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ark brownish pigment from fruit body of Auricularia auricula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in this report. The pigment was obtained with a yield of 0.61%(w/w) by alkaline extraction and subsequent purification steps. It showed the positive FeCl3 test which was the ind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 synthetic melanin showed a similar spectrometric characteristics to the pigment extract regarding a characteristic UV absorption between 200-250 nm and infrared absorptions profiles in the finger print region including absorption peaks at 1701 and 1624 cm-1. Its element analysis indicated that its atomic copmposition is close to that of DOPA melanin (eumelanin). With the result of its antioxidant activity in the TNBT (5-thio-2-nitrobenzoic acid) assay, we concluded that the dark brownish pigment from A. auricula is a melanin-like compound having a powerful antioxidative activity.
참기름은 높은 항산화활성 및 항암작용 등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지니는 반면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짜 참기름의 유통이 범람하여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량분석기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을 제조하여 진위 판별을 시도하기위하여 각각의 유지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 통계처리하였다. 혼합 참기름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ion fragment 중 40-160 amu에서 각 시료 간에 차별성이 높은 fragment (m/z)를 선택하여 해당 intensity값을 판별 분석한 결과, 참기름 및 대두유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참기름 및 대두유, 옥수수유, 들기름을 각각의 순수한 상태로 향기성분 분석을 한 결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정확하게 분리됨을 알 수 있었고, 대두유와 옥수수유의 경우 타 기름과는 달리 순수한 공기 성분과 비슷한 위치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휘발성 향기성분의 감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량의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은 첨가된 대두유의 농도에 비례하여 제1판별함수값(DF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향후 참기름의 위조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습식분쇄의 최적조건을 얻고자 부형제 종류, 농도, 습식분쇄시 rotor speed, bead size, feed rate, 분쇄회수를 달리하여 분쇄한 결과, 부형제로는 gum arabic을 사용하여 5%의 농도로 첨가할 때 가장 좋은 분쇄효과를 나타내었다. Rotor speed를 달리하여 습식분쇄한 결과, rotor speed가 증가할수록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4,000 rpm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료와 직접 부딪혀 분쇄를 하게 되는 bead는 0.4 mm의 크기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작은 사이즈로 분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가 이루어지는 chamber내에 원료를 공급하는 비율에 따른 결과에서는 40 L/h 의 속도로 공급했을 때 가장 작은 입도분포를 보였다. 분쇄회수에 따른 영향은 횟수에 따라서는 8회 이상으로 분쇄하였을때 0.6 μm이하의 입도분포가 90% 이상으로 나타나 10회를 분쇄하였을때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속운전과 비연속운전의 비교에서는 연속운전이 더 효율적이었으며 부형제 종류에 따른 영향은 gum arabic을 첨가하여 분쇄하였을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적절한 농도와 종류의 부형제 사용과 rotor speed, bead size, feed rate, 용매와의 혼합비의 최적공정을 수립한 습식분쇄기술로 초미세액상칼슘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습식분쇄기술을 식품가공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흑목이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에 의해 얻은 조다당 분획물은 흑갈색 색소를 함유하였으므로 활성탄에 의한 탈색공정이 검토된 바 있다. 하지만 활성탄에 흡착된 색소 성분의 회수 및 활성탄의 재사용이 필요하였으므로 용매추출법을 이용한 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증류수, 중성용매(3종) 및 알칼리 용매(4종) 등 8종 용매에 의한 1단 침출 실험 결과, 색소성분의 용해성은 1 M KOH 용액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최적 용매인 1M KOH 용액을 이용하여 용액의 부피 및 시간에 따른 용출효과를 조사한 결과, 용액의 부피는 활성탄 1 g당 45 mL에서 최적의 용출량을 보였으며, 10분 이내에 빠르게 용출평형에 도달하였고, 용출공정의 용출속도는 2차 속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또, 25oC에서 1 M KOH 용액에 의한 다단침출의 실험 결과, 7단계 침출에서 최종 용출효율은 88.9%이었다. 그러나 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효율이 급격히 높아져 95oC에서는 단일용출만으로 82.6%의 용출효율을 보였다. 한편, 용출 후의 재사용된 활성탄의 흡착효율(75.3%)은 신선한 활성탄(78.5%)과 거의 비슷하였고, 다당 정제율도 거의 비슷하여(1.21-1.25배) 재생 가능함을 보였다. 따라서, 흑목이 버섯의 흑갈색 성분의 탈색 후 흡착된 활성탄으로부터 용매추출을 이용한 효율적인 색소성분의 회수 및 활성탄 재생 공정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In vitro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jack bean (Canavalia ensiformis) urease inhibitory activity and retarding effect of glucose/bile acid of Aloe vera gel concentrated by the optimized DIS (Dewatering Impregnation & Soaking) process conditions were examined. Urease inhibitory activity of DIS aloes ranged from 84.6 to 94.4%, which was similar to or higher than 86.3% of fresh aloe. Also, urease inhibitory activity of DIS aloes was maintained at initial levels after heat treatment (90oC, 10 min.) and drying treatment (freeze or hot air drying). Urease inhibition pattern from Lineweaver-Burk plot indicated general non-competitive inhibition, and inhibition constants (KIE and KIES) of DIS aloes were 41-149 and 87-163 μL/mL, respectively. DIS(glucose) and DIS (polyethylene glycol) exhibited the highest retarding effect of glucose and bile acid. Their retarding effects were about 1.6 and 1.8 folds higher than that of fresh aloe after 0.5 and 1 hr of the dialysis, respectively. Conclusively, the above in vitro physiological functions of Aloe vera gel concentrated by DIS process suggested that aloe products treated with DIS would have the potential benefits for protection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reduction of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s.
본 연구는 조청의 제조공정 및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침시간(4, 8, 12시간)을 달리한 멥쌀을 증자기와 microwave로 제조한 고두밥의 일반성분과 수분용해지수, 수분흡착지수, 환원당함량, 페이스트점도를 비교하였고, 전처리를 달리한 고두밥으로 제조한 조청의 당고형분함량, 환원당함량과 포도당당량을 비교하였다.
멥쌀의 수침시간이 증가할수록 일반성분은 감소하였다. 멥쌀원료의 지방함량은 최대 60% 감소하였고, 회분과 단백질 함량 또한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 사용된 엿기름의 β-amylase의 활성도는 1710 unit의 당화력을 보였다.
멥쌀 원료의 환원당 함량은 수침시간이 4-8시간으로 증가할 때 증가하였지만, 수침 12시간이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증자한 고두밥, microwave 처리한 고두밥의 환원당함량은 8시간까지 증가하다가 12시간 때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멥쌀 원료와 전처리를 달리한 고두밥의 수분용해지수는 수침시간 4시간 이후에는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분흡착지수는 증자한 고두밥과 microwave 처리한 고두밥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수침시간의 증가에 따른 최고점도, 최저점도, 구조파괴점도, 최종점도, 회복점도 등의 페이스트 점도지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eak time은 큰 변화가 없었다.
멥쌀을 12시간 수침한 후 증자기와 microwave로 제조한 고두밥을 당화시간(4, 8, 12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조청의 당고형분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그에 따라 비례하는 결과를 보였고, microwave 처리한 고두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청보다 증자한 고두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청의 환원당 함량과 포도당 당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증자한 고두밥을 12시간 당화하였을 때 조청의 환원당함량과 포도당 당량이 59.40±0.11%, 76.99±1.78%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멥쌀을 12시간 수침하여 증자한 고두밥을 12시간 당화시켜 제조한 조청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crylamide in various food samples in Korea were monitored during the period beginning August 2006 through May 2007. A total of 471 food products that were purchased at local markets were categorized into 17 groups and analyzed for the acrylamide content by using an LC-MS/MS method. Food samples that were selected based on special consideration such as expert consultation, Korean food consumption data and food market shares we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There are very large variations in acrylamide levels within tested foods. Acrylamide content ranged from ND(not detected) to 4,002 μg/kg with all tested samples. Acrylamide levels are relatively high in ‘cereal’, ‘coffee’, ‘potato snacks’, ‘biscuit’, ‘chocolate’, and ‘prune juice’. Acrylamide was also detected in fruits, vegetables, Korean traditional cookies which are considered as safe for acrylamide.
The risk ranking of food groups included the Korea Food Code is a potentially powerful means to prioritize food safety management strategies. Although the interest in risk ranking of food groups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there was, until recently, no standard system in Korea for the risk ranking of food grou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ank food groups using theoretically estimated comparative risk scores of 101 food groups included the Korea Food Code. These scores were estimated using the risk evaluation model, which focuses on 3 aspects, namely, exposure assessment, severity assessment, and consumption par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isk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ready-to-eat (RTE) food items, followed by fish products and breads. Using this ranking system, we can identify the food with high risk scores and design risk management strategies targeted specifically at these i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