 서의 중도탈락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 소속감은 진로성숙도와 대학 중도탈락 의도 간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 소속감을 향상하고, 중도탈락 의도를 줄이는 방안에 대한 정책 제언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소속감은 다음세대들의 삶의 만족감에 매우 지대한 영향을 미친 다. 한 청소년이 자신의 교회공동체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만족감 을 누리지 못한다면 그 청소년은 자연스럽게 교회이탈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청소년 사역에서의 소속감 향상과 관련된 사역은 교회이탈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우선순위의 사역 중에 하나가 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청소년들의 교회 내 소속감을 향상시키는 사역으로 팬데믹 이후 증가하는 단기선교를 연구하였다. 단기선교가 믿음의 내면화와 소속감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들을 보인다는 선행연구들 은 매우 고무적이다. 연구자는 단기선교의 방향이 소속감 향상을 위해 서는 그간의 ‘Doing’ 중심의 사역에서 ‘Being’ 중심의 사역으로 무게추 를 옮겨주는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Being’ 중심의 단기선교는 ‘개인 소속감’에 ‘상호 소속감’(mutuality of belonging)을 더해주어 소속감을 더 강화시켜 신앙정체성을 확립하고 청소년들의 지속적인 선교적 삶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In the genus Acrobasis Zeller, 1839, there are 14 species known in Korea. In this study, we present Acrobasis rubrizonella (Ragonot, 1893) and Acrobasis subceltifoliella Yamanaka, 2006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We hear provide diagnoses, descriptions, and images of the adults and genitalia of the two species.
20대를 대상으로 하였던 대학이 최근에는 운영방식, 설립목적, 교육대상이 다양화되었다. 대학 의 수에 비해 급격한 학령인구의 감소로 대학(과)은 신입생의 확보와 재학생의 중도탈락 최소화를 위해 최 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2년제와 4년제 일반대학과 원격대학의 미용관련 학과 재학생을 대 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일반대학 119명, 원격대학 113명에게 수집된 자료를 SPSS.28를 이용해 분석한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대학은 전공선택동기는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소속감은 유의미한 정(+) 의 효과를 미쳤다. 또한, 소속감이 높아지면 외적동기는 학업지속의도를 유의미하게 상승시키는 조절효과 가 나타났다. 원격대학은 전공선택동기 중 내적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소속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 로 재학생의 학업지속의도에 있어 일반대학은 대학(과)의 소속감이 주요했으며 원격대학은 내적동기가 주 요했다. 이러한 결과는 재학생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대학(과)의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의미있는 자 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study of Buddhist architecture before the Goryeo Dynasty, the analysis of sectarian viewpoints is one of the effective means. In the study of Buddhist architecture before the Goryeo Dynasty, analyz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a Buddhism sect is one of the effective means. Until now,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Beopsang school before the Goryeo period in the fiel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Buddhist architecture, research on its temples was the lea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denominations. In this study, as one of the studies on Beopsang school temples, Geumsansa(金山寺), Beopjusa(法住寺), and Donghwasa(桐華寺), which were built as the Jinpyo’s Beopsang school temple in the late 8th century and maintained until the Goryeo Dynasty, were targeted. And I tried a rudimentary analysis on the building composition of those temples from the viewpoint of the beliefs and teachings of Beopsang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ed study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istory on the Buddhist temple of the Beopsang school, which led non-Zen sects of Buddhism along with the Hwaeom school until the Goryeo Dynasty.
The research was analyzed the catch data of the five years (2016-2020) for six joint venture company tuna purse seiners in the Atlantic Ocean, with the aim of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for responsible and sustainable fishing according to changes of recommendation by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 (ICCAT) on the tropical tunas. In the last five years, the average catch of six tuna purse seiner gradually increased to 7,745 tons, 8,364 tons and 9,053 tons from 2016 to 2018, but decreased to 7,761 tons in 2019 and 6,214 tons in 2020.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fishing volume in 2019 and 2020 was the fluctuation of the formation of the cold water zone (22-23℃), and the total ICCAT convention area of FAD closure in January and February due to the expansion of the FAD closure area and poor free school catching during two months period, respectively. The analysis on fishing area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fishing in the high sea was about 85% although the FAD closure area included the EEZ zone in coastal countries; the rise of the fishing license in coastal countries is also believed to be a factor. In order to overcome such situations and improve catching volume, it will be possible if excellent manpower is secured, school fishing is expanded, and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catch (purse seine special: PS).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1∼9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 적응과 대학 소속감이 대학 생의 학업중단계획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대학 적응이 대학 소속감에 매개되어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에 대해 학년에 따라 대학 적응의 영향이 다르게 나 타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대학적응과 고학년 여부의 상호작용항을 모형에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적 응은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을 감소시키고 대학 소속감에 매개되어 대학생 학업중단계획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학 적응과 고학년 여부의 상호작용항은 양적인 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health problems in older adults in a comprehensive manner, including usual livinghabits, nutritional status, and society psychological factors. Research was condu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byinterviews with a test group of 316 people over the age of 65 from April 2012 to August 2012. Elderly people’s dietary intakewas assessed using NSI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by the 24-hour retrospective method, and elderly people’s feeling ofhelplessness and sense of belonging were assessed using the measuring device. Materi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Elderly people with increased age showed higher chances of being in thehigh-risk and undernourished group. Elderly with high NSI showed low intake of fat, protein, fibrin, vitamin C, E, B1, B2,Niacin, K, Fe, Zn, and Cu than those with low NSI. Findings from this comparative analysis indicate that elderly with betternutritional status showed a lower feeling of helplessness than those with poor nutritional status. Overall, elderly peopleconsumed a b road variety of foods, and social emotional stability of elderly people increased at optimal dietary levels.
백령도와 연평도의 곤충상 조사결과, 통나방과 (나비목: 뿔나방상과)의 11종이 서해안지역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그 중 Coleophora adjunctella Hodgkinson, C. chenopodii Oku, 그리고 C. kurokoi Oku는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으로 이들 종 동정에 필요한 성충과 암컷 생식기 사진을 함께 기재한다.
제주도 한라산에 위치한 국내 최대규모의 고산습지인 숨은물벵뒤 습지의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강에 속하는 세균 종의 다양성을 조사하였고, 신분류군 후보 균주 19종을 확보하였다. 신종후보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을 때 표준균주와 98.7% 미만의 유사도를 보이는 균주들을 신종후보균주로 간주하였다. 총 19종의 세균이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
제주도 한라산의 숨은물벵뒤 습지는 여러 다른 생태계에 비해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생물다양성이 높다고 여겨져 왔으나, 세균의 다양성과 새로운 종에 대한 보고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의 고산 습지인 숨은물벵뒤 습지에서 담수 및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Bacteroidetes, Firmicutes, Actinobacteria문에 속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 중 위의 3개의 문에 속하는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
Up to now only 17 coleopteran mitogenomes have been fully or near fully sequenced, but this chart does not include any complete mitogenome sequence of the coleopteran infraorder Scarabaeiformia, in which the monotypic Scarabaeoidea is included. In this study, we firstly present three scarabaeoid mitogenomes, two of which are completed and one is near completed.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Scarabaeiformia: Scarabaeidae), was determined to be 20,319 bp, the two-spotted stag beetle, Metopodontus blanchardi (Scarabaeiformia: Lucanidae), was 21,678 bp, and the incomplete garden chafer, Polyphylla laticollis (Scarabaeiformia: Scarabaeidae), which lacks sequence information from whole A+T-rich region and a partial srRNA gene was 14,473 bp. Thus, the two complete mitogenome sequences are longest among the completely sequenced insect mitogenomes, followed by the 19,517 bp-long dipteran Drosophila melanogaster.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concatenated 13 amino acid sequences of PCGs of the 13 coleopteran insects including three newly sequenced scarabaeoid successfully recovered a monophyly of suborder Polyphaga, a monophyly of infraorder Cucujiformia, a monophyly of infraorder Elateriformia, and also a monophyly of infraorder Scarabaeiformia within Polyphga. However, the Scarabaeiformia represented by three newly sequenced species was unexpectedly placed as a sister group to the Cucujiformia, instead of the placement to the sister to the Cucujiformia and Elateriformia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