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연예술축제 관람객을 대상으로 체험요소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서비스스케이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지역 공연예술축제에 방문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PROCESS macro(Model 4)를 활용 하여 병렬다중매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체험요소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서비스스케이프는 이 관계를 부분 매개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의성, 청결성, 서비스성은 유의한 매개효과 를 보였으나 디자인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공연예술축제에서 관람 객의 몰입적 체험이 서비스 환경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이어지고 이에 대한 평가는 행동의도를 강화하는 경로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의 관람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스케이프의 전략적 설계 방향을 제시하며 관람객 중심의 축제 운영 방안 마련을 위한 실천 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이청준의 자전적 소설 『축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장례라는 통과의례 속에서 발생하는 무형식학습의 양상을 조명하고, 이를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유네스 코가 제시한 학습의 네 기둥(알기 위한 학습, 행하기 위한 학습, 더불어 살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을 이론적 틀로 삼아, 소설 속 가족과 공동체의 감정, 기억, 침묵, 실천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는 고인의 장례를 중심으로 가족 간의 감정 회복과 공동체의 재구성,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게 하는 무형식학습의 장으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은 단 순한 의례 수행을 넘어, 감정의 교류, 돌봄의 실천, 존재의 재사유 등 실존적 배움으로 확장되며, 평생교육 이 삶의 전환기와 일상 속 배움까지 포괄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이 연구는 장례라는 일상적이고 문화적인 사건이 어떻게 학습의 장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문학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평생교육적 접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참가자의 참가동기를 파악하고, 참가동기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광몰입의 참가동기와 재방문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축제를 위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95부의 유효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축제 참가동기를 도출하였고, 구성요소는 친교성, 일탈성, 체험성, 신기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참가동기요인 중에서 체험성, 신기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가요인 중에서 체험성(β=.299)이 재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축제 참가자들이 춘제 공연의 관람 접근성을 쉽게 하고, 축제가 개최되는 지역 고유의 문화와 예술을 경험하고, 축제 관련 식음료를 체험하고 직접 요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관공몰입은 축제 참가동기 중에서 체험성과 신기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축제 참가자가 축제에 집중할 수 있꼬, 축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며, 축제의 주제와 목표를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내용으로 구성하여 참가자의 관광몰입도를 높여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지역의 축제에 대한 시계열분석, 심층면접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한 마케팅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이 글은 이청준의 축제를 브루노 라투르의 ‘허구의 존재자’ 개념과 미셸 칼롱의 ‘번역’ 이론에 기반해 분석한다. 축제는 장례라는 의례를 중심으로 다 양한 존재들이 얽히는 관계망을 형성하며, 감정과 기억, 인물과 사물이 끊임없 이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서사를 구성한다. 본고는 칼롱의 번역 이론에서 제시 된 네 단계—문제화, 관심화, 등록화, 동원화—를 장례의 서사 흐름에 적용해, 죽음을 둘러싼 관계들이 어떻게 조정되고 재배치되는지를 추적한다. 번역은 고 정된 질서를 해체하고, 이질적인 행위자들 간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관계를 구 성하는 네트워크 형성의 과정으로 작용한다. 축제에서 독자는 효, 죄책감, 상 실, 돌봄 같은 정동에 감응하며, 텍스트와 함께 의미를 생성하는 참여자로 위치 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을 고정된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 보지 않고, 독 자와 함께 세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존재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본 연구 목적은 축제 체험 요소, 도시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도의 영 향 관계를 분석하고, 칭다오 맥주 브랜드 지식이 브랜드 자산, 브랜드 충성 도 간의 영향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구하며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중국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체험 요소 중 인지, 감성, 행동, 감각, 관 계 등 5가지 요인이 모두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는 도시를 타 도시와 차별화하며 방문객 들에게 강력한 인지적 효과를 제공하였다. 둘째, 인지, 감성, 행동, 감각 이 4가지 요인은 도시 브랜드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칭다오 도시 브랜드 자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독창적 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방문객의 오감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해야 한다. 셋째, 도시 브랜드 자산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브 랜드 자산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넷째, 칭다오 맥 주 브랜드 사전 지식이 도시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더 많은 충성 관광객을 유치하 기 위해 칭다오 맥주의 IP를 강화하고 브랜드 지식의 확산에 집중해야 한다.
이 연구는 글로벌화의 관점에서 한국의 부산국제영화제와 중국의 상하 이국제영화제 포스터 디자인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문화 상징과 색채 사용을 중심으로 두 국가 영화제 포스터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문화적 표현의 차이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틀로 Schmitt의 전략적 경험 모듈(SEMs)을 활용하고, 정량적 색채 분석을 위해 한국표준색채분석 (KSCA)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시각적 상징이 어떻게 문화적 상징성과 감 성적 공감을 전달하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부산영화제 포스터는 한색 계열을 선호하여 이성적이고 미니멀한 현대 미학을 반영하고 있으며, 상 하이영화제 포스터는 난색 계열과 풍부한 문화적 상징을 통해 강한 국가 정체성과 감성적 매력을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글로벌 화의 맥락에서 한국과 중국 영화제의 브랜드 포지셔닝 및 디자인 전략의 차별성을 강조하며, 국제 영화제 포스터에 문화 상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적 통찰과 실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에 참여한 관람객이 원하는 다양한 체험과 주 관적인 견해인 지각된 가치가 관람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고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 째, 체험요소는 지각된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지각된 가치는 관람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체험요소와 관람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요소가 지각된 가치를 증가시켜 관람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 라서 다채로운 체험을 통해 받게 되는 자극이 관람객에게 강한 영향을 주고 매력적으로 판단하여 공연 관람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이를 통해 축제 운영자들에게 관람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축제의 효과적인 운영과 성장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 였다.
본 연구는 서울의 두 주요 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과 '서울세계불꽃축 제'를 중심으로 축제와 도시 브랜딩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해관계자 역할 의 중요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 주도와 민간 주도 축 제의 특성, 정부의 역할과 규제가 축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축제가 서울 의 도시 브랜딩에 기여하는 방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접근법을 채택하여 46명의 축제 관계자 및 참가자들과의 심층 인 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주제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축제의 소유권과 운영 방식이 축제의 성격과 도시 브랜딩 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의 역할과 규제 수준이 축 제의 창의성, 자율성,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축 제는 서울의 도시 브랜드 강화에 기여하고 있으나, 정치적 변화에 따른 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잦은 변경이 일관성 있는 브랜드 구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축제의 문화적 콘텐츠가 도시 브랜드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이 축 제의 성공과 도시 브랜딩에 핵심적인 요소임이 드러났다. 연구의 결과는 축 제와 도시 브랜딩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효과적인 도시 브랜딩을 위한 축제 활용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특히 이 해관계자들의 역할과 협력 방안을 분석함으로써, 축제의 성공적인 운영과 도 시 브랜드 강화를 위한 통합적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중단되었던 대규모 페스티벌들이 다시 재개되고 브라질의 리우 카니발과 덴마크의 로스킬데 페스티 벌, 영국의 글래스토버리 페스티벌 등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 다. 세계적인 문화콘텐츠들이 기술과 창의성의 융합으로 기술적 진보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흥행을 이루고 있다. 또 한 새로운 소비집단의 대두와 니즈가 나타나고 AI감성 마케팅 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고 예상된다. 한국의 K-pop,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콘텐츠의 전 세계적 확 산으로 한국의 문화콘텐츠 문화산업이 경제뿐만 아니라 인류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은 증대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과 프랑스 니 스카니발의 문화축제콘텐츠를 비교하여 두 축제의 문화 원형적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축제의 문화적 특성과 차 이점을 밝혀 성공적인 한국의 문화축제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을 두고 있다. 두 축제는 각국의 전통적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적 으로 재해석된 대표적인 사례로,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 해 수행되었으며, 두 축제 모두 전통적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글로벌 관객에게 어필하는 독창적인 문화콘텐츠로 발전해 왔음 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문화콘텐츠를 발전시키고 문 화융합페스티벌의 한 장르가 생겨날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정부 주도의 국제문화교류 축제 관람객의 참여 경험을 상호 문화주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제문화교류 축제의 질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례로는 20년간 범아시아 축제를 지향해 온 ‘인바운드형 국제문화교류 음악 축제’인 ‘아시아송 페스티벌(Asia Song Festival)’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3년간 본 축제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디어도프(Deardorff)의 상호문화역량 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본 축제 관람객의 ‘태도’는 타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도 및 유사 축 제 참여 경험이 있는 등 개방적 태도를 보였지만 사업에 대한 인지는 낮 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식과 이해’의 측면에서 본 행사는 타문화에 대 한 인지의 기회가 되었지만 문화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한 도구 보완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내부적 결과(사고의 틀 전환)’에서는 음악을 매개로 한 교류 경험인 동시에 아시아 음악에 대한 관심 향상의 기회가 되었지만, 평소 대상국에 관심이 많은 관람객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으므 로 아티스트의 사회적 이미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마지막으로 ‘외부적 결과(행동 변화)’ 의 경우 향후 문화교류 현장에 서의 적절한 의사소통과 해당 국가 방문 및 추가 문화체험 등 구체적인 행동방식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한류를 매개로 한 정부 차원의 상호문 화교류 정책사업의 방향성을 고찰하는데 실무적이고 학술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에어브러시는 실용적이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므로 산업 각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바디페인팅 아티스트에게도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에어브러시는 정교한 색상, 형태, 그라데이션 표현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바디페인팅 분야에서도 그 활용 영역이 점차 확대되 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월드 바디페인팅 페스티벌의 에어브러시 전용 카테고리 수상 작 품을 중심으로 디자인 구도, 색채 기획 및 배색과 표현기법을 분석하여 에어브러시 바디페인팅 작품의 최 신 디자인 경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구도에 있어서 주로 강조 (emphasis)와 균형(balance)의 원리를 사용하여 상반신의 정중앙에서 메인 이미지를 강조하고 하반신에서 는 좌, 우 대칭으로 균형이 잡힌 구도가 주요한 디자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색채 기획 및 배색으로는 주 목성을 높일 수 있는 대비 배색의 활용이 주요하게 활용되었으며 셋째, 주요 수상 작품 모두 스텐실과 그라 데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형태의 정확성과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바디페인팅 디 자인을 기획하고 에어브러시를 활용하여 작품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작품 제작을 통해 에어브러시 바디페 인팅의 예술적 활용을 대중화하고 국내 에어브러시 바디페인팅 작품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evaluation on ‘The 2021 Jeju World Natural Heritage Festival’ with a framework of various stakeholders related to festivals. While aiming for the essential context of the celebration, we tried to find suggestions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celebration and the designation of the World Natural Heritage. As a methodology, surveys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framework of multifaceted evaluation. To summarize the important contents presented as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cept of ' encounter with hidden nature' from the positivity of the concept of 'encounter with hidden nature' to have fellowship with mankind about natural heritage. For reference to this,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designation of World Natural Heritage through a contextual approach using the frame of 'encounter'. Second, since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can help in many way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many experts to participate as a staff or activist. Third, it is necessary to sublimate Jeju's natural heritage into a public celebration without damaging it. Finally, it should be a festival centered on local communities and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a system in which the World Natural Heritage Village Preservation Association, which will be created (tentative name), will be centered and promoted by the villagers.
본 연구는 2021년 3월 개최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 자를 중심으로 공연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해 다루어졌다. 이를 통해 그간 선행되지 않았던 온라 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에 대해 사회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향후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로 COVID-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침체되어 있던 국내 인디 라이브 공연장을 활성화시키고자 국내 에서 최초로 개최된 유료 캠페인형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이다. 연구 방법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공연 기획자 5명을 선정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로 도출된 결론은 첫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지속 가능성은 다소 부정적이었으나 향후 공연 문화가 온-오프라인 동반 개최로 바뀔 것으로 예상해 다양한 관점에서 대중음악 페스티벌을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티벌의 문제점으로 예산의 부족, 기술적 문제가 존재했으나 페스티벌의 질을 높인 후 티켓 가격을 상승시켜 예산을 확보하며 온라인 공연 플랫폼 강화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관련 업계 관계자와 정부 부처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장르 간 차별 없는 규제와 실질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의무대를지켜주세요> 단일 사례로 온라인 대중음악 페스 티벌의 개선방안 및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향후 대중음악계가 꼭 해결해야 할 문제를 다룬 연구가 될 수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스리랑카에서는 인도로부터 붓다의 사리를 전해 받아 탑을 세우면서 사리 이운(移運) 페라하라 의식을 거행하게 되었는데, 이로부터 스리랑카에서 페라하라 전통이 시작되었다. 이 축제는 역대 스리랑카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축제로 오늘날 스리랑카 국민에게 생활 깊숙이 내재화되어 있다. ‘까티나(Kaṭhina) 가사공양 페라하라’, ‘웨삭(Vesak) 페 라하라’, ‘결혼식 페라하라’, ‘장례식 페라하라’ 등 다양한 형태로 페라하라가 스리랑카 문화 속에 스며들어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역사 적인 축제 중의 하나인 ‘캔디(Kandy) 페라하라’는 많은 사람들에게 널 리 알려져 있는 바, 이미 1,8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싱할라 왕조가 캔디 시대 때에 이 축제를 ‘에살라(Esala) 페라하라’라고 불렀고 그 후 이 축제는 스리랑카 불교의 유구한 전통을 상징하는 축제로 성스러운 불치(佛齒)사리 및 신들에 대한 공경을 표하기 위해 거행되어 왔다. 이처럼 불심(佛心)뿐만 아니라 신앙사상도 나타내는 페라하라 축제는 스리랑카의 문화 발전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스리랑카에서 페라하라가 정치ㆍ문화ㆍ경제ㆍ심리 등 여러 방향에서 영향을 미쳐왔는데, 오늘날에도 이 페라하라 의례를 통해 사람들에게 정신적 맑음과 경제적 발전을 이루게 했고,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적 감각과 감정을 지닐 수 있도록 하여 창조적인 힘을 성취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후 스리랑카에서 붓다와 관련된 유물에 가장 최고의 존경을 보이게 만들었고, 스리 마하보디를 돌고 치아사리를 이운하는 페라하라 전통을 창출하였다. 페라하라 의례 행사는 붓다의 사리 등 불교 유물이 스리랑카 사람들에게 최고의 숭배를 받으며 다루어지도록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 페라하라 전통은 스리랑카인들에게는 깨달음을 상기 시켜 줄 뿐만 아니라, 또한 이것이 사람들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본다. 뿐만 아니라 500년 동안 서양 식민지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전통을 지키고 있다는 것은, 스리랑카인들의 삼보에 대한 신심이 깊다는 것을 충분히 반증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image of a unique festival in a well-established tourist destination on the East coast of the United State of America, the Myrtle Beach area of South Carolina. Social Network Analysis (SNA)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tructing interconnectedness among concepts and knowledge networks in respondents’ minds (Hanneman & Riddle, 2011; Scott & Carrington, 2011). The technique visualizes complicated perception of tourists in a most simple but scientific way. Using concept maps and degree centralities derived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as well as dendrogram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on wine and food festival in Myrtle Beach Area. Together with cluster analysis, the SNA suggests uniqu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ourist behaviour in tourism destination research.
The garden festival is mostly required to move visitors while omitting the value of taskscape, temporality, and contextuality, which are in the original gard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he garden festival represents a given theme by implication and embodies the disconnected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at the narcissism garden (entitled “To you who don’t love me [To me in the mirror]”), which was exhibited in the garden art section of the Goyang International Flower Festival in 2018, to investigate how it effectively conveys the theme how space, time, and human senses in the garden were expressed. The mystic gate acts as a gateway into the garden and is a space for setting up the time and context that is cut off at the garden festival. The inside wardrobe creates a visual focus through objects and decorates the appearance with a time that is trapped in the eyes of others, but expresses the inside that is itself hurt by a lack of confidence. The hourglass in the heart expressed the social atmosphere of tightening the corset strings that it was wearing and a look wanting to hold onto the flying time. The double-sided mirror newly interpreted narcissism by arranging two dressing tables and looking at itself ecstatically in front of the broken mirror, thinking its face was beautiful. The message wall had a direct expression through the text and indirectly expressed the message that it is beautiful by planting a peach tree, but is only a temporary appearance in which flowers fall after a short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oth the design strategy and motive for clearly delivering the theme given to the festival to the visitors were reflected in the actual space through a focus on the time of the garden and the forming of new thinking and approach.
A variety of garden exhibitions were held in major Korean cities during the fall of 2017. Various themes and garden forms were displayed in the six major cities of Seoul, Busan, Incheon, Suncheon, Gyeonggido Ansan, and Gyeonggido in Dongtan New Town. Many participants of the garden fair decorated gardens around natural objects that showed space and time according to their design. The garden provides the best means of personal development. It is a space and place in which to express the dynamics of self-realization. The garden fair offers interactivity through a combination of biophilia, and toylism that provides customers with pleasure, fashion, and satisfaction. There were 280 works on display in these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during the fall of 2017. This number has grown from the 10 original Korean garden show writers. We began this study to discover regular or irregular patterns contained at the exhibition as well as to present elements that could be used in major studies.
This study created a thematic garden, entitled “Spring revisited”, in the outdoor garden section of the 2017 Goyang International Flower Festival to present the life and ideas of poet Yoon Dongju through garden culture. It used visual narrative techniques to express and present the poet’s life and the value of his literature in the language of space design. Through this method, the garden provided a holistic experience of Yoon Dongju’s selfhood and literature through indirect perceptions experienced in the space rather than as direct experience. The room of wind and time embodied the poet’s life by overlapping small pieces of blue-colored clothing, and fluttering cloths and grasses were used to represent the wind. In the room of night and stars, a black mirror expressed the night sky as a visual embodiment of his poetry. In the road of desolation, a long passage was created with walls on either side to express the desolation and agony of life to the viewers as they walked through the dark space. The path of the writing pad was modeled on a manuscript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poet’s path, and the poetic language of the poet’s masterpiece, heaven, wind, stars, and poems, were written there on. The stone grave, flower grave area combined the negative words of “stone grave” with contrasting images of stone and flower to seek a transition in the emotional atmosphere. The poet’s room was a partially open space inspired by a prison cell. A chair and a desk with a writing pad and pen reminded the viewers of the poet and helped them to experience him. The space of spring was a double meaning of the spring time he could not experience and his aspiration for the nation’s independence. At the height of the garden festival, numerous types of beautiful spring plants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design techniques that enabled a clear presentation of the topic in the garden space to a general stream of visitors combined with the values pursued by the po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and local image improve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have been set as the following four: historical identity, cultural identity, (nature) scenery identity, and industrial identity. The writer has established a model to represent the 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local image improvement, namely 'Visit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and framed a hypothesis for empirical verific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which this study addressed are empirically prov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in which is it likely that the greater the impact of the deciding factors, the higher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would be. Second, the deciding factors of local identity, it appears that the 'historical identity' factor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factor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 revisit intentions. Therefore, of the four deciding factors, the 'historical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the highest priority to increase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the highest priority to increase the revisit intentions. Third,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visito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it can be presumed that the greater the visito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revisit intentions would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