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집약적이고 장기적인 양식어업 활동은 많은 양의 유기물을 발생시켜 퇴적환경과 생태계를 악화시켜왔다. 정부에서는 양식어장 의 환경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 어장관리법을 제정하였고 이를 근거로 2014년부터 어류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어장환경평가가 실시되었 다. 따라서 어장환경평가를 위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저서다모류 군집과 양식장의 주 오염원인 유기물의 관계를 이용한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BHI)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의 개발 과정과 계산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는 국내 연안역과 양식장에서 출현한 225종의 다모류를 대상으로 퇴적물 내 총유기탄소량의 농도 구배와 종별 분포특성을 연관지어 4개의 그룹을 나누고, 각 그룹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계산된다. 저서생 태계 건강도지수를 이용하여 저서동물군집을 4개의 생태등급(Grade 1: Nomal, Grade 2: Slightly polluted, Grade 3: Moderately polluted, Grade 4: Heavily polluted)으로 나누었다. 개발된 지수를 현장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평가방법인 다양도 지수나 국외에서 개발된 AMBI와 비교해 보 다 정확하고 계절의 영향을 적게 받아 우리나라 환경을 평가하기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를 사용하면 어장환경을 정량화된 수치에 따라 등급화 할 수 있어 양식장 환경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800원
        2.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AEA safety standards document and international programs (such as BIOMASS)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the biosphere around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including Spent Nuclear Fuel) repositories require the assessment of the biosphere to use the assumption that the current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society will be maintained, and at the same time, the evolution of the distant future changes also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Korea, which has not designated candidate disposal sit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predict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chang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out Korea and apply it practically to Biosphere assessment (for BDCF derivation) for candidate disposal sites suitability assessment and Safety Case (for performance assessment) preparation for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post-closure management. To this end,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fields of Topography, Geology, Soil, Ecology, Weather and Climate, Animals and Plants, Hydrology, Ocean, Land-use, etc. and human society in the fields of Population Distribution, Spatial-Planning, Urban Form, Industrial-Structure, Lifestyle etc. are being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current status, past change records, and future change potential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summarizes those investigations to date. This study referred Biomass-6 [IAEA] and National Atlas I (2019)/II (2020)/III (202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of the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빌딩풍에 의한 시설물 및 인명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짐과 같이 건물 주위의 풍속 가속화로 인한 보행자 안정성 확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풍환경은 도시의 과밀화와 건축물의 고층화를 통해서도 변화하지만, 기존의 노후화된 건축물의 재건축으로 인해 서도 변화한다. 풍환경의 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건물 설계 단계부터 풍환경 평가가 되어야 하며, 풍환경 평가 방법에는 풍동실험과 CFD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저층 주거단지가 중고층 아파트단지로 재건축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주 변 지역의 보행자 풍환경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 지역의 풍속 및 풍향 특성을 분석하고, 전산유체역 학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기존 단지와 재건축 단지로 발생하는 보행자 풍환경을 해석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를 이용하여 임계 보 행자 풍속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한 공간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재건축이 보행자 풍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4,500원
        5.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afety assessment of a geological disposal system is performed over a period of hundreds of thousands of years, during which the activity of radionuclides in spent nuclear fuel decreases to natural radioactivity levels. During this period, the biosphere also experiences the long-term evolution of the surface environment including climate, terrain, and ecosystem changes. These changes cause changes in the water balance, which in turn change the pathways of radionuclides in the subsurfac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se long-term changes in the surface environment for a reasonable biosphere safety assess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biosphere assessment module considering the long-term evolution of the surface environment, as a sub-module of APro (Adaptive process-based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framework). As a preceding study, the biosphere assessment module was previously developed using COMSOL for hydraulic and radionuclide transport processes, to simulate the pathway of radionuclides traveling from the shallow aquifer to the surface water body and soil. To consider the long-term evolution of the surface environment, the previous module needed to be improved to apply different water balances as boundary conditions of the module at each snapshot, which is a sub-time period divided based on the surface evolution data.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which calculates the water balance using the surface environmental data including climate, terrain, land cover, and soil type. Conceptually, SWAT calculated annual water balance considering surface environmental changes, and certain components (i.e., groundwater recharge and hydraulic head of water bodies) of water balance were transferred to COMSOL as external data to simulate the pathway of radionuclide transport and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radionuclides. At the current stage, the biosphere computational module has been developed to correspond to its conceptual model, and we plan to further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module using different surface environmental data.
        1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어린이공원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장소이나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급을 부여받은 공원 중 어린이공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여 어린이공원의 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 급과 A등급을 부여받은 어린이공원으로 선정되었다. 관련 논문과 문헌을 통해 CPTED 개념과 도시 범죄특성을 고찰하고 국내외 CPTED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CPTED 체크리스트, 이용자 행태조사,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 공원의 안전도에 있어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공원을 계획하고 조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600원
        11.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에서의 이용행위가 최근 사회발전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생태계가 가지는 환경용량을 넘어서 해양생태계의 복원력 및 저항성, 항성상 등이 훼손 또는 저하되고 있다. 이로 인해서 생태계가 가지는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생태계의 서비스와 가치 하락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훼손된 생태계를 다시 건강한 생태계로 회복하고자 하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수단으로써 복원이 관심을 받고 있다. 복원사업이 점차 확대되는 시점에서, 복원사업의 해역이용협의 및 영향평가를 시행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원과 관련된 용어를 연구논문 및 보고서를 통해서 복원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복원사업과 관련된 해역이용협의 검토 상황 및 복 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복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해역이용협의서 상의 문제점을 사례조사를 통해서 고 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복원사업의 해역이용협의 및 영향평가에 있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정책 및 계획 수립 등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1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토의 난개발을 방지하고, 자연환경 우수지역들을 보전하기 위해 국토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공간정보 기반의 환경성평가지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성평가지도 중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성평가지도에는 환경부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가 있다. 하지만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2016년 기준 전 국토의 47.1%가 보전 중심의 1등급 지역으로 구분하고 있어, 현실적인 정책적 활용과 국토의 이용 및 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현실적인 국토의 환경성 등급 세분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평가항목 중 서식처 평가, 연결성 평가, 희귀성 평가와 연관된 평가항목들의 중첩 분석을 이용하여 자연환경 우수지역의 세부적인 등급의 도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항목을 이용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를 통해 엄정, 핵심, 완충지역으로 구분 도출하였다. 평가결과 우리나라 국토대비 엄정지역 1.16%, 핵심지역 5.64%, 완충지 역은 17.39%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 도출된 엄정지역과 핵심지역의 대표사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지역들은 개발 발생 확률이 적은 국립공원, 휴양림, 백두대간보호지역 등의 보호지역을 포함한 산림지역들로 나타났고 도시지역 주변에 인접하거나 계곡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자연환경이 우수 지역들 또한 도출되었다. 이러한 국토의 환경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자연환경 우수지역의 제시와 이를 이용한 국토의 관리는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800원
        1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발과 보전 간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국토 관리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자연환경 우수지역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연환경 우수지역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자연환경 우수지역 중에서도 법적·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개발에 노출된 지역들에 대해 지속적인 현황 파악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 결과와 법제적 평가 결과를 활용한 Gap 분석을 통하여 환경생태적으로 자연환경이 우수하나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관리취약지역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Gap 분석 결과, 전국토의 4.81%와 국토환경성 평가지도 환경생태적 평가 1등급 지역의 11.22%가 자연환경적으로 우수하나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관리취약지역으로 분석되 었다. 그리고 이러한 대표지역들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자연녹지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며, 기타법률에 의거 준보전산지, 가축사육제한구역 그리고 인근 학교로 인한 상대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들이었으며, 이러한 관리 취약지역들은 여건만 조성된다면 개발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들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들의 보호를 위해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연환경이 우수한 관리취약지역의 제도적 관리와 보호 대책 마련을 통해 국내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지속가능한 국토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500원
        1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asbestos fiber in the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of a slate roofing house, and performed a health risk assessment of residents living in houses with slate roofs. Sampling was conducted at ten houses with slate roofs on 3 different days under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A high flow rate pump was used for sampling. The specimen was assessed using a phase-contrast microscope. The degree of risk of exposure to asbestos was assessed using EPA’s carcinogen risk assessment method. Asbestos fiber concentrations for slate roofing houses were 2.43 fiber/L inside and 2.46 fiber/L outside,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sbestos fiber concentration was 0.486. But on both sides, the asbestos fiber concentrations did not exceed the standard (10 fiber/L) for ambient air in Korea.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 of asbestos fiber were year of construction (p<0.05), total roof area (p<0.05) and average wind velocity (p<0.01). According to EPA’s ELCR (Excess Lifetime Cancer Risk) on air pollution substances, a level of 1.0E-04~1.0E-06 should be maintained. However, the ELCR level of 6 out of 10 houses was over 1.0E-04. Therefore, a risk management plan for residents of slate roofing houses must be prepared immediately.
        4,000원
        1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the heavy metal (Cd, As) content of fine dust in the city of Gwangyang, Jeonnam from September 19 to September 22, 2016. For cadmium, the arithmetic average was 0.21 ng/m3 (0.12~0.49 ng/ m3), which did not exceed the WHO's recommended level. The average of arsenic was 2.41 ng/m3 (0.30~142.08 ng/ m3) and the geometric mean was 11.18 ng/m3, which exceeded the WHO's recommended standard in 16 out of 24 measurements. In the case of cadmium, the CTE of male was 9.22 × 10−8 RME 1.91 × 10−7 and the female CTE was 9.44 × 10−8 RME 1.92 × 10−7, which did not exceed the EPA limit of CTE 2.18 × 10−5 RME 1.51 × 10−4 for men and CTE 2.23 × 10−5 RME 1.51 × 10−4 For women, CTE 2.23 × 10−5 RME 1.51 × 10−4 results were obtained, which exceeded the EPA's recommended limit and also exceeded the maximum allowable limit of 10-4.
        4,000원
        1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후 통일이후 북한지역의 급격한 국토개발로 인한 자연 환경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한반도의 균형 있는 국토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계획 기반의 국토계획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환경계획을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공간정보를 이용한 국토의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 작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북한지역의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연환경 우수성 평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평가에 필요한 평가항목들을 선정하고, 해당 평가항목들을 수집 및 구축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남북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자연환경성 우수지역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결과 로지스틱회귀분석 적합성 모형은 89.4%의 분류정확도가 나타났으며, ROC 분석결과 정확도가 96.1%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생태적평가와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 결과가 북한지역의 환경계획에 활용이 가능할 수 있는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평가지도의 40% 이상의 우수지역을 자연환경 핵심 우수지역으로 지정하고, 60%까지의 완충 자연환경성 우수지역으로 지정하여, 추후 단계적으로 핵심 자연환경 우수지역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1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for the level of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odel, the company(workplace) which has established improvement plan based on quantitative assessment of short-term and long-term requirements, and implemented it was acquired more higher level of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by more than the existing ones.
        4,000원
        1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value of the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with the expected exposure value drawn by using a program, thereby going to investigate whether it is available to the risk assessment of domestic workplace. We used the ECETOC TRA program which is one of the exposure predictive models. Four kinds of substances were measured in two workplace which was exposed to organic solvents and one kind of substance was measured in three workplace which was exposed to dusts and then an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 risk factors was conducted. The result value of the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solid substance exceeded standard in one site, and it was found that the other solid and liquid substances were within the standard. The value of the exposure assessment program showd the same result; it was higher than the value of the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suggesting that due to its nature, the exposure assessment program is run only on the worst situa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when the exposure assesment program is used, variables should be substituted only after accurately assessing the workplace and it is a good idea to assess the risk beforehand with the exposure assessment program in the case of the workplace which employs no more than 5 people and where it is hard to assess the working environment.
        4,000원
        20.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교통환경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표적으로 FSA, PAWSA, IWRAP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는 해상교통환경에 적합한 위험요소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기존 기술에서 위험도는 사고의 출현빈도와 이로 인한 영향의 곱으로 정의되어 이에 따라 사고의 출현빈도 및 영향에 해당되는 위험요소들이 각각 구분되어 선정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각 위험요소에 요소별 출현빈도와 영향을 포함하여 이들의 합으로 위험도를 정의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사고의 영향에 해당되었던 위험요소들을 제외하는 한편, 위험요소 분류체계에 관한 기존 연구의 사례 검토를 통하여 위험도를 구성하는 위험요소를 20가지로 추출한 후 유사한 성격에 따라 5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또한, 선정된 각 위험요소에 대하여 관련 통계자료 등을 이용 실용적으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국내 해상교통환경에 적합한 위험도 평가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