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range of sodium reduction acceptable to consumer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food and nutrition experts and franchise restaurants to reduce sodium in franchise restaur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sequentially in 2018 using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development of low-sodium pizza. Sodium content of low-sodium pizza was then analyzed along with preference evaluation of low-sodium pizza. Results of expert interviews showed that gradual sodium reduction was desirable. Sodium-reduced pizzas were manufactured using sauces and toppings that gradually reduced refined salt and soy sauc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sodium contents of pizzas were reduced by 5.3%, 7.9%, and 12.7% in the experimental groups P1, P2, and P3,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87.43 mg/100g).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ntensity of pizza taste, saltiness and greasiness were lower in sodium-reduced pizza group, while sweetness and spiciness were higher. The preference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sodium-reduced pizza were the highest for pizza with a 12.7% reduction. A 7-12% reduction in sodium in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pizzas had no effect on taste preference. It is viewed positively by consumers. Thus, such reduction can be applied at a realistic level in franchise restaurants.
        4,300원
        4.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선택실험법을 통해 수집한 진술선호자료를 기반으로 세 가지 모형을 이용하여 축산물(쇠고기, 돼지고기 제품)의 이력추적성과 원산지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쇠고기의 경우 한우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대비 이력추적성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비율이 92~97%로 매우 높았다. 돼지고기의 경우에는 한돈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금액 대비 추적가능한 속성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비율은 약 76~82%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소비자들이 국내산 육류 제품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어느 정도 식품 안전 속성(추적성)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축산물 이력제가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4,500원
        5.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I recommendation service is adopted in consumption consulting such as high-tech and fashion consumption (Thapliyal & Ahuj, 2021). Now, for high-tech and fashion products, the advance selling strategy is widely adopted. Thus, this study targets to detective the consumers’ preference toward AI agents comparing human agents under advance selling and spot selling.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consumption type: Pre-sale Products vs. Spot Products. Pre-sale Products are quite popular currently, especially technological products. Construal-level theory (CLT) offers a valuable framework to explain the mechanisms that trigger evaluations, predictions, and behaviors by linking the degree of mental abstraction (the construal level) to psychological distance (Trope & Liberman, 2000; 2003; 2010). Four dimensions including temporal, special, social, and probability distance are argued to present the psychological distance (Trope et al., 2007). Liberman et al. (2022) discuss the time distance and argue the distant-future events are represented in a more abstract, structured, high-level manner than near-future events. Kim & Duhachek (2020) draw on a dimension of persuasion by AI agents to posit that AI agents are perceived as low-construal agents because of the fact that people hold a lay theory that AI agents do not have superordinate goals and cannot learn from their experiences or possess consciousness like humans do. Consequently, they find that individuals perceive greater appropriateness and are more persuaded when an AI agent’s persuasive messages highlight low-construal as opposed to high-construal features. Moreover, consumers prefer abstract information related to a certain product rather than concrete information when a purchase is to take place in the distant future or when construal levels are high (Hernandez et al., 2015). Thus, this research hypothesizes: When consumers buy pre-sale products (vs. spot products), human agents will be the more favorable service provider than AI agents since the consumer is under a high level of construal. This research proposes to adopt a 2 (Advance Selling vs. Spot Selling) x 2 (Short Psychological Distance vs. Far Psychological Distance) x 2 (AI Agents vs. Human Agents) between groups experimental study to test the main effects and mechanism (H1).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identify the key moderating effects to discuss the boundary effects of the mechanism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with AI services for managers.
        8.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skateboarding pants. From the Chinese skateboard club SNS, 126 skateboarders in their 20s and 30s were chosen to participate in a survey. Data was gather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May 14 to May 28, 2021, and then analyzed using SPSS 23. The results concerning production were as follows: clothing siz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six stages: XS, S, M, L, XL, and 2XL. The silhouette is wide, and most pants have e-bands and normal hems. The pants are made from cotton-blend fabric, which is mostly moistureabsorbing and quick-drying. Baggy pants are preferred by skateboarders, with cotton being the most common fabric. The crotch, knees, and buttocks of pants are the least satisfying for skateboarders. When they skateboard, their ankles sustain the most injuries, followed by their knees and wrists. In the survey of consumers’ preferences for skateboarding pants, different styles were rated in the following order: straight pant silhouette, ribbed knit and string waistband design; full-rise waist height, string hemline design; and ankle-high pants length (fit), fabric and design. The hygroscopicity and ventilation of the fabric are crucial considerations when purchasing pants. In terms of color, chromatic and pastel colors are most popular. In addition, some people expect new fibers to be used and expect protective equipment and pants to be integrated.
        4,900원
        9.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preference of Korean menu for different cooking water. Mineral water (MW) and bottled water (BW) were used as cooking water. Sensory attributes were derived by qualitative evaluation, and preference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duo-trio test and 9 point likert scale. Mechanic properties were also evaluated. For the sensory attribute, properties such as tough, greasy, glossy, salty were derived when cooked with MW. For consumer preference, overall taste, aftertaste, and degree of sticky of ba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W than in BW (p<0.05). The preference for the rich flavor of sagol broth (p<0.05)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W than in BW. Preference for taste and flavor of omija-hwachae was higher than BW (p<0.01).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test, food material boiled with MW showed higher property for cohesiveness and gumminess (p<0.05). In conclusion, cooking water with high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has been evaluated to enhance the palatability of Korean menus such as bap and sagol broth, and thus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Korean menus can be applied. This suggests that dietary calcium and magnesium intake can be increased by using cooking water with a high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4,000원
        1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졸업식, 입학식 시즌에 생화 꽃다발 상품에 관해 소비자 인식과 구입 특성을 알아보고자 10세 이상의 내국인 남, 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졸업, 입학식 시즌의 꽃다발 상품 구입 이유에 관한 설문 결과, 특별한 날이기 때문에 가족,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기 위한 능동적인 구입 형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유치원 및 대학교 졸업, 입학식에 비해 초, 중, 고 졸업, 입학식 에 꽃다발 구매 경험이 더 많았으며, 주로 행사 당일 1~2시간 전에 노점에서 상품을 구입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꽃다발 가격과 크기는 1~5만원 사이의 중간 (21~50cm) 크기를 선호하였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꽃다발 가격 결정 요인으로는 꽃다발의 품질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였고, 선호하는 절화의 특성은 전제적인 디자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소비자가 선호하는 절화 특성으로는 10대는 30대 이상 연령에 비해 선명하고 화려한 색의 절화를 선호하며, 30대가 20대보다 화형이 큰 절화를 선호 하였다. 꽃다발 상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는 가격에 대한 신뢰와 절화수명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다발 대체상품으로 보존화, 건조화, 조화 등을 구입하는 비율은 낮았으며, 대체상품을 구입하는 일부 소비자들은 생화보다 오래 볼 수 있으며 관리가 쉽기 때문에 구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절화상품 인식 제고를 위해 절화 가격 및 구매 후 관리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카메룬은 인구증가와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쌀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가이다. 농업이 시장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소비자들의 선호 역시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룬 북서부의 Mezam과 Ngo-ketunjia 지역 소비자의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특히 카메룬에서 소비자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Mezam와 Ngoketunjia Divisions of the North West Regions 라는 사례연구와 함께 살펴보았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주요 시장 지역들에 걸쳐 300명의 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회 경제적 요소들, 유도된 소비자 행동이나 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항식 기호 논리학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소비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쌀의 품질이나 시장 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소비자들은 오직 지역 쌀만 먹는 부류, 오직 수입된 쌀만 먹는 부류, 지역 쌀과 수입쌀을 모두 먹는 부류의 3가지 구매 형태를 나타냈다. 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회경제적 요소로는 소비자의 소득, 교육, 직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요소는 맛, 향, 질감, 도정 후 낟알 색의 흰 정도였고, 시장 속성에 관해 소비자의 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쌀의 출처와 구입 가능성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2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볼 때, 생산성과 쌀 품질에 관한 차원은 카메룬의 쌀 소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 할 수 있었다.
        4,300원
        1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는 소비자 기호도가 빠르게 변화하는 화종으로서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고 로열티 지출 부담을 줄이고자 전북농업기술원에서 향기가 있고 수량성이 우수한 절화용 복색 스탠다드 ‘Blondie’를 육성하였다. 2013년 ‘Regato’를 모본으로, ‘Cherry Brandy’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한 후 74개 종자를 획득하여 53 실생 개체를 얻었다. 2014~2015년 특성 평가를 통해 개화가 균일하고 향기가 있으며 생산성이 우수한 ‘R132093-45’ 계통을 선발하였고, 2016년부터 2년 동안 특성검정, 기호도 평가 및 생산력 검정을 통하여 ‘Blondie’ 품종으로 육성하였다. ‘Blondie’는 오렌지와 살구색 복색 화색(O24C, R36D)의 겹꽃 스탠다드 계열로 향기가 있고, 신초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강하게 발현되며, 엽 형태는 중간 타원형, 엽색은 진한 녹색(N137A), 잎 표면의 광택은 강하다. 꽃 모양은 불규 칙한 원형이고 꽃 측면에서 본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모두 평평한 고유특성을 가진다. ‘Blondie’의 소화폭은 9.4cm로 대조 품종(‘Hera’)보다 작고 꽃잎수도 36.7개로 적었으며, 가시 발생 정도, 절화장, 경경 및 엽 생육은 유사하였다. ‘Blondie’의 절화 수명과 기호도 평가는 대조품종인 ‘Hera’보다 우수하였으며, ㎡당 연평균 절화량은 150.3본으로 대조품종보다 18.4본 더 많았다. ‘Blondie’ 품종은 2019년 7월 22일 신품종보호권이 최종 등록(등록번호: 제7824호)되었다.
        4,000원
        1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패션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소재와 세탁 등의 전문적 정보의 제공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소비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QR코드 적용 시 요구되는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선호를 조사하였다. 타 연령대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아 비대면 정보교환의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20대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현행 라벨을 통한 의류제품의 정보제공 방법에 대해서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불충분한 정보제공, 전문적인 용어 사용, 세탁 기호의 불확실함이 불만족의 요인이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QR코드는 패션제품의 관리 정보제공의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응답자들은 아웃도어, 패딩, 정장 등의 고관여 의류 상품과 신체에 닿는 언더웨어류에 대해서 자세한 세탁방법, 사용 및 보관 시 유의사항, 소재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 했으며 캐주얼웨어, 코트에 대해서는 제품을 활용한 SNS 데일리룩, 제품과 어울리는 다른 상품, 비슷한 아이템의 추천 등 스타일링이나 의복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싶어했다. 따라서 QR코드를 이와 같은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한 웹사이트 또는 SNS의 연결수단 으로 사용한다면 소비자들의 정보추구 욕구의 충족과 함께 현명한 제품 사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초 연결시대 패션제품의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4.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파키스탄인을 중심으로 각각 다른 유형의 육류에 대한 파키스탄인 소비자의 행동, 인식 및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국에 거주하는 파키스탄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에 응한 응답자 중 423 명의 설문지를 토대로 빈도분석과 다항로짓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닭고기가 가장 선호하는 고기 (38.3 %)로 나타났으며, 양고기 (25.5%), 어류 (24.3%), 쇠고기 (7.3%)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남성이 62.9%, 연령대는 30-40세가 51.4%로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나이, 신앙수준, 제품포장, 영양가, 감각적 특성 (맛, 냄새, 냄새, 색) 그리고 할랄 인증 유무가 각각의 육류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by analyzing the consumer preference for low-sodium instant noodle ramen, which has a sodium content of 1,730 mg or les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such low-sodium ramen, this study examined how much consumers would pay through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by conjoint analysis. This study surveyed 1,004 men and women in their 20 s and 50 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years in Korea using an online survey. If the price of conventional instant noodle ramen is KRW 4,000 (approximately USD 3.57) per 5 packs for one pack of 5 servings in a supermarket, this study surveyed how much more they respondents would pay if the sodium was reduced by 10.0, 20.0, and 30.0%. The study found that if sodium was reduced by 10.0, 20.0, and 30.0%, the respondents would pay as much as KRW 4,180, KRW 4,307, and KRW 4,515, respectively. The attributes of low-sodium instant noodle ramen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dium reduction, vegetable protein ingredients, brand, where to buy and price with each level. The Marginal Willingness To Pay (MWTP) was analyzed as follows. If the sodium content of ramen soup is reduced by 1.0%, the amount that can be paid would be KRW 105.78. Respondents could pay KRW 1,673 more for famous brand ramen than an unknown brand rame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when a new product is developed and released,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sales of the new product by understanding the foreseeable value that consumers could pay for and realize the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4,000원
        1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외 여건으로 침체되고 국내 인삼산업 활성화에 필요한 인삼가공식품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대표 인삼제품인 홍삼토닉의 소비자 선호속성을 선택실험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선호속성으로는 재배연근, 우수농산물(GAP) 인증 여부, 당류함량, 가격이 포함되었으며 총 1,796개의 실험에 대한 답변을 취득하여 각 속성에 대한 가치를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6 년근 원료를 사용하여 우수농산물(GAP) 인증을 받은 저당도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화폐가치로 환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5년근 대비 6년근 원료를 사용한 제품에 약 94,000원, GAP 인증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약 89,000원, 당을 1g 줄인 경우 약 5,000의 추가지불의사금액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 라서 단기적으로 GAP 인증된 6년근 원료를 사용한 저당의 제품 개발이 필요하며, 인삼 GAP 인증에 대한 지원과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삼 농가 생산성 개선을 위해 저년근 인삼 효능에 대한 과도한 저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장기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sumers tend to anthropomorphize brands and treat products under the anthropomorphized brands as if they were human beings. Previous research has pointed out that there could be two kinds of anthropomorphized brands, i.e., servant and partner brands and claimed that typical consumers (non-materialists) prefer brands-as-partner, whereas materialists prefer brands-as-servant. Howeve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1)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only brands-as-servant and brands-as-partner and brands-as-master have been ignored; and (2) they have regarded materialists as a unidimensional construct, though it can be divided into instrumental and terminal materialists. Thus, we conducted multiple comparison tests among the three kinds of anthropomorphized brands with a dataset of three kinds of consumers. The results showed that non-materialists, instrumental materialists, and terminal materialists prefer, brands-as-partner, brands-as-servant, and brands-as-master, respectively.
        18.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stud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a variety of WOM and mass communication activities on the means and on the variances of individual preference parameters. Analyzing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on the means of individual preference parameters provides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how much WOM and mass communication activities increase or decrease consumers’ preference parameters. Such a study helps us better understand how communication activities influence consumer heterogeneity. This raises a new question: “Do WOM and mass communication activities make consumers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in terms of their product preferences?” This important question has not been previously addressed in the marketing literature. We propose a two-level choice model using a hierarchical Bayesian probit to incorpor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mass and WOM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the proper interaction between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product attributes. Using actual movie choice data, we analyze the effects of WOM communication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of mass communication activities. Furthermore, we measur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ommunication and product attribute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we provide relevant managerial guidelines about communication activities.
        20.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owadays, Korean culture affects fashion cultural industry. Furthermore, art and fashion collaborate considerably more now than in the past. Korean fashion experts and fashion cultural industry have mainly focused on global tourist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promote the image of Korea synthesize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raits of the Korean culture (Cho, 2007), which reflects cultural and economic values. Hallyu, which means ‘Korean Wave’, has been a popular trend of Korean cultural contents on the global market. The target market of the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has mostly targeted global tourists. However, traditional products dominate over a few contemporary products on the Korean cultural product marke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that are designed and reinterpreted in our times. When these designs become available on the market, they can excite more interest both in the fashion industry and among the consumers. This will help highlight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of the present-day Korean cultural produ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effects of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attributes on consumer response and consumer behavior. Contemporary Korean fashion clothing attributes are divided to Korean culture, fashion/practicality, creativity/uniqueness and design/aesthetic traits. Consumer response is to see the affective and cognitive response. Also, consumer behavior is to se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study, the data was us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SPSS, 21.0 and Amos 18.0 was us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esting the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ed fashion/practicality, creativity/unique attributes had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response and creativity/unique, design/aesthetic attributes had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response. In addition, affective and cognitive response had positive effect on preference but only affective response had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Lastly, preference had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ould stimulate the expans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contemporary design market. However, as a limitation of research, limited category of product was used so more various kinds of fashion category can be used for the future research.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