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2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 simulation-based autotransfusion device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clinical performa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ost-anesthesia care unit (PACU) nurses. Methods: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study was conducted with 30 PACU nurses. The program, based on the ADDIE model, included orientation, simulation training, and debrief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validated tool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Clinical performance improved from a median of 30.00 to 43.00 (Z =−4.78, p < .001). Performance confidence increased from 31.00 to 47.50 (Z =−4.71, p < .001), while educational satisfaction rose from 26.00 to 40.00 (Z =−4.73, p < .001). Conclusions: The simulation-based program effectively enhanced the clinical performance,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PACU nurs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value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enhancing nurses’ competence in using complex, high-risk medical devices.
        4,900원
        2.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정서적 안녕을 증진하기 위한 생활지원사 의 치유적 돌봄 역할에 관한 국내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해 당 개념의 구조와 실천 가능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2010년 이후 발표된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개입 내용, 연구방법, 주요 변수 등을 기준으로 문헌을 분류·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을 위한 정서적 돌봄 개입은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었으며, 특히 음악·미술·회상치료 등은 우울감 감소와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활지원사의 정서적 돌봄 기능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고, 이들의 치유적 역할에 대한 제도적 인식과 지원은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 는 생활지원사의 치유적 돌봄 가능성을 이론적·실천적으로 조망함으 로써, 돌봄서비스의 질적 전환과 정책적 기반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6,700원
        3.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a nursing simulation learning module for caring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on nursing knowledge, clinical competence, team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with 36 students (18 per group) assigned to either a simulation group or a lecture group. Data collected from June 8 to July 13, 2024,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Results: Nursing knowledge showed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F=1.32, p=.260) but improved over time (F=8.24, p=.007). Clinical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 (F=58.33, p<.001). Team psychological safety (t=2.70, p=.012) and learning satisfaction (t=2.27, p=.030) were higher in the simulation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imulation-based educational strategies in nursing curricula. The module may also be applied to the training of novice nurses in clinical settings,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d nursing education and improved clinical practice.
        4,600원
        4.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고령사회의 도래와 함께 기존의 시설 중심 돌봄체계는 한계를 드러 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사회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체계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커뮤니티 케어라는 명칭으로 2018년에 도입된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은 2019년부터 선도사업이 추진되었으며, 2026년 전국 시 행을 앞두고 있다. 이 정책은 노인이 살던 곳에서 자율성과 존엄성을 유 지하며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정책 전환 국면에서 불교노인요양시설이 직면한 한계를 비판한다. 특히 다수의 불교계 요양시설이 위탁운영 형태로 운영되고, 불교 철학과 가치를 프로 그램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에 이 논문 은 단지 제도적 보완을 넘어, 불교적 돌봄 철학에 기반한 실질적 전환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의 배경과 추 진 과정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돌봄 개념을 철학적으로 재구성하여 연기 적 돌봄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한다. 연기적 돌봄은 불교의 연기, 자비, 공의 사유에 기반하여, 돌봄을 타자의 결핍을 보완하는 기능적 행위가 아 닌 존재의 상호의존성에 기반하여 상생과 공존을 실현하는 사회구성원리 로 심화하는 접근이다. 모든 생명이 관계망 속에서 서로를 돌보며 존재한 다는 전제 아래, 돌봄은 사회구성원리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불교노인요양시설의 운영과 실천 방향을 지역사회 내 돌봄 공동체 거점 으로 재정립하는 데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사찰은 종교 수행 의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의 사회적 기반구조로 기능할 수 있으며, 불교노 인요양시설은 사찰과의 협력을 통해 돌봄 제공자와 수혜자가 상호 주체 로 참여하는 공동체적 돌봄 생태계의 중심이 될 수 있다.
        8,600원
        5.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respiratory emergencies in critically ill,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s). Methods: A single-arm quasi-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32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nurses. The program was developed systematically using the ADDIE model, incorporating needs assessment, real-case scenario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were analyzed using paired and independent t-tests, as well a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Scheffé post-hoc tes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rticipants’ problemsolving ability (t = -3.49, p = .001), clinical performance confidence (t = -4.64, p < .001), and overall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t = -13.79, p < .001) following the training. The clinical relevance and feasibility of the program were supported by pilot testing and positive evaluations of the practicality and educational usefulness of the simulation scenario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imulation-based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NICU nurses’ clinical competence in managing respiratory emergencies in ELBWIs and can be used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traditional on-the-job training.
        4,600원
        6.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s the length of stay for rehabilitation and medical care services for occupational injury patients continues to increa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alternative solutions that can support the corporation's efforts to develop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s in response. Objectives: By analyzing the most frequent diseases among occupational injury patients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comparing the average length of stay (LOS) for each disease by disease type, occupation, gender, and type of accident, it is expected that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s for occupational injury patients can be identified. Furthermore, when applying the developed treatment programs, a reasonable LOS can be derived. Design: Patient clinical data lab. Method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1, data from 292,423 occupational injury patients who submitted their initial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s to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KWCWS) and received approval for their occupational injuries were de-identified. After data preprocessing, the cases were categorized by diagno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cel ver. 21.0. Results: In the int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ss, inpatient and outpatient care show a very strong correlation with r=0.8817, followed by the total number of treatment days (r=0.6431) and the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r=0.644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pplication criteria for injury groups that significantly impact the average medical care days and medical care benefits of industrial accident patients. These criteria should consider factors such as exceeding the average length of medical care for specific injury groups (orthopedic/neurological), gender differences (female patient group), discrepancies in inpatient and outpatient medical care benefits, the proportion of high disability grades (Grade 1-3), common injury (accident) types, and the top 1/2/3 associated injury groups by occupation type. Based on these criteria, simultaneous management of the provision timing of rehabilitation service programs and the average medical care days for the 50 most common injury groups is required.
        4,000원
        7.
        2025.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ICT)이 재가노인 돌봄에 미치는 긍정 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 안 전성, 삶의 질 향상과 돌봄 제공자의 효율성 증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K도 G군에서 디지털 돌봄을 받고 있는 재가노인 16명과 ICT 기술 활용 경험이 있는 돌봄 종사자 16명이다. 연 구 기간은 2024년 12월 25일부터 2025년 1월 31일까지(약 2 개월)였으며, 연구 결과 ICT 기술은 고령자의 건강 관리와 사고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건강 관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ICT 기술은 자율성 향상, 신체적·정신적 건강 개선, 여가 및 사회적 참여를 유도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였다. 사회적 고립감 해소 측면 에서도 ICT 기술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외로움 극복에 도움을 주었다. 더불어 ICT 기반 돌봄 서비스는 돌봄 제공자의 업무 효율성과 경제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ICT 기술을 활용한 돌봄 시스템의 확대 및 발전의 필요 성을 강조하였다.
        7,000원
        8.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교사의 탈진 예방과 극복을 위한 멤버케어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초점은 멤버케어의 전략으로써 생활습관 교정과 푸드테라피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선교사는 새로운 문화적 환경에서 고립감, 언어 장벽, 생활 여건 변화, 과로 등으로 만성적인 스트레스와 탈진에 노출되기 쉽다. 이러한 탈진은 신체적, 정서적, 영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역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한다. 생활습관 교정은 규칙적인 운동, 수면 관리, 건강한 식습관, 스트레스 완화 기법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신체적·정신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푸드테라피는 면역력 강화와 탈진으로 인한 질병 치유를 돕는 영양소 및 식품을 섭취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신체적·정서적 회복 을 촉진한다. 본 연구는 생활습관 교정과 푸드테라피가 선교사의 탈진 완화와 건강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제안한다. 또한, 이를 멤버케어 전략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이 고 체계적인 멤버케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6,900원
        9.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치매를 초고령사회에 나타날 중차대한 복합적 사회문제로 보고, 치매 치료와 극복을 위한 세계공통(WHO, 네덜란드 호그벡 마을, 일본 등) 방향과 결을 같이 하면서 현재 한국 상황에도 맞는 교회적 접근과 돌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치매에 대한 세계공통방향이 기술중심케어보다 인간중심케어라는 것과 함께 우리나라 치매정책과 한계점을 살피면서 개선점에 대해 논한다. 분명한 것은 국제적 입장에서 WHO도 치매가 장기적이면서 고비용의 초국가 적 질병임을 알아 각 회원국의 치매 대응능력 강화와 치매 관련 사회·보 건 시스템 전반의 역량 증진을 목표한다는 점이다. 이에 각국도 국가 차원의 민관 협력을 유도하는 중이다. 따라서 본고는 치매 문제를 실제적이고 효과적이면서 기독교적인 치료와 극복을 위해 프로스트와 허쉬가 말하는 성육신적 접근의 주요 특징에 기반한 네 가지, 곧 전인적, 환경적, 활동적, 자생적인 성육신적 접근과 돌봄 전략을 제시한다.
        9,200원
        10.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8년 노인수발의 사회화를 기치로 출범한 장기요양보험이 올해로 17년째를 맞이한다. 장기요양보험은 나름의 의의와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수발서비스 상업화를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주목해 ‘장기요양보험이 왜 이런 평가를 받게 됐는지’ 그에 대한 하나의 설명을 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질적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사례연구방법에 기초하여 장기요양보험 법제화(도입) 이후 심화된 수발서비스의 상업화를 분석한다. 특히, 서비스 제공기관인 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그 전개와 양상, 맥락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장기요양보험 법제화 이후 다음의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기요양기관 난립으로 인한 경쟁이 격화되었고, 보조금 방식이 폐지되고 수가 방식 도입되었으 며, 수익과 효율성 중심의 기관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고, 정부의 하향식 제도 운영으로 서비스기관들의 상대적 자율성이 미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과 분석결과는 한국 장기요양보험의 발전과 조망을 돕고, 향후 제도의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8,700원
        11.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일은 지난 1995년 공동체 또는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의 삶을 보장하고자 사회보험 방식에 수발보험 을 도입하여 2025년 현재 30년의 시간을 맞이하였다. 수발보험 시행 20년 이후 소위 수발강화법 (Pflegestarkungsgesetz I, II, III)을 통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나름 해결해 왔기에, 본 연구는 독일의 공적 수발보험 개혁에 초점을 맞추고 수발보험의 형성 역사와 발전에 대한 개요를 인구 변천과정에서 살펴보면 서 다양한 수발급여와 등급판정 및 수발인력의 고용관계 상황을 파악해 보았다. 특히 2023년 최신 수발보 험 개혁을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여 독일의 경험을 통한 우리의 개혁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6,000원
        12.
        202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외모관심도와 자기표현 욕구가 자아존중감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 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 기간은 2024년 8월 1일부터 2024년 9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표본 2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고 리커트 5점 척도 를 사용하였다. 첫째, 여고생의 외모 관심도와 자기표현 욕구는 모두 자아존중 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모관심도 와 자기표현 욕구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여고생의 자기표현 욕구가 외모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표현 욕구가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셋째, 여고생의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 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부모나 교육자는 여고생들이 외모관리행 동에 대한 올바른 판단하에 외모관심과 자기표현을 과하거나 지 나치지 않게 표출하여 자아존중감 및 외모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만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여고생들은 질풍노도의 사춘기 단계에 있고 감정조 절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기표현 단계에서 부정적인 감정에 휘말 릴 수 있으며, 따라서 부모나 교육자는 솔직한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열린 자세로 외모에 대한 건강한 인식과 올바른 개념을 정 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8,400원
        1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 19를 비롯하여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종감염병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의 코로나 19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감염병 안전관리 활동 촉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진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요양보호사 302명으로 자 료수집은 2022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 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코로나 19 인지도(r=.420, p<.001), 감염 예방행위(r=.5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고,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으로 코로나 19 인지도(β=.331, p<.001)와 감염 예방행위(β=.529, p<.001)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4.3%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촉 진시키기 위해서는 코로나 19 인지도와 감염 예방행위를 고려한 환자안전관리 활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4,600원
        1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인을 위한 ICT 기반 지역사회 돌봄기기에 관한 선호유형을 분석하 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인터넷 조사, 아이템 개발자 면담, 돌봄 실무자 면담, 박람회의 사진 자료 수집 등을 통해 Q모집단으로 71개 항 목을 수집하였고 전문가 2명의 대표성 평가를 통해 41개의 항목을 Q표 본으로 선정하였다. Q분류에는 ICT 기반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이 7명, 서비스 제공자 14명, 그리고 ICT 돌봄에 관한 연구, 개발, 기획 등 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12명 총 33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KADE를 활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설명력은 34%로 나타 났다. 요인 1은 자율성 중시형, 요인 2는 정서적 교류 중시형, 요인 3은 신체적 지원 중시형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ICT 기반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돌봄기기의 선호유형은 사용 목적과 주요 가치 등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돕는 다양한 ICT 기반 돌봄서비스 개발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7,8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의 현황 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자립준비청년은 원 가정에서 분리되어 국가의 보호를 받다가 성인이 되어 보호가 종료된 뒤 자립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청년들을 말하며, 이들은 경제적, 교육적, 심 리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건 복지부 중심의 자립지원정책이 2019년부터 본격화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와 논의들은 자립지원정책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 다. 본 연구는 정책자료와 학술자료를 바탕으로 자립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립지원정책은 부처 간 지원 내용에서 차이가 있었고, 이는 자립준비청년 간 자립역량과 자립수준의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현 정책은 청년이 된 이후의 지 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청소년기부터 개인별 자립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로드맵이 부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의 개선 방안으로, 자립지원 전달체계의 통합과 자립지원 방식의 다 각화를 제안하였다.
        9,200원
        16.
        202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여성 주민에 대한 안면마사지 서비스 품질이 관 리 효과와 관리 만족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 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거주 경로당 이용 여성 주민을 대상으로 2024년 09월 10일부터 2024년 10월 10일까지 최종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여 SPSS 25.0과 AMOS 25.0을 프로 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노화로 인해 보이지 않는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자 아 존중감이 약화 된 노인 여성에게 안면마사지 프로그램은 그 건강성과 역동성을 회복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스트레스를 완화 시키고 자아 존중감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나아가 성 공적인 노화 및 안면 개선을 통해 적극적인 인간관계 개선 및 삶 의 질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효과적인 모델로 제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7,000원
        17.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포천노인복지센터에서 2022년도에 경기특화사업으로 실행한 ‘융복합 재가노인 맞춤형영 양지원사업’의 연속으로 고령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집합교육 및 치과내원, 재가서포터즈단을 활용한 재택멘토링 교육 등 구강관리사업 수행 사전, 사후 측정과 비참여집단과의 비교 결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고 정성적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한다. 연구대상은 포천노인복지센터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수혜자 중 사례관리를 통해 30여명을 선정하여 먼저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정규분포성으로 Shapiro-Wilk 활용 결과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10개월 사업기간 전후반에 설문을 통해 실행되었으며, 비 참여자의 경우 사업 종료후 에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의 실험1에서는 참여 전체집단(N=30)은 고령으로 인한 정규분포성 불안정과 소수 집단으로 비모수통계 Wilcoxon(W)로 사용 척도에 대해 사전/사후 차이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2에서 참여 틀니집단(N=17)과 비틀니집단(N=13)의 사전비교와 사후비교 차이는 동질성 Levene(F) 확인 후 두 독립표본의 Mann-Whitney(U)를 활용한 결과로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구강관리사업 참여 전체집단(N=30)과 비참여 집단(N=30)에 대한 추후 구 강보건인식 척도를 동질성 Levene(F) 확인 후 두 독립표본의 Mann-Whitney(U)를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정성적인 평가로 각 단위프로그램별 진행과 성과에 대해 FGI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저소득 고령재가노인의 구강관리 인식 미흡으로 표본집단의 정규분포성이 불안정하 며 위드코로나 고려 소수 재가서포터즈단이 재택멘토링을 수행하였기에 비모수통계방식 적용 및 일 부 영가설이 기각되지 않아 효과크기(Effect Size)를 적용한 검증으로 사업에 효과가 있음을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7,000원
        18.
        2024.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공립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 를 분석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과 직업적 웰빌의 매 개적 역할을 검증하여 보육사의 전문성 증진을 통해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G시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스트레핑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결 과. 첫째,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이 높다고 인식 하는 교사일수록 직무열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어 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심리적 웰빙 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성리더십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직업적 웰빙이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을 위 해 중요한 인적자원인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체계적인 인 적자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6,700원
        19.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들 변인의 관계에서 조직윤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의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7.0과 AMOS 2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 의 기술통계와 연구모형에 대한 관계 규명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02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장기요양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도덕성, 공정성, 사회적 책임성은 조직유효 성에 정(+)의 영향을, 개인적 책임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장기요양시 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윤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장 기요양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윤리는 매개효 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장의 윤리적 리더십을 통하여 장기요 양시설 종사자의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6,900원
        20.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In thi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urses providing end-of-life (EOL) care in an emergency department (ED) setting and identify the associated challenges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Methods: Twelve nurses with over 1 year of EOL care experience in the ED were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s outlined by Braun and Clarke. Results: Five main themes with corresponding subthemes were identified: (1) Inadequate Environment for EOL Care, including physical environment barriers for a dignified death and emotional restraint in a chaotic setting; (2) Impac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Complexity, encompassing complicated dynamics of family decision-making and compromised care qualit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3) Managing Care Relationships in Physician-Limited Settings, manifested as navigating limited physician communication and bearing the emotional weight of EOL care; (4) Challenges in Protecting Patients’ Rights, characterized by powerlessness in the face of silent patients and confusion from reversed decisions by families; and (5) Actualizing Compassionate EOL Care, ensuring dignity through purposeful actions and navigating environmental barriers to dignified care. Conclusion: We highlight the need for systematic changes in the ED to better support EOL care,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ly sensitive communication protocols, shared guidelines for decision-making, and improved collaboration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enhancing EOL care in EDs.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policy changes, tailored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that address the multifaceted needs of patients, families, and healthcare providers.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