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cine beta casein promote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 동물에서 유선특이적으로 목적 단 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pPBC 벡터를 구축하였으며 이 벡터를 이용하여 보다 높은 농 도의 목적 단백질을 발현 시킬 수 있도록 pPBC 벡터 개량을 시도하였다. pPBC 벡터의 5'arm 부위를 5428 bp, 4419 bp, 3378 bp의 길이로 잘라 서로 다른 크기의 5’arm을 갖 게 하였으며 5’arm의 5’ 쪽으로 CMV enhancer를 삽입하였다. 또한, porcine beta casein promoter 조절 하에 hGH(human growth hormone) 유전자를 발현하도록 하는 벡터를 구 축한 후 세포주 및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개량된 pPBC 벡터를 이용하여 mouse mammary gland epithelial cell line HC11에서 luciferase assay를 통해 각각의 벡터에 대한 활성을 확인한 결과, 5’arm 길이가 가장 짧고 CMV enhancer가 삽입 된 CMV-pPBC p-3378 벡터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벡터를 이용하여 hGH 유전자와 mRNA를 안정화시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woodchuch hepatitis virus post-transcriptional regulator element (WPRE)를 함께 삽입하여 CMV-pPBC p-3378-hGH-WPRE 벡터를 구축하였다. 이 벡터로 transgenic mice를 생산하여 유선을 포함한 여러 조직으로부터 hGH의 발현을 RT-PCR 방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iver와 lung에서는 아주 약하게 hGH가 발현을 하였으나 유선 조직에서 hGH가 가장 많이 발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형질전환 마우스 유즙 내의 hGH 발현을 western과 ELISA를 이 용하여 확인한 결과, 유즙 내에는 약 22 kDa의 hGH가 존재 하였으며 ml 당 최고 50 100 ug의 농도로 hGH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개량한 pPBC 벡터가 유선특 이적인 발현을 하며, 유선 세포주에서는 높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형질전환 마우스의 유 즙에서는 개량전의 벡터 보다 낮은 수준의 목적 단백질을 생산하여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유선특이적 발현 벡터인 pPBC 벡터의 개량 연구를 계속 진행할 것이다.
국내 친환경 유기농자재 목록공시에 등재되어 있는 303 종의 작물충해관리용 자재 중 고삼추출물이 원료로 등록되어 있는 자재는 63 종으로 약 20% 이상을 차지한다. 이 자재들의 대상해충은 어느 한 종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진딧물류, 응애류, 가루이류, 나방류, 멸구류, 깍지벌레류 등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심지어 선충류도 포함되어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삼추출물의 특이적 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각각의 해충에 효과가 있는 시중에 유통 중인 제품 6 종을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파밤나방, 파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에 처리하여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사충률 80%를 기준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는 KB-B와 KB-N이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파밤나방에는 KB-C와 KB-U가 높은 살충력을 나타냈다. 파총채벌레에는 KB-D와 KB-N이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목화진딧물에는 KB-J와 KB-N이 높은 살충력을 나타내었고, 점박이응애에는 KB-C, KB-N과 KB-U가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시중에 유통 중인 6 종의 제품은 시험에 사용된 5 종의 해충에 각각 다른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 KB-N은 파밤나방을 제외한 4종의 해충에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종류의 식품 및 저장물을 가해하고 저장해충들 중 가장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며 우리나라 식품제조 및 가공회사의 곤충관련 클레임 중 60~70%를 차지하는 화랑곡나방 (Indian meal moth)을 대상으로 두 실온조건(실험실, 복도)에서 발육 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실험실조건에서 화랑곡나방의 발육일수는 암, 수 각각 44.99±3.26일, 43.82±3.79일 이었으며, 복도조건에서는 각각 58.12±7.91일, 57.67±8.27일로 조사되었다. 화랑곡나방 유충의 두폭을 토대로 각 령기 별 두폭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실험실조건의 경우 2령, 3령, 4령은 각각 0.412, 0.590, 0.841mm 이었으며, 복도조건에서는 각각 0.427, 0.640, 0.883mm로 조사되었다. 또한, 실험실과 복도조건에서의 유효적산온도와 유충 두폭 크기와의 관계는 실험실조건에서는 5일 간격으로 6번, 복도조건에서는 5일 간격으로 9번째 이후 성충이 우화하여 복도조건에서 발육기간이 실험실 조건보다 더 길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를 토대로 적산온도의 값을 얻을 수 있다면 그 적산온도에 해당하는 유충 두폭의 크기와 령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Salmonellosis is a major bacterial zoonosis that causes self-limited enteritis to fatal infection in animals and food-borne infection and typhoid fever in humans. Multidrug-resistant strains of Salmonella spp. has increas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and recently causes more serious problems in public health.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bacteriocidal effects of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sodium cyanide, and sodium salts mixture containing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on infection with S. typhimurium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sodium salts mixture for murine salmonellosis. In infection assay of S. typhimurium in RAW 264.7 cells, bacterial survival rates within macrophage in all 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ing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with the passage of incubation time. Administration of sodium salts mixture showed a therapeutic effect for S. typhimurium infected ICR mice. The mortality of mice treated with sodium salts mixture was 70% until 12 days, while that of control mice was 100% until 9 days after S. typhimurium inf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indicate that sodium salts mixture has a potency treatment for murine salmonellosis.
The present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everal sodium salts and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on Salmonella gallinarum (S. gallinarum) infection in murine derived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the infection assay of S. gallinarum in macrophage cells pretreated with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and the sodium salt mixture (15 mM sodium chlorate, 0.3 mM sodium cyanide, 0.3 mM sodium azide), respectively, the numbers of S. gallinarum in all treated-groups tended to decrease in the process of time after treatment, but the group treated with sodium cyanid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After 24 hours of treatment, the number of S. gallinarum in sodium azide (p<0.05), sodium chlorate (p<0.001) and the sodium salt mixture (p<0.001) treated-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and that in the sodium salt mixture treated-group was decreased the higher than all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odium salt mixture composed with sodium chlorate, sodium azide and sodium cyanide, has the antimicrobial activity for S. gallinarum and may be beneficial on the control of intracellular pathogens.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BB is one of the most potent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proliferative factors, and abnormal VSMC proliferation by PDGF-BB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YP 12, a newly synthesized obovatol derivative, on the proliferation of PDGF-BB-stimulated rat aortic VSMC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YP 12 on rat aortic VSMCs were examined by direct cell counting and by using [3H] thymidine incorporation assays. It was found that YP 12 potently inhibited the growth of VSMCs. The pre-incubation of YP 12 (1-4 μM)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and DNA synthesis of 25 ng/ml PDGF-BB-stimulated rat aortic VSMC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se findings, YP 12 revealed blocking of the PDGF-BB-inducible progression through G0/G1 to S phase of the cell cycle in synchronized cells. Whereas, YP 12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in rat aortic VSMCs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by WST-1 assay.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YP 12may have potential as an anti-prolifera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restenosis and atherosclerosis.
최근 들어 도로포장의 품질 개선을 위해 성능보증 계약제도를 도입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성능보증 계약제도는 구조물이 준공 이후부터 일정한 공용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성능수준을 유지할 것을 시공자가 보증하는 계약의 한 형태이다. 성능보증 계약제도는 구조물의 품질향상, 생애주기비용의 절감, 시공기술 개발 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유럽 및 미국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 계약제도를 국내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도로포장의 성능인자, 임계한도, 그리고 성능보증 기간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미네소타, 인디애나, 플로리다 주의 콘크리트 포장 성능보증계약제도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였다. 국내 21개 고속국도 노선의 줄눈 콘크리트 포장 구간에서 포장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파손을 조사 및 분석하여 해외의 성능인자, 임계한도, 그리고 성능보증 기간과 비교하였다. 계획된 구간에서 장기간에 걸쳐 조사가 실시된다면 보다 정확한 비교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우 거세우 95두 (평균체중 226 kg)를 이용하여 농후사료와 조사료 분리급여구, TMR구 그리고 TMR을 발효시킨 F-TMR구로 나누어 22개월동안 사육하여 도축하였을 때, 사료효율, 도체성적 및 경제성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건물 및 TDN 섭취량은 육성비육 각 단계 별로 F-TMR구에서 가장 많았다 (p<0.05). F-TMR구의 경우, 일일증체량은 육성기에는 처리구중 가장 적었으나, 비육후기에는 타 처리구에 비해 약 48%나 높았다 (p<0.05), 사료효율은 전 육성비육기간 동안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도체중과 배최장근단면적에서는 F-TMR 급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p<0.05), 등지방두께가 가장 얇았던 (p<0.05) 분리급여구에서 육량지수와 육량 A등급 비율이 높았다. F-TMR구의 근내지방도가 타구에 비해 현저히 (p<0.05) 증가되어 육질 1+등급이상 출현율이 96%에 달하였다. 경제성 분석에서 사료비는 F-TMR구가 분리급여구에 비해 40%가 증가되었으나 증체량과 육 질등급의 향상으로 인하여 순수익은 29%나 증가되었다.
법무부 인권정책과 여성정책팀이 2010년 4월부터 12월까지 전국의 교정시설 수용자 600명(여자수용자 2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법무시설에 대한 성별 영향 평가’ 결과 여성수용자의 81.3%가 교정시설에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없다는 점과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않은 점을 불만족 사유로 꼽으며 교정시설에서 출소 후 미래를 준비할 기회가 없었다고 대답을 하였다. 이는 교정시설에서 자격증 등을 준비하며 출소 후의 생활을 준비하는 남성수용자와는 대조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여성의 신체적 특성과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특성에 따른 지원은 미비하며 여성수용자와 남성수용자 사이에는 남녀의 차이에서 오는 생활의 방식도 다름에도 불구하고 거의 유사한 운영으로 인하여 여성수용자들의 불만은 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정은 형사사법의 국가기관으로부터 유죄 선고를 받은 범죄자가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상당 기간 동안 만나게 되는 형사절차에 속한다. 그러므로 교정단계는 형벌적 성격과 교화적 성격을 함께 가지는 범죄자에게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남성수용자와 다른 성적 특성을 지닌 여성수용자들에 대한 특별한 교정의 지침을 완성해야하며 여기에서는 현행 법률인「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여성수용자들의 산부인과 진료, 여성수용자들의 모성본능과 모성본분을 실현할 수 있는 근거, 여성수용자들의 환경 개선 등의 부분에 대하여 개정안을 제안하며, 현행 법률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검토하고 여성수용자의 처우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Canine parvovirus (CPV) type 2a (CPV-2a)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the main genotype circulating in the dog population in South Korea. Although CPV vaccines protect domestic dogs from CPV-2 infection, the efficacy of commercial live or inactivated CPV vaccines against CPV-2a has not been reevaluated. In this study, dogs were immunized with one of 7 commercial CPV vaccines (4 modified live and 3 inactivated vaccines) followed by challenge with CPV-2a strain, KV0901 that had been isolated from naturally infected dog in 2009. All dogs vaccinated twice with 4 commercial modified live CPV vaccines were seroconverted (geometric mean HI titer > 190.2) and most of dogs were completely protected against virulent CPV-2a strain infection. The dogs inoculated with 3 commercial inactivated CPV vaccines were also seroconverted and showed a slight loss of appetite and light diarrhea for 4 days after challenge and returned to normal at 5 days post challenge. However, the non-vaccinated dogs revealed the typical clinical signs of CPV infection including haemorrhgic diarrhea. In conclusion, the 4 live CPV vaccines licensed in Korea cross-protected dogs against virulent challenge with CPV-2a and are applicalble to pet dogs for the prevention of CPV infection.
본 연구는 한약재 부산물을 조사료 대체 사료원으로서 사용하였을 때 발효기간에 따른 in vitro 발효 특 성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대조구 (control), 한약재 부산물 20%와 볏짚 80% (T1), 한약재 부산물 40%와 볏짚 60% (T2), 한약재 부산물 50%와 볏짚 50% (T3), 그리고 한약재 부산물 100%와 볏짚 0% (T4)이었으며 3, 6, 9, 12, 24, 36, 48, 및 72h 동안 처리당 3반복으로 in vitro 발효실험을 실 시하였다. 가스 발생량과 건물소화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한약재 부산물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72시간에 T4가 가장 높았다 (P<0.05). 메탄 발생량 또한 비슷한 결과 로서 시간이 경과하고 한약재 부산물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pH는 5.39~6.80의 범위로 첨가량이 높아질 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P<0.05). 미생물 성장량은 발효 후 시 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첨가구가 control 보다 높았다 (P<0.05). CMCase, Xylanase 및 amylase 효소 활력은 처리구별 특정한 패턴이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한약재 부산물이 가스발생량, 미생물성장량 및 건물소화율을 높이고 pH를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를 주어 반추위 발효의 안정화 및 향상을 꾀할 수 있고, 효소 활력을 높임으로써 사료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해양배출폐기물의 유기인 항목 시험 중 전처리 과정 및 기기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적 시험과정의 문제점 개선, 기기 분석에 적합한 검출기 제안 및 시험 전 과정의 특성 규정 등을 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유기인 5종이 혼합된 표준물질을 이용한 전처리 시험에서 역추출과정 중 용매와 역추출 용매의 혼합비율에 따라 용매의 상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전처리시험 중에서 과정별 유기인물질의 손실률을 검증하여 보았다. 또한 전개용매에 따라 회수율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개시 혼합용매의 사용에 있 어 적당한 희석비율을 찾을 수 있었다. 3가지 검출기를 각각 비교한 실험에서 검출한계는 기기별로는 상대적인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았으나 표준 물질별로 차이가 컸으며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시 전처리 과정을 마친 경우 원래 표준물질과 비교하여 높은 회수율은 기기분석 사용에 있어 한계로 작용했다. 그리고 전자포획검출기(ECD)에서 피크의 분리성과 식별성이 좀 낮고 Methyl-S-Demeton의 경우에는 다른 피크와 겹칠 가능 성이 있어 단점으로 작용했다. 반면에 불꽃광도검출기(FPD)에서는 유기인에 특징적으로 반응하는 필터 사용으로 유기인계 물질의 피크 식별성 이 뛰어나 정량하기에 유용하였다. 한편 Methyl-S-Demeton은 컬럼 정제과정에서 충진물질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해양배출폐기물의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생태독성시험 관련 시료전처리방법 개선 및 폐기물 업종별 독성 판정기준 적합여부 파악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해양성 발광박테리아 독성시험은 시료26점에 대하여 46%(12점)의 ‘독성 없음’ (상대발광저해율 30%이하 적용) 판정이 나왔으며, 저성성 단각류시험은 염수추출 전처리 시료7점 중 섬유오니 1점만 ‘독성 없 음’(상대평균생존율 30%이하 적용) 판정이 나왔다. 시험결과로 업종별 독성 크기를 살펴보면 발광박테리아시험 상대발광저해율 은 축산분뇨>식품제조>음식물폐수>섬유․염색>방지시설 순서로 독성이 나타나고, 저서성 단각류시험은 섬유오니 시료의 결과 가 독성이 낮게 나왔으나, 시험대상 시료수가 많지 않은 관계로 업종별 독성 크기 파악은 생략했다. 다만 동일 폐기물 시료7점에 대한 두 가지 독성시험 결과로 판단할 때 발광박테리아시험의 기준만족(독성 없음) 확률이 저서성 단각류시험에 비하여 높게 나 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For the application of nano-sized material in various fields, the evaluation of nano-sized material toxicity is important. In the present study, various concentrations of 200 nm-sized silicon dioxide nanoparticle suspension were intraperitonially injected into mice to identify the toxicity of silicon dioxide nanoparticle in vivo. In the hematological analysis of group II treated with silicon dioxide nanoparticle 100 mg/kg body weight, lymphocytes and monocy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group III treated with silicon dioxide nanoparticle 200 mg/kg body weight, lymphocytes, monocytes and hemoglobi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blood biochemical analysis of group III, the concentration of AST, ALT, BUN, and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kidney indicated a mild injury only in mice received 200 mg/kg silicon dioxide nanopartic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matological and blood biochemical analyses and abnormal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the mouse kidney may have been related to exposure to silicon dioxide nanoparticle.
산화방지제인 아스코르빈산(AA), 에리쏘르빈산(isoAA),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AP), 아스코르빌스테아레이트(AS)에 대한 ‘식품 중 식품첨가물 분석법’을 검증하고 미비점을 개선하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자외선검출기법을 이용하여 검출한계(LOD), 정량한계(LOQ), 상관계수(R2) 등을 측정하였고 돼지기름(lard), 사이다를 이용한 모델식품에서의 회수율과 재현성을 측정하였다. AA와 isoAA의 검출한계는 각각 0.46, 0.48 μg/mL이었으며, 회수율은 각각 86.35-94.78, 84.76-95.02%를 나타내었고 상관계수는 모두 0.999이상을 보였다. AP와 AS의 현 분석법은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지만 메탄올 용매에서 AP와 AS는 불안정하였다. 냉장온도에서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 시 다른 용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어 기존 용매의 불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