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과 대학 간의 공동기술개발 과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산학 간 공동연구에 대한 기존 문헌을 분석한 결과 과제 성과에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은 동반자특성, 관리특성, 관계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성과변수로는 협력 결과에 대한 만족도, 협력 관계 지속성, 기술과 제품 활용을 선택하였는데 이는 분석대상 과제가 중소기업과 대학 간의 공동과제이며 소규모이고 단기임을 고려한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2009년 중소기업청에서 주관한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에서 지원된 1,082개 과제를 모집단으로 하고 우편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기업체 200개, 대학 305개였다. 이중에서 동일 과제에 대하여 기업과 대학이 함께 응답한 것은 55개였다. 자료 분석은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중소기업과 대학의 설문응답을 각각 개별적으로 검증하였고, 또한 동일 과제에 대하여 함께 응답한 결과를 결합하여 분석하였다. 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는 인력전문성, 시설과 장비, 커뮤니케이션, 전략적 중요도, 신뢰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대학 측의 성과에는 협력경험, 목표설정 명확성, 전략적 중요도, 신뢰, 커미트먼트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동일 과제에 대한 중소기업과 대학의 설문 결과를 결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연구시설장비, 과제관리 충실성, 커미트먼트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外國의 대학입학시험을 통해 韓國의 大學修學能力試驗, 그중에서도 ‘漢文’ 과목 출제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기획한 것이다. 이를 위해 中國의 대학입학시험인 ‘普通高等學校招生全國統一考試’의 ‘語文’ 과목, 그리고 日本의 ‘大學入學者選拔大學入試センター試驗’의 國語과목 중 韓國의 ‘漢文’ 과목에 해당하는 문항을 분석한 기왕의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한문 과목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포함되어 시 행되기 시작한 2005학년도 6월 모의평가부터 2011학년도 9월 모의평가까지 총 20 회에 걸친 모의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반면 중국 의 경우에는 2009년 全國卷Ⅰ, 全國卷Ⅱ, 北京卷의 3種만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시험이 동일한 敎育課程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 이다. 중국에서는 2004년부터 新敎育課程이 일부 지역부터 시행되기 시작하여 현 재 전국적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관계로 지역별로 시험에 적용하는 교육과정 이 다른데, 2009년에 시행된 이들 3종의 시험은 모두 舊敎育課程의 적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일본 大學入試センター試驗의 국어 과목이 하나로 통합된 2006년 시험부터 2007년 시험까지 총 4회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시험의 구성(문항 수, 시험 시간, 문항당 소요 시간, 배점), 문항의 내적인 면(문 항의 유형, 지문 내용 및 문항 배열), 문항의 외적인 면(문항 형식, 문두 표현, 답 지의 배열, 밑줄 표시, 문제지 면수) 등의 측면에서 三國의 시험을 비교 분석하였 는데, 이를 통해 지문 내용 및 문항의 배열, 평가 방향 및 문항의 유형 등과 관련 하여 여러 가지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lcohol consumption rates and the perception of drinking culture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Wonju area. An examination of factors such as frequency of drinking, average quantity consumed, and frequency of heavy drinking suggested that the drinking rates were relatively high. Over 70% of subjects drank at least once a week, 66.2% typically drank more than 5 servings at a time, and 19.2% of males and 13.0% of females were heavy drinkers. It was revealed from an AUDIT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ssessment that 71.3% of the subjects tested had various levels of alcohol-related problems. These problems were more severe in subjects that were male, selfboarding, or overweight. Alcohol related knowledge was not high because the subjects didn't know or incorrectly recognized some contents such a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the energy content of alcohol, and the empty caloric characteristics of alcohol. Generally male, self-boarding, and overweight persons were not critical of the undesirabl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drinking culture. Two opinions that we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permissible were: 'Men should be able to drink' and 'Drinking is essential for a smooth human relationship'.
목 적: 대학생 95명(190안)의 사위검사에서 프리즘분리법과 마독스로드법으로 측정되어진 수평 및 수직사위 값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검사방법은 원거리 완전 교정된 상태에서 프리즘 분리법, 마독스로드 검사법 등 두 가지 다른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프리즘 분리법에 의한 수평사위 검사에서는 정위 34명(36%), 외사위 41명(43%), 내사위 20명(21%)이었다. 마독스로드 검사법에 의한 수평사위 검사에서는 정위 32명(34%), 외사위 49명(51%), 내사위 14명(15%)이었다. 프리즘 분리법에 의한 수직사위 검사에서는 정위 84명(88%), 수직사위 11명(12%)이었다. 마독스로드 검사법 의한 수직사위 검사에서는 정위 82명(86%), 수직사위 13명(14%)이었다. 결 론: 두 검사의 각각의 평균값은 프리즘 분리법 1.07△ B.I., 마독스로드 검사법 0.95△ B.I.으로 측정되었다. 검사 방법에 따른 뚜렷한 수평 및 수직사위 값의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또한 heterphoria법으로 AC/A비를 측정한 결과 최저, 1.00에서 최대 6.8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굴절이상과는 특별한 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sumption behavior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onbuk area, Ko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9 university students(male 33.0%, female 67.0%).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es was completed using SPSS v. 12.0.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purchased EAPs was 70.9%. Of those, 87.2% had EAPs purchased by their mothers. The most purchased EAPs were vegetables, the primary reason for which was the perception of ``good for health``(73.1%). The main information source about EAPs was ``familes/freinds``. The average scores of ``attitude toward EAPs``, ``knowledge toward EAPs``, ``concern toward EAPs`` were 3.76±0.57, 2.91±0.61 and 3.29±0.43, respectively. With regards to ``attitude toward EAP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reported health status``(p<0.05). With regard to ``knowledge toward EAPs`` and ``concern toward EAPs``, the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upplements for health`` (p<0.05; p<0.001). For university students` right choices of EAPs, information and consumer education wthin the university curriculum on these products are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rrors of prepositional verbs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essays and alert teachers to the necessity of a more systematic instruction of prepositional verbs. Prepositional-verb errors found in the learner corpus of essays written by 416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 preposition omission, (b) wrong prepositions, (c) preposition addition, (d) misordering, and (e) others. Of the 1317 tokens of prepositional verbs retrieved from the corpus, 448 were found to be used erroneously, over half of which were instances of preposition omission. No tokens of misordering errors were found (e.g., *to go school / *go school to). A careful analysis of these errors also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were not able to discern the difference between a verb used transitively and the same verb used as a prepositional verb (e.g., believe and believe in). Second,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transitive verbs from intransitive ones also resulted in a considerable number of errors in preposition omission (e.g., *listen music) and preposition addition (e.g., *enter in university). Third, using wrong prepositions (e.g., *worried at me) was also a rather common occurrence, accounting for 18% of the all the errors related to prepositional verbs.
목 적: 2년간의 추적을 통하여 초기 성년의 굴절이상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3월과 2010년 3월 37명(74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 상태에서 Canon RK-F1으로 자동굴 절검사를 실시하였고 IOLMaster V.5.2(Carl Zeiss Meditec)를 이용하여 각막곡률반경, 전방깊이, 안축길이를 측정하였다. 2008년 피검자들의 나이는 18세에서 21세에 분포하였다. 결 과: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0.305±0.430D(t = 6.115, p = 0.000) 근시방향으로 진행하였으며 각막 곡률반경 변화량과 굴절이상도 변화량은 양의 상관성이 있었고(r = 0.282, p = 0.015), 굴절이상도 변화량과 AL/CR 비의 변화는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r = -0.240, p = 0.039). 굴절이상도 변화량과 안축길이 변화량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r = -0.012, p = 0.388). 굴절이상도에 따른 변화에서 정시군에서는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변화와 각막곡률반경 변화 사이에서 유의한 상관성(r = 0.722, p = 0.002)이 관찰되었으나 등가 구면굴절이상도 변화와 안축길이 변화 사이에서는 상관성을 유의하지 않았다(r = -0.295, p = 0.286). 근시 군에서는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변화에 대한 각막곡률반경 변화와 안축길이 변화간의 상관성은 각각 r = 0.287, p = 0.048과 r = -0.046, p = 0.756으로 나타났다. 원시군에서는 등가구면 굴절이상도 변화와 상관성을 보이는 항목이 없었다. 2년간의 굴절이상도는 근시군에서 가장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t = 7.599, p = 0.000). 결 론: 굴절이상도 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는 항목은 각막곡률반경 변화와 AL/CR비의 변화였으며, 초기 성인들에 있어 주요한 굴절이상도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은 각막곡률반경의 변화로 나타났다. 근시군에서 굴절이상의 변화양상이 현저하였으며, 초기 성인에서의 굴절이상도 변화는 안축길이 변화보다는 각막곡률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receptive and speaking skills by comparing the scores of the TOEIC (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the ESPT (the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Test). A recent research (Cunningham: 2002) shows that gaining scores on the TOEIC do not affect much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study, two instrument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TOEIC and the ESPT. These two tests were administered to freshmen at one of the universities at Kyungsang Province. On the basis of the TOEIC scores the participants go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termediate and basic.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OEIC scores and the ESPT test for all was 0.51.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se two test scores for the intermediate level was as low as 0.43 and the basic level 0.25. This study implies that interpret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ceptive and speaking skills should be cautious.
The study examined the 2009 overseas program of the SNU Intensiv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IETTP) to evaluate overall management and its effects for future improvements. Following an overview of the 2009 overseas program,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results of the program survey and English proficiency tests that were conducted on 42 traine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was successful in terms of its management and improving English teachers' English proficiency. Especially, the trainees showed strong satisfaction for school visits, culture excursions, and special lecture series which exposed them to invaluable experience of looking into an English speaking country. Three suggestions were proposed in terms of managing and evaluating the overseas program of the IETTP. First, the IETTP needs to take proaction in identifying the needs of in-service English teachers and to reflect those needs in its overseas program. Second, the IETTP needs to develop a customized overseas program which can best support main goals of its overall six-month training program. Lastly, an evaluation of the program needs to incorporate more than just a survey method to triangulate the outcome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naming of beverages and its effect on people's perception by gender.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oul area from March 10 to May 10, 2010. Approximately 59% of male and 41.8% of the female respon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aged 20 to 29-years. Most (79.8%) of the students responding to the survey showed a preference for beverages. "Long-named beverages with ingredients listed" were considered the most reliable and ranked highest at 3.74,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ales and females. "Long-named beverage that were made from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were regarded as the most healthful and ranked highest at 4.01.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also observed. Long-naming influences a customer's purchasing tendency. In particular, women were more influenced by a sense of wellbeing when they purchase, because they are more interested in losing weight and being health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ublic preferences for dining space image styles depending on the types of passage rites in Korea and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public preferences for dining space image styles depending on the types of passage rites in terms of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family type, and preference for the image and color styles of the dining space. As a result, this study determined the following: According to a public preference survey of dining space image styles depending on the type of passage rites,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sual images (27.1%) at a party for a 100-day-old baby. Additionally,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sual images (27.4%) when celebrating a baby's first birthday but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romantic images (35.8%) when celebrating a baby girl's first birthday.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sual images (21.4%) for graduation ceremonies. Ou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21.7%) at coming-of-age ceremonies for new adult men, but also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elegant images (26.2%) at coming-of-age ceremonies for new adult women. Moreover, the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41.0%) at traditional wedding ceremonies but elegant images (24.1%) at modern wedding ceremonies. In contrast, the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31.3%) for a 60th birthday party. The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28.9%) was found for a diamond wedding ceremony.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30.4%) for a funeral ceremony Finally, our respondents showed highest preference for classic images (32.5%) at memorial services (religious ceremonies).
Although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troduc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including Web-based learning, to a practice class is effective, studies apply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to subjects who are practicing cooking are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of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the degree of computer use, and the use of distance learning by college students with cuisine-related majors to practice cooking.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s used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and that the method was positively perceived, as it was a great aid in learning. Most of the cooking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dia for practicing cooking was "e-learning" using a computer.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those who were practicing cooking was a "face-to-face learning method", because face-to-face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most universally recognized. Most of the students surveyed responded that using the distance learning method was a positive experience, indicating that cyber lectures could be applied at more universities for subjects practicing coo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vestigate what types of campus lives are experienced
by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ow they are changed in their campus lives.
For this purpose, their campus lives are analyzed by using the qu
The class rooms for vocal music lessons at the college of music should be prepared with acoustic performance having similar quality to a real theater. However, most of domestic music colleges used too many sound absorbing materials, so that a sound is too dry and poor, which makes a singer to increase the sound level. Furthermore, because of this acoustic characteristics, at a theater a singer comes to hear a total different sound of his own song. For this, students and professors are in trouble during a lesson. At the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finishing materials were changed to have the best sound condition by site measurement and acoustic simul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tudy result above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document to improve acoustic perform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베이스로 하는 무수한 서비스들 중에서 SNS 미디어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이슈와 관련하여 미디어 특성별 선택과 이용 동기, 프라이버시에 침해에 대한 염려, 프라이버시 보호전략, 노출범위 및 비용, 그리고 책임소재 등에 대한 패턴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NS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들과 이와 관련해 진화되고 있는 프라이버시권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대학생 이용자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하여 그들의 SNS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을 관련 변인들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적극적 이용자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SNS 미디어 이용시 자신의 정보와 컨텐츠 그리고 의견 등의 노출 확률이 높아지는 것과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경계한다. 반면 자신에게 이득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꺼이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도 한다. 시스템내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에 대한 믿음, 자신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고 있다는 자신감, 프라이버시를 해칠 수 있는 서비스의 설정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이용자로 하여금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일본 및 대만 ,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국, 일본, 한국, 대만, 중국 등 4개국 드라마 시청정도 및 각국별 드라마 속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살펴본 것이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을 포함해 일본, 대만 응답자들은 일차적으로 자국의 드라마를 시청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한국 및 일본 응답자들은 다른 국적의 드라마에 비해 자국 드라마 시청 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대만 응답자들은 자국 드라마와 함께 일본 드라마 시청 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일본 및 대만 대학생들의 각국별 드라마 시청정도 결정 요인을 드라마 속성별 평가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이들 3개국 응답자들이 4개국 드라마를 평가하는 기준은 재미라는 요인을 중심으로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 응답자들은 미국이나 일본 드라마에 대해 친근감을 갖고 있을 때 해당 드라마 시청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 응답자들이 한국 드라마에 대해 친근감을 갖게 될 때에는 반대로 한국 드라마 시청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국 내 장르별 방송 프로그램 선호도는 미국이나 일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영향을 끼치지 못한 반면 한국이나 대만 드라마 시청 정도에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