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3

        28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and to select genetic resources for production of cowpea sprouts. Seowon was treated between 15°C and 30°C at intervals of 3°C to investigate growth temperature. Twelve resources, including Seowon, IT154149, IT154153, Tvu7426, and Tvu7778, were used for cultivating sprouts at a temperature of 27°C. The yield ratio of cowpea sprouts was highest at 27°C (657%), and was reduced when growth temperature was decreased. The hard seed rate was lower when the growth temperature was increased. Vitamin C content was highest at 24°C (2.85 mg/g), ranged between 2.15 and 2.29 mg/g at other growth temperatures, and increased with the length of the growth period. The inorganic component content of cowpea sprouts did not vary based on growth temperature, while th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growth temperature between 15°C and 24°C, and then subsequently decreased as growth temperature rose from 24°C to 30°C. IT154153 had the highest yield ratio of cowpea sprouts per genetic resource (647%), followed by Seowon (615%), and Tvu7426 (608%). Genetic resources with a higher yield ratio had smaller seeds, a thinner seed coat, and superior germinability. The inorganic components found at highest concentrations in the cowpea sprouts were potassium, magnesium, calcium, sodium, iron, molybdenum, and zinc (in that order). In comparison to raw seeds, the protein, calcium, zinc, molybdenum, and iron content in the cowpea sprouts was higher, while the content of aluminum and boron was lower.
        288.
        201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pecitabine is a prodrug of a 5-fluorouracil (5-FU) that is converted to 5-FU inside the tumor cells. Here, we report a case of 5-FU induced encephalopathy which was subsequently treated with capecitabine without any neurologic complication. A 76-year-old man with rectal adenocarcinoma received chemotherapy, which consisted of 5-FU, leucovorin and oxaliplatin after resection of the primary and metastatic masses. Confusion and agitation were observed during the 2nd cycle of chemotherapy and reappeared during 4th cycle. Both events were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a few days. Capecitabine was administered for 4 cycles without any neurologic toxicity. Capecitabine could be an alternative in patients experiencing 5-FU induced encephalopathy.
        289.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물자원을 재료로 하여 in vitr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기능성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유망 후보자원을 발굴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식물추출물 38종을 대상으로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염증 관련지표(nitric oxide, TNF-α, IL-6, IkBα, iNOS, COX-2) 및 항산화항목(DPPH 라디칼 소거능, LDL 산화저해능) 및 총페놀 함량에 대한 효과를 탐색하고 결과로부터 8종의 시료를 1차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8종의 시료에 대해서는 다시 농도별로 세포증식에 대한 효과, iNOS, COX-2의 발현 및 NF-kB 전사에 대한 영향, peroxynitrite, ROS, nitric oxide 생성에 대한 IC50 값을 분석하여 보다 가능성이 있는 식물을 유망후보자원으로 선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사나무(가지), 등골나물(잎), 으름(꽃) 및 개모시풀(뿌리)은 항염증 혹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나 농도에 따라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므로 활용에 주의가 필요해보였으며, 어저귀(잎)은 항염증활성과 항산화활성이 비교적 우수하고 실험된 처리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어 향후 in vivo 활성 검정 등 심화연구를 통해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293.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파공봉쇄장치(Liquid Spill Stopper) 성능 검증 실험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실험을 통해 선체에 파공이 발생한 경우 파공 봉쇄장치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 및 봉쇄할 수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쓰인 방법은 선체의 파공으로 해수가 유입할 때 발생하는 압력에 대한 실험 장치와 선박에 부착한 후 운항 중 분리 속도에 대한 실험이다. 이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경 40mm 및 100mm 파공에서 1.0bar의 압력에도 제 성능을 발휘했다. 둘째, 선체 중앙에서 선미 방향으로 흘수선상 300mm, 흘수선, 흘수선하 300mm에 각각 2개씩 6개의 파공봉쇄장치를 부착한 채 항속을 높이기 시작한 결과, 해군 작전속도(18knots)를 상회하였으며 최초로 선수 흘수선에 부착한 것이 20.2knots에서 분리하였으므로 함정의 작전속도에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일반 선박의 선체 파공에서도 침수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294.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s to evaluate concrete breakout capacity of anchor under dynamic shear loading were performed. The cast-in-place anchors without reinforcement were prepared for dynamic and static loading tests. Three specimens were tested for dynamic tests and one specimen for static test. It was found from the tests that the concrete breakout capacity of anchors without reinforcement under dynamic loading was about 6% higher than static loading.
        29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fts in sowing time on the ecological responses, growth and yields of major soybean cultivars in a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Naju, Jeonnam Province (latitude 35° 04'N, longitude 126° 54'E)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The test cultivars included Saeol-kong and Tawon-kong of the summer type,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of the autumn type. Sowing took place on May 15 and 30, June 15 and 30, and July 15 of each year. Of the summer type soybean cultivars, Saeol-kong showed a smaller curtailment in days from sowing to flowering,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days from sowing to maturity according to sowing time postponement than Tawon-kong. Of the autumn type soybean cultivars, Taekwang-kong exhibited a lower photoperiodic response in reproductive growth period than Pungsannamul-kong and Cheongja3, both of which recorded higher level photoperiodic responses in vegetative growth stages and reproductive growth periods than other test cultivars, with the former exhibiting higher levels than the latter. Most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decrease in stem length,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and stem diameter according to postponed sowing tim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m length and node numbers of the main stem of the Saeol-kong cultivar. Differences in sowing times did not affect the first setting pod node order of Saeol-kong and Tawon-kong summer type cultivars of internode lengths of all of the test cultivars. All of the test cultivars tended to show decreases in pod number per plant due to postponement of sowing time except for the Saeol-kong cultivar. The variation was more prominent in small grain cultivars such as Tawon-kong and Pungsannamul-kong with the latter autumn type cultivar showing especially large variation. Yields were the greatest for the Tawon-kong, Taekwang-kong, and Pungsannamul-kong cultivars sown on May 30 and Cheongja3 sown on May 30 and June 1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ields of Saeol-kong for different sowing times from May 30 to July 15, with the yields lowest for the batch sown on May 15.
        296.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동부 유전자원 245점에 대한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품종육성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개화일수는 41∼50일(51.5%), 51∼60일(43.7%), 등숙일수는 21∼30일(53.9%), 31∼40일(23.7%), 생육일수는 71∼80일(26.9%), 81∼90일(23.4%) 순으로 많이분포하였다.2. 신육형은 무한형 72.7%, 중간형 25.7%, 및 유한형1.6%, 초형은 포복형 78.8%와 직립형 21.2%, 잎 모양은 심장형 98.4%와 피침(결각)형 1.6%, 꽃색은 보라색85.2%, 백색 13.6% 및 연주색 1.2% 씩 분포하였다.3. 성숙 꼬투리색은 갈색 54.7%와 황갈색 37.6%, 착협위치는 아래로 향함 90.6%, 중간 5.7% 및 곧추섬 3.7%씩 분포하였다.4. 종피색은 갈색 25.3%, 흑색 23.3%, 백색 20.8%, 종자모양은 계란형 66.9%, 장방형 24.9%, 신장형 8.2% 씩분포하였다.5. 협장은 10.1∼20.0 cm 89.0%, 20.1∼30.0 cm 8.6%,협당립수는 12.1∼15립 62.0%, 9.1∼12립 25.7%, 15.1∼18립 9.1% 씩 분포하였다.6. 백립중은 15.1∼20.0 g 37.6%, 10.1∼15.0 g 28.6%,주당수량은 100.1∼200.0 g 52.7%, 100.0 g 미만 22.9%,200.1∼300.0 g 15.9% 씩 분포하였다7. 선발한 7자원 종실의 전분 함량은 44.1∼57.0%, 단백질 함량은 23.3∼27.5% 범위로 유의차가 있었다. Sucrose함량은 자원에 따라 1.46∼2.03% 범위에 포함되어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97.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nalyz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inter chinese cabbage yield in Korea, with employing a panel data regression model. Our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gative impacts of hig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mount on winter chinese cabbage yields. Especially high temperature and rainfall in September cause serious damage to winter chinese cabbage yield. According to the reduction schedule on greenhouse gas emission(RCP 4.5 scenario.), winter chinese cabbage yield would be 7.7% lower than it is, for reasons of high temperature and rainfall damages by the end of 21st century.
        300.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립수목원에 근무하는 숲해설가를 대상으로 전공영역에 따른 어린이정원에서의 활동 현황과 식재 및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정원의 개선 방안과 숲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타전공자인 해설가들이 어린이정원에 대한 관련 자료 등 교육 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설에 어려움을 느낀 경우가 많아 어린이정원 조성에 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기본 개념과 기본 목적을 해설가들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자연생태계에 따라 적절하게 교육 프로그램이 세분화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해설가들에게 다양한 식물을 활용한 생태교육에 대한 사전교육 및 교과 외 쉽게 접하지 않았던 분야에 대한 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정원의 식재공간에 대한 해설가들의 인식은 전공자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어린이정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전공자별로 차별화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해설가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린이정원의 운영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어린이정원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인 체험과 환경교육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국립수목원 전체 안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