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버섯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18권 2호 통권 30호 (2014년 11월) 64

Poster Session Ⅱ 배지, 재배, 생리, 병해충

41.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곡식좀나방은 원목 및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발생하여 종균과 균사를 직접 가해하거나 배지를 갉아먹어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발생과 피해는 주로 5월~7월 사이에 나타나며, 6월 중순이후에 발생과 피해가 많다. 표고곡식좀나방의 생물적 방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유충의 체내에 침입하여 폐혈증을 일으켜 죽이는 곤충병원성 선충의 방제 효율성이 높아 본 시험에서는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하여 실내 생물검정과 표고버섯 재배사에서의 현장실증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내 생물검정 시험에서는 유충 한 마리당 곤충병원성 선충 감염충을 10마리 접종하였을 때 80% 이상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표고곡식좀나방 유충이 어릴수록 치사율은 높게 나타났다. 천안의 원목 표고버섯 재배지와 부여, 청원, 화성의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수행된 현장실증 시험에서는 330㎡ 당 곤충병원성 선충 감염충을 2천만 마리 농도로 물과 희석하여 살포하였을 때 처리 2주 후에 8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표고버섯 재배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표고곡식좀나방의 생물적 방제제로 우수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42.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원목 및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달팽이류에는 산민달팽이와 민달팽이 2종이 대표적이다. 산민달팽이는 주로 야산을 끼고 재배되는 원목 표고버섯 재배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며, 민달팽이는 주로 평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피해를 주고 있었다. 산민달팽이와 민달팽이는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5월~10월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피해는 자실체와 갓을 갉아먹어 상품성을 저하시켜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유발하였다. 피해율은 원목표고버섯에서 15~25%, 톱밥배지 표고버섯에서 30~75%였다. 본 시험에서는 포식성 천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한 민달팽이류의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은 5월~10월 사이에 천안의 원목표고, 부여와 화성의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수행되었으며, 아큐레이퍼응애의 방사밀도와 방사회수에 따른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아큐레이퍼응애를 330㎡ 당 5,000마리, 10,000마리, 20,000마리 밀도로 방사한 후 60일 이후에 방제효과는 각각 50%, 75%, 85%로 방사밀도가 많을수록 효과는 높았다. 그리고 2주~한 달 간격으로 1회~7회 방사하였을 때 방제효과는 4회 이상 방사하였을 때 8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산민달팽이와 민달팽이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서는 아큐레이퍼응애를 330㎡ 당 10,000마리 이상의 밀도로 연중 4회 이상 방사할 경우 8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와 함께 버섯의 피해율도 5% 이내로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방제효과는 2년째, 3년째 등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다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43.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ast two decades, European ash trees (Fraxinus spp.) have been severely damaged by ash dieback disease of which causal agent is a fungal species called Hymenoscyphus fraxineus (anamorphic stage Chalara fraxinea). Recent molecular phylogenetic and population genetic studies suggested that this fungus may have been introduced from Eastern Asia to Europe. In the course of fungal biodiversity survey in Korea, H. fraxineus-like apothecia were collected from fallen leaves, rachis and petioles of Korean ash and Manchurian ash trees. Th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traits of these materials are provided, supplemented by ITS rDNA sequence comparison of H. fraxineus strains collected from Europe, China and Japan.

Poster Session Ⅲ 성분, 기능성, 수확 후 관리, 기타

44.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타민 D와 Ca는 뼈 골격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골 형성에 관여하는 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염증을 유발하는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활성을 낮추어 골다공증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ni et al., 2014; Park et al., 2014).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은 표고버섯, 느타리, 팽이, 양송이, 석이, 운지, 영지 등의 버섯류 가운데에서도 비타민 D2(ergocalciferol)와 D3(cholecalciferol)를 합한 비타민 D 함량이 1.68μg/g로 가장 높으며 표고버섯(건 동고)에 비해 2.3배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Lee et al., 1997). 본 실험은 목이버섯을 이용하여 비타민 D가 향상된 증숙면을 제조하고자 불린 건목이와 생목이를 밀가루 대비 0~20%를 첨가한 후 색도, 물성, 열량, 비타민 D2 함량 및 관능을 조사하였다. 불린 건목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숙면의 L값(명도)과 b값(황색도)는 낮아지고 a값(적색도)는 낮아졌으나 생목이의 경우에는 L값은 증가하고 a값과 b값은 낮아 건목이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불린 건목이와 생목이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과 점착성, 씹힘성이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물성이 약해지는 경향이었으며 열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생목이에서 불린 건목이에 비해 열량이 다소 낮았다. 면역기능물질인 비타민 D2는 생목이버섯 첨가시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불린 건목이 10~15% 첨가시 0.81~1.09μg/100g을 나타났다. 또한, 불린 건목이 20% 첨가시 비타민 D2 함량은 1.49μg/100g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기호도는 15%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타민 D가 강화된 목이버섯 증숙면 제조를 위해서는 밀가루 대비 10~15%의 불린 건목이를 첨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45.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rdyceps species, including C. sinensis, C. militaris, C. pruinosa and C. bassiana and C. staphylindaecola are prized traditional medicinal materials. From many Cordyceps species, Cordyceps militaris is well known and is ethopharmacologically known in Fa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Continuous scientific studies have found that these preparations are capable of exhibiting numer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as anti-oxidative, anti-viral, anti-cancer, anti-fibrotic,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nti-angiogenic, anti-diabetic, and anti-obesity drugs. Many species of Cordyceps (more than 600 types) have not yet been evaluated for their pharmacological activities. A preliminary study indicated that the biological activity varied between species and even between strains of the same species. But the 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and constituents of Cordyceps militaris have been studies extensively.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Cordyceps militaris include cordycepin (3'-deoxyadenosine) and its derivatives, ergosterol, polysaccharides, a glycoprotein and peptides containing aminoisobutyric acid. They include anti-tumour, anti-metastatic, mmunomodulatory,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insecticidal, antimicrobial, hypolipidaemic, hypoglycaemic, anti-ageing, neuroprotective and renoprotective effects. Cordycepin is reported to possess many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immunological stimulating, anti-cancer, anti-virus, insecticidal, antibacterial and anti-infection activities. Polysaccharide accounts for th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tumour, anti-metastatic, immunomodulatory, hypoglycaemic, steroidogenic and hypolipidaemic effects. Ergosterol exhibits anti-tumou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The aim of this presentation is to review the che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actions of Cordyceps militaris.
46.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양송이는 1960년대부터 재배법이 확립되면서 농가의 소득 작목으로 정착되었고, 주로 서양에서 이용하는 식자재의 하나였지만, 최근에는 식문화의 변화등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버섯이다. 본 실험에서는 양송이버섯의 균주별 자실체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식품분야에서는 아질산나트륨 또는 아질산칼륨을 말하며 가공된 햄, 소시지, 이크라(ikura) 등에 색소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이용되고 가열조리 후 선홍색의 유지에 도움이 되지만 2급 및 3급 amine류와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Nitrosoamine을 생성하며, 체내에서 diazoalkane(CnH2nN2)으로 변화하여 핵산이나 단백질 또는 세포내의 유용성분을 알카리화함으로써 각종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양송이 66균주의 자실체를 열수, 주정, 메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용매별로 추출된 균상재배 양송이 버섯류의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scavenging effect)은 Gray등의 방법으로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구했으며,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ASI 1163 균주가 46%,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1033이 28%,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1328이 57%로 가장 높았다. 각종 추출물은 양성대조구인 Ascorbic acid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메탄올 추출물 중에서는 양성대조구인 BHA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이는 것도 있었다.
47.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큰느타리라고도 불리는 새송이버섯은 1990년대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고기집에서 삼겹살과 잘 어울리는 버섯으로 인기가 좋아 꾸준히 소비되는 버섯이기도 하다. 본 실험에서는 새송이버섯의 균주별 자실체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새송이 5균주의 자실체를 열수, 주정, 메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용매별로 추출된 새송이 버섯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열수와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2394가 13.8 %, 9.4 %로,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2887이 5.5%로 높았지만 양성대조구인 Ascorbic acid 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scavenging effect)은 Gray등의 방법으로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구했으며,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ASI 2820 균주가 25%, 주정 추출물에서는 ASI 2839이 29%,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2820이 36%로 가장 높았다. 각종 추출물은 양성대조구인 Ascorbic acid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열수, 주정, 메탄올 추출물 중에서는 도 다른 양성대조구인 BHA와 비슷한 소거능을 보이는 것도 있었다.
48.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KTH-13 (4-isopropyl-2,6-bis(1-phenylethyl)phenol) which is derived from Cordyceps staphylindaecola in the cancer cells survival. The apoptotic effect of KTH-13 on various cancer cells, such as C6 glioma, MDA-MB-231 breast cancer, and A549 cells, was determined by MTT assay, and result showed that KTH-13 (0-100mM) dramatically inhibited the cancer cell survival. IC50 of KTH13 were 60.549, 53.512, >100, in C6, MDA-MB-231, and A549, respectively. DNA fragmentation result revealed that MDA-MB-231 cells treated with KTH-13 100mM undergoes apoptosis. To understand the action mechanism of KTH-13, the effect of KTH-13 on caspase which is key regulator of apoptosis was verified. The amount of cleaved capspase-3 and 7, executioner caspases, was increased by KTH-13 treatment, at time dependent (capspase-3 case) and dose dependent manner (caspase-7 case). And the cleavage of caspase-9 which is initiator caspase was also elevated in KTH-13 treated MDA-MB-231 cells showing time dependent manner. However, caspase-8 was not regulated by KTH-13, indicating KTH-13 specifically targets caspase-9 signal. As caspase-9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pathway, the involvement of bcl-2 family was identified. Bax, pro-apoptotic molecule, was up-regulated whereas Bcl-2, anti-apoptotic protein, was down-regulated. And the Bax/Bcl-2 ratio was increased about 10 times. Then, the survival signal was also observed. The phosphorylation of Akt and p85 was diminished by KTH-13 treatment at 2,4,6 and 8 hour. Collectively, results suggest that KTH-13 induces cancer cells apoptosis via caspase3, 7, 8 and Bcl-2 family signaling pathway. And the Akt and p85 is also involved in KTH-13 action mechanism.
49.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nter mushroom으로 불리는 팽이버섯은 80년대 후반에 기계화 병재배가 본격화 되었고, 이로 인해 현재는 일반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버섯이며, 맛과 영양이 풍부하여 각종 음식에 많이 쓰이는 재료이기도 하다. 본 실험에서는 팽이버섯의 균주별 자실체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아질산염은 2급 및 3급 amine류와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Nitrosoamine을 생성하며, 체내에서 diazoalkane(CnH2nN2)으로 변화하여 핵산이나 단백질 또는 세포내의 유용성분을 알카리화함으로써 각종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26균주의 자실체를 열수, 주정, 메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용매별로 추출된 병재배 팽이 버섯류의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scavenging effect)은 Gray등의 방법으로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구했으며, 그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F5 균주가 39%, 주정 추출물에서는 우리1호가 3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F1이 32%로 가장 높았다. 각종 추출물은 양성대조구인 Ascorbic acid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또 다른 대조구인 BHA와 비슷한 수준의 소거능을 보이는 것도 있었다.
50.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4-isopropyl-2,6-bis(1-phenylethyl)aniline 1 (KTH13-AD1) is a metabolite of Cordyceps bassiana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various inflammatory disease. Even though it has the magnificent pharmaceutical potential, there was not much understanding on its anti-inflammatory act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TH13-AD1. We found that KTH13-AD1 suppressed nitric oxide (NO)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 or sodium nitroprusside (SNP)-treated macrophages (RAW264.7 cells). Similarly, mRNA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tumor necrosis factor-a (TNF-a) analyzed by RT-PCR and real-time PCR was also reduced by this compound. Interestingly, KTH13-AD1 also strongly diminished the levels of NF-kB-mediated luciferase activities and nuclear translocated NF-kB family proteins. In agreement with these, KTH13-AD1 suppressed the upstream signaling pathway for NF-kB activation including IkBa, IKKa/b, AKT, p85/PI3K and Src in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s.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KTH13-AD1 has a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suppression of the NF-kB signaling pathway.
51.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locybe indica (Purkayastha, 1974), Milky mushroom, is a relatively new to the world of mushroom industry, which is belong to Lyophyllaceae of Basidiomycota, and commonly used as edible mushroom in India and Southern Asia count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skin whitening and anti-collagenas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fruiting body of C.indica cultivated in Bangladesh. In addition, the polyphenol compounds of the extract were analyzed by HPLC. The mushroom extract showed good activity in lipid peroxidation which ranged from 29.35% to 55.39% at the concentration 0.125~2.0 mg/mL. The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 on 1,1-diphenyl-2-picrylhydrazy radicals were from 20.22~83.93% at the same tested concentration, which were comparable with the positive control BHT.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 was 76.24~93.92%. The skin whitening effect of the mushroom extract was performed with UV light protecting, tyrosinase and DOPA inhibitory activities. The methanol extract absorbed UV-B wavelength with maximum level of 0.356 at 280 nm. The tyrosinase and DOPA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ranged from 30.36 ~ 66.25% and 7.13 ~ 30.25% at the concentration 0.125~2.0 mg/mL, respectively. Furthermore, anti-collagenase activity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The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were 42.77% and 51.08% at the concentration 1.0 mg/mL, respectively. The experiment results suggested that fruiting body of Calocybe indica could be used as natural skin care and antioxidant agents.
52.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Cordyceps pruinosa butanol fraction (Cp-BF) were investigated by determining inflammatory responses of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and by evaluating HCl/ethanol (EtOH)-triggered gastric ulcers in mic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Cp-BF were investigated by identifying target enzymes using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Cp-BF strong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α,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hagocytic uptake of FITC-dextra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IL)-6,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tumou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 activated RAW264.7 cells. Cp-BF also strongly down regulated the NF-κB pathway by suppressing IKKβ according to luciferase reporter assays and immunoblot analysis. Furthermore, Cp-BF blocked both increased levels of NF-κB-mediated luciferase activities and phosphorylation of p65/p50 observed by IKKβ overexpression. Finally, orally administered Cp-BF was found to attenuate gastric ulcer and block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induced by HCl/EtOH.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p-BF may be mediated by suppression of IKKα and its downstream NF-κB activation. Since our group has established the mass cultivation conditions by developing culture conditions for Cordyceps pruinosa,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new anti-inflammatory agents.
53.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ctyophora indusiata (Vent.) Desv., “Queen of the mushroom”, is a mushroom in family Phallaceae of Basidiomycota, which is commonly used as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 in China and Korea. This study initiated to evaluate the anti-cholinesterase, skin anti-wrinkle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of 80% methanol extract from fruiting body of D.indusiata. In the anti-cholinesterase experiment,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performed. The extract were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44.09% and 49.14% at the concentration 1 mg/mL, respectively. The skin anti-wrinkle effect of the extract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anti-collagenase and anti-elastase activities. While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ies were performed by tyrosinase, DOPA inhibitory and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ies.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were from 37.60~68.96%, while DOPA inhibitory activity were from 15.43 ~ 29.58% at the concentration ranged from 0.125~2.0 mg/mL. In addition,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was tested with result of the enzyme activity reduced from 99.09% to 72.91% against 25~500 μg/mL of the extract. The methanol extract of D.indusiata was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ctivity 41.86% at the concentration 500 μg/mL. The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D.indusiata were 34.87%, which was comparable with the positive control, EGCG ( 45.31%). While the extract showed good inhibition of elastase enzyme (46.64%). The experiment results suggested that fruiting body of Dictyophora indusiata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cholinesterase and skin care agents.
54.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토피 피부염은 소양증, 가려움, 각질형성, 홍반 등을 동반하며 현대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아토피피부염으로 인한 진료 인원이 연간 100만명 이상 집계될 정도로 심각한 보건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한 상황이다. 단순히 증세 완화를 위해 피부보습 유지와 염증억제 등의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과도한 보습제 사용이나 증상 경감을 위한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처방은 더욱 증상 악화시키며 장기간 사용시 내성 증가 등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이러한 근본적인 치료를 위한 해결 방법으로 천연 물질로부터 아토피 피부염을 경감시킬 수 있는 소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과 함께 항염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식용 버섯인 Hypsizigus marmoreus(느티만가닥 버섯) 추출물의 항 아토피 활성과 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이 개별인정형 피부보습 개선 소재인 식물복합추출물(AF-343)을 함께 사용시 아토피피부염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동결건조한 Hypsizigus marmoreus를 85% 에탄올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과 AF-343을 사용하여 사료로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모한 6주령의 Balb/c 마우스의 등과 귀부분에 5% picryl chloride(PCL)를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후, 5주 동안 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과 AF-343으로 제조한 사료를 Balb/c 마우스에 급여하면서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무처리 정상군, PCL만 도포한 대조군, 아토피 치료제 도포군(1% 히드로코르티손)과 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 급여군 및 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과 AF-343의 동량 혼합물 급여군으로 진행하였으며 5주간의 사료 급여 후 희생시켜 등조직의 RT-PCR을 실시하였다. 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 단독 급여군과 AF-343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은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Balb/c 마우스에서 PCL만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피부의 발진이 감소되는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등조직의 RT-PCR 결과에서도 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 단독 급여군과 AF-343의 동량 혼합 급여군이 PCL 처리 대조군에 비해 염증성 인자인 COX-2와 iNOS 의 mRNA 발현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Hypsizigus marmoreus 추출물의 항아토피 활성과 피부보습 소재인 AF-343과의 혼합 사용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5.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auvericin (BEA) is a cyclohexadepsipeptide produced by the fungus Beauveria bassiana. And it has been reported to have very effective anti-cancer activity. However, the mechanistic studies of BEA on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have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ytotoxicity of BEA on the C6 (rat glioma cell line). The cell viabilities of C6 cells, MDA-MB 231 (breast cancer cell line), and HeLa (cervical cancer cell line) were decreased by treatment of BEA. In addition, BEA-treated cells showed membrane blebbings and buddings, which indicates that BEA decreased cell viability by inducing apoptosis.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level of apoptosis inducing molecules such as caspase 3, caspase 9 of BEA treated cells was increased and apoptosis regulating molecules (Bcl-2) was decreased. We also found that the activated STAT3 and Src was decreased in BEA-treated condition. In further study, we are going to find out how the BEA can influence Src kinase activity.
56.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 세계적으로 최근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율이 증가하면서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한 상태로 단순히 증상을 경감시키는 대증요법인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치료만이 현재 표준 치료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약물치료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내성 증가와 증상의 악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천연성분을 이용한 항아토피 소재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식용버섯인 Hypsizigus marmoreus(HM, 느티만가닥 버섯)는 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항염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HM이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동결건조한 버섯 시료를 85%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인 RAW264.7에 염증 유발 물질인 LPS(lipopolysaccharide)와 HM 추출물을 처리하여 염증 관련 싸이토카인 TNF-α, IL-6, IL-2, IL-4 및 IFN-γ과 nitric oxide(NO)생성량을 확인하였다. RAW264.7 세포주에 HM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고농도로 처리된에서 높은 NO 생성 저해능을 보여주었다.
57.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실험에 사용한 큰느타리버섯은 경기도 수원지역 재배농가에서 2012년 10월에 수확 후 통풍이 양호한 플라스틱 박스에 담아 수확 즉시 실험실로 옮겨 실험에 사용하였다. 운송 후 겨울철 상온(약 15°C)에서 바로 30㎛ 두께 OPP필름 봉지에 300g을 넣은 후 넣은 후 비닐접착기로 밀봉하여 포장한 것을 무예냉으로 하여 저장고를 0°C, 5°C, 10°C로 하여 입고하여 강제통풍예냉 1일 후에 꺼내어 동일한 필름봉지에 300g을 포장하였다. 저장은 상온과 0°C에서 수행하였고 0°C 저장 3주 후 2일, 4주 후 3일 추가 유통과정은 상온환경에서 수행하면서 품질을 조사하였다. 예냉 온도는 무예냉은 운송 직후, 0°C, 5°C, 10°C는 예냉 22시간 강제통풍식으로 처리하였다. 예냉에 따른 버섯품온의 온도변화는 0°C는 5시간 40분, 5°C는 1시간 40분, 10°C는 1시간 40분으로 예냉 온도가 낮을 때 품온의 온도저하 소요시간이 길었다. 예냉 처리 22시간 후 중량감소율은 각 2.0~4.4% 수준이었다. 수분함량이 높은 버섯은 예냉과 함께 약간의 수분이 감소되는 예건이 동반된다. 저장기간 중 5°C 예냉에 의해 줄기경도가 다소 높았으며 0°C 예냉에 의해 줄기갈변도가 억제되었다. 예냉온도에 따른 OPP필름 포장 후 선도유지 기간은 상온 저장시 무예냉이나 10°C 예냉은 2~3일이었으나 0°C 및 5°C 예냉에 의해 5~6일로 연장되었으며 0°C 저온 저장시 무예냉은 3주, 10°C 예냉은 3주였으나 0°C 및 5°C 예냉에 의해 4~5주로 연장 가능하였으며, 3주 저장+2일 상온유통 및 4주 저장+3일 상온유통 후 품질은 0°C 예냉에 의해 이취, 줄기변색 억제로 5°C 예냉보다 상품성 유지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큰느타리버섯의 저장 후 유통까지의 고품질 유지를 고려한다면 기존의 설비를 활용하는 강제통풍방식의 예냉을 0°C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8.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까지 느타리버섯은 랩트레이에 포장하여 1°C에 저장하는 경우 15일 동안 선도가 유지된다고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대형마트 및 시장에 유통되는 저장온도는 10°C로 알려져 있어 실질적인 저장력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관행적으로 하고 있는 진공포장은 10°C에서 9일간 품질보존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버섯이 일반적으로 LDPE로 포장하여 유통할 수 있는 21일보다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20mm의 두께로 제조한 일라이트, SK(섬광석) 광물질을 혼합한 필름으로 포장된 버섯 중에서 유통기간이 4주 이상까지 연장되는 필름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조직감을 가장 오랫동안 유지시킨 필름군은 일라이트 5%와 SK 10% 필름군이었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LDPE 0.02mm필름군보다 약 1주 이상 경도를 유지시킨 것으로 판단하였다. 느타리버섯의 신선함을 유지시키는 인자 중 외관의 밝기부분에서도 일라이트 5% 필름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1~2주의 신선도 유지 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하였다. 줄기의 신장이 진행된 필름군은 방담필름군이 가장 심하였으며, 갓의 으스러짐이 심했던 필름군은 LDPE 0.02mm와 SK 5%였다. 줄기부분에 곰판이가 번식한 필름군은 일라이트 10%, SK 5%정도로 나타났다. 가장 신선도가 좋았던 필름군은 일라이트 5%로 줄기의 신장 정도가 가장 적었고, 곰팡이가 줄기부분에 번식하지 않았으며, 갓부분이 가장 견고하게 유지되어 있었다. 따라서 LDPE필름 20mm로 포장하여 1°C에 저장한 경우 상품성 한계일수를 21일 이내로 판단하면, 본 연구에서 버섯을 일라이트 5%와 SK 10% 필름으로 밀봉포장하여 저장온도0°C에 저장한 버섯의 유통기한을 최대 28일 이상까지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판단된다.
59.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표고버섯은 그 맛과 영양학적 우수성으로 웰빙시대에 맞추어 각광받고 있으며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유통에 있어서 신선도 유지와 저장의 어려움이 문제되고 있다. 이에 본 시험은 표고버섯 저장온도와 포장재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저장온도는 4개 (-1°C, 2°C, 5°C, 20°C(대조구))와 포장재 2종류(Oriented Polypropylene 방담필름-칼라타이결속기밀봉과 Polyvinylchloride Wrap-자동포장기)를 사용하였으며, 중량감모율, 신선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표고버섯 저장 기간에 따른 중량 감모율을 보면 랩포장구의 경우는 저장 11일후에 -1°C는 4.8%, 2°C는 7.6%, 5°C는 9.0%, 20°C는 33.8%씩 중량이 감소되었으며, OPP포장 저장의 경우는 20°C저장구를 제외하고는 중량감모가 0.2~0.6%에 불과하여 손실이 극히 적었다. 표고버섯의 신선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저장온도가 가장 낮은 -1°C 저장시 가장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었으며 2°C, 5°C, 20°C 순으로 신선도가 떨어졌다. 저장버섯(24일 저장)에 대하여 버섯을 끓는 물에 약 1분 데쳐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랩필름과 OPP필름 모두 2°C 저장 버섯이 냄새, 조직감, 맛 모두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각 저장온도별 포장 필름에서는 랩필름이 OPP필름보다 좋았다. 전체시험구에서 랩필름 2°C저장버섯이 냄새, 맛, 조직감이 모두 좋음으로 조사되었으나 랩포장의 경우 OPP필름보다 중량감모율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60.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산림버섯은 1,670여 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그 중 식용이 가능한 버섯은 320여 종으로 알려져 있다. 충북 괴산군 청천면에 위치한 청천시장에서는 늦봄부터 늦가을까지 산에서 산주나 지역주민들이 직접 채취한 식용자연버섯을 판매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천시장을 찾은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식용 산림자연버섯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설문대상자 중 남성은 70%, 여성이 30%였으며 연령대는 60대(32%), 40대(24%), 50대(21%), 30대(2%)이었고, 직업은 자영업(46%), 전문직(24%), 주부(14%), 기타(16%)이였다. 거주하는 곳은 충북(76%), 충남(12%), 서울(6%), 대전(6%), 그 외 지역은 6% 이였다. 자연버섯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식용자연버섯을 좋아하냐는 질문에, 좋아한다(78%), 보통이다(20%), 싫어한다(2%)라고 답하였고, 좋아하는 이유로는 건강에 도움이 될것 같아서(54%), 맛이 좋아서(42%)이며, 자연버섯을 싫어한다는 50명 중 1명은 맛이 없고 가격이 비싼 이유를 들었다. 자연버섯의 구매 횟수는 1년에 3회(30%), 사지 않는다(22%), 1년에 1회(20%), 한 달에 1회(16%), 일주일에 1회(12%) 순 이였고. 구매하지 않는 사람들은 가격이 비싸거나(10%), 좋아하지 않는다(8%)라고 답하였다. 구입 목적으로는 요리용(84%), 약용(6%)이며, 자연버섯에 대한 정보 수집은 주변사람에게 듣는다(68%), 매스컴- TV, 라디오, 신문잡지(18%), 문헌이나 홍보물(12%) 순 이였다. 자연버섯을 대중화 시키는데 필수사항으로는 가격 안정성(44%), 약용이나 식용으로써의 가치입증(24%)을 꼽았다. 자연버섯 인지도 조사 결과로는 잘 알고 있는 버섯으로 송이(98%), 능이(92%), 싸리버섯(92%), 영지버섯(90%), 상황버섯(92%), 뽕나무버섯(58%)를 꼽았으며, 잘 모르는 버섯으로는 암회색광대버섯(88%), 회색깔때기버섯(80%), 으뜸끈적버섯(80%), 만가닥버섯(74%), 까치버섯(68%), 흰굴뚝버섯(64%), 흰가시광대버섯(60%), 민자주방망이(58%), 꾀꼬리버섯(56%), 외대덧버섯(52%), 다색벗꽃버섯(52%) 순 이였다. 이번 조사는 자연버섯시장을 찾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산림자연버섯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를 조사함으로써 식용 산림버섯산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