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6

        1261.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measure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with five facets of a job: the work itself, promotion, pay, supervision and co-workers and (b)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levels of the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Subjects consisted of 151 dietitians, with 91 in Seoul and 60 in KyoungKi-Do. The survey form was developed on modifying Job Descriptive Index developed by Smith, Kendall, Hulin and Job Characteristics Inventory developed by Sims, Szilagy, Keller. The responding rate was 81.7%.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ies, mean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PC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Less than a half of the sample(40.9%) were 31 to 35 years, married were 62% and junior college graduates were 33.9%. 2) A striking majority of the respondents(81.7%) ranked work itself as th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ir jobs. 3) The dietitians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work itself, then supervision, co-workers, wage and promotion in decreasing order. 4) In relations of demographic factors to the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s with wage and co-workers were found significantly related to education. 5) Task identity was the most prevalent job characteristics. 6) The R2 for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0.26, indicating that 26%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could be accounted for the job characteristics. This model showed that friendship of job characteristics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s. The second was variety and the third was dealing with others. Especially dealing with others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4,000원
        126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海外企業引受에 관한 탐험적 연구로서 어떠한 특성을 가진 기업일수록 國際合倂ㆍ引受戰略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지를 logit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기업들의 事後滿足度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 및 환경적 특성변수를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특성을 지닌 한국인수기업이 해외인수기업에 대하여 만족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영업상태가 양호한 企業을 인수하는 것이 引受後滿足度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기술취득 목적으로 인수에 나선 한국기업들이 당초의 기대와는 달리 만족할만한 成果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취득을 목적으로 海外企業을 인수한 한국기업들이 별로 만족하지 못하는 점에서 앞으로 국내기업들이 해외기업을 인수하고자 할 때 인수대상기업의 技術力ㆍ기술수준 등 經營力에 대한 세밀한 평가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비교적 成長이 빠른 한국기업일수록 海外企業引受에 대하여 만족하지 않는다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成長速度가 빠른 기업이 國際化擴大를 위해 해외진출을 고려할 경우 해외기업인수가 최선의 海外市場進入 방법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6,400원
        1263.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요인분석의 결과 가야산 국립공원 방문의 돋기는 행위참여, 종교/과학적 탐구욕, 경관감상 및 사회적 동기의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4가지 방문 요인을 가지고 인지과밀도 및 시설/서어비스 성취도 평가 등의 변수들과 함께 만족모델을 제시하였는데 그 결과 만족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변수는 대피소 및 휴식시설에 대한 평가이었다. 본 조사에서는 만족모델에 사용된 각 변수들의 모델내부에서의 역활이 논의되었고. 미래의 연구 방향의 제안도 언급되었다.
        4,000원
        1264.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야산 국립공원의 이용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이용자를 그들의 사회경제적 성격과 이용유형으로 설명하고 이용이 분산되는 공간적 시간적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용자의 행위 및 행동을 분석함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관련되어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연구가설들의 제시도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가야산 국립공원의 이용자들은 주로 고졸이상의 20대가 많고 해인사 방문후, 등산, 캠핑, 피크닉 등의 행위에 참여하는 다목적형 방문을 하며 이용자집단의 평균규모는 약 10인에 이른다. 3년간의 평균방문횟수는 2회를 상회하고, 재방문의도가 높아 앞으로 공원이용이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이용패턴을 볼 때 입장객이 특별히 몰리는 시간대가 없이 입장객수는 고루 분산되어 있으나, 이용자의 대부분은 해인사, 홍류동계곡까지만 방문하고 등산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다. 하산객은 오후 3시부터 5시 사이에 많이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265.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66.
        202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of a forest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by administering a survey problems of the program and suggested improvements. 428 participants in the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of the survey yielded values of, Cronbach’s α value was higher than 0.8 for all items, indicating very high reliabilit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 method of measuring and compar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und two factors: “first need for correction” which included “diversity of programs” and “professionalism of programs”; and “the need for sustained effort” which included “benefits of programs”, “the role of program instructors” and “the interest of programs”. Previously,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cused on programs involving base expansion and promotion, or quantitative expans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o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1267.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Gangwon-do residents using a satisfaction survey. The residents were found to be most satisfied with sectors such as parks/green spaces, landscape, and public order; however, they were least satisfied with transportation, culture, sports, medical services, and welfare facilities. Additionally, among all the items in the satisfaction survey, job satisfaction was the lowest. When comparing satisfaction trends observed in the city to those of the county,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county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is result could be attributed to young people being underrepresented in this survey in conjunction with the greater policy-level support for middle-aged people by from the government and Gangwon-do. Therefore, it would be worthwhile to create policies that primarily support young people and to also to create high-quality jobs with stable pay and employment prospects. This could minimize the outflow of youth and even encourage their inflow to similar small provincial cities. In Southern region and Seorak region of Gangwon-do, the satisfaction with gap between house price and region was low,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increased demand for real estate throughout this area.
        1268.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중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의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운동선수 221명(남자=155명, 여자=66명)으로 평균 15.94세였다. 측정 도구로는 케어링 분위기 척도(CCS), 라이프스킬 전이 척도(KLSTS), 그리고 삶의 만족도 척도(SWLS)가 사용되었 으며, 수집된 자료는 Stata 9.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첫째, 케어링 분 위기는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킬 전이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케어링 분위기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도자를 포 함한 팀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는 스포츠에서 개발된 라이프스킬을 다양한 환경으로 전 이하는 데 보탬이 된다. 나아가 전이된 라이프스킬은 삶에 대한 선수들의 전반적인 만족감을 높이므로 지도자는 스포츠 환경 내에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1269.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필라테스 운동 시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이 운동참여자의 운동몰입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참여자들이 운동을 지속하기 위한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22년 수도권을 중 심으로 필라테스를 하고 있는 성인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Jamovi 2.2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 α 계수, Pearson’s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 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운동참여자의 운동몰입에 대한 하위요인 중 인지몰입에는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 의 하위요인인 수행지식 피드백, 긍정일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향을 미쳤으며, 행위몰입에는 긍정일 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 부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향을 미쳤다. 운동참여자의 만족도에 대한 하위요인인 지도자행동만족, 운동능력만족, 운동환경만족 모두 수행지식 피드백, 긍정일반 피드백, 긍정적비언어 피드백이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은 운동몰입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운동참여자들의 필라테스 참여의 지속을 위하여 필라테스 지도자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바탕으로 상 황에 맞는 피드백의 활용을 통하여 참여자의 운동몰입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1270.
        202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자율성지지와 운동전념의 관계, 자율성지지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총 299명(여학생: 153명)의 중학 생이 참여하였다.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자율성지지, 회복탄력성, 운동전념,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을 설문지를 활 용하여 측정하였다. 모형의 검증 및 분석은 SPSS(version 25)와 Hayes의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였 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회복탄력성은 자율성지지와 운동전념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자율성지지와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강사 및 체육 교사들에게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에 있어 자율성지지 및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학교스포츠클럽의 장기적인 활성화를 위한 스포 츠 강사의 동기부여적 교습법 개발 및 전문성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근거 기반의 확대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1271.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코치의 직무열의에 삼분법적 효능감이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가 그들의 코칭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코칭경력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운동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코 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지속의도 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의 자기효능감, 타인효능감 그리고 관계추론 효능감 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 코칭만족 그리고 지속 의도 간의 영향력 있는 경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경력에 따라 형성된 경로의 변인에 대한 영향력 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코치와 선수간의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가 코치의 긍정적 심리 와 코칭의 지속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코치의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선수와의 상호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효 능감이 직무열의에 더욱 중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272.
        202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온라인 수업 현황을 살펴보고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하여 앞 으로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년 동안 진행 된 다문화센터 한국어 수업을 조사하고, 학습자를 대상으로 1차 만족도 조사, 2차 면담 조사를 하며 수업 형태 변화에 대한 의견 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의 매체 활용 능력은 우수하였고 온라인 수업 만족도도 높았다. 온라인 수업은 육아와 가정생활을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단점은 집중력 저하, 의사소통 부족 등이라고 하였다. 온라인과 대면 수업을 병행한다 면 온라인 수업은 ‘토픽, 귀화, 쓰기’ 등 이해 중심 수업, ‘회화, 발음, 문화 특강’ 등은 교실 대면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본 연구를 통해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온라인 수업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1273.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experience motivations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visitors’ satisfaction of Jeonju Hanok Village. With respect to these matters,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to further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Jeonju Hanok Village. First, attractiveness, convenience, and cleanlin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Jeonju Hanok Village have positive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level; yet, accessibility and entertainment were found not to have significant impacts. Second, experience motivations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convenience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cleanliness and visitors’ satisfaction. Due to limitations on sampling methods, one needs to take cau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study and implement the result in practice subsequentially. However, I think that there was a meaningful result, which successfully expanded the area of research,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Jeonju Hanok Village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ce motivation.
        1274.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코치의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직무요 구-자원(JD-R) 모델에서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측면을 밝히려는 동기적 과정을 적용해 관련변인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 1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칭업무에 부합되게 수정된 직무자원, 직무열의, 직무요구, 업무만족도 등 4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시작으로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모형 분석과 조건부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업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직무자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직무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열의는 코치업무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과도한 직무요구가 발생하 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75.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policy for the promotion of forest education and establish a basis that can be applied to it, which considers citizens’ opinions on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alysis of forest education policy, program development topped the list with 0.368 points,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forest education experts, which scored 0.262 points. Cooperation as well as the supplementing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yielded 0.238 and 0.132 points, respectively. Concerning the attention and recognition of forest education, only 8% of the respondents had low attention and 19% low or very low recognition; 75% said forest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Regarding program satisfaction, 76.5% were satisfied with the profitability of content and 77% agreed with the purpose consistency. In terms of the appropriateness of forest education, 79.2% and 81% were content with the period and method, respectively. Finally, 82.7% were satisfied with the participation program. This study aims to share basic data and promotion pla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policy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forest education focused on adults. Domestic forest education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led by Korea Forest Service. In the long term, local governments must participate in forest education policy positively despite limited budgets and human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data for forest education promotion plans. If the case studies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preference analysis by age group are followed up, they will help ensure that forest education evolves through cooperation with people and organizations in the relevant zone.
        1276.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use behavior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of a park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on park satisfaction among 7 parks in Suseong-gu, Daegu. The data from the 255 questionnaires of young adults (30-59) and old adults (more than 60) who use the park more than once a week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erms of park use behavior, young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jogging mainly on weekday evenings, while old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rest mainly during weekday daytimes. In addition, old adults used the park more times a week than young adults, and spent more time in the park. I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park,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both age groups but overall, old adul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ark environment than the young ad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t was determined that park satisfaction in young adul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 amenity', 'use convenience', 'facility suitability', and 'landscape diversity'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park satisfaction for old adults has an influence on 'use amenity', 'facility suitability', and 'use convenience' in this or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basic data for future park planning considering age groups.
        1277.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장공모제 시행 여부에 따른 학교풍토,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교장공모제가 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공립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교장공모제를 시행 중인 학교의 교사 7,551명, 교장공모제를 시행하지 않는 일반학교의 교사 13,815명으로 총 21,366명이 최종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교장공모제 여부는 학교풍토 및 교사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교사효능감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장공모제 시행 학교를 학교급별로 나누어 인식차를 분석한 결과 학교풍토,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모두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별로 나누어 인식차를 분석한 결과 학교풍토, 교사효능감에서 개방형 학교 교사들의 인식 평균값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장공모제가 학교 및 교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일부 양적연구가 갖는 한계를 지니고 있어 제언을 통해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1278.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walking environment around neighborhood on satisfaction for old adults in Daegu.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40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The walking environment was categorized into accessibility to neighborhood walking facilities and walking environment around path. Regarding perception of walking accessibility, access to ‘public transit stops’ and to ‘medical facilities’ was relatively high. For walking environment, ‘pavement condition’, ‘continuity of sidewalk’, and ‘slope of sidewalk’ were rated relatively hi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factor analysis of walking environment variables showed that religious and convenient facilities, park and leisure facilities, and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walking accessibility. For walking environment the convenience for walking, safety for walking, and amenities for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walking environment for old adults.
        1279.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of cherry blossom trails ‘Cherry Road’ in Daegu Catholic Univ. campus, at Gyeonsan-city, Korea. The evaluation focused on imag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i.e., students, using questionnaire surveys. A total 201 questionnaire samples were analyzed and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 age group of 20.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demographics, use behavior, reliability, and mean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user satisfaction and image preference. Over 80% of visitors came with companions during daytime. The most common motives for use were strolling and walking, event and meeting, passing. For user satisfaction the mean scores were highest for landscape beauty (4.22), image improvement (4.14), campus image (4.08). Night lighting facility received the lowest score (3.32). Factor analysis concerning user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into environment-human behavior and physical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use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ve independent variables: ‘harmonious’ (β=.214), ‘night lighting facility’ (β=.173), ‘landscape beauty’ (β=.208), ‘lawn care’ (β=.154), and ‘walking trails’ (β=.123). The mean scores of image variables were highest for ‘beautiful’ (5.81), ‘bright’ (5.67), and ‘open’ (5.64). The lowest scores was for ‘quiet’ (4.47). Exploratory factor analysis led to three factors being categorized: aesthetics, comforts, and simplicity.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ference of space imag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ive variables: ‘bright’ (β=.397), ‘refreshing’ (β =.211), ‘cool’ (β=.219), ‘clean’ (β=.182), and ‘natural’ (β=.-142). Hence, Cherry Road has a high level of user satisfaction and image evaluation, which is interpreted as having various cultural events and value for students on campu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herry Roa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cure night lighting, to manage trash cans, and to secure rest space.
        1280.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시내에 있는 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및 리더십, 조직몰입이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3차 대학병원의 조직문화,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p<0.001). 이직경험이 없는 그룹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조직 유효성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핵의 학과의 직무만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방사선사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564, p<0.001). 방사선사는 질병의 진단에 있어서 병원 조직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사의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방사선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