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99

        281.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침수 상태의 눈개승마에 대한 홍합 섬유실 처리의 생태적 영향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홍합 섬유실 함량을 0%, 3%, 5% 및 10%로 조절하였고, 침수 조건은 토양 표면에서 1cm의 수위를 유지하였다. 눈개승마는 침수 스트레스에 따라 최대광합성속도, 최대카르복실화율 및 최대전자전달율 등 광합성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홍합 섬유실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가 광합성 활성 및 생장특성이 가장 불량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광합성속도와는 달리 수분이용효율은 침수 처리 후 12일경 다소 증가하였는데 이를 통해 기공닫힘으로 인한 수분 및 이산화탄소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광합성의 감소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엽록소 형광분석 결과 역시 홍합 섬유실 처리구에 비해 무처리구의 기능지수 감소가 뚜렷하였는데, 이는 광계 2 활성의 감소가 두드러진 것을 의미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홍합 섬유실 3% 처리구는 광합성 활성 및 생장특성이 가장 양호하였고 홍합 섬유실 5% 처리구 역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홍합 섬유실 처리는 눈개승마의 침수 내성 증가와 생장에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82.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most demanded competencies of an oral health professional such as an oral pathologist is the ability to make clinical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urological differences between beginners and experts in the clinical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consisting of complex, dynamic and sophisticated cognitive process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s based on the brain by comparing EEG activity.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al design with 10 dentis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10 students with short clinical experience as beginners as a fourth year student before graduation. The hypothesis-oriented algorithm proposed in HOAC II was used. As a standard, the clinical decision-making stage of the dentis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an event was developed and an experiment was designed for measuring EEG for each stage. The cerebral activity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with EEG, compared and analyzed with pre-processing process using EEGlab.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the auditory information was not noticeable between the novice and the exper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the novice and the expert appeared in the visual data and the radiographic data. In the case of beginners, the activity was higher in the left hemisphere, and in the case of experts, both brains were activ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present objective information based on brain-based analysis of differences that appear in the clinical decision-making process of experts and beginners. I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to present the brain-based characteristic analysis of dentist experts.
        4,000원
        28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닭 진드기 구제를 목적으로 개발된 살비제인 와구잡이 II® (WGJB, 편백정유 : 계피정유 = 20 : 56)에 대하여 토끼와 기니픽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를 각각 수행하였다. 일차피부자극시험에서 토끼의 피부에 WGJB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WGJB는 비찰과 부위에서 홍반과 부종과 같은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았으나, 몇몇 토끼의 찰과 부위에서 매우 약한 홍반과 부종을 나타내어 WGJB의 1차 피부자극 지수는 0.625이었다. 따라서 WGJB는 약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었다. 피부감작성 시험에서 기니픽에 0.1 mL의 WGJB을 피내주사한 후 24시간 동안 감작시켰다. 감작 1주일 후 WGJB를 함유한 패취를 주사 부위에 부착하여 48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2주 후에 WGJB 를 함유한 패취를 부착하여 감작을 야기시켰다. WGJB는 어떠한 알러지 반응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WGJB는 약한 피부 자극성을 가지며 감작성을 야기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4,000원
        28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란잔산잠자리(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약충은 내성천 일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3월 서식이 확인된 37개 지점의 하상 0.2㎡ 면적에서 채취한 퇴적물 입도 분석 및 개체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입도 분석 결과 ‘조립사’(500 ~ 1,000 ㎛) 52.5%, ‘극조립 사’(1,000 ~ 2,000 ㎛) 25.6%, ‘중립사’ (250 ~ 500 ㎛) 17.2%, ‘세립사’(125 ~ 250 ㎛) 3.1%, ‘극세립사’(63 ~ 125 ㎛) 1.0%, ‘실트’(63 ㎛미 만) 0.7% 순으로 나타났다. 노란잔산잠자리 약충의 개체수는 ‘극세립사’(63 ~ 125 ㎛), ‘세립사’(125 ~ 250 ㎛)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조립사’ (500 ~ 1.000 ㎛)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란잔산잠자리 약충이 고운 모래를 서식처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후 내성천 일대 하상 환경변화 모니터링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8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Pb (II), Co (II), and Ni (II) toxic heavy metal ions adsorption from synthetic aqueous system have been studied using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Citrus limetta leave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sorption parameters (solution pH, dosage of adsorbent, temperature,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ions, and adsorption time) and the removal percentage of the prepared adsorbent have been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adsorbent was analyzed through BET, SEM, EDX, FTIR, and XRD analys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ximal adsorption efficiencies for heavy metal ions were achieved in pH = 6, the adsorbent dosage of 1 g/L, temperature = 25 °C, the ion initial concentration of 5 mg/L, and contact time of 60 min, which were 99.53%, 98.63%, and 97.54% for Pb, Co, and Ni ions, respectively. Based on Kinetic studies, the performance of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was better than pseudo-first-order model for the description of time-dependent behavior of the process. Additionally, the equilibrium data were fitted by Langmuir and Freundlich isotherms, while the former performed better than the latter.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values for Pb, Co, and Ni ions were achieved equal to 69.82, 60.60, 58.139 mg/g,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thermodynamic data, the studied processes were exothermic and spontaneous.
        4,900원
        28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협약(CBD)의 보호지역 관련 주요 논의 동향을 분석하고 2020 생물다양성목표(Aichi target-11)의 성취 정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보호지역 관련 Post-2020 국가 정책방향 및 목표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생물다양성협약의 보호지역 관련 결정문으로는 1995년 채택된 2개의 결정문(Decision II/7, II/8)을 시작으로, 제7차 당사국총회(2004)에서 보호지역 관련 이상적인 청사진을 제시한 보호지역실행프로그램(PoWPA)을 채택(Decision VII/28) 하였다. 2010년에 보호지역 관련 핵심 이슈 10가지를 제시한 Decision X/31과 함께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2011-2020” 중 하나로 보호지역 관련 목표인 Aichi Target-11이 설정되었다. Aichi Target-11 성취 현황을 살펴보면 글로벌 차원에서 육상은 지구 토지면적의 15%, 해양의 7.4%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육상 16.63%, 해양 2.12%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효과적이고 공정한 관리,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에 중요한 지역 보호,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을 밝혀내고 보호지역과 연계하는 것 등은 글로벌 목표 성취에 많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프레임워크(Post-2020 GBF)의 초안을 살펴보면 1차 초안(‘20.1월)에 서는 다단계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2030년 까지 생물다양성에 있어 특별히 중요한 지역의 최소 60% 보호, 전체 육지 및 해양 지역의 최소 30% 보호, 이 중 최소 10%는 엄격한 보호(strict protection)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개정된 초안(’20.8 월)에서는 이를 간결하게 2030년 까지 전 지구의 최소 30%라는 하나의 양적 목표를 제시하고, 이들 지역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지역을 중심으로 효과적이며 잘 연결된 보호지역과 OECMs 시스템”을 통해 보호 및 보전되어야 한다는 질적 목표를 가미하였다. Post-2020 GBF의 보호지역 관련 목표와 우리나라의 현황 및 기 수립된 국가계획 내용 반영을 통한 국가 목표를 제안해 보면, 육상의 경우 국토면적의 30%, 해양의 경우 관할해역의 10% 정도로 설정하고 질적인 부분의 성취를 위한 세부 목표(sub-targets) 설정을 통해 성취 수단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8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부산악 DMZ 민통선이북지역의 담수어류 출현양상을 밝히기 위해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 간동안 24개 지점에서 족대와 투망으로 12과 43종 7,744개체를 채집하였고, 우점종은 참갈겨니(30.3%), 아우점종은 피라미 (18.5%)였으며, 그 다음으로 버들치(10.0%), 버들개(6.7%), 돌마자(5.9%), 묵납자루(4.5%), 돌고기(4.2%), 대륙종개 (2.6%),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법정보호종은 천연기념물 어름치 1종,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의 다묵장어, 묵납자루, 가는돌고기 3종 등 모두 4종이, 한국고유종은 20종(46.5%)이 채집되었다. 또한 기후변화민감종 (냉수성어류)은 금강모치와 새미, 둑중개 3종이, 육봉형 어류는 다묵장어와 둑중개와 밀어 3종이, 외래종은 배스 1종이 출현하 였다. 지점별 우점종은 참갈겨니(15개 지점), 피라미와 버들치(4개), 둑중개(1개)였으며, 우점도는 상류부에서 하류부(김화남 대천 본류)로 갈수록 낮아지고, 반대로 다양도와 종풍부도는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갈수록 높아졌다. 군집구조는 크게 최상류, 상류, 한강, 임진강으로 구분되었다. 선행조사와 비교한 결과, 본 조사에서 가장 많은 종(43종)이 채집되었고, 새로 채집된 어류는 2종(참중고기, 배스), 채집되지 않은 종은 6종(쏘가리, 대농갱이, 열목어, 흰줄납줄개, 왜매치, 왜몰개)이었다. 김화남대 천은 법정보호종(4종)을 비롯한 많은 종이 서식하고 다양도와 풍부도지수가 높아 생물학적 가치가 높았고, 끝으로 이 지역의 보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4,500원
        28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철골편심가새골조 시스템을 대상으로 다목적최적화기법을 통해 설계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적화 설 계를 위해 유전 알고리즘의 일종인 NSGA-II를 활용하였다. 여기서, 목적함수는 이율배반적 관계를 갖는 구조물량과 층간변위로 하여 최소화되고, 제약조건에는 구조기준에서 요구하는 내력비, 링크의 회전각 등을 포함하였다. 제약조건은 최적화 알고리즘 내에서 각 항목을 위반할수록 목적함수 값을 크게 증가시키는 벌금함수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설계기준에서 EBF 시스템의 설계규정은 링크 부재만 항복이 허용되며 나머지 부재는 링크 항복 시 발생되는 부재력을 탄성상태에서 견디도록 의도한 역량설계법에 기초한다. 그러나 최적화를 통해 도출된 결과 중 일부는 구조기준의 설계조항은 만족하지만 특정층 링크에 소성변형이 집중되어 연약층을 형성함 으로써 기준에서 의도하는 역량설계의 원칙을 위배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링크의 전단 초과강도계수 중 최 대값이 최소값의 1.25배를 넘지 않도록 하는 제약식을 추가하였다. 새로운 제약식을 추가한 경우 모든 최적해는 설계기준과 역량설계의 원칙을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설계안에서 보 경간에 대한 링크의 길이비는 전단링크의 범주에 해당하는 10% ~ 14%였다. 전체적으로 설계안들은 링크의 초과강도 계수비가 가장 지배적인 제약으로 작용하였으며, 구조기준의 요구사항 중 층간변위와 내력비 등의 항목에서 허용치에 비해 매우 보수적으로 설계되었다.
        4,000원
        28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egulatory mechanism of alpha-linolenic acid (ALA) during in vitro maturation (IVM) on nuclear and cytoplasmic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Basically, immatur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incubated for 22 h in IVM-I to which hormone was added, and then further incubated for 22 h in IVM-II without hormone. As a result, relative cumulus expansion was increased at 22 h after IVM and it was enhanced by treatment of ALA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 < 0.05). During IVM process within 22 h, cAMP level in oocytes was decreased at 6 h (p < 0.05) and it was recovered at 12 h in ALA-treated group, while oocytes in control group recovered cAMP level at 22 h. In cumulus cells, it was reduced in all time point (p < 0.05) and ALA did not affect. Treatment of ALA enhanced metaphase-I (MI) and MII population of oocytes compared with oocytes in control group at 22 and 44 h, respectively (p < 0.05). Intracellular GSH levels in ALA group was increased at 22 and 44 h after IVM (p < 0.05), whereas it was increased in control group at 44 h after IVM (p < 0.05). In particular, the GSH in ALA-treated oocytes during 22 h of IVM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at 22 h (p < 0.05). Lipid amount in oocytes from ALA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p < 0.05). Treatment of ALA did not influence to absorption of glucose from medium.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of ALA-treated oocytes were enhanc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 < 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ALA could improve oocyte maturation and development competence through increasing GSH synthesis, lipid storage, and regulation of cAMP accumulation during early 22 h of IVM, and these might be mediated by cumulus expansion.
        4,000원
        29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중국어 교재 및 대본을 대상으로 대화문에서 没关系와 没事을 분석하 여, 교육적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연구방법을 제시하고, 3장과 4장에서는 중국어 교재 25권과 대본 25편을 대상으로 没关系와 没事의 사용 상황을 분석하였다. 실제 생활에서 빈도수가 높은 没事는 교재에서의 빈도수가 낮은 반면, 대본에서는 매우 높았다. 교재에서의 没关系는 출현 빈도수가 비교적 높았으나, 쓰임 이 다양하지 않았다. 5장에서는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어떻게 지도하면 좋은 지에 대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6,400원
        29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군의 역할 또한 평시의 국민 보호 및 세계 평화의 수호를 위한 행위자로 변화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평화유지군의 경우 평화의 수호자로서 세계 각 지역의 분쟁과 내전이 종식된 지역에 파견되어 민간인 보호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평화유지군이 가지고 있는 평화 수호자로서의 이미지는 최근 파병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민간인 보호 임무 실패로 인해 재평가 되고 있 다. 특히 평화유지군 파병국가 가운데 내전 및 분쟁 이후 군사통합을 경험한 국가일수록 임무지에서의 민간인 보호 임무 실패가 두드러지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통일 독일의 군사통합 사례를 통해 군사통합으로 새로 이 구성된 군대 또한 국외 파병시 성공적인 임무 수행과 긍정적인 이미지 구축에 성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념갈 등 완화, 교차배치정책, 전범 및 인권 탄압 범죄 가담자에 대한 통합 배 제가 군사통합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6,400원
        292.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원 전후 패자시대 전쟁 발발 전략전술에서 지역적 지리적 계책을 포함한 그 주지적 특징을 갖춘 인물들은 사해와 중원을 지시하는 남북 可合可用의 원칙적 지략을 운용함으로서 그 후속 세계의 정치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특히 唐代太宗(626-649) 李世民(598-649)은 三省六部制에 의한 貞觀之治를 통 하여 그 정치, 경제, 문화 부흥에 일조를 한 역사적 사실에서 ‘自古之政’, 그 지역문화와 지리환경의 정책적 향방을 결정짓는다. 그 전거의 일면은 태종 이 세민의 奇正兵法활용도를 통한 전쟁 성패의 가능성 판단력으로서, 『李衛公 問對』에 적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唐代太宗(626-649) 李世民(598-649)은 李靖(571-649)과의 대화체에서 諸葛亮 (181-234)의 七擒孟獲전략전술을 당시의 최대 관심사였던 대고구려 정벌에 관한 淵蓋蘇文(603-666)의 사회적 지위와 그 평가에 대입하여 신라와의 교섭 및 고구려와의 대치 국면을 논한다. 그것의 전략적 근거는 奇正虛實에 관한 형세에 두고 있다. 또한 상권, 중권, 하권으로 분류한 대화문답의 형식적 기술 내용에서는 기원 전후 전쟁사와 정치사에서 주목한 주요 인물들과 그 관련 사건사고를 통한 그 역사적 전거 진위를 밝힌다. 이는 물론 전쟁 발발 전후 상황에서의 전략전술, 인재상, 군신관, 외교정책, 군사기밀 등에 관한 내용이며 그 사실적 전거의 역사적 고증 해석 방법에서의 모순적 의미와 그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武經七書』를 집대성한 시기 전후 『李衛公問對』에서는, 그 역사적 정치적 군사적 인물들과 당대 시대사조 경향 및 그 사실사건에서의 논쟁적 변론, 그리고 그 주지적 견해는 실제의 실재로서의 사실 상황 평가의 기준으로서 그 전거의 역사적 이론적 심미적 의미 및 그 의의를 담고 있다.
        8,600원
        29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일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전범국과 패전국이었으나 1989년 10 월 9일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리고 1990년 10월 3일 공식적으로 통일국가가 되었다. 독일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전범국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4개국으로부터 서독과 동독이 강제로 분단되고 관리되었다. 독일통일 전 서독은 서구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시장경제를 도입하여 세계 선진국으로 발전하였으나. 동독은 소련식 사회주의 체제와 계획경제를 도입한 결과 국력면에서 서독에 비해 비교가 안될 정도로 많은 격차 를 보였다. 독일통일은 서독이 동독을 흡수한 전형적인 흡수통일방식이었다. 독일통일의 국내외적 환경요인은 국내적으로 동서독이 분단 상황 하에서도 정부와 민간부문차원에서 꾸준한 인적교류와 물적교류를 진행한 것이다. 국제적 요인으로는 첫째, 국제정세가 당시 소련과 동구 사회 주의권 국가들의 붕괴와 미소 냉전체제가 종식된 점, 둘째, 미국이 적극적으로 주도한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동서독이 포함된 ‘2+4체제’ 시스템 가동의 성과이다. 셋째, 독일통일은 당시 유럽지역의 나토(NATO) 와 유럽연합(EU) 등 정치적, 군사안보적, 경제적 이해관계와 전략적 목표가 일치되었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독일은 통일 후 동서독인 간 사회적·경제적·심리적 갈등이 내재돼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내적 갈등요소들은 하나씩 완화돼 갔다. 이러한 독일통일 갈등요소들은 분 단체제인 한반도와 중국 양안의 통일과정에서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중요한 사례이기도 하다.
        6,700원
        29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대 국민국가의 성장은 원료공급과 시장개척을 위해 세력확장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그런 상황 속에서 앞선 공업국가와 후발 공업국가 간에는 원료공급과 시장개척을 위한 경쟁이 불가피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은 세계적인 경제공황으로 세계경제가 붕괴되는 상황에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본주의체제가 성숙하지 못했던 독일, 일본, 이탈리아에 의해서 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과정에서 독일이 분할점령이 되었는데, 이에 독일분단의 기원에 대한 논의는 그 당시 전개되었던 국제회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독일의 분단은 강한 독일이 주는 위협요인을 해소하고자 소련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처리를 위한 얄타회담 전후인 테헤란회담, 포츠담회담을 통해 확정되었다. 독일분단의 원인은 강한 독일에 대한 위협요인을 제거하려는 연합국들의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되었으나, 전후처리과정에서 강대국들의 패권안정화가 더욱 크게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6,300원
        29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생 왕벚나무 조경수 및 가로수 수종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 선발된 9개 클론에서 개화기간 및 꽃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꽃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클론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JJ02 클론이 총 13개의 꽃 특성 중 7개 특성이 상위그룹에 속하여 큰 경향을 나타낸 반면, JJ52 클론은 7개 특성이 하위 그룹에 속하여 비교적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조경수로 식재되는 벚나무는 개화기간이 길며, 꽃이 크고 개화량이 높은 수종을 선호하므로 JJ02 클론의 경우 가장 적합한 클론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1주성분은 24.3%의 설명력이 있으며 꽃받침통 너비(FHW), 화편 길이(PL), 화편 폭(PW) 순으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클론 간 꽃의 형태적 차이를 설명하는 주요 형질로 나타났다. 총화경(LP) 및 소화경(LPI) 길이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2주성분, 20㎝ 개화지 당 꽃수(NIPF)와 화서 당 꽃수(NFPI)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3주성분, 암술대 길이(SL)와 높은 상관을 보인 제 4주성분을 2차원 공간상에 배열해 본 결과 JJ02 클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 4주성분까지 설명력은 76.2%로 나타났다. 제 4주성분까지의 득점치를 새로운 변량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 Ⅰ그룹인 JJ31 등 4개 클론, 그룹 Ⅱ은 JJ21 등 4개 클론, 그룹 Ⅲ은 JJ02 등 1개 클론으로 총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클론 간 형태적 특성에 의해 소그룹으로 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9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centration of TVOCs in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8 was measured. Public transportation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TVOCs on six subway lines in Seoul, two lines of high-speed trains, and intercity buses. The measurements were taken during the operation of each route of the surveyed public transportation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In addition, the measurement time was divided into the congestion time and the non-congestion time. In the spring of 2018, in the order of subway, train A, train B, and intercity buses, TVOC concentrations during the congestion time zone were 205.9 μg/m3, 121.3 μg/m3, 171.1 μg/m3, and 88.7 μg/m3, respectively. During the non-congestion time zone, the concentrations were 177.2 μg/m3, 108.8 μg/ m3, 118.2 μg/m3, and 126.1 μg/m3, respectively. In the summer of 2018, TVOC concentrations in the order of the aforementioned transportation modes during the congestion time zone were 169.8 μg/m3, 175.8 μg/m3, 78.0 μg/ m3, and 185.3 μg/m3, respectively. During the non-congestion time zone, the concentrations were 210.8 μg/m3, 116.1 μg/m3, and 162.7 μg/m3, respectively. An analysis of BTEX concentration among VOCs in public transportation in descending order were followed by toluene > xylene > ethylbenzene > benzene. Toluene, which has the highest concentration among the BTEX compounds, was found to be 12.86 μg/m3 to 91.41 μg/m3 during spring congestion time and 7.10 μg/m3 to 39.52 μg/m3 during non-congestion time. During the summer congestion time, the concentration was 6.68 μg/m3 to 249.48 μg/m3 and 13.23 μg/m3 to 214.5 μg/m3 during the non-congestion time. The concentration of benzene was mostly less than 5 μg/m3 in transporta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oluene, the concentr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OCs. Accordingly, further study of toluene exposure hazards will be needed. Five percent of the surveyed TVOC concentrations exceeded the recommended indoor air quality standard of 500 μg/m3, and all 13 cases representing this percentage were found in the subway. In addition, nine of the 13 cases that exceeded the recommended standard were measured during congestion time. Therefore, VOCs in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during congestion time need to be managed.
        4,000원
        29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길안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를 과거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2018년 총 2회 조사를 실시하여 Lee (2004)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2018년 출현종수는 2003년과 비교하여 총 45종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EPT 분류군이 24종, OCH 분류군이 18종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다양도지수 (Hʹ)와, 풍부도지수 (Rʹ)는 증 가하였고, 우점도지수 (DI)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주워먹는무리 (GC)에 속하는 종이 과거대비 11종이 추가로 발견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식기능군 의 경우 붙는무리 (CL)가 4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군집안정성에서는 특성군 I그룹이 2003년에 57.1%, 2018년에 61.5%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과거 평균 ‘II등급’의 수질등급과 ‘보통’의 환경상태에서 2018년에는 평균 ‘Ia’등급의 수질과 ‘매우 양호’한 환경상태를 나타냈다. 2018년의 이화학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pH 및 BOD는 개체 수, 우점도지수 (DI), 풍부도지수 (Rʹ), 다양도지수 (Hʹ), 균등도지수 (Jʹ)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사도 분석 결과, 각 연도별로 두 개의 유사군으로 분류되었다. 길안천 수계가 취수시설 및 생태공원, 하천정비사업을 진행하면서 발생한 물리적 교란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 흐름 개선과 다양한 미소서식처 형성을 통해 종 다양성 및 풍부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제한적인 구간의 하천정비공사로 인한 하상 교란과 수질과의 상관 관계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와 군집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98.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 8개의 보 구간에서 퇴적물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보 구간의 퇴적물을 채취하여 유기물, 영양염류, 금속류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았다. 보를 기준으로 상류부에는 퇴적물이 세립해지거나 세립한 퇴적물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류부에서 조립한 퇴적물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는 입도와 강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조립한 상태를 유지하는 지점보다 퇴적물이 세립해지는 지점에서 증가하였다.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농도가 증가하는 지점이 있었으나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기준치를 넘는 지점이 없어 유기물, 영 양염류에 대하여 오염 정도가 미약한 상태로 보인다. 금속류의 경우 전반적으로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도 및 유기물, 영양염류와 상관성이 미약하였다. 일부 금속이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II등급에 속하는 지점이 있으나 I등급과 농도 차이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금속이 I등급 을 유지하여 금속류에 대한 오염정도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결과가 낙동강 수계의 퇴적물 변화를 모두 대표 할 수는 없지만 보 구간의 퇴적물 변화 특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독성평가를 진행 하거나 보 구간에서 입도와 금속류의 분포 및 상관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9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scherichia coli (E. coli) can easily contaminate the bovine mammary gland; hence, monitoring of bulk tank milk (BTM) samples helps detect mastit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 coli from BTM of a dairy company. A total of 58 BTM batches were collected from 29 dairy farms of a dairy company, and 40 E. coli were tested in this study. E. coli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cephalothin (52.4%), followed by colistin (28.6%), ampicillin (19.0%) and tetracycline (19.0%). However, E. coli showed low resistance from 0% to 9.5% against other 14 antimicrobials. In the distribu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t gene, β-lactamases genes blaOXA and tetracyclines-resistant gene tetB were detected in 15 (37.5%) and 2 (5.0) isolates, respectively, and blaTEM, aac (6')-Ib, aac (3)-II, tetA, sul1 and sul2 genes were only detected once in each (2.5%) isolate. The O127 (22.5%) serogroup was the most predominant, but all E. coli isolates were divided into 20 serogroups. The occurrence of antimicrobial-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an be problematic as it not only deteriorates the milk quality but also limits the therapeutic choices of antimicrobials in humans.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is recommended to track antimicrobial-resistant E. coli in BTM and raw milk.
        3,000원
        300.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세기 이탈리아에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높았던 시기에 진행되었던 통일, 파시즘,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전시의 시각 체계를 분석하고 전시와 사회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살펴보았던 《이탈리아 통일 50주년 기념 전시》는 박람회 문화의 영향 속에서 타자를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 주체를 구성했고, 《파시즘 혁명의 전시》는 전시품의 서사를 넘어서 큐레이터의 관점과 서사를 강조함으로써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강조하며 역사와 사회를 보는 관점에 적극 적으로 개입하며 새로운 이탈리아인의 정체성을 고안하려고 시도했다. 전후 카를로 스카르파의 카스텔베키오 박물관의 상설 전시는 건축과 공간에서 큐레이터의 의도를 명확하게 구축하였으나 과거의 기억과 시각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역사를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과 동시대의 관점들이 만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어냈다. 이런 점은 전시가 사회적 정체성을 지향하며 역사와 동시대에 대한 평론으로 사회를 반영함을 보여준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