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2

        8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시가 산업 유산을 공원화한 도시재생공원인 문화비축기지의 이용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한 문화비축기지의 인식 및 이용행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폐산업시설의 모습과 재해석된 건축물을 통해 시각적 매력을 느껴 독특한 정서적 의미를 부여하고 애착을 형성 하고 있다. 둘째, 사람들은 문화비축기지를 도시공원보다는 다양한 문화활동이 이루어지는 광장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문화비축기지의 공간의 규모에 비해 휴게 공간이 부족하다. 이와 같이 문화비축기지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환경에 매력을 느끼면서도 다양한 경험 및 행태를 지원하기 위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 문화비축기지에서 도시공원으로서의 목적, 욕구를 충족 하는데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도시재생공원 중 하나인 문화비축기지는 ‘문화·예 술’, ‘교육’ 등의 문화적 도구를 매개로 문화 공원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문화’가 지나치게 강조되고, 휴게 공간 부족 등 공간의 활용도가 낮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활용방안과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문화비축기지의 이용특성을 파악하고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문화비축기지가 문화와 역사를 지니고 있는 도시공원이자 지역사회의 중심 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000원
        82.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의 생물상 52,628종의 35.4%를 차지하는 곤충 18,638종의 국명 유형을 크게 11개(색깔, 크기, 모양, 식물, 위치, 생태, 외국어, 사람이름, 고유, 생리, 긍정·부정)범주로 구분하고, 그 뜻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그 중 인종차별, 장애 및 생김새의 차별, 지역 차별 등의 혐오표현이 사용된 유형 506개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표현의 본 뜻과 함께 향후 사용할 만한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일본어 표현(일본어, 일본인 이름, 일본 지명 등)이 사용된 유형 508개에 대해 분석하여, 세부 유형을 밝히고 해당 생물종의 국명의 사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대체 용어를 제시하였다.
        4,200원
        83.
        202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y adopting a usage-based approach to language acquis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L2 constructional knowledge. A total of 19 English verb-argument constructions (VACs) and their associated verbs were extracted from a learner corpus and three verbal fluency tasks, each conducted in L1 and L2 English and L1 Korean. We compared verb usage in the target VACs across proficiency levels between the L1 and L2 groups and between data types for VAC productivity and verb-VAC associations. The results identified three stages through which Korean learners’ VAC knowledge develops in L2 English: emerging through the frequent use of a few general verbs, expanding the range of verbs associated with a VAC to include more specific and prototypical verb types, and then developing them into a creative constructional schema. Moreover, we determined similarities between L1 and L2 English VAC knowledge in higher L2 proficiency levels, as well as L1 Korean influences related to L1 typology and L1 collocational transfer.
        6,900원
        8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JD-R 이론, WH-R 모형을 기반으로 기혼 여성근로자들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부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일-가정 균형과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일-가정 균형의 단순 매개효과,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의 단순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조절된 매개효과라는 하나의 종합적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국내 제조업과 주요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고 있는 기혼 여성 직원 27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틴 경력지향성은 일-가정 균형과 경력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프로틴 경력지향성과 경력만족에서 일-가정 균형에 의한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 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6,400원
        8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stagram usage time (short, long) and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light, heavy)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promoted by an influencer. The moderating effect of influencer type (mega, macro, micro) was also investigated. A total of 515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OVA were conducted.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usage time, both short and lo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Also, the interactive effects of usage time and influencer type on product attitude were found. Consumers with short Instagram usage time displayed the highest attitude toward products promoted by a macro-influencer whereas consumers with long Instagram usage time displayed the highest attitude toward products promoted by a micro-influencer. Second, usage time and influencer type did not show interac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Third, both categoriacl variables of users’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s of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and influencer types on purchase intention were found. The group of light buy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n products promoted by the macro-influencer while the group of heavy buy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promoted by the micro-influence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4,800원
        8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 이용객들의 수요와 인식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조 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기간은 2017년 3월 21일∼2017년 3월 27일 총 7일이었다. 건강증진을 위한 근린공원의 주 이용목적은 운동이 가장 높았으며, 도보 20분 이내, 체재시간 2시간 이내, 오후나 시간대 및 요일 무관한 이용이 높았다. 65세 이상과 이하의 연령별 주요 이용 목적, 시간, 요일에 차이가 나타나 연령별 수요를 반영한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 근린공원의 환경에 대한 인식 은 근린공원의 방문 편리성과 시설 편리성은 좋았으나 공원 운영 및 관리, 특히 안전성이 상대적 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부분은 근린공원의 시설 편리성이 가장 높았으며, 편의시설과 산책로나 체육시설이 매우 주요한 요인이었다. 향후 근린공원 내 운 동시설 추가설치와 치안을 위한 순찰확대 등의 서비스가 개선된다면, 이용 횟수를 증가할 것이 라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증진을 위해 이용객의 시설 확충 뿐 아니라 안전성, 프로그램 운영 등과 같은 공원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개최된 경관 조성용 화 훼를 주제로 하는 지역축제의 시기 및 지역에 따른 변화와 화 훼류의 이용 및 생산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경관화훼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06년부터 2019년 까지 개최된 지역축제 10,800건 중 경관화훼 관련 축제를 시 기별 및 지역별 개최수와 활용된 식물의 종류와 생산현황을 분석하였다. 지역축제 10,800건 중 꽃축제는 1,312건으로 연 평균 94건이 개최되었으며 지역축제의 12.1%를 차지하였다. 지역축제는 2008년 최고점에서 감소하다 2014년 이후 지속적 으로 상승하고 있는 반면 꽃 축제의 비율은 2008년에서 2010 년까지 소폭 감소하였다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2019년에는 15.5%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평균적인 개최비율은 봄 66.7%, 가을 25.7%, 여름 6.8%, 겨울 0.8%로 봄에 가장 많이 집중되 었으며, 여름과 겨울에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 봤을 때 전남은 매년 평균 18건으로 개최수가 많을 뿐만 아니 라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경남 의 경우는 매년 평균 10건으로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하다 2016년부터 증가하였다. 이외에 강원도, 경기도, 서울, 전북, 충남 등에서 매년 평균 9건 정도가 개최되었으며 그 다 음으로 충북, 경북, 제주도, 대구 등에서 3~4건이 개최되었고, 인천, 울산, 부산, 광주, 대전 등은 2건 이하로 전반적으로 대구를 제외한 광역시에서 꽃 관련 축제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인터넷으로 검색된 소규모 축제를 포함하였을 때 2019년 개최건수는 경기도(49건), 전남(40건), 서울(28건), 제주도(25 건), 충남(25건), 경남(24건), 강원도(17건), 경북(12건) 등으로 나타났다. 경관용 화훼류는 목본류가 연평균 51건의 꽃축제에 서 주제식물로 활용되었으며, 일년초(11건), 그래스(9건), 숙 근초(8건), 수생식물(3건), 구근류(3건)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 식물은 목본류(12종), 일년초(4종), 관상용 그래스(4종), 다년 초(3종), 구근류(3종)으로 26종이 사용되었으며, 구근류를 제 외한 대부분의 식물이 2~4개의 축제에서 중복으로 활용되었 다. 경관조성용 화훼생산량은 경남, 전남, 울산, 경북, 전북, 강원도, 경기도, 충북, 충남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국 화와 메리골드가 100만분 이상, 팬지류와 페튜니아는 50만분 이상, 색양배추, 베고니아, 백일홍, 패랭이류, 샐비아, 맨드라 미 등이 10만분 이상 생산되었다.
        4,000원
        9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early stage of foreign element words entering the Chinese system, the translator of Huaxue Jianyuan has established the translation principle of element names. It mainly uses monosyllable and phonetic Chinese characters. It determines 48 transliteration elements either by referring to the transliteration of element names in Jinshi Shibie or by self-formulation. 47 out of 48 characters are ligatures, 21 of which are newly-formed, and 26 are borrowed from unfamiliar inherent Chinese characters. It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high proportion of new characters, strong systematicness and applicability. There are 48 transliterated element names with recorded characters used by translators, 34 of which are still in use today. The transliteration principles established by translators and the selection or creation methods of transliterated element name character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ubsequent element name characters.
        4,900원
        92.
        2020.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age-based approaches to language acquisition explain language development as a gradual process of generalizing constructions through language experience. This study investigated second language learners’ development of constructional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usage-based language development. A total of 169 Korean EFL students at five grade levels completed a sentence-sorting and a translation task. Results of the sorting task showed stronger constructional sorting as the learners’ grade level increased. Additionally, the sorting of intermediate-level learners was influenced by verb semantics such that the sentences including light verbs were more strongly clustered according to constructions than the sentences with heavy verbs, suggesting learners’ reliance on light verbs in the early stages of constructional development. Results of the translation task demonstrated a higher translation accuracy with increasing proficiency, but with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tion across individual constructions contingent on the constructions’ syntactic and semantic complexity. Overall, our findings confirm the usage-based development of L2 learning.
        6,100원
        9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convenience foods purchase according to the food-related lifestyl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98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siding in Gyeonggi area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19. Among the total 373 survey subjects, gender was 183 male students (49.1%) and 190 female students (50.9%).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metho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pursuit and taste pursuit for delivery food use, economic pursuit and taste pursuit for delivery food information, health pursuit and taste pursuit in delivery food ordering method, and economic pursuit and convenience pursuit for delivery food use (p<0.05). Delivery food usage ti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venience pursuit, health pursuit, eating out pursuit, and taste pursuit (p<0.05), and the delivery food preference menu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economic pursuit, health pursuit, eating out pursuit, and taste pursuit (p<0.05). The menu positive factors among satisfaction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onomic pursuit (β=0.188, t=3.531) and health pursuit (β=0.160, t=3.099) among food related lifestyle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delivery food usage in Chinese students.
        4,000원
        9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 follow up to the previous study which reveals that smartphone users are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usag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se groups are called as ‘general’, ‘entertainment’, and ‘work-assistant’, taking into account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general’ is a group whose smartphone usage characteristics are not focused on a specific purpose, the ‘entertainment’ is focused on music, internet, SNS, picture, and e-banking, and the ‘work-assistant’ is on work, GPS, diary. Inte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urchase determinants to the groups is investigated. In addition, Kano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is also performed, which includes quality typ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index, and PCSI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Th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ly, inte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differs by user group. ‘Internet’, ‘Ease of use’, and ‘Performance’ purchase determinants are evaluated as competitive determinants in ‘work-assistant’ user group. Secondly Kano quality typ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lso differs by user group. ‘Application’ was classified as an attractive (A) types to ‘entertainment’ group and so on. ‘Internet’ ‘Failure/Bug’, ‘Touch response rate’ and ‘Charging’ are located in ‘Nice’ Region of S-PCSI Diagram and have to be considered as strategic qualit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some helps in establishing a customer tailored quality strategy.
        4,000원
        95.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원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을 분석하고, 작업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사용하여 작업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원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을 추출하였으며, 그 중 돌봄이 필요한 장애 노인 5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역으로는 수면활동, 일상활동, 노동활동, 여가활동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영역별 시간 사용량을 기준으로 일상생활 유형, 여가과다 유형, 노동과다 유형, 작업균형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에 따른 시간 사용 부족감 및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작업 유형별 분석 한 결과 여가과다 유형 33.62%, 일상활동 유형 31.71%, 노동과다 유형 21.78%, 작업균형 유형 12.89% 이었으며, 모든 작업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 유형 예측 요인을 분석한 결과 작업균형 유형보다 일상생활 유형이 될 가능성은 60대와 70대보다 90대의 치매를 가진 남성이 높다고 예측되었으며, 여가과다 유형이 될 가능성은 치매와 뇌졸중을 가진 남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되었다. 결론 : 장애 노인의 시간 사용 분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삶의 질과 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 활동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4,600원
        9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can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use cases and forms based on the literature on the painting walls of the Joseon Dynasty, and attempted basic research to prevent disaster damage using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summarizes the use of the Hwabangbyeok wall of J oseon Dynasty as follows. First, Hwabangbyeok wall was used from the early J oseon Dynasty and was adopted by palaces and other major state facilities to cope with fire and theft. Second, the Hwabangbyeok Wall was also referred to as the wall below the lower part of the wall, and was constructed with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asters from outside. Third, in an analysis of the Daeseongjeon shrine of Hyanggyo, many construction cases were identified mainly in the Gyeonggi area, which is assumed to be based on production and construction conditions along with local climatic factors. Fourth, it can be said that the Hwabangbyeok wall was basically adopted to prevent comprehensive disaster risk reduction in case of external intrusion and fire.
        4,000원
        9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옥상정원을 회복환경으로서의 치유정원으로 리모델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설계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국방대학교 도서관 이용자로 한정하였다. 설문지는 배포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설문기간은 2019년 7월 10일부터 9월 18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 중 하자가 없는 77매의 설문지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서관 주 이용목적은 자료수집이 많았고, 대부분 주 1회 이상 방문하였으며, 머무는 시간은 2시간 이내였다. 휴식패턴은 거의 쉬지 않는 경우가 절반 이상이었고, 나머지 인원도 대부분 20분 이내로 휴식을 취하였다. 옥내 휴게활동은 주로 단순휴식, 커피/차 마시기였고, 공간선택 이유는 접근성, 쾌적성 및 기능성이었다. 옥외 휴게활동은 주로 단순휴식이며, 공간선택은 접근성, 경관성 및 휴식기능성이 주요 요인이었다. 회복환경으로서 옥상정원은 입지특성상 직접이용자 집단과 실내에서의 시각적 감상자 집단 등 두 집단을 고려한 공간설계가 필요하다. 치유정원의 직접이용 시 원하는 활동은 단순휴식, 정원감상 및 산책이 주를 이루었다. 치유정원의 주요 네가지 기능에 대한 빈도분석결과, 자연감상을 통한 기분전환을 위한 공간과 대화/소통을 위한 공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공간별 설계요소의 중요도는 대화/소통 공간에는 그늘막이나 퍼골라, 대화하기 편리한 벤치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프라이버시 확보 공간은 개인만을 위한 벤치가, 자연감상 공간은 녹음수, 상록수 및 화목이, 운동/산책공간은 산책로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4,300원
        9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119 men and 134 women) in Chungbuk province using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nd eating patterns related to the use of food delivery app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2019 to April 3, 2019. Of the total respondents, 77.2% reported that they had ordered food at least once using food delivery apps on smartphones. Further, 63.3% of the total subjects had ordered food delivery through smartphone apps once or twice a month, and the most preferred cuisine for food delivery was fast food, followed by Bunsik (Korean street food/snack), western food, and Chinese food.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for food delivery apps was 3.8 points, and the satisfaction score was the highest with the convenient ordering process (4.0), followed by good taste (3.9) and good portion (3.8). The subjects who used smartphone food delivery apps three times or more a mont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instant food intake (p=0.0132), dining out (p=0.0282), and late-night eating (p=0.0047) than the subjects who ordered food using delivery apps less than three times a month. In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may be applied as baseline data for dietary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4,000원
        9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 to use omni-channel services on mobile devices in fashion stores and the effects of such usage motivation on br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o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d omni-channel services during shopping for o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n online survey asked 413 consumers to rate their brand purchase intention. Sub-levels of each variable were examined using SPSS 25.0, follow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19.0. In addition,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mixed. First, only two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for omni-channel services,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greate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brands that provided omni-channel services than it did on affective commitment. Third, of the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utilitarian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modified model, while social motivation did not affect service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Finally, our findings suggest that brand loyalty can be built by encouraging service commitments through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based on the usability of omnichannel services.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