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9

        1061.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푸레나무과의 미선나무는 한국고유속 단일종으로 열매의 형태와 꽃의 색 등과 같은 외부형태학적 특징에 의해 근연속인 개나리속과 구별된다. 미선나무는 꽃의 색과 시과의 형태에 따라 여러개의 종내분류군들이 보고되어 있지만, 이들의 분류학적정체성과 계급의 설정 등에 관하여는 학자들간에 많은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RAPD 분석을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미선나무의 종내분류군들의 한계를 규명하고 집단간의 유전적 다형현상과 유연관계를 논의 하고자 하였다. 16개의 random 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을 실시하여, 70개의 공통적인 band를 포함하여 212개의 표식인자가 관찰되었고, 그 결과는 Nei의 유전적거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류군간에는 0.108에서 0.321의 유전적 변이가 관찰되었고, UPGMA에 의한 군집분석을 통하여 동일분류군보다는 몇몇 지역집단간에 유집군이 형성되었으며, 종내분류군간에 는 뚜렷한 연속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RAPD분석 결과는 미선나무의 종내분류군들은 개체변이이고 이를 동일종으로 처리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RAPD분석은 미선나무 집단이 다양한 유전적 다형성을 지닌 높은 유전자 푸울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하였다.
        1062.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칠나무의 선발된 우량개체군의 집단재배시 우량해체간의 교잡에 의해서 형성된 종자를 증식하기 위한 기내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기내 발아, 증식, 발근에 적합한 식물생장조절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칠나무 종자의 무균발아에 적합한 배지로는 MS(Murasinge Skook)기본배지가 발아율이 높고 유식물체(plantlet)의 생장이 양호하여 알맞는 배지로 판단 된다. 기내에서 신초의 증식과 생육에 효과적인 식물생장조절제는 사이토키닌(BAP 0.1~l.0 mg/l)과 오옥신(NAA 0.5~1.0 mg/l)의 혼용처리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기내의 발근은 오옥신의 첨가에서 쉽게 유도되었으며, 그 중에서 NAA1.0 mg/l첨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106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including in situ degradability in the rumen of Holstein of the black locust silage added with apple pomac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mount of apple pomace added in different treatments were 0, 20, 40 and 60% respectively. With higher amount of addition of apple pomace in black locust, crude protein content in the silage decreased. Crude protein contents in the apple pomace added silage were in the range between 11.7 and 13.7%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16.3% of 100% black locust silage. The contents of ADF, NDF and crude ash were in the same trend as with crude protein, which were shown more clearly in the 40~60% addition of apple pomace. Moisture content of 100% black locust silage was 56.7% however it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levels of addition of apple pomace(67.1~73.8%). pH, lact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in 20~60% addition of apple pomace were 3.7~4.3, 1.3~2.2%, and 2.1~6.0% respectively, however in 100% black locust silage those were significantly lower except pH as 5.4, 0.6% and 1.0% respectively. In situ disappearance rates of dry matter and NDF in the ru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tages of incubation after 12h and 24h respectively in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quickly degradable fraction (a) in the disappearance rates of dry matter and NDF. In dry matter, however slowly degradable fractions (b) of 100% black locust and 60% addition of apple pomace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99.7 and 99.8% respectively than 37.7~50.5% of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On the contrary, fractional rate of disappearance (c) and effective degradability(E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40% addition of apple pomace as 0.0115~0.0149 and 30.4~31.9% respectively than the respective values of 0.0027 and 24.9% of 100% black locust. In NDF, 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pple pomace added silage(38.5~99.8%)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14.9%). However, C was significantly lower in apple pomace added silage than in 100% black locust silage.
        1065.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옻나무 근삽에 의한 묘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종류의 삽상배지를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상배지는 PV(peatmoss vermiculite = 1 : 1)와 PVS(peat moss : vermiculite : sand = 1 : 1 : 2) 처리구에서 3주 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고, 삽 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PVSC(peatmoss : vermiculite : sand : clay loam = 1 : 1 : 2 : 2)배지에서 80%로써 가장 높았다. 삽수당 신초형성수는 PH와 PVC 삽상배지가 2.2개로써 가장 많았고 HSC 삽상배지 는 1.3∼1.5개로써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eatmoss, vermiculite, sand 및 clay loam을 각각 1:1:2:2 (v/v/v/v)로 혼합한 PVSC 삽상배지가 옻나무 근삽의 삽상배지로 이용하기에 양호하였으며, 수장,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등의 묘소질 역시 양호하여 본포에 이식하기에 적당하였다.
        1066.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 자라고 있는 옻나무속 3종의 항산화력을 조사하여 본 결과, 옻나무속 3종의 각 부위별 ethyl acetate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능은 개옻나무의 경우 잎과 줄기에서 각각 32, 34 μg/ml, 옻나무의 경우 잎과 줄기에서 각각 39,21 μg/ml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줄기 부위의 추출물을 12개의 fraction으로 분리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fraction No.3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옻나무가 1.5, 붉나무가 1.9, 개옻나무가 2.3 ug/ml DPPH가를 나타내었다. 줄기 추출물로부터 2-propenoic acid (Caffeic acid), Benzoic acid (Gallic acid), 7-hydroxy-6- methoxy-2H-1-Benzopyran-2-one (Scopoletin) 등과 같은 phenol계 물질들이 동정되었다. 옻나무속 3종의 부위별 POD 활성 은 잎에 비해 줄기에서 193배 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종간에는 붉나무가 0.58 unit/mg protein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옻나무, 개옻나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옻나무와 붉나무의 잎에 비해 줄기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나,개옻나무는 잎이 줄기에 비해 25배 높게 나타났다.
        1067.
        200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거나 식재하고 있는 오갈피나무속 식물의 7종에 대한 개화와 결실의 특성을 연구하여 재배체계 확립과 육종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삽목재배 7년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개화시는 당오갈피가 5월 9일로 가장 빠르고 개오갈피가 8월 23일로 가장 늦었으며, 개화기간은 당오갈피가 12일로 제일 짧고 오갈피가 42일로 제일 길었다. 주당소화수는 오갈피와 지리오갈피가 각각 4677.7, 4634.0으로 높았고 개오갈피와 당오갈피가 저조했다. 화방당착과수는 오갈피가 가장 많았고 착과율은 당오갈피가 95%로 제일 수치가 높았다. 결실율은 오갈피, 지리오갈피, 섬오갈피, 개오갈피 및 서울오갈피가 92~95%로 높은 반면, 가시오갈피와 당오갈피는 11~37%로 낮았다. 100립당 건과중은 오갈피가 6.7g으로 가장 무거웠고 섬오갈피가 3.2g으로 가장 가벼웠으며 주당건과중은 오갈피와 지리 오갈피 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고 가시오갈피, 개오갈피 및 당오갈피는 저조하였다.
        1068.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ohenolic compound from extract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were water-soluble extract 7.98%, methanol extract 12.30% and ethanol extract 11.63%. The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ies of three extracts at the levels of 0.5% were higher than that of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n antioxidative activities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TBARS(thio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in tissues microsome induced with Fe++/ascorbate, the water-soluble extract was errdctively suppressed in liver and spleen. I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thiocyanate method against lipid peroxidation using linoleic acid,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r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but BH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showed to hav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1073.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황칠나무 주요 자생지인 남부도서지역의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여 자생지 보호와 농가의 재배면적 확대 그리고 관상가치가 높은 실생 파종묘의 재배법을 체계적으로 확립 하고자 본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황칠나무의 종자를 포트에 파종할 경우 3월 중순 파종이 출현율이 높고,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기로 판단된다. 2. 노지에 황칠나무 종자를 직파할 경우 4월 상순 파종이 종자의 출현율이 높고, 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기로 생각된다. 3. 황칠나무의 적정 파종방법으로는 포트파종이 노지 파종보다 발아율이 높고, 묘목의 수고와 경직경이 커서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알맞은 파종방법으로 생각된다.
        1074.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음나무의 대량증식을 위한 실용적인 실생번식과 녹지 삽목 기술을 개발하고자 실시 하였다. 실생 번식을 위한 노천매장과 10℃ 후숙처리는 1주이내에 배의 크기를 3mm이상 유도하였고 발아율은 대조구에 비해 노천매장과 10℃에서 후숙된 종자에서 70%이상 높게 나타났다. 녹지 삽목 실험에서 는 삽수의 모수령이 발근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1년생 삽목묘 신초를 삽수로 사용한 것이 68.9%의 발근율로 가장 높고, 모수의 수령이 유령일수록 발근율이 높고, 반면 수령이 증가할수록 발근 능력이 감소하였다. 삽목 시기별 발근 실험에 있어서 1차 생장한 6월 13일 삽목한 삽수가 68.9%로 발근율이 가장 높아 6월중순이 삽목 적기였다. 식물생장조정제 종류 및 농도별 처리에서는 IBA 1000mg.L-1 농도에서 30분간 침적했을 때 발근율이 70%, NAA 1000mg.L-1에서 66.7%의 순으로 2000mg.L-1 30초, 500mg.L-1 10시간 처리구 보다 발근율이 높게 나타났다.
        1075.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옻나무의 근삽에 의한 묘목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BA, kinetin 및 zeatin 등의 생장조절물질과 삽수의 길이 및 직경 등을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옻나무의 근삽처리 후 3∼5주 사이에 삽수로부터 신초가 발생하여 지상부로 출현하였다. 발생하는 신초의 수는 대부분이 1개였으나 2∼3개의 신초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편 신초가 발생하지 않은 삽수들은 대부분 신초분화능이 포함된 피층부가 부패 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있어서 zeatin처리가 가장 양호한 신초발생율을 보였고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발생율도 높았다. BA와 kinetin처리 역시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발생율이 높았으나 zeatin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의한 묘소질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구보다는 양호하였다. 삽수의 길이 별 신초의 발생은 삽수의 길이가 길수록 일찍 시작되었고, 묘소질은 15 cm의 삽수가 가장 양호하였고 삽수의 길이가 작아질수록 묘소질이 불량하였다. 그러나 단위길이 당 유묘 생산량은 10 cm의 삽수가 가장 양호하였다. 삽수의 직경에 따른 신초의 발생율은 삽식 10주 후에 0.3∼0.5 cm의 삽수가 76%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묘소질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1076.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밤나무(Castanea crenat)의 지상부를 대상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활성물질은 NMR과 mass 분석에 의하여 quercitrin, isoquercitrin으로 밝혀졌다. 두 화합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RC50 : 12μg)은 BHA (14 μg)와 α-tocopherol (12μg)과 비슷하였다.
        1078.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나무 자생지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개체목 단위로 산재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음나무의 군집을 탐색하고, 인위적 간섭이 적고 보전상태가 양호한 강원도 흥정산, 발왕산, 가리왕산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 토양특성 등의 물리적 환경과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1. 음나무 자생지의 입지환경 조사 결과 분포범위는 해발고 780~1,300m의 북서, 북동 및 북향을 중심으로 경사가 심한 산복-사면에 위치하였으며, 토양 산도는 5.81(±0.05)로 비교적 중성에 가까운 토양이며, 양이온치환용량(C.E.C.)은 평균 22.30(±8.1)(me/100g), 유기물함량 8.63(±0.48)%로 비옥한 토양이였다. 2. 음나무의 평균 연륜 생장량은 1.60~2.41mm/year으로 발왕산이 2.41mm/year로 가장 높고, 가리왕산 1.98mm/year, 흥정산 1.60mm/year 순으로 생장량을 나타냈다. 초기 20년간의 생장량은 평균 생장량 보다 컸으나, 그 후는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TWINSPAN에 의한 군집의 분리는 지역간의 군집분리에 중요하게 작용하였으며, 음나무림의 평균 상대우점치 (MIV)는 흥정산지역 24.55%, 가리왕산지역 29.25% 그리고 발왕산지역 38.28%로 나타났으며, 종다양도는 전체적으로 1.3124~1.3992 범위를 보여 대체적으로 3개 지역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음나무 층위별 분포형(Morista's index)은 교목층, 아교목층 및 관목층이 각각 0.9629, 2.9570, 20.5419로 나타나 교목층은 임의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집중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종다양성 분석 결과 상대우점도의 범위가 0.1476~0.2065으로 몇몇 종에 의한 단순림을 이루지 않고 다수의 종에 의해 혼효되어 자생하고 있으며, 유사도지수는 64.31~64.54% 범위로 3개 조사지역간에 식생의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조사지의 상대우점치를 이용한 종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음나무는 사스레나무, 물참대, 까치박달나무 그리고 들메나무와는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린재나무 1%, 쪽동백, 고로쇠 나무, 나래회나무, 느릅나무는 5%수준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태적 지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7. 직경급 분포에 의한 개체군의 생육 동태를 예측한 결과 흥정산 지역은 정규분포를 보여 앞으로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며, 발왕산의 경우에도 소경목에서 대경목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출현하여 음나무림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나 가리왕산의 경우는 치수나 어린 개체가 출현이 되지 않고 중경급과 높은 직경급의 개체의 밀도도 높지 않아 앞으로 이 집단에서는 음나무 집단의 지속적인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1079.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번식에 관한 연구로 개갑처리와 GA3의 처리에 따른 발아율 향상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열귀나무의 과실의 길이는 13cm, 폭은 0.9cm 였으며, 과실내의 종자수는 89개였다. 종자의 길이는 4.9mm, 폭은 2.87mm였으며 천립중은 7.76g이었다. 자연매장 보다는 15℃ incubator에서 층적저장한 것이 개갑율 10.5%로 높았고 또한 4℃ 저온저장후 개갑율도 46.6%로 가장 양호하였다. 2.개갑된 종자의 발아율이 비개갑된 종자에서는 보다 우세하였으며 최적 발아온도는 15℃임을 알수 있었다. 개갑된 종자에서의 GA3의 효과는 농도처리에 따라 커다란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개갑된 종자와 비개갑된 종자 모두 200ppm 이상으로 처리하면 오히려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GA3의 처리의 효과가 발아적온이나 개갑종류에 따라 뚜렷하지 않은 반면 비성숙된 종자의 상태(비개갑종자)와 발아 불량조건(4℃, 비개갑종자)에서는 뚜렷이 나타났다.
        1080.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보존제인 참나무 목초액을 항균제 및 주방기구 세척시 소독제로 활용하기 위하여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Paper disc법에 의한 시험결과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20 첨가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미생물이 첨가된 배지에 참나무 목초액을 70 첨가한 후 에서 3일간의 배양동안 모든 시험균주의 성장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증류수로 희석한 목초액 50에 대수증기까지 배양하여 멸균수로 희석한 대장균을 미량 첨가하여 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