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 였다. 선행연구들은 낙인을 다양한 요인들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Phillips(2016)의 견해를 기초로 하였으며, 낙인의 하위척도로는 대중낙인, 개인낙인, 자기낙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에게 자기낙인이 대중낙인에 비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도 일치되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 첫째, 모형1에서 통제변수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투입한 결과 최종 학력, 주거, 수입이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는 성별이 부적(-) 영향을 미쳤고, 주거, 최종학력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2는 모형1에 위험요인인 자기낙인, 개인낙인, 대중 낙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설명력을 높였으며, 그 결과 개인낙인과 대중낙인에 비해 자기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자기낙인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과 직장동료 모두에서 부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모형3은 모형2에 보호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통제성은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 긍정성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재범을 억제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출소자에게 사회적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들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특히, 출소자의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타자인 가족 또는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청된다.
        6,400원
        2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성 발달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유도체육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유도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료분석을 위해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85부(95%)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1과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사회성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 발달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 발달은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초등학생에게 신체단련과 예의범절을 동시에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도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도체육관 관장들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심성을 키울 수 있는 수련 프로그램 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도의 수련층 확대를 통한 유도 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4,300원
        23.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은 직무수행과 관련된 동기 및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가 지역사회 내의 전문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전문성과 직무성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이 직무만족과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요인을 찾아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을 높이고, 임파워먼트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8,400원
        24.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tion Virtual communities have changed lifestyl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creating an internet community culture. They are a primary medium of emotional contact with others. American psychologist estimated that more than 350 million people have Facebook Addiction Disorder (FAD) (Hong et al., 2014; SickFacebook.com, 2010), some kind of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CA). An average of 728 million people use Facebook every day, and users spend much time on Facebook (Hong et al., 2014). 80.24% of university students think that Facebook is an important element of social culture (Thompson & Lougheed, 2012). VCA has been explored in psychology in the past. This study adds three psychological dimensions and sense of virtual community when investigating the antecedents of VC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direct public attention to VCA and help develop guidelines for online marketing and operation of virtual communities.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es development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CA) Many people are not aware of addictive in virtual community. While some addictive behaviors are considered mental disorders,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s found potentially addictive behavior involv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Andreassen et al., 2012), including video game addiction (Fisher, 1994), Internet addiction (Beard, 2005), mobile phone addiction (Choliz, 2010), and online addiction (Griffiths, 2012). The definition of Internet addiction remains controversial. This study defines VCA as a tendency that users forced to use and even can not control not to use for the virtual communities.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Although codependency lacks a clear definition, there are only two perspectives on codependency that are relevant to this study. First, codependency is a learned helplessness, resulting in individuals who cannot create or participat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future (O’Gorman, 1993). Second, codependency is a pattern of dysfun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social compensation theory, if people feel insecurity and negative social identity in real life interpersonal networks, they may spend more time using virtual communities as compensation. Therefore, we hypothesize: H1.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positively influences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AC). Sense of virtual community (SVC) Blanchard (2007) defined the SVC as members feel membership, a sense of belonging and attachment to the group through electronic communication. Abfalter et al. (2012) defined the SVC as members having a sense of ‘spirit of belonging together’ in a virtual community. Members are interacting more, making them develop close relationships that lead to a stronger bond (Abfalter et al., 2012; Chavis et al., 1986; Obst et al., 2002). Facebook is widely used in the virtual community, regardless of the number and use of the degree has been increasing. Thus, we conclude that high VCC will need individuals to have a desire to derive compensation from the virtual community that cannot be achieved in the real world. If people in this community have similar needs, priorities, and goals, increasing the use of Facebook will lead to an increase in VCA. We propose the following hypothesis: H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and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AC) is mediated by the Sense of Virtual Community (SVC).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and behavioral approach system (BAS) Gray (1982) proposed the most widely applied pair of systems controlling behavioral activity,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and the behavioral approach system (BAS). These are intrinsic motivation systems in charge of desire and disgust (Carver & White, 1994). They are used to measure the sensitivity of individuals to punishment avoidance and to reward acquisition. When the sensitivity of an individual toward penalty/reward is higher, their response to a stimulus is greater (Linden et al., 2007). Studies also show that Internet addiction and BIS are related (Yen et al, 2009). Thus, we conclude that high VCC will be stimulated by BIS when there is an accident or a novel experience, and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will seek to be resolved in the virtual world. Hence, Facebook users will to escape from the real environment to the virtual world, so as to addict on the virtual community. This leads to the following hypothesis: H3.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and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AC) is mediated by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BAS is based on motivations for an individual to pursue and achieve goals. BAS is more active and more sensitive to external reward clues, leading to stimulated sensory seeking behavior (Beauchaine et al., 2001). If the incentive clues appear, individuals who have high BAS are more prone to short positive emotions and approaching behavior individuals with low BAS. Thus, we speculate that high VCC will be stimulated by BAS when there is reward responsiveness or when driven in pursuit of goals in the virtual community. It will also make it more likely to engage in fun seeking in virtual communities. Thus, Facebook users deeply trapped in the virtual environment by BAS stimulation and fail to pull themselves out. Therefore, we hypothesize: H4.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and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AC) is mediated by the Behavioral Approach System (BAS). Methodology Survey development and measurement We adapted a number of scales (Abfalter et al., 2012; Andreassen et al., 2012; Carver & White, 1994; Fischer et al., 1991) and compiled a 55 item self-report scale questionnaire. Following the procedure recommended by Churchill (1979), we pre-tested the scale on 30 college student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structs. Based on the feedback, we refined the measures and ensured that all of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applicable to our research. Finally, 53 valid items were retained in the formal questionnaire. Data collection and sample profile We used a web-based survey to collected data from the Youthwant survey platform in Taiwan. This was a more effective way to search for respondents for this study. The formal questionnaires were free to answer by members of the network platform. The participants were told of the survey’s importance to trigger participant’s interest, and give a 10 bonus points as reward. A total of 22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3 invalid and 221 effective. Respondents were evenly distributed across various ages between 18 and 50 year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female (60.2%) and only about 23.1% were students. Most respondents had completed university education (60.6%). 93.6% had been used Facebook for more than one year, with 63.3% having over four years of membership. 70.6% use Facebook more than once a day and for 82.8%, daily usage is at least a half hour, while 71.0% exceed a half an hour each time they use Facebook. This shows that of all respondents were long-term users. Results The total effects are determined by testing the direct impact of VCC on VCA without the mediator constructs. The results (see Table 1)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CC and VCA (β11 = 0.572, p < 0.001), supporting H1 (VCC positively affects VAC). The mediating effect is slight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0.096 of the indirect effect is the result of the effect of VCC on SVC, which in turn influences VCA.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CC and VCA is significant as mediated by the SVC. Thus, H2 was supported. The mediating effect involves testing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CC and VCA mediated by the BI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CC and VCA (β13 = 0.488, p<0.001). VCC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s BIS (β12 = 0.493, p < 0.001). The effect of BIS on VCA is also positively significant (β23 = 0.169, p <0.05). This was confirmed by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results. The direct effect is 0.488 (t = 5.661, p < 0.001) and the indirect effect is 0.083 (0.493  0.169= 0.083) which is significant (z = 2.039, p < 0.05) by Sobel test. Thus,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CC and VCA is slightly mediated by BIS. H3 was supported. The VAF of the model is 33.70% (0.193 / (0.380 + 0.193)  100%). In this situation, a VAF larger than 20% and less than 80% can be characterized as partial mediation (Hair et al., 2014). The ƒ2 effect size is 0.117, showing that BAS has medium effects on VCA. Thus, H4 was supported. Discussion This study is a step by step quantification of how changes in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are related to changes in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CA)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one or more mediators. First, the results show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and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CA). Furthermore, we cannot deny that the sense of virtual community (SVC) has a small mediating effect o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community codependency (VCC) and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CA). The increased use of Facebook when there is a sense of the ‘spirit of belonging together’ can lead to increased tendency to virtual community addiction (VCA). The results are supported by Fischer et al. (1991) and Hong et al., (2014).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this study does not have a large sample. Second, with technology advances and use behavior changes, the popularity of virtual communities and dependency is rising. The virtual community addiction scale can only evaluate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tent variables that determine partial or complete mediation using the AVF of Hair (2014). The judgment of AVF uses rules of thumb and awaits meta-analysis of partial and/or complete mediation in the future. Finally, future research could examine virtual communities in other cultures.
        4,000원
        25.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re has been a heated discussion worldwide over tourist deviances that disrupt lives of local residents and cause damage to companies, city authoritie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Previous studies primarily turn to discrepancies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between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to explain such phenomena. Nonetheless, the possibility of people inclining to misbehave simply because they are away from home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 seek to examine factors rooted in the nature of tourism that are accountable for such phenomena. According to the definition by UNWTO (1995),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tourism is the displacement of usual environment. Tourism, therefore, is inevitably associated with surroundings of unacquainted others residing in the unfamiliar environment. Following the social control paradigm,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people are more likely to enforce social control on in-group members than on out-group members (Nugier, Chekroun, Pierre & Niedenthal, 2009). We further propose that psychological closeness between people and surrounding others would have an impact on their expectation to receive others’ social contrail and consequently their intention to engage in the counternormative behavior. Using an experimental study,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he travel condition, compared with those in the home condition, feel less close to surrounding others and are more likely to misbehave. Such effect is mediated by the perceived social contro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 and companies in the tourism sector are drawn to prevent the spread of tourist misbehavior.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ould also be discussed.
        26.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융⋅복합 제품의 확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고도화, 제품수명주기의 단축, 지식원천의 다양화 등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기업은 내부 자원만을 이용한 혁신으로 경쟁에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중소기업은 자체 기술개발의 한계와 자원의 제약으로 인해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기가 더욱 어렵다. 기업이 제품과 시장에서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혁신에 필요한 아이디어나 기술 등을 외부에서 조달하고 내부의 자원들도 외부와 공유하며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해야만 한다. 기업이 기업 내부와 외부로의 지식흐름을 활용하여 내부 혁신성과를 높이고 혁신의 외부 활용시장을 확대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개방형 혁신 패러다임은 여전히 유용한 혁신 전략이 될 수 있는 이유이다. 개방형 혁신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선행요인과 기업성과를 하나의 연구모형으로 분석하여 개방형 혁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방형 혁신의 선행요인 연구에서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충분하게 검증되지 않았던 기업가 지향성과 개방적 조직문화에 대해 그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업가 지향성과 개방적 조직문화가 개방형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기업가 지향성, 개방적 조직문화, 개방형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개방형 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우리나라 상장기업들과 외부감사기업들 중 종업원 100인 이상 5,000명 이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83개의 유효한 응답결과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했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기업가 지향성은 개방형 혁신과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기업의 개방적 조직문화는 개방형 혁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지만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개방형 혁신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개방형 혁신은 기업가 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내며, 개방적 조직문화와 기업성과 사이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7,800원
        2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전체산업에서 차지하는 서비스분야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이 실제 느끼는 감정과는 다른 표현을 하며 일해야 하는 감정노동자들의 고충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감정노동자들은 고객들에게 심한 모욕과 비인격적인 대우를 받아도 조직이 정한 감정규칙을 준수하여 항상 친절한 응대 와 태도를 유지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로 인해 감정노동자들은 심한 심리적 불안과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각종 질환에 노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자들의 직무불만족으로 인해 이직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종사원의 감정노동전략을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으로 구분하여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부조화가 직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 불만족이 파괴적인 반응행동인 태만행동과 이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감정표현규칙 몰입이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감정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8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7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내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불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셋째, 직무불만족은 태만행동과 이탈행동에 모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노동이 감정부조화와 직무불만족을 이중매개로 태만행동과 이탈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감정표현규칙 몰입이 높을수록 내면행동은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표면행동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 감정표현규칙 몰입의 조절효과가 일부만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5,800원
        2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퇴직을 앞둔 중장년 근로자의 나이차별인식이 퇴직 후 경력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나이차별인식과 퇴직 후 경력준비의 관계에서 업무장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다집단 분석을 통해 업무장애와 퇴직 후 경력준비의 관계에서 고용형태(즉, 정규직 및 비정규직)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양한 국내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중장년 근로자 372명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나이 차별인식은 업무장애와 퇴직 후 경력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장애는 퇴직 후 경력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매개효과 검증결과 나이차별인식은 업무장애를 통해 퇴직 후 경력준비 에 유의미한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로 구분한 다집단 분석 결과, 업무장애와 퇴직 후 경력준비 경로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 근로 자보다 업무장애를 겪을 경우 퇴직 후 경력준비에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 탕으로 중장년 근로자의 퇴직 후 경력준비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5,500원
        29.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내 대인 신뢰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내 대인 신뢰를 높이기 위한 선행요인과 효과성을 다룬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조직내 대인 신뢰의 선행변수로써 고몰입 인적자원관리(신중한 선발, 교육훈련, 성과관리, 고용 안정성, 퇴직관리)의 영향을 살펴보고, 결과변수로써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 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직내 대인 신뢰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이 조절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전체 모형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조 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 재직 근로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히 응답한 총 34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가 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PROCESS macro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고몰입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내 대인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째, 조직내 대인 신뢰는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몰 입 인적자원관리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조직내 대인 신뢰가 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넷째,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직내 대인 신뢰와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내 대인 신뢰를 거쳐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 행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해서도 협력적 노사관계 인식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 났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한다.
        6,600원
        30.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남녀 성별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진로탐색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 신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 수원지역의 대학생 271명으로, 남자 91명, 여자 180명이었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직업탐색효능감과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프로그램 PROCESS에서 Boots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간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진로탐색효능감, 적응유연성신념, 취업준비행동 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적응유연성신념은 진로탐색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4,800원
        3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개발의 비용과 속도가 증가하고 있는 현대의 경쟁환경에서 기술혁신을 창 출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자원 및 역량을 갖추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며 이와 같은 환경은 연구개발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식의 보호수단인 전유성이 연구개 발협력과 그 성과물인 제품혁신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동시에 이 관계를 정부 연구개발지원이 어떻게 조절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전유성이 연구개발협력을 경유하여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정부의 재무적, 직접적, 간접적 연구개발지원 각각의 유형 모두에서 공통적인 패턴을 보였다. 전유성 이 수직적 연구개발협력을 경유하여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조건부간접효과는 정부 연구개 발지원의 강도가 일정수준 이상에서 증가하면 할수록 그 효과 역시 증가하였다. 반면, 수평 적 연구개발협력을 경유한 조건부간접효과의 경우 모든 정부 연구개발지원 강도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혁신과 관련된 정부 연구개발지원 정책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절된 매개분석을 수행한 다면, 정책의 유의한 정책강도 및 그에 따른 성과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활용 은 정부 연구개발지원의 평가와 효과적인 정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6,400원
        3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internet game expecta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internet game addiction to confirm whether the acquired preparedness model which has been verified in substance addiction field could be applied to internet game addiction field, then tested wether the effect is moderated by game refusal self-efficacy. 349 gamers aged 13 above participated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oosted the positive game expectancy and then increased the risk of internet game addiction, but the effect was buffered by game refusal self-efficacy. Focused on the results, therapeutic suggestions about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4,000원
        3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current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job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afety behavior of members in organization. Furthermore, we hypothesized that safety climate functions as moderator between physical environment-job stress link.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es, 870 employees in various fields of companies were sampl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 conducted moderated mediation model analysis which cab elaborately test the significance of our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job stress mediated the link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afety behavior of members.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stress was moderated by safety climat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4,000원
        3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과 서비스 질 간의 인과관계와 두 변인 사이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직업적 정체성, 직무만족의 강화를 통해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230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결 과를 바탕으로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 족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서비스 질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만족은 직업적 정체 성과 서비스 질에 매개효과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 성과 직무만족 강화를 통해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조직문화의 개선으로 조직의 개방성 과 유연성, 신뢰성의 문화가 보다 확산되어야 하며 직원 행복 프로그램 실시 및 전문성 향상과 역량강화 를 위한 직무교육 강화를 제언하였다.
        5,700원
        35.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is conducted to support Korean game development companies to enter the MSNG market in China. According to preceding researches, the life-cycle of MSNG is under 3 months. Short-term of the MSNG's life-cycle raises the problems of low profits or deficit of companies managed to enter the Chinese market. Therefore, it needs to lead MSNG users to continuos use to extend the life-cycle. The plan to extend the life-cycle is likely to be a critical factor to be survived in Chinese market. The commitment is considered as the factor to make usage of MSNG longer by researchers. This paper also infers that the plan to keep MSNG user's commitment continuos develops their perceived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social value, with the reason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oint of view. We make a effort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through 318 data from Chinese MSNG users. Futhermore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companies consider continuos usage intention of MSNG users as the critical factor which makes a profi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from the limit of this paper.
        3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two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90 employees, the results reveals ; 1)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s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effect positivel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2)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afety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3)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4,200원
        37.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베이비붐 세대의 팀 동일시, 시청몰입, 사회적 고립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 코로나19(COVID-19) 시대에 베이비붐 세대가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또 다른 고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302명의 베이비붐 세대 스포츠 팬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이 진행되었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 방법이 활용되었다. 결과: 그 결과, 첫째, 팀 동일시가 시청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청몰입은 사회적 고립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동일시는 사회적 고립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시청몰입은 팀 동일시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베이비붐 세대가 사회적 거리두기로 겪고 있는 사회적 고립감 문제를 대면하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더불어 향후 또 다른 고립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38.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코치의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직무요 구-자원(JD-R) 모델에서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측면을 밝히려는 동기적 과정을 적용해 관련변인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 1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칭업무에 부합되게 수정된 직무자원, 직무열의, 직무요구, 업무만족도 등 4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시작으로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모형 분석과 조건부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업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직무자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직무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열의는 코치업무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과도한 직무요구가 발생하 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9.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 시대의 문화와 흐름에 맞춰 기업에서는 기존과 매우 다른 방식의 퍼스널 마케팅 전략으로 이어지고 있다. 개인들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인플루언서를 활용하거나 소비자들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스 타그램에서의 이용 동기가 인플루언서 속성 및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서의 속성으로 본 연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계정 및 게시물을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예시물로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용 동기의 자기표현 동기는 관계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정보이용 동기는 관계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 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핵심인 매개 역활을 하는 인플루언서의 속성인 매력성과 신뢰성이 자기표현 동기와 관계유지의 영향에 있어서 부분매개로 도출되었으며, 정보이용 동기와 관계유지의 영향에서는 완전매개로 도출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인하여 인스타그램을 통한 이용자들과 관계유지는 인플루언서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심리적인 동기가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자신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행위로 콘텐츠를 재생산해내는 능동적 행위로도 해석할 수 있으며 이용자들의 설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속성으로 해석된다. 이는 인플루언서의 매력성과 신뢰성이 인스타 그램 이용자들에게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로 개인 소비성향이 강해지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콘텐츠로써 인플루언서 전략을 활용한 더 나은 소비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4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garden display 4Es on brand awareness and attitude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s. Based on the 4Es theory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by Pine & Gilmore (1998) and garden display by a concept of horticultural biotechnology,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brand assets of the urban entertainment centers. The random sampling survey took place at 3 famous urban entertainment centers which are Time Square, AK Plaza and Avenue France with 243 users of garden display experience from February to April 2015.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and leisure experience of the garden display have a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brand awareness and attitude. For this result, all of the hypotheses were adopted.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garden display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it is expected that many urban entertainment centers will build a nice green environment for the users of these urban commercial facilities based on this materia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