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016년 4월) 287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4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수밀력이 우수한 신품종의 품종 등록 및 정부 장려품종 지정을 위한 꿀벌품종의 수밀력 등 형질특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품종은 서양종꿀벌 수밀력 우수 신품종(장원벌)과 봉장 우수품종, 봉장 보통품종 등 3가지 품종이었고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의령군 꿀벌사육농가에서 조사하였다. 사육방법은 일반 꿀벌 봉군관리 방법을 따랐고 꿀수집능력(수밀력), 질병저항성(청소력), 온순성, 병해충 발생 등을 조사하였다. 장원벌의 벌꿀 수밀력은 대조와 비교하여 31.9%∼55.3%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원벌의 마리당 로열젤리 생산량은 0.55g으로 대조1 0.42g, 대조2 0.43g과 비교하여 약 30%이상 생산능력이 우수하였다. 장원벌의 공격성 조사를 통한 온순성 비교 결과 장원벌은 자극에 의한 평균 벌침수가 1.3개로 대조(4.0개, 7.3개)에 비하여 3∼6배 온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봉군의 청소력 비교 결과, 장원벌이 24시간 경과 후 청소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봉개유충 완전 제거능력이 7%∼12% 정도 우수하였다. 응애발생 조사 결과 중국가시응애 증식이 많았으며, 장원벌은 응애류 저항성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봉군질병진단 결과 장원벌과 대조구간의 질병 감염정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24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생명표 통계량을 이용하여 RCP 8.5 기상시나리오에 따른 기장테두리진딧물의 기후적응능력 및 잠재적 발생세대 수를 평가하였다. 기장테두리진딧물의 내적자연증가율(rm)과 온도와의 관계는 곤충발육율 모형에서 주로 사용하는 비선형모 형을 적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고 잠재적 발생세대수는 생명표통계량 인자 중 하나인 세대기간(T)을 이용하여 온도 의존적 세대완료율모형을 작성한 후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발생세대수를 추정하였다. 기후적응능력 평가의 경우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내적자연증가율을 기반으로 개체군 크기의 증가를 유도하는 서식처 온도분포의 폭을 나타내는 TSM(Thermal Safety Margin)을 계산한 후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10년 단위로 비교하였다. TSM은 내적자연증가율이 최고치가 되는 온도를 최적온도(Topt)로 설정한 후 각 시기별 온도와 최적온도와의 차로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표통계량을 활용한 기후변화 관련 개체군 영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기장테두리진딧물의 조기관리방 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포스터

24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저장해충 방제를 위하여 환경오염 및 인축의 독성문제 등으로 살충제나 훈증제 등과 같은 농약의 사용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 이산화염소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이산화염소는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서 미생물과 곤충에 대한 살균, 살충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주요 저장해충인 화랑곡나방에 대한 저농도 이산화염소의 발육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화랑곡나방의 알, 2령, 3령, 4령 유충에 아치사량인 50ppm의 이산화염소가 스를 24시간 처리하였을 경우, 번데기까지의 발육기간이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알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2, 3, 4령 유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용화율은 알, 2, 3령에서 4령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화랑곡나방 3령 유충에 50ppm의 이산화염소가스를 0, 6, 12, 24, 48시간 처리하였을 경우, 3령 유충에서 번데기까지의 발육기간은 0, 6, 12시간 처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4와 48시간 처리에서는 발육기간이 유의하게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용화율 또한 24와 48시간 처리에서 다른 처리시간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농도의 이산화염소가 화랑곡나방의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유약호르몬 가수분해효소(JHE)의 활성에 영향을 준 결과로 추측되며, 이러한 작용기작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24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we reported a viral disease extremely fatal to A. dichotoma, had landed on Korea in 2015, we have investigated this disease nationwide and it was turned out the viral disease has spread in the majority of the larva-rearing farms all over the country. The transmission of this disease is most severe when the larvae are harvested and stored for overwintering. During this period, even a few virus-infected larvae can easily transmit the virus and about two hundreds of larvae stored in a container can be killed. In a peroral infection experiment, 80% of infected larvae were killed but survived larvae became adults fully functional physiologically. These survived beetles were confirmed as live virus carrier. Also, about 75% of larvae hatched from the eggs laid by the infected beetles were infected and killed by the virus. This vertical transmission is due to the feeding and secretion activity of the infected parents.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4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rine protease inhibitors play a critical role in physiological processes and immune responses by regulating serine protease activities. Here we describe the molecular clo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 serine protease inhibitor from the mason bee, Osmia cornifrons (OcSPI). OcSPI consists of 405 amino acid residues and contains a potential reactive center loop (RCL) region in its C-terminus. Recombinant OcSPI was produced as a 64-kDa glycoprotein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and exhibi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hymotrypsin. Additionally, OcSPI demonstrat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icrobial serine proteases, such as subtilisin A and proteinase K, but not agains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hrombin, or plasmin. Recombinant OcSPI bound directly to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and Beauveria bassiana and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bacteria and fungi. Our results demonstrated the antimicrobial functions of OcSPI and suggest a role for OcSPI in the immune response of O. cornifrons.
24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smia cornifrons is a cavity-nesting solitary species used as an apple pollinator in Korea. To elucidat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O. cornifrons, we investigated its development from the egg to adulthood, including a dormant prepupal phase and mating through indoor rearing (25 °C, 65% R.H.). The egg durations of the female and male bees were 3.6 ± 0.8 days and 3.1 ± 1.3 days, respectively. During larval development, the head widths of the 1st to 5th instars ranged from 0.7 ± 0.1 mm to 1.3 ± 0.1 mm. The peak of the growth in head width was the 2nd instar. The larval lengths ranged from 3.7 ± 0.6 mm to 13.6 ± 1.3 mm. The peak of growth was the 4th instar. The larval weights ranged from 4.5 ± 1.2 mg to 78.3 ± 16.1 mg. The peak of growth was the 3rd instars. The total larval durations of from the 1st to 5th instars for the females and males were 14.0 ± 6.0 days and 13.2 ± 5.8 days, respectively. The spinning durations of the females and males were 2.2 ± 0.7 days and 2.3 ± 0.8 days, the prepupation durations were 55.5 ± 5.9 days and 55.8 ± 2.9 days, and the pupation durations were 26.4 ± 2.1 days and 25.3 ± 2.3 days, respectively. The average longevity of the female adults and male adults was 21.8 ± 8.7 days and 24.4 ± 12.4 days, respectively. The total duration of from the egg to an adult bee of the O. cornifrons females and males was 123.5 days and 124.1 days, respectively. Mating consisted of the three following phases: the precopulatory (courtship and attempting copulation), copulation and postcopulatory phases. The mating times of the precopulatory, copulation and postcopulatory phases were 159.6 ± 288.9, 8.4 ± 7.1, 12.9 ± 4.5, and 198.8 ± 69.8 seconds.

포스터

24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is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ource of medicinal properties of suppression of cancer and prevention of liver-related diseases. Recently, it was listed as a temporal food ingredient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o use this insect species without endangering wild populations and produce better quality insects, a mass rearing technique and the suitable rearing conditions are neede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diets and temperatures can affect the larval weight of this beetle. The larval weight change of third instar larvae was tracked for 14 weeks with different combination of three rearing temperatures – 25, 27.5, and 30℃ - and two feed ingredients – soybean cake and rice bran. Among three temperatures, 27.5℃ was the best temperature condition for rearing this beetle. Among four combinations of two feed ingredients, the addition of soybean cake made significant weight increasement for third instar larvae. These results showed that adding soybean cake at 27.5℃ was the best rearing condition for larval weight gain. This rearing condition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producing better insects and maximizing producers’ benefits.
24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stillers dried grain (DDG) and makgeolli spent grain (MSG) are agricultural by-product to produce alcoholic beverage. However, they are known to contain enough nutrients. Mealworm is a promising insect resource for an animal feed ingredient as well as alternative human food. With low cost, DDG and MSG were investigated as a feed ingredient for rearing high quality mealworms. DDG and MSG were mixed with wheat bran and compared to control feed (only wheat bran) for its effects on larval survivorship, larval weight, duration for larval development, pupation rate, and pupal weight. Adding DDG on wheat bran showed positive results for larval weight, duration for larval developmental period, and pupation rate. However, adding MSG made longer duration for larval development, but it also improved larval weight, pupal weight with more than 90% pupation rate. We confirmed that adding 30~50% of DDG or MSG to conventional wheat bran have a strong potential to replace the conventional wheat bran insect feed for quality insect production.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4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is stduy was to identify accurately and promptly the Microsporidia disease of bumble bees from Gangwon in Korea. Bumble bees are crucial pollinators of various crops and microsporidia are the critical infections of these hosts. Also, the various species of bumble bees have been used: Bombus terrestris, B. lucorum, B. occidentalis, B. ignites and B. impatiens etc. The symptoms of bumble bees infected microsporidia: their abdomens become distended, paralyzed and become sluggish and die early. We have identified the morphologies of the microsporidium by electron microscopy and found that the morphology of the microsporidium is rounded spore morph, with fairly small spores as described before in many other articles. For the specific and sensitive diagnosis of Nosema in bumble bees, we have developed the improved method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conditions for expeditious diagnosis. Two pairs of primers were tested on N. bombi and the related microsporidia; Nosema apis and Nosema sp., both of which infect bumble bees and honey bees and further we have verified and analyzed DNA sequence data of N. bombi in bumble bees by using the BLAST server at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5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the causal pathogen of pine wilt disease in Korea. Currently, it is reported that B. mucronatus also has a low pathogenicity. Despite this difference in pathogenicity, it is very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se two species due to similarity in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sequence variation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intergenic spacer (IGS) regions of ribosomal DNA has been us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phylogeny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But, the IGS region sequence data of B. mucronatus has been only reported in Portugal. In this study, We analyzed genetic variation on ITS and IGS regions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Asian genotype, European genotype) based on rDNA gene sequences, and conducted phylogeography using TCS network. When the each isolates was determined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neighbor-joining method, Bursaphelenchus species were divided into each groups, and showed low variation within each species. In the TCS analysis, The isolate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Asian genotype and European genotype) were divided into each groups and confirmed slightly genetic distance within species. B. mucronatus European genotype has possibility of new species different with Asian genotype.

포스터

251.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에서 그 동안 보고되지 않은 황색다리침파리(가칭, Coenosia attenuata Stein)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황색다리침파리는 작은뿌리파리의 포식성 천적으로 생물적 방제 인자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미 유럽에서는 해충의 포식성 천적으로 Coenosia 속 8종이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는 보고가 되어 있지 않았었다. 황색다리침파리는 유럽, 북미, 남미, 동남아시아 등에서 보고되었으며, 한국에서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실, 완주, 김해, 합천, 홍성, 태안의 딸기 농가, 익산, 부여의 토마토 농가, 태안의 백합 농가 등에서 발생밀도의 차이는 있지만, 서식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파리목(Diptera)의 집파리과(Muscidae) 황색다리침파리의 형태적 특징과 유전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252.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IPCC는 기후변화의 요인이 인위적인 것임을 확실시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을 위한 온실가스 정감 정책에 따른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Maxent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알팔파바구미 확산을 예측․비교하였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2015년 외래생물정밀조사 결과 32개의 서식지점을 활용하였고 독립변수인 기후자료는 WorldClim에서 제공하는 현재기후와 RCP 4.5, 8.5 시나리오(2041-2050년) 생물기후(bio 1~19)를 적용하였다. 결과, 모형의 적합도(AUC)는 각각 0.740, 0.726으로 높게 산출되었다. 두 모형에서 공통적으 로 가장 따뜻한 분기의 평균기온(bio 10)이 60% 이상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었으며 가장 따뜻한 달의 최고기온(bio 5), 평균 일교차(bio 2), 계절적 강수량(bio 15)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0.4의 임계값(threshold)을 적용한 잠재출현지역 분석 결과, 현재 기후(1950-2000년)의 경우, 남한면적의 약 30.7%의 30,661㎢ 가 출현가능지역으로 분석되었다. RCP 4.5에서는, 현재기후에 비해 약 2.66배(81,731㎢), RCP 8.5는 약 2.69배(82,687㎢) 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확산면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두 확산예측 모형에서 지리산일대와 강원도 백두대간 일대의 분포가 예측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모형에 기여도가 높았던 변수(bio 10)와 관련된 것으로 높은 고도로 인해 봄과 여름철 서늘한 기온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53.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생물적 방제용 36종(칠레이리응애 등), 화분매개용 1종(서양뒤영벌), 연구용 2종(노랑초파리 등), 먹이용 2종(갈색거저리 등), 생태복원용 1종(장수하늘소)을「금지품에서 제외되는 해충」으로 고시하여 수입을 허용하고 있다. 수입이 허용된 42종 중 서양뒤영벌 등 22종은 수입실적이 있으나 나머지 20종은 수입실적이 없다. 최근 5년간 수입량이 가장 많은 종은 노랑초파리(337건, 2015)이다. 수입이 허용된 종을 국내 분포종(10종)과 미분포종(12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다 수입량은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국내 미분포종은 수입량이 일정(평균 약 840,060천마리)하게 유지되고 있으나 국내 분포종은 2010년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원인을 보면 오이이리응애가 2013년 수입량이 큰 폭(전년 대비 530% 증가)으로 늘어났고 ′14.-′15.년에 어리풀잠자리, 진디벌의 수입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금지품에서 제외되는 해충의 수입현황 은 매년 허가되는 종이 늘어나기 때문에 전체 수입건수 및 수입량은 증가하는 추세다. 향후 국내 미분포종의 경우 야외정착 여부와 비표적 위험성 조사가 필요하고, 국내분포종의 경우 수입 시 동반병해충의 감염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기반 조성마련이 요구된다.
25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rtality of honeybees(Apis cerana) is a serious problem that beekeepers have to face periodically in Korea. The presence of RNA viruses, in addition to other pathogens may be one of its possible causes. In this work, we were detected Black queen cell virus (BQCV), Kashmir bee virus (KBV), Korean Sacbrood virus (KSBV), Ascosphaera apis, and Nosema in samples of Apis cerana. Honey bee viruses was detected KSBV(58.5 %), KBV(6.5 %), BQCV(70 %) in 2015 by RT(Revers transcriptase)-PCR. Sacbrood virus (SBV) is an important disease of A. cerana. A. apis can cause chock brood disease to honey bee. It was detected 10.3 % of A. cerana colonies by PCR. Also, Nosema cerana was detected 50.5%. Conclusively, investigated disease of the A. cerana, and confirmed virus that lead to bee disease, this is thought by valuable thing as data for development of beekeeping industry such as Colony Collapse cause searching examination.

포스터

25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페놀옥시데이즈(phenoloxidase: PO) 효소 활성 억제는 면역억제 및 정상적 발육 교란을 초래하게 된다. 이산화염소는 높은 산화력을 바탕으로 미생물 및 곤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살균 및 살충효과를 갖고 있다. 이는 이산화염소가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 유발에 기인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곤충의 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PO를 대상으로 이산화염소의 억제작용을 분석하였다. 화랑곡나방의 PO 활성은 혈구 및 혈장 모두에서 검출되었다. 이 PO 활성은 세균 침입에 따라 특히 혈장에서 뚜렷한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세균 처리와 함께 이산화염소가 동시에 처리되면 이러한 PO 활성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면역 처리 이후 증가된 PO를 대상으로 기내 조건에서 이산화염소를 농도별로 노출하였을 때 이산화염소는 활성화된 PO에 대해서는 억제효과를 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산화염소가 PO의 활성을 억제하며, 이러한 억제는 PO의 활성화 단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25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최근 식약용 곤충산업 소재인 갈색거저리의 분변토를 활용한 비료 제품을 개발하고자 연구되었다. 갈색거저리 분변토는 Twist Screen Separator의 구축과 함께 갈색거저리 유충 분리용 체망(15mesh)과 분변토 분리용 체망(25mesh)을 활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갈색거저리 분변토는 상온에서 21일간 부숙 후 울트라휴믹 분말과 혼합하여 8mm형태로 펠렛 성형을 하였으며, 비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유용미생물 B. amyloliquefaciens KB3와 혼합 하여 펠렛 실험에 활용하였다. 거저리 분변토 비료 시제품의 효과 검정을 위하여 시험용 작물로 상추(Lactuca sativa L.)를 선택하였다. 처리방법은 토양혼합 방식과 겉면시비 방식으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작물배양실에서 온도 25℃에서 약 35일간 재배후 생체중, 엽장, 엽폭, 엽수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겉면시비한 상추의 생체중은 무처리구 5.93g±1.19, 처리구 15.95g±4.67로 2.69배 증가, 엽장은 무처리구 12.96cm±1.43, 처리구 19.34cm±0.63로 1.49배 증가, 엽폭은 무처리구 6.38cm±0.60, 처리구 10.24cm±1.05로 1.6배 증가, 엽수는 무처리구 8.6개±0.55, 처리구 11.2개±1.1로 1.3배 증가하여 무처리 대비 작물 생육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처리방법에 따라서는 토양과 혼합하는 방식이나 겉면에 시비하는 방식 모두 큰 차이는 없음을 확인하였다.

2016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 심포지엄

25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식사료용 곤충인 벼메뚜기를 사료첨가제로 이용하여 육계의 증체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총 120수를 처리구당 30수씩 4처리구로 배치하여 개체별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 섭취토록 하였다. 시험 처리구는 대조구, 벼메뚜기 분말 0.5, 1.0 및 2.0% 급여 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시험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매주 일정시간에 반복별로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0∼5주차 증체량은 벼메뚜기분말 1.0% 처리구에서 2,084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벼메뚜기분말 0.5% 처리구에서 1,921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사료섭취량은 벼메뚜기분말 1.0% 처리구에서 3,13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벼메뚜기분말 0.5% 처리구에서 2,912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서 1.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벼메뚜기분말 1.0 및 2.0% 처리구에서 1.5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25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식사료용 곤충인 벼메뚜기를 분말화하여 사료첨가제로 급여한 육계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비교하였다. 사양시험 종료 직후 각 처리구에서 평균체중에 가까운 육계를 임의로 선발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선발된 육계는 가슴살과 다릿살로 나누어 만육기로 분쇄하였으며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등을 AOAC (1995)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삶는 방법을 이용하여 계육을 조리할 때, 찬물에 계육을 넣는 방법을 사용하나 닭가슴살 육즙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Jung MO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닭가슴살의 경우 수분은 벼메뚜기분말 2.0% 처리구에서 74.7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서 73.47%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조단백질은 벼메뚜기분말 0.5% 처리구에서 24.2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벼메뚜기분말 2.0% 처리구에서 23.38%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조지방은 대조구, 벼메뚜기분말 0.5% 처리구에서 0.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벼메뚜기분말 2.0% 처리구에서 0.64%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조회분은 대조구와 벼메뚜기분말 1.0% 처리구에서 1.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벼메뚜기분말 2.0% 처리구에서 1.29%로 가장 낮게 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포스터

25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sequenced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mt genomes) of four Apis species, such as A. cerana, A. dorsata, A. laboriosa, and A. mellifera ligustica. The A. m. ligustica used in this study was originated from United States and selected for a high hygienic behavior during several years of breeding program. Considering current phylogenetic hypothesis of Apis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hylogeny and gene rearrangement was not supported. Phylogenetic reconstruction using available Apoidea species has shown the relationships ((Apidae + Colletidae) + Crabronidae). Within Apis, a strong support for three groups was obtained: A. florea and A. andreniformis as a basal group to the other A. cerana and A. mellifera group and A. dorsata and A. laboriosa group. The test to find out suitable single mt gene for the phylogeny at the genus level and below-genus level of Apis provided an identical topology from ND4L and ND6 in the ML analysis and ND3 and NF4L in the BI analysis to that from whole mt genome, with relatively strong support, indicating that these individual genes can potentially be utilized for within-species level phylogeny of Apis.
260.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동애등에 유충은 약 40%의 단백질과 30%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어 동물의 먹이로 충분한 가치가 있으므로 고효율, 고기능 가금류 사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가금류 사료를 개발하는데 있어 생산단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건조방법별 영양성분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분석용 시료로 사용한 동애등에는 사육중인 유충을 채취하여 급속냉동한 후 열풍 40~80℃까지 10℃간격으로 건조, 동결건조, microwave건조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영양성분 분석은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등을 AOAC (1995)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건조시간은 열풍건조 8~96시간, 동결건조 72시간, microwave건조 8분이 소요되었다. 영양성분 중 수분 함량은 3~9%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49~50%, 조회분 함량은 10~1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