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n food service in university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to improve food safety. A total of 288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summer and winter season between 2006 and 2008 from 4 food services located in the university in Western Gyeongnam and were used to detect sanitary indicator bacteria [aerobic plate count (APC), coliform,and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As a result, APC and coliform for hand and kitchen utensils which are used often by the employee were detected at high levels of 1.1~5.5and 1.3~5.3 log CFU/(100 cm2, hand),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levels of APC and coliform in cooked foods and drinking water were 0.8~6.4 and 1.3~5.0 log CFU/(g, mL), respectively. Especially, the cooked foods showed the highest contamination for APC (2.1~6.4 log CFU/g) and coliform (1.0~5.0 log CFU/g). We think the reason that the cooked foods may be contaminated with APC and coliform on cooking process by using employee’s hand and kitchen utensils. Moreover, S. aureus for hand and kitchen utensils was detected at levels of 2.8~3.0 and 2.0~2.3 log CFU/(g,hand), but Salmonella spp. was not detect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contamination levels of the samples were mostly decreased irrespective of summer and winter season.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periodic monitoring for microorganism contamination and education about pers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to employee for ensuring food safety of food service in university.
목적: 대전지역 대학신입생들의 굴절상태와 안광학상수를 측정하여 성인의 굴절이상 변화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8년 3월과 2009년 3월 2회에 걸쳐 76명(남 23명, 여 53명)을 대상으로 기본신체검사, 자동굴절검사, 각막곡률반경, 전방깊이, 안축장을 현성 및 조절마비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0.080±0.301D(p=0.001) 근시방향으로 진행하였고, 각막곡률반경은 -0.015±0.040 mm(p=0.000) 감소하였다. 전방깊이는 0.036±0.066 mm(p=0.000) 증가하였으며 안축장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고(p=0.274), AL/CR 비는 0.004±0.020(p=0.004) 증가하였다. 각막곡률반경 변화량과 굴절이상도 변화량은 양의 상관성이 있었고(r=0.578, p=0.000) 굴절이상도 변화량과 AL/CR 비의 변화는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r=-0.542, p=0.000). 굴절이상도 변화량과 안축장 변화량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r=-0.074, p=0.367). 굴절이상도에 따른 변화에서 근시군의 등가구면 굴절이상도가 -0.134±0.316D 증가하여 원시나 정시보다 변화량이 가장 컸다. 근시군에서 굴절이상도 변화와 각막곡률반경 변화는 양의 상관성을(r=0.664, p=0.000), AL/CR 비 변화와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600, p=0.000). 각막곡률반경 변화와 AL/CR 비 변화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719, p=0.000). 정시군에서 굴절이상도 변화와 안광학성분 변화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원시군에서 굴절이상도 변화와 각막곡률반경 변화만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r=0.490, p=0.024). 결론: 이상으로부터 성인근시도의 증가는 각막곡률반경 변화 및 AL/CR비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성인근시의 원인은 안구성장보다 각막곡률반경의 변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추정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patterns of visiting coffee shops which are formed by students` preferences. This study surveyed 300 college students in Seongnam.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45.2% males and 54.8% females and the average age was 20.8 years. 41.3% of subjects visited coffee shops once or twice a month and 42.4% of subjects visited coffee shops on a random basis. 26.7% of subjects stayed in coffee shops for 1~1.5 hours. The main purpose of going to coffee shops was to enjoy specialty coffee. The subjects` first favorites was coffee with various kinds of syrups and second one was Americano. When the female subjects in Seongnam chose the coffee shops, they focused more on variety factors than the male subjects.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monthly expenses of less than 400, 000 won focused on price factors more than the group of subjects who had monthly expenses more than 400, 000 won. Moreover, environmental factors were heavily related to the usage rate and staying time of the coffee shops. Above all, price factors and promotion factors affected subjects` choice of the coffee shops in Seongnam.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furnish basic data which can be helpful to maintain and improve the skin health and to activate aromatherapy by analyzi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n the aromatherapy skin care of college students. As their grade got higher, students of beauty class showed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higher than those of non-beauty class, and that of gir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and as the living standard of students got higher, and pocket money of a month of them got more,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nd as the interest in appearance and satisfaction on appearance of them got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In common characteristics, as the living standard of them got higher, and pocket money of a month of them got more,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s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them got higher,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n the interest in appearance of them was high.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the skin, as the skin health condition of students got healthier, the level of attitude on aromatherapy of them was high, and it was high in the students who had much agony on the skin col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Self-administer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86 students, an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ents in food-related major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 food. They had perceptions of Korean foods as ‘fermented foods’, ‘seasonal foods’, and ‘medical foods’ and have ‘various spices’. Most students agreed that Korean foods need to be ‘creatively transformed’ and ‘localized’ in order to globalize successfully. Localization, fusion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Korean food are more important than simple adherence to traditional Korean foo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in different majors. Students majoring in traditional Korean cuisine show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국내 이러닝 부문의 급속한 성장세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업성과는 학습동기 유발요인-학습동기-학업성과로 진행된다는 Noe(1986)와 Bruner(1997)등의 학습동기이론, Keller(1992)의 학습동기 유발전략 모형(ARCS모형), Keller와 Visser(1990)의 ARCS모형 적용사례 연구, 박수경(1998), 김용래(1993)의 연구 등에 근거, 사이버 대학의 이러닝을 대상으로 이러닝에 내재된 ARCS적 학습동기 유발요인들이 학
This paper discusses diverse ways of improving college English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the discussion focuses on three issues: the goals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program, the content of the program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Korean college English education, diagnose its problems and weaknesses, and suggest various measures for enhancing it. The importance of taking into special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and its students as well as the students’ own learning needs in designing any college English education program is underscored. Given that the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by each college rather than by the government, the information that this paper provides is expected to help colleges upgrade their English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신흥 글로벌 대학교로써 필리핀 대학의 가상 캠퍼스이자 5번째 구성 단위인 필리핀 개방대학(UPOU)을 중심으로 지식기반 시대의 평생교육에 관한 새로운 경향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필리핀 개방대학(UPOU)의 경험을 기반으로 본다면, 평생 학습은 본래 온라인 학습의 영향을받을 것임이 분명하다. 새로운 시대의 온라인 학습은 확장적이며 학습자 중심이 될 것이다. 그것은 교수자와 튜터의 개념을 멘토와 코치의 개념으로 대체할 것이다. 게다가 신 시대에서의평생 학습은 지리학적, 규율적, 그리고 유형적 경계간의 흔들림을 보여 줄 것이다.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통용 등으로 초국가적 교육이 더욱 지배적일 것이다. 또한 지식 분야간 경계들은 허물어질 것이다. 특정 노동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특별한 프로그램의 형태를 지닌 초지식적융합교육이 부상하게 될 것이다. 직업교육의 기초, 고등, 기술 교육과 같이 형식적 교육, 비형식적 교육 그리고 무형식 교육 간의 엄격한 경계들은 이러한 교육의 형태들 사이의 밀접한 소통에 따라 이제는 허물어질 것이다. 더욱이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시작점과 종료점을 보일 것이다.자유입학제도, 자유 교육기간, 그리고 학습자원에 대한 공개 등과 같은 교육관리적 접근에서 뚜렷하게 나타날 개방교육은 또 하나의 새로운 경향이다. 게다가 유비쿼터스 환경은 평생 학습에서 주요 경향이 될 것이다. 학습은 넷북과 이동전화와 같은 단말기와 클라우드 컴퓨팅, 그리고WiFi와 WiMAX 서비스 등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마지막으로, 본 연구지를 통해 평생 학습 수요자들의 변화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이전에는 평생 학습의 기회들이 교육에의 접근이 근본 이슈였던 외곽 지역의 극빈자들을 위한 것이었다. 평생학습은 교육의 기회가 동등히 부여되지 않았던 소외층, 과년(過年)층, 그리고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왔다. 이제는 새로운 전달 체제의 결과로써 부유층, 전문가, 그리고 고등 교육자들이 소외층보다 더 많이 평생 학습의 기회를 활용하고 있다.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시의 계획 및 개발위주의 정책은 기존의 도시와 마을을 가꾸고 정비하는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흐름과 더불어 주민참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참여형태가 다양해지고 참여도도 활성화되고있다.최근들어 지자체, 시민단체,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민참여 도시․마을만들기가 시도되고 있으며, 국토해양부에서는도시․마을만들기 계획수립과 더불어 주민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도시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도시대학의영은 사전준비단계, 프로그램 진행단계, 사후평가단계로 구성된다.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인 국토해양부에서 주최하는 스튜디오형 도시대학의 운영과정 특성을 살펴보고, 2009년도 호남권도시대학 실제 운영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운영과정의 한계점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2009년도 호남권 도시대학의운영과정별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정책적)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중앙정부주최의 도시대학 운영은 규모에 있어 전국을 대상으로 운영함에 있어 참여자의 관심 및 결과물에 대한 의의가매우 크다. 이에 전국적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대학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권역설정 및 스튜디오 구성의 한계점을 해결하기위해 권역별 광역․기초자치단체와의 협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결과물의 실효성(사업성)을 높이고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위해서는 프로그램 운영단계의 실습프로그램에 대한 범주화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태국 교육부 산하 고등교육 위원회에서 국민의 교육기회 확대에 관한 국가교육법 B.E. 1999에 의거해 진행 중인 Thailand Cyber University(이하 'TCU') Project의 개발과 그활동에 대한 소개이다. 학습 자원 공유 센터 기능으로서의 TCU는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교육의전파를 위해서 모든 고등교육 기관들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TCU는 모든 온라인 강좌들의 질 확보와 정부 기준에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본 연구는 먼저 태국의 고등교육의 현황과 위기, 그리고 그 타개책인 태국 고등교육 위원회의TCU 설립에 대해 소개로 시작한다. 다음으로는 TCU의 운영 전략과 활동, 사업과 그 결과, 그리고 관련 통계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TCU 운영 과정에서의 교훈과 TCU의미래를 위한 방향을 짚어볼 예정이다.
서론 : 오늘날 운전은 이동수단으로써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활동참여 및 여가생활에 있어서도 중요한 수단적 활동이 되고 있다. 운전자의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운전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된 시각, 지각, 인지, 운동 능력을 전문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운전재활시스템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선진국인 호주의 운전재활평가 시스템 및 운전재활 보조도구 평가 시스템을 소개함으로써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 호주의 시드니대학교 부속 운전재활센터의 운전재활평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치료실내 평가(clinical assessment) 와 도로주행평가(on-road assessment)를 포함한다. 치료실내 평가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전반적 운전 능력을 면담하고, 그 외에도 신체평가, 감각평가, 고유수용성감각평가, 협응평가, 균형평가, 시각평가, 시지각평가로 이루어진다. 치료실내 평가에서 통과가 되면 치료사와 운전강사 및 경찰이 각1명 동반하여 직접 개조된 차량으로 도로주행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이런 평가과정을 통해 질병이나 질환이후 장애를 갖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운전능력을 평가받고 그에 따른 적절한 운전보조도구를 처방받아서 다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결론 : 질병이나 질환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운전재활평가시스템을 제대로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적절한 운전재활 평가는 장애를 가진 자도 전문적인 훈련 혹은 운전보조도구 처방 등을 통해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더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이 운전재활평가를 통해 운전이 가능하도록 법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운전재활서비스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선진국의 운전재활 시스템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에도 작업치료사가 적절한 운전재활서비스 틀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In the research-oriented university there are various laboratories in the departments according to a major field of stud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budget to purchase experimental facilities has only to be distributed among research teams and then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arching effective operation plan of after-school program for enter the universiti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APEURPE) and efficient guidanc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rough understanding positive effect of school 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