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 program called Global English. The fall, 2003, program at a 4-year university in southwest Korea, was designed for students to attain ability and confidence in both oral and written reports in English necessary to participate actively in everyday and business situations. The study described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curriculum in detail and provided an overall evaluation of the program.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measured by the computer-based TOEIC both prior to and in the middle of the Global English instructio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791 students and to 18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to identify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ults from the paired-samples t test indicated that the Global English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scores. The students demonstrate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n the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s: The students' motivation,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improved, and their anxiety in speaking English with native speakers was lowered; their confidence increas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ing the Global English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psychotherapy and exercise for weekly session during 9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27 obese children(boys 44.4%, girls 55.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of children was 11.7 years,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41.7cm and 48.1kg respectively. Rohrer index(RI)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67 to 163(p〈0.001) and BM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4.5 to 23.9 (p〈0.01)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is study also found obesity index(O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33% to 128%(p〈0.01) of 18 children after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habits score but frequency of overeating, and eating frequency of me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Also depression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p〈0.001) 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552) between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The factors analysis of anxiety items indicated that children had feelings more calm and sate after program(p〈0.05). Therefore continuous and practical nutritional education and psychotherapy to change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are necessary to decrease child obes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psychotherapy may be effect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ody health of obese children.
영지속 (Ganoderma) 수집 균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균사체 생장, 후막포자 형성여부, 온도별 균사 생장, 자실체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영지의 균사생장은 115개 균주 중 68개 균주가 GCM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은 균주간에 많은 변이가 있었다. 수집균주는 균총의 형태에 따라 28개 group으로 구분되었는데 대부분 CM3와 CM8 group에 속하였다. 이들 균사체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후막포자를 형성한 균주는 G. lucidum ASI 7022 등 16균주였으며, 국내에서 수집된 대부분의 G. lucidum 균주들은 후막포자를 형성하지 않았다. 한편 이들은 온도별 균사생장 시험에서도 35℃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균사생장이 저조하였는데 미국에서 도입된 G. lucidum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G. tsugae와 유사한 특성이었다. 영지 115개 균주 중 톱밥배지에서 자실체가 발생한 균주는 97개 균주였고 형태는 편각형이 89.7%, 녹각형이 10.3% 였으며, 이러한 형태는 CO2의 농도에 따라 변이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 국내에서 수집된 G. lucidum 균주는 분류를 재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교육기관 증가에 따른 교육기관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작업치료(학)과 교수 및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작업치료(학)과에 재직 중인 교수 26명과 3, 4학년 재학 중인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한국작업치료교육인증위원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기초로 20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분석은 기술통계량인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각 문항별 인식정도를 알아보았다.결과 : 인증제도의 필요성 여부에 교수는 88,5%, 학생은 90% 찬성하였고, 인증제가 도입될 경우 평가를 희망한다는 의견이 교수는 84.6%, 학생은 94.7%로 높게 나타났다.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여부도 교수는 73.1%, 학생은 77.6%로 신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표준화된 교과과정 수립 필요여부는 교수는 100%, 학생은 99.4%가 필요하다는 답변을 하였다. 인증제 도입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으로 상위 5개 항목으로 교수는 전공관련 교수수, 교과목의 학습내용, 교수의 임상경험 유무, 교과목 종류, 평가도구의 종류 순이었고, 학생은 교과목의 학습내용, 교수의 임상경험 유무, 교과목 종류, 전공관련교수수, 실습도구 순으로 나타났다.결론 : 본 연구결과 작업치료(학)과 교수 및 학생들 모두 교육기관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이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하였고, 한국 작업치료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제도의 표준화가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펌프 노즐이 부착된 잠수 선형의 유동에 관해 수치해석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속도분포, 양력계수, 영각의 값을 갖는 펌프젯 노즐이 선체와 부착되었을 때와 부착되지 않았을 때의 종강도 모멘트 등의 값들을 계산한다. 선형의 속도 분포에 따른 노즐의 영향면적과 양력계수(변호의 특성요인) 종강도 모멘트, 영각에 따른 도함수 등을 보여준다.
해저에 설치된 파이프에서 분출되는 기포에 의해 형성된 강한 수평압력분포를 이용하여 선박을 신속 하고 정밀하게 유도, 정박시키는 도선시스템으로 항구, 협수로, 해협 등과 같이 복잡한 수상, 수중 장애물 지역에서 선박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유도함과 동시에 협소한 부두에 안전하게 선박을 정박시키기 위하여 본 도선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Electrodes were fabricated based on activated carbon powder BP-20, conducting agent such as Super P, vapor grown carbon fiber (VGCF) and acetylene black (AB), and the mixed binders of flexible poly(vinylidene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co-HFP)] and cross linking dispersion agent of polyvinylpyrrolidone (PVP) to increase mechanical strength. According to impedance measurement of the electrode with the addition of conducting agent, we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charge rapidly by the fast steady-state current convergence due to low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AC-ESR, fast charge transfer rate at interface between electrode and electrolyte and low RC time constant. The self-discharge of unit cell showed that diffusion process was controlled by the ion concentration difference of initial electrolyt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charged by ion adsorption in the beginning, but this by current leakage through the double-layer at the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had a minor effect and voltages of curves were remained constant regardless of electrode material. We found that the 2.3V/230F grade EDLC would be applied to industrial safety usage such as uninterrupted power supply (UPS) because of the constant DC-ESR by IR drop regardless of discharge current.
영지1호를 비롯한 115개의 영지버섯 수집균주에 대하여 표준균주 G. lucidum G001-1 (A1B1) 및 G. tsugae 1109-16 (A1B1) 단핵 균주와 di-mon 교배를 통하여 화합성을 검정한 결과 G. lucidum 단핵균주는 어떠한 균주와도 clamp가 형성되지 않았으나, G. tsugae 단핵균주는 대부분 G. lucidum이라고 분류된 75개 균주와 clamp가 형성되어 이들 균주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였다. 또한 영지버섯의 di-mon 교배에서 불화합성 균주간에는 뚜렷한 대선을 형성하여 교배확인에 드는 노력을 감소할 수 있었다.
약용버섯인 영지버섯의 단핵균주 육성 및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육종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원형질체를 분리하여 neohaplont를 육성하였으며, 원형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영양요구성 균주를 유발하였다. 영지의 2핵 균주로 부터 원형질체를 분리, 재생하여 선발된 neohaplont의 선발율은 ASI 7091이 11.9%, ASI 7094는 전혀 선발을 하지 못하였으며 균주간 평균 선발율은 5.24%였다. 영지 단핵균주의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300초에서는 ASI 7074는 1.9%, ASI 7091은 0.1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ASI 7100의 경우 모두 사멸하였다. 자외선을 10초에서 300초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총 1,536 colony를 얻어 영양요구주를 선발한 결과 ASI 7091 균주는 원형질체에 100초 처리한 colony에서 Nicotinic acid, PABA 요구주와 Riboflavin 요구주를 선발하였으며, 7100 균주에서는 60초의 자외선 처리에서 특성이 확인되지 않은 2개 균주를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