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6

        1341.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부산, 울산지역에 근무하는 초음파 검사자 15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및 직무 스트레스 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직무만족의 예측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결 과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경험이 있을수록 직무만족도는 증가하였으며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는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직무 불안정, 직무자율성 결여, 직무요구 순으로 유의 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무만족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조직체계와 보상의 부적절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음파 검사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조직 및 인력관리, 보상과 관련된 적절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134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문화적응스트레 스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내에 거주 하는 364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6년 12월 20일부터 2017년 1월 26일까지 38일 동안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받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통계적 자료 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 문화적응스트레 스 및 결혼만족도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들의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뒤 신뢰도 계수(Cronbach's ⍺)를 산출하여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고, 사회참여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 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족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참여활동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활동과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사회참여활동과 문화 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탐색적인 분석을 통해 다문 화가정의 이혼을 줄이고 행복한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1343.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남 진주시에서 도심에 위치한 선학산과 비봉산은 배후녹지로서 가벼운 등산을 겸한 다양한 야외건강 활동을 수용하면서 시민 모두의 휴 양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열악한 접근성, 대부분이 사유지로 개발 제한성, 낮은 투자효율성 등을 이유로 상대적으로 공원·녹지 조 성 사업에서 소외되어왔다. 비봉산 및 선학산을 시민들의 건강, 휴식, 유희 등 휴양 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도시림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들의 휴양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도시림 개선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도시림의 개선에 따 른 이용행태 및 방문자 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경남 진주시 도심에 위치한 비봉산 및 선학산을 연구대 상지로 선정하여 2004년부터 2017년까지 도시림 개선에 따른 이용 빈도, 방문자 만족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 빈도는 2004년과 비교하여 2016년에 선학산과 비봉산 모두에서 증가를 나타냈고 종합만족도도 2004년과 비교하여 2017년에 90% 신뢰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며 증가를 나타냈다.
        134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지속가능한 취업처 개발 목표달성을 위하여 도시형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실내조경 직종을 분석하여 일 중심의 취업 역량강화를 위한 현장실습위주의 역량기반의 교육과정을 맞춤형으로 개발하고 이를 교육한 후 교육대상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의 만족 정 도를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우선 교육내용 구성을 위해 전문가 위원회에서 현재 발달장애인이 원예 관련 직종에서 수행하는 가능한 작업을 분석하여 상품제작과 상품 배달, 식물관리 및 이동, 상품 포장과 서비스를 대표적인 직무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직무교육 과정을 장애고등학생에 맞도록 난이도를 조정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한 후 만족도를 조사하였을 때 결과는 교육과정에 대하여 89%가 만족 하였고 세부교육내용은 67%가 만족하였으며 실습내용은 78% 강사 89%를 만족하였고 세부 프로그램 중 식물원 환경미화 67%, 식물관리 67%, 식물원매장관리 56%, 식물장식이 55%로 높은 만족의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고등학생의 역량을 고려한 맞춤형 실내조경 직무교육은 높은 만족을 나타내었으므로 장애인의 도시형 농업기반의 직업교육 콘텐츠로 실내조경분야는 높은 가능성을 기대할 수 분야 라고 판단되어 향후 지속적인 직무교육과정개발과 수행평가 도구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1345.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클린하우스 정책이 제주지역에 도입된 이래 정책효과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해야할 필요성이 점증 하여 왔다.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주요 이유는 정책허점의 면밀한 검토를 통해 보완점을 찾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2004년도에 도입된 클린하우스의 주요 예상효과는 주변환경 청결성 제고, 행정비용 감소, 생활폐기물의 재활용률 제고였다. 도입된지 10여년이 지난 2015년 들어 제주지역에는 총 2,569개의 클린하우스가 설치·운영 되고 있다. 제주지역의 클린하우스정잭에 대한 성과를 평가 위해 우리는 두단계의 분석단계를 거쳤다. 먼저, 제주도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여기서 생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중로짓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클린하우스 성과와 관련한 정량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주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와 거기서 얻어진 데이터를 이용해서 얻어진 다중 로짓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역주민들의 클린하우스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서 “클린하우스의 주변환경 청결 제고 기능”, “쓰레기 배출에 대한 성숙한 시민의식”, “불법투기에 대한 강력한 단속” 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과 분석에서는 클린하우스 도입이 재활용률과 지자체의 페기물 관리 행정의 재정 자립도를 제고시켰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346.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began to learn wether or not satisfaction factor of rural tourism is effective to visit for the ordinary foreign people. Research method was parallel-site investigation literature, questionnaire. The analytical data of the study, literature 40 reviews, questionnaire 179 survey in 200 of the subject was using. Measurement and scale was set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 Infrastructure', 'Festival · Experience Program', 'Place', 'Room and Food', 'Local People', and 'Buying the Local Product'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nd preliminary survey. I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showed 'Place' and 'Local People'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the 'Festival · ExperienceProgram', had a major impact also 'Intention of Revisit'. Finally for rural tourism fascination, the contents such as the distinctive local attraction, human resources,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nvenient use is more important than the format and scale.
        1347.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의 포켓몬 고 게임을 경험한 이용자들의 증강현실 게임속성과 만족, 그리고 추천의도에 어떤 차이 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증강현실 기반 게임 속성과 추천의도 간의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실증 분석 연구이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게임 속성으로 오락성, 도전성, 상호작용성, 현실성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표본은 포켓몬 고 게임을 경험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증강현실 게임속성과 추천의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의 매개효과 분석에서도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상호작용성과 여가만족 중 사회적 만족이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오락성과 도전성, 상호작용성 그리고 현실감이 강하게 나타나, 게임 이 용자들의 게임 활동을 만족시킨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증강현실 게임속성과 추천의도에서 게임 활동 만족이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 증강현실 속성을 기반으로 한 게임은 여가활동으로서 게임하는 이용자들에게 기존의 온 라인 게임과는 다르게 다양한 계층과 많은 잠재적 게임이용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분석 연구 이다.
        1348.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수준(중·고등학교·성인),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의 요인 간 관계를 확인하여 중· 고등학교·성인 개인종목 선수들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개인종목 선수 57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5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남성: 325, 여성:215, 평균연령: 17.07세). 설문지 구성 내용은 총 55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5문항, 코칭행동 25문항, 선수만족 10문항, 탈진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3.0과 AMOS 23 프로그램 통해 전산 처리 하였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이 선수 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코칭행동의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훈련 및 지도,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권위적인 행동과 선수만족이 탈진에 영향력이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선수 경우 훈련과 지도, 긍정적 보상에 대한 코칭행동, 고등학교 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사회적 지지, 성인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중· 고등학교· 성인 모두 탈진에 선수만족과 권위적 행동이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결론: 성, 경력에 따라 지각된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에 대한 반응은 일부 요인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수준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하위요인들에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고, 중·고등학교·성인 모두 선수만족과 코칭행동의 권위적인 행동이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에게 지각되는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과 선수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현장에서 지도자가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1349.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 감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각 하위요인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직무만 족도에 대한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종속변수 와 관련되는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설명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련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도의 7개 요인중 동료애와 교직의식은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 과 모두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발전성과 혁신성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만 관련되었고, 보상, 자율성, 업무부담 완화는 집단적 교사효능감에만 관련되었다. 마지막으로 두 차원의 교사효능감이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던 직무만족도 요인은 보상뿐이었다. 이러한 결 과들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논의되었다
        1350.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간의 간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감 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남지역 교사 346명을 대상으로 소명의 식척도, 자아존중감척도, 직업적 정체감척도와 삶의 만족척도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 다. 소명의식,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고,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검 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소명의식과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성, 삶의 만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직업적 정체성과 삶의 만족, 직업적 정체성 은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소명의식이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 의 만족에 이르는 경로, 자아존중감이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사이에서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1352.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5년 04월 08일-06월 18일까지 대전·경상북도지역의 3년제 방사선(학)과 300명, 4년제 방사 선학과 300명 총 600명을 대상으로 교육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3년제보다 4년제 방사선학과 학생 들의 교육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그리고 남학생과 저학년에서 교육만족도가 높지만 일부 항 목에서만 유의하였다(p<0.05, p<0.01,p<0.001). 3년제 방사선(학)과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설과 목의 다양성보다는 새롭고 전문적인 산학협력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인 방법일 것이다.
        1353.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and factors influencing farmers’ satisfaction on the crop insurance for pear. Data analyzed were collected by survey and ordered logistic model was utilized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producers who are more highly educated and have an experience to receive an educational program related to crop insurance for pear are more likely to satisfy.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sal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whereas cultivated area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educational program, strengthen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an insurance premium for improving farmers’ satisfaction of the insurance for pear.
        1354.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ith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n national parks’ trail entry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roposal framework based on the data.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6400 respondents who used 28 national park offices at 32 national park trail entry areas. The field research was collected in 3200 surveys, divided between pre- and post-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study variables consisted of socio-demographics, visitors’ perceptions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rail entries,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visitor satisfaction.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environment of trail entr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images and user satisfaction of national park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rail entry improvement showed that 71.8% of visitors rated the trail entry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compared to 48.5% of visitors rated the trail entry as environmentally friendly before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 top priorit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trail entries needs to be the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rest areas, restrooms, and direction boards (pre: 34.5%, post: 32.6%). Third, functionality and the other nine variables were shown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trail entries at the 1%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inally,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with the park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t-value=25.741, p=.000), showing the satisfaction score was higher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e: 3.51, post: 4.12),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1 % level.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rail entries, which have influenced the image of the national park and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manage and design a national park as a public space.
        135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part of research to improve the recreation and tourism of Mt. Keumwon, this study undertook a visitor survey and investigated a structure model analysis to evaluate visitors’satisfaction of sightseeing. I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60 percent of visitors was male, the 71.3% was 40s age and over, and the 80.7% was resident in Gyeongsang-do. A theoretical model with measurement was designed to explore and dedu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hich was developed with hypotheses and data from 150 questionnaires collected in 2013. The results supported that display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more strongly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convenient use, convenient us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also display quality has a very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t use. The visitors tend to evaluate convenient use to be better as display quality increases.
        135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service qua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tangibles and empath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by surveying users of Jangsu Horse Riding Experience Course at a time that an interest in horseback riding experience increases. Hypothesis was test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horse riding experience which is hypothesis 1, all dimensions except empathy were significant. It was revealed that hypothesis 2 which customer satisfaction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is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hypothesis 3 which service quality will have an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is significant except assurance of service quality.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athy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assurance in customer satisfaction should be improved.